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593A - 신분증 착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신분증 착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593A
KR20170006593A KR1020150097434A KR20150097434A KR20170006593A KR 20170006593 A KR20170006593 A KR 20170006593A KR 1020150097434 A KR1020150097434 A KR 1020150097434A KR 20150097434 A KR20150097434 A KR 20150097434A KR 20170006593 A KR20170006593 A KR 20170006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necklace
wearer
wearing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188B1 (ko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이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우 filed Critical 이준우
Priority to KR102015009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1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를 홀더에 끼운 후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신분증 착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으로는 상기 신분증 착용 목걸이는 하부에 홀더가 가변줄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테두리에는 체결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착용구와;
상기 착용구의 체결홈에 끼움 될 수 있도록 양측에 체결홈과 대응되는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부에 결속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결속 연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를 끼워 고정하는 착용구와 목걸이 줄을 고정하여 목에 걸 수 있는 결속 연결구를 분리제작하여 조립사용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할 시 착용구가 기계나 문틈 사이에 끼어 일정한 당김 힘이 발생하면 목걸이 줄이 고정된 결속 연결구가 착용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분증 착용 목걸이{Wear Necklace ID}
본 발명은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를 홀더에 끼운 후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신분증 착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를 끼워 고정하는 착용구와 목걸이 줄을 고정하여 목에 걸 수 있는 결속 연결구를 분리제작하여 조립사용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할 시 착용구가 기계나 문틈 사이에 끼어 일정한 당김 힘이 발생하면 목걸이 줄이 고정된 결속 연결구가 착용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분증 착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분이 특정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신분을 밝히기 위하여 특정 건물이나 구역 내에서는 출입자에 대하여 신분증의 착용이 권유되거나 의무로 되어 있다. 이때,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 신분증 케이스 및 신분증 착용 목걸이이다. 신분증 케이스는 상대방의 육안으로 신분증의 표시 사항을 살필 수 있게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신분증 착용 목걸이는 목에 걸리는 길이가 긴 목걸이 줄 및 그 줄에 신분증 케이스가 매달린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착용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분증 착용 목걸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특허청에 선등록한 특허 제10-1039810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의 문헌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 줄의 양쪽 끝단은 별도의 착용구에 접속되고, 그 착용구의 하부에 마련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홀더에는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의 고리가 연결 접속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서와같이 종래의 신분증 착용 목걸이(10)는 내부에 가변줄(31)이 일정길이 권선 된 착용구(11)와, 상기 착용구(11)의 상부에는 착용 훅(12)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권선 된 가변줄(31)과 연결되어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홀더(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착용구(11) 상부에 일체로 되게 형성된 착용 훅(12)에는 목걸이 줄(50)이 결속타이(51)에 의해 연결된 결속고리(22)를 후방 하측에서 끼워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신분증 착용 목걸이(10)는 결속고리(22) 양측에 결속타이(51)를 이용하여 목걸이 줄(50)을 고정한 후 착용구(1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착용 훅(12)에 단단히 결합 고정하여 구성되고, 착용구(11)의 하부에는 내부에 권선 된 가변줄(31)과 연결고정된 홀더(30)에는 신분증 또는 신분증 케이스가 끼워 고정되어 있어 착용 후 신분증 등을 터치 기구 등에 접촉할 때에는 신분증이나, 신분증 케이스를 착용구(11)로부터 가변줄(31)을 이용하여 길게 배어 사용하고 접촉완료 후에는 가변줄(31)의 권취력에 의해 삽입하여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착용구(11)와 목걸이 줄(50)이 고정된 결속고리(22)가 착용구(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착용 훅(12)에 걸고리 형상으로 서로 이완되지 못하도록 단단히 고정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길게 늘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 문틀 등에 끼었을 때에는 사용자가 문이 열릴 때까지 목을 매단 상태로 있어야 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과, 심지어 달리는 전동차나 작동되는 기계 등에 끼었을 때에는 목걸이 줄이 목을 감은 상태로 그대로 빨려들어가 목숨까지 위험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야기되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321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 주된 목적으론 신분증 또는 신분증케이스를 끼워 고정하는 착용구와 목걸이 줄이 연결 고정된 결속 연결구를 분리제작하여 조립사용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구가 기계나 문틈에 껴 일정한 힘으로 당길시 결속 연결구가 착용구로부터 분리되어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분증 착용 목걸이를 제공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신분증 착용 목걸이는 하부에 홀더가 가변줄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테두리에는 체결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착용구와; 상기 착용구의 체결홈에 끼움 될 수 있도록 양측에 체결홈과 대응되는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부에 결속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결속 연결구;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착용구의 체결홈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2단으로 형성하되 경계부에는 양측에 중앙 끼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연결구는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2단으로 형성하되 상기 중앙 끼움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체결편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착용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접속 연결구의 후방으론 주머니나 옷깃에 간편 용이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착용클립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 연결구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속고리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나비형으로 목걸이 줄을 양쪽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용구의 배면 일지점에는 착용클립 압박시 협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협지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분증 착용 목걸이는 신분증 또는 신분증케이스를 끼워 고정하는 착용구와 목걸이 줄이 연결 고정된 결속 연결구를 분리제작하여 조립사용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착용구가 기계나 전동차의 문틈에 껴 일정한 힘으로 당길시 결속 연결구가 착용구로부터 분리되어 착용자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분리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결합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4는 발명이 적용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의 분리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분증 착용 목걸이(100)는 크게 착용구(110)와, 결속 연결구(120)와, 착용구의 내부에 권선 된 가변줄과 연결되어 착용구(110)의 하부에 끼움 결합 되는 홀더(130)로 구성된다.
