KR20170006903A -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903A
KR20170006903A KR1020150098287A KR20150098287A KR20170006903A KR 20170006903 A KR20170006903 A KR 20170006903A KR 1020150098287 A KR1020150098287 A KR 1020150098287A KR 20150098287 A KR20150098287 A KR 20150098287A KR 20170006903 A KR20170006903 A KR 2017000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starfish
powder particles
inner cylinder
dead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박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근 filed Critical 박정근
Priority to KR102015009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903A/ko
Publication of KR2017000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내부 또는 지상에 설치되며,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장치에 투입하고 탈수, 가열, 분쇄의 공정을 거쳐서 분말입자로 가공되는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분말입자로 가공하여 산업 자원화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도가 높은 고품질의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의 분말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분말입자를 이용하여 자원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Jellyfish and starfish recycling equipment}
본 발명은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내부 또는 지상에 설치되며,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장치에 투입하고 탈수, 가열, 분쇄의 공정을 거쳐서 분말입자로 가공되는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파리, 불가사리, 폐사어 등의 해양 폐기물은 자연 방치되어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일으키는 한편, 해안지역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 온난화와 부영양화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기인하여 연근해에 종래에 발견되지 않던 대형 해파리의 출몰이 대규모로 발견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해파리는 모두 20여 종으로서, 이 중에는 노무라입깃해파리와 커튼원양해파리, 야광원양해파리, 유령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라스톤입방해파리 등 6종은 독성을 갖고 있다.
대형 독성해파리인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동중국해역에서 최초 출현해 현재 경기, 전북, 전남, 경북해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8월에는 출현량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우리나라 연안에 자생하는 독성해파리인 '커튼원양해파리'는 충남, 전북, 경북, 동해안 일대에서 출현하고 있다. 이 종류는 어류를 치사시키는 맹독성 해파리로, 매년 해수욕장에서 관광객들을 공격하여 많은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해파리는 주변 양식장과 관광객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주어 수산업과 관광산업기반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이러한 대량의 해파리의 발생을 전부 제거하기는 어렵지만 연근해에서 양식업을 실시하는 양식업자 또는 각종 어망설치에 의한 어패류를 채취할 때 이들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 그물에 의해 해파리를 수집하여 별도의 파쇄기로 파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폐기처리하거나 일부 자연건조에 의해 사료로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상기의 것들을 대량으로 자연건조에 의해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용한 미네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연료와 같은 산업 자원으로서 이용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의 해파리, 불가사리, 폐사어 등을 처리하는 공정에 관한 선행문헌들을 살펴보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71382호에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각종 조업과정에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류와 분리시키기 위한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루형 그물의 끝자루 전방 내측에 해파리 유도망과 해파리 차단망을 각각 설치하여 그 자체가 어류의 유동통로를 형성토록 하고, 해파리 유도망의 상단측에 해파리 유입구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해파리 차단망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바닥측에는 발 형태의 커버가 설치된 해파리 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류와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해파리와 함께 배출되는 어류의 량은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를 위한 어구의 구조는 단순화시키면서도 해파리의 배출통로가 자루형 그물의 바닥부를 향하도록 하여, 어구의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 절감 및 해파리 배출성능의 극대화를 함께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혼획에 따른 어업피해를 최소화시키고 조업효율을 극대화시켜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 