상기 착용구(110)는 테두리에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원주방향으로 체결홈(111)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111)의 양 끝단에는 끼움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용구(110)의 배면 일지점에는 후술되는 착용클립 압박시 협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협지홈(113)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용구(110)에 끼움 고정되는 결속 연결구(120)는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상기 체결홈(111) 양측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체결편(121)을 형성하고, 중앙 상부에는 목걸이 줄(150)이 결속타이(151)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결속고리(122)을 일체로 되게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결속 연결구(120)의 결속고리(122)는 사용자가 착용시 착용구(1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비 형으로 양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 연결구(120)의 상부 배면에는 목걸이로 착용하고 다지다가 주머니나 옷깃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착용클립(123)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착용구(110)의 하측에는 홀더(130)를 끼움 결합하되 착용구의 내부에 권취 된 가변줄(131)과 연결하여 결합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착용구(110)와 결속 연결구(120)는 결합력을 가일층 증대할 수 있도록 착용구(110)의 체결홈(111)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2단으로 형성하되 경계부에는 양측에 중앙 끼움고정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연결구(120)는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2단으로 형성하되 상기 중앙 끼움고정홈(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체결편(1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분증 착용 목걸이(100)는 착용구(110)의 테두리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111)에 결속 연결구(12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편(121)을 강제로 밀어 넣으면 체결편(121)의 자체 텐션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진행하여 삽입되다가 착용구(110)의 체결홈(111) 절반을 넘으면 체결편(121)이 원상복귀되면서 체결홈(111)을 감싸는 상태로 체결하되, 상기 체결 연결구(120)의 체결편(121)을 체결홈(111)을 따라 완전히 밀어 넣으면 체결편(121)의 끝단이 체결홈(111)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억지 끼움 삽입 고정되는 상태로 결합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용구(110)의 체결홈(111)에 결속 연결구(120)의 체결편(121)을 체결고정시 착용구(110)의 테두리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111)에 결속 연결구(12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편(121)을 강제로 밀어 넣으면 체결편(121)의 자체 텐션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진행하여 삽입되다가 체결편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체결편(124)이 착용구(110)의 체결홈(111)에 형성된 중앙 끼움체결홈(114)에 억지 끼움 되어 고정되고, 이후 체결편(121)의 하부가 착용구(110)의 체결홈(111) 안내되어 감싸는 상태로 체결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 연결구(120)의 체결편(121)을 체결홈(111)을 따라 완전히 밀어 넣으면 체결편(121)의 끝단이 체결홈(111)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이중으로 억지 끼움 삽입고정되는 상태로 결합 완료되어 결합력이 가일층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신분증 착용 목걸이(100)는 착용구(110)의 하부에 가변줄(131)에 연결하여 고정된 홀더(130)에 신분증 등을 끼움 결합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목걸이 줄(150)을 목에 걸어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홀더(130)에 삽입 결합되어 신분을 밝히는데 사용하는 것이고, 신분증 등을 터치 기기 등에 대고 신분을 확인하고자 할 때 신분증 등을 잡아당기면 가변줄(131)에 의해 신분증을 고정한 홀더(130)가 손쉽게 착용구(110)로부터 인출되어 목걸이 줄(150)을 벋지 않고 간편 용이하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홀더(130)를 놓으면 가변줄(131)의 권취력에 의하여 홀더(130)가 착용구(110) 하측으로 유도되어 끼워진 상태로 평상시와 같이 간편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 도중 신분증 등이 늘어져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시에는 결속 연결구(120)의 상부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 착용클립(123)을 이용하여 주머니나 옷깃에 간편히 고정하여 신분증 착용 목걸이(100)의 흔들림이나. 타 물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착용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착용클립(123)은 착용구(110)의 협지홈(113)에 밀착되게 되므로 착용시 클립력을 가일층 높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착용자가 본 발명의 신분증 착용 목걸이(100)를 이용하여 신분증 등을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착용자의 실수로 신분증 등이 끼움 결합 된 착용구(110)가 전철 등의 문틈이나 움직이는 기계 등에 끼었을 때 일정한 당김 힘이 가해지게 되면 목걸이 줄(150)이 결속타이(151)에 의해 결속고리(122)에 고정된 결속 연결구(120)의 체결편(121)이 착용구(110)의 체결홈(111)으로부터 강제로 빠져 이완되는 것이고, 상기 끼움체결편(124)과 중앙 끼움체결홈(114)도 분리되어 이완되므로 착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100 : 신분증 착용 목절이
110 : 착용구 111 : 체결홈
112 : 끼움 고정홈 113 : 협지홈
114 : 중앙 끼움고정홈
120 : 결속 연결구 121 : 체결편
122 : 결속고리 123 : 착용클립
124 : 끼움 고정편
130 : 홀더 131 : 가변줄
150 : 목걸이 줄 151 : 결속타이

Claims (6)

  1. 신분증 착용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착용 목걸이는 하부에 홀더가 가변줄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테두리에는 체결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착용구와;
    상기 착용구의 체결홈에 끼움 될 수 있도록 양측에 체결홈과 대응되는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부에 결속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결속 연결구;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착용 목걸이.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의 체결홈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2단으로 형성하되 경계부에는 양측에 중앙 끼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연결구는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2단으로 형성하되 상기 중앙 끼움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체결편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착용 목걸이.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는 원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되고, 결속 연결구는 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신분증 착용 목걸이.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연결구의 후방으론 주머니나 옷깃에 간편 용이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착용클립을 일체로 형성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착용 목걸이.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연결구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속고리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나비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착용 목걸이.
  6. 청구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의 배면 일지점에는 착용클립 압박시 협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협지홈을 더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착용 목걸이.
KR1020150097434A 2015-07-08 2015-07-08 신분증 착용 목걸이 KR10170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34A KR101703188B1 (ko) 2015-07-08 2015-07-08 신분증 착용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34A KR101703188B1 (ko) 2015-07-08 2015-07-08 신분증 착용 목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93A true KR20170006593A (ko) 2017-01-18
KR101703188B1 KR101703188B1 (ko) 2017-02-06

Family

ID=5799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434A KR101703188B1 (ko) 2015-07-08 2015-07-08 신분증 착용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04B1 (ko) * 2019-08-20 2021-01-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분증용 목걸이 핀온릴
KR102247546B1 (ko) * 2019-11-05 2021-05-04 주식회사 고유 반려동물 인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678A (ko) * 2008-01-31 2009-08-05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걸이형 체결구
KR20100032145A (ko) 2008-09-17 2010-03-25 이준우 신분증 착용 목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678A (ko) * 2008-01-31 2009-08-05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걸이형 체결구
KR20100032145A (ko) 2008-09-17 2010-03-25 이준우 신분증 착용 목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04B1 (ko) * 2019-08-20 2021-01-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분증용 목걸이 핀온릴
KR102247546B1 (ko) * 2019-11-05 2021-05-04 주식회사 고유 반려동물 인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188B1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8187B1 (en) Cord end stopper
US9072331B2 (en) Goggle attachment system for a helmet
JP6344802B2 (ja) 係止具を備えたマスク
JP2017193802A5 (ko)
CN105358004A (zh) 卡固件
US20140215770A1 (en) Drawstring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KR101703188B1 (ko) 신분증 착용 목걸이
US11209666B2 (en) Eyewear retention device
US10394048B2 (en) Eyewear securing system and method
US20200077752A1 (en) Breakaway Silicone Ring
US20130284200A1 (en) Hair accessory system and methods
KR20100000584U (ko) 표찰케이스용 핀온릴
TWI504355B (zh) 繩帶端扣
US10716719B2 (en) Diaper fastener
CN108473241B (zh) 拆开型束线带
KR101824046B1 (ko) 양면 사용 및 목걸이줄 연결이 가능한 인식표
JP5377942B2 (ja) 胴衣
KR100927006B1 (ko) 택 고리 및 그 조립방법
JP5265753B2 (ja) 留はずし機構
KR200479633Y1 (ko) 휴대용품 목걸이 끝
CN211559502U (zh) 便于人为控制分离的防儿童走失牵引带
KR102409492B1 (ko)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마스크 귀걸이끈의 초음파 접착시스템 및 그 마스크
JP3208196U (ja) ベルト
JP3883924B2 (ja) ネックストラップ
JP2009072531A (ja) ランヤード掛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