또한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25012호에는 해파리 제거망의 끝단부와 자루형 그물에 부착된 지지로프에 연결된 탄성체의 신축 작용에 의해 평상시에는 해파리 배출구가 닫혀 있고, 해파리 제거망에 해파리가 걸렸을 때만 해파리가 바닷물로부터 받는 저항에 의해 탄성체가 늘어나면서 해파리 배출구가 자동적으로 열려 해파리가 배출되고 나면 다시 수축되는 탄성체에 의해 해파리 배출구가 자동적으로 닫히기 때문에 어획량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그 구조가 간편하기 때문에 장치의 제작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물의 손질에 있어서도 탄성체만 간단히 교체하면 그 기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자루형 그물망 내부에 유입된 해파리를 그물망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해파리가 배출구를 빠져나갈 때 탄성체에 연결된 연결끈에 의해 절단되도록 되어있어 해파리의 구제기능도 함께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 특징인 해파리 자동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83571호에는 정치망 등과 같이 최종 어획물을 일정한 좁은 구역에 몰아넣은 후 어획물을 선박의 갑판상으로 퍼올리는 어업에 있어 어획물과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리 및 분쇄 배출시키도록 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어구의 일정 구역에 밀집되어 있는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흡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호퍼에 형성된 절단수단과 터빈펌프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에 의하여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 및 해파리에 의한 어류의 선도저하와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쇄배출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기술들을 더욱 보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해파리, 불가사리, 폐사어 등을 처리장치에 투입하고, 상기와 같은 해파리, 불가사리, 폐사어들을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탈수와 가열 및 건조와 분쇄 등의 공정을 통해서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분말입자로 가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가공하여 분말입자로 제조하는 재활용 처리장치의 해결수단으로는 몸체부(10)와 덮개(11)와 내부에 내측통(12)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내부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천공이 되어 수분이 빠질 수 있도록 홀(30)이 촘촘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바닥면에 분쇄하고 교반할 수 있는 1차 회전날(31)이 구성되고, 상기 1차 회전날(31)의 하단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의 분말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채망(33)을 포함하여 내측통(12)이 구성되고, 상기 내측통(13)의 외측면에 둘러싸듯이 구성된 가열기(21)와 상기 내측통(13)의 하단부에 상기 채망(33)을 통과한 분말입자들이 한번 더 분쇄되는 2차 회전날(32)과 분말입자들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분말입자통로(24)와 상기 분말입자통로(24)를 통해서 이동되는 분말입자들이 저장되는 배출부(23)와 하단에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내측통(12)을 회전시키는 1차 구동기(25)와 상기 1차 회전날(31)과 2차 회전날(32)을 구동하는 2차 구동기(26)와 상기 내측통(12)에서 분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7)와 외측면에 위치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에 구성된 덮개(11)를 포함하는 본체(1)로 구성된다.
구동방식은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한 내측통(12)에 수납을 하고, 덮개(11)를 닫고서 제어부(20)를 사용자 임의대로 시간 조절을 하여 동작을 시키면, 내측통(12)이 15 ~ 30분 동안 회전하며 내부의 수납된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의 수분이 홀(30)을 통해서 내측통(12)의 외부로 배출되며, 수분은 최종적으로 배출구(27)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탈수 단계를 거쳐서 수분이 빠져버린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는 가열 및 건조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가열기(21)에서 60 ~ 80℃의 온도로 20 ~ 30분 동안 가열 및 건조하고, 상기의 가열 및 건조 단계를 마치면 1차 회전날(31)이 동작을 하면서 분쇄 단계를 시작한다. 상기 1차 회전날(31)에 의해서 분쇄되어 분말입자로 가공되는데, 이때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가 2 ~ 7mm가 바람직하며, 상기의 크기를 만족하면 채망(33)을 통해서 하단으로 하강하게 된다. 하강된 분말입자는 2차 회전날(32)에 의해 한번 더 분쇄되어 분말입자통로(24)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배출부(23)에 모여서 저장된다. 상기의 분쇄 단계에서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가 2 ~ 7mm를 만족하지 못한다면 분쇄 단계만 2 ~ 3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 등을 분말입자로 가공하여 산업 자원화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도가 높은 고품질의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의 분말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분말입자를 이용하여 자원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회전날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치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회전날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사각형 박스 형태의 몸체부(10)의 상단부에 덮개(11)가 위치하고, 몸체부(10) 정면의 상단에 제어부(20)가 구성되며, 하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배출부(23)가 구성되고, 뒷면 하단에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7)가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에는 수분을 배출하는 홀(30)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의 제어부(20)는 본체(1)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어부(20)에서는 가공 공정의 모든 단계를 제어하고, 특히 탈수 단계의 탈수 시간과 가열 및 건조 단계의 가열 및 건조 시간 및 분쇄 단계의 시간 등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1)가 동작 중에 이상이 있어서 동작을 멈추면 제어부(20)에서 외부에 경보를 발령하는 등 본체(1)에서 발생하는 모든 동작 단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부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천공이 되어 수분이 빠질 수 있도록 홀(30)이 촘촘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바닥면에 분쇄하고 교반할 수 있는 1차 회전날(31)이 구성되고, 상기 1차 회전날(31)의 하단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의 분말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채망(33)을 포함하여 내측통(12)이 구성되고, 상기 내측통(13)의 외측면에 둘러싸듯이 구성된 가열기(21)와 상기 내측통(13)의 하단부에 상기 채망(33)을 통과한 분말입자들이 한번 더 분쇄되는 2차 회전날(32)과 분말입자들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분말입자통로(24)와 상기 분말입자통로(24)를 통해서 이동되는 분말입자들이 저장되는 배출부(23)와 하단에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내측통(12)을 회전시키는 1차 구동기(25)와 상기 1차 회전날(31)과 2차 회전날(32)을 구동하는 2차 구동기(26)와 상기 내측통(12)에서 분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7)와 외측면에 위치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에 구성된 덮개(11)를 포함하는 본체(1)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통(12)의 측면에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홀(30)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해 있으며, 상기의 홀(30)을 통해서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에서 나오는 수분이 내측통(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배출된 수분은 몸체부(10) 안에서 내측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구(27)를 통해서 본체(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분이 배출된 내측통(12)은 상기 가열기(21)에 의해서 20 ~ 30분 동안 가열 및 건조하게 되며, 탈수 과정을 거쳐서 수분이 빠져버린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가열 및 건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 및 건조 단계를 거친 가공물들은 마직막으로 1차 회전날에 의해서 분말입자로 분쇄되며,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는 2 ~ 7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가 2 ~ 7mm의 범위에 만족한다면 채망(33)을 통해서 낙하하게 되며, 또 한번 2차 회전날에 의해 분쇄된다. 그리고 동시에 분말입자통로(24)를 통해서 배출부(23)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1차 회전날(31)과 2차 회전날(32)은 2차 구동기(26)의 동작에 의해서 작동되며, 상기 내측통(12)은 1차 구동기(25)의 동작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판 형태의 내측통(12)의 하단부이고, 하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채망(33)이 위치해 있어서,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가 2 ~ 7mm 범위의 것만 하방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그리고 내측통(12)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1차 회전날(31)이 위치하여 가열 및 건조된 가공물을 분쇄하게 되고, 내측통(12)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부에는 2차 회전날(32)이 구성되어 상기의 1차 회전날(31)을 통과한 가공물들이 또 한번 분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본체(1)를 이용하여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가공하는 공정 순서이며, 본체(1)의 내측통(12)의 내부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투입한다(S10). 그리고 제어부(20)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하여 내측통(12)이 회전하며 탈수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S20). 탈수 단계를 마친 가공물에 가열기(21)에서 60 ~ 80℃의 온도로 가열 및 건조를 시켜서 다시 가공한다(S30). 가열 및 건조 단계를 끝낸 가공물이 1차, 2차 회전날(31, 32)에 의해서 분쇄되어 배출부(23)로 저장된다(S40).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체 10. 몸체부
11. 덮개 12. 내측통
20. 제어부 21. 가열기
22. 센서 23. 배출부
24. 분말입자통로 25. 1차 구동기
26. 2차 구동기 27. 배출구
30. 홀 31. 1차 회전날
32. 2차 회전날 33. 채망

Claims (5)

  1.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재활용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천공이 되어 수분이 빠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30)이 구성되며, 바닥면에 분쇄하고 교반할 수 있는 1차 회전날(31)이 구성되고, 상기 1차 회전날(31)의 하단에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의 분말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채망(33)을 포함하여 구성된 내측통(12)과;
    상기 내측통(12)의 외측면을 둘러싸듯이 구성된 가열기(21)와;
    상기 내측통(12)의 하단부에 상기 채망(33)을 통과한 분말입자들이 한번 더 분쇄되는 2차 회전날(32)과;
    분말입자들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분말입자통로(24)와;
    상기 분말입자통로(24)를 통해서 이동되는 분말입자들이 저장되는 배출부(23)와;
    하단에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내측통(12)을 회전시키는 1차 구동기(25)와 상기 1, 2차 회전날(31, 32)을 구동하는 2차 구동기(26)와 상기 내측통(12)에서 분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7)와 외측면에 위치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에 구성된 덮개(11)를 포함하는 본체(1)로 구성된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3)는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분쇄, 교반하여 가공된 분말입자를 저장하며,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박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건조할 수 있는 가열기(21)의 동작 온도 범위는 60 ~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의 구동방식은 해파리 또는 불가사리 또는 폐사어를 상기 내측통(12)에 투입하고, 덮개(11)를 닫고, 제어부(20)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하여, 탈수, 가열 및 건조, 분쇄, 종료의 공정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수 단계는 15 ~ 30분 동안 실시하고, 건조 단계는 20 ~ 30분 동안 실시하며, 분쇄 단계 종료시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는 2 ~ 7mm의 크기로 하고, 분말입자의 입도 크기가 7mm 이상인 것을 대상으로 분쇄 공정을 2 ~ 3회 반복해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KR1020150098287A 2015-07-10 2015-07-10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KR20170006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87A KR20170006903A (ko) 2015-07-10 2015-07-10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87A KR20170006903A (ko) 2015-07-10 2015-07-10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03A true KR20170006903A (ko) 2017-01-18

Family

ID=5799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87A KR20170006903A (ko) 2015-07-10 2015-07-10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9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104B1 (ko) * 2020-12-16 2021-07-15 박의석 패각 분쇄 장치
KR20210132959A (ko) * 2020-04-28 2021-11-05 최종원 밀폐식 불가사리 미분말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959A (ko) * 2020-04-28 2021-11-05 최종원 밀폐식 불가사리 미분말 제조장치
KR102277104B1 (ko) * 2020-12-16 2021-07-15 박의석 패각 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0061A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KR101296746B1 (ko)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
US20170014828A1 (en) Organic garbage and kitchen waste processing assembly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20170006903A (ko) 해파리 및 불가사리 재활용 처리장치
CN106077022B (zh) 厨余、农贸市场垃圾资源化处理系统及其工艺流程
KR20200101580A (ko) 폐 광케이블, 폐전선, 폐코팅사, 폐어망 처리장치
KR101390730B1 (ko) 폐비닐 세척 이동장치
CN106701301B (zh) 阳荷榨油工艺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10143266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5100452B2 (ja) 廃棄樹脂ペレット製造装置
KR20110015081A (ko) 불가사리 건조장치
JP5993527B1 (ja) 生海苔の異物分離・除去装置に付設して使用される未処理生海苔廃棄量削減システム
CN210332885U (zh) 一种智能垃圾资源化处理装置
KR20140035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2612932A (zh) 油菜脱粒机
JP5100451B2 (ja) 樹脂廃棄物処理装置
JP6078200B1 (ja) 生海苔異物分離装置
KR102561609B1 (ko) 비중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폐어망 처리 공정
KR20150057682A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033216B1 (ko) 불가사리 자동멸균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14459B1 (ko) 나무뿌리(통목근)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CN210187331U (zh) 一种自动收集粉尘或碎屑的箱体装置
KR20110007711U (ko) 수조내 이물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