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378A -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378A
KR20170006378A KR1020150096911A KR20150096911A KR20170006378A KR 20170006378 A KR20170006378 A KR 20170006378A KR 1020150096911 A KR1020150096911 A KR 1020150096911A KR 20150096911 A KR20150096911 A KR 20150096911A KR 20170006378 A KR20170006378 A KR 2017000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roof
information
function
proof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관수
Original Assignee
고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관수 filed Critical 고관수
Priority to KR102015009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378A/ko
Publication of KR2017000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 기기를 선택하는 데 따른 방폭 정보, 예를 들어서, 폭발성 물질의 종류, 폭발성 물질의 자동 점화 온도 등급, 방폭 구조, 위험 지역 선택, 그리고 방폭 기기의 종류 등 바코드 형태로 2개를 출력하고, 이를 방폭 기기와 이 기기를 설치하는 장소에 각각 부착하고, 이 2개의 바코드를 통해 방폭 기기가 미리 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 2개의 바코드 값을, 방폭 도면에 기재하여 바코드를 출력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 방폭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이중으로 방폭 기기의 설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게 방폭 기기의 정확한 장착과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시 방폭 정보를 재 코드화한 다음 바코드화를 통해 코드 길이를 줄일 수 있고, 하나의 방폭 구역이나 프로젝트에 사용하는 각 방폭 기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그 일련번호를 바코드에 포함시켜 방폭 기기의 설치나 검사할 때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순서가 바뀌더라도 방폭 도면의 설계에 반하여 설치나 검사가 빠지지 않고 이루어지게 하고, 이는 방폭 스위치와 같이 크기가 작은 방폭 기기에 대해서도 쉽게 바코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설치와 검사 결과를 확인,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COMPUTER-READABLE MEDIA FOR EXPLOSION PROOF MANAGEMENT}
본 발명은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 방폭 시설의 도면에 방폭 정보를 기재하고, 이 방폭 정보를 2개의 바코드 형태로 출력하여 방폭 기기와 이를 설치한 방폭 위치에 각각 부착하되, 상기 도면에 기재된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방폭 기기와 그 위치에서 각각 읽어 들인 바코드의 방폭 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통해 편리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방폭 기기를 관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폭발성 물질과 관련된 장소를 '폭발 분위기'라고 하며 그 폭발의 위험 정도에 따라 0종 장소, 1종 장소, 2종 장소로 구분한다. 그리고 각 장소에는 적절한 방폭 기기를 사용하도록 국내 및 국제적으로 규정되어 있고, 이때 사용되는 모든 방폭 기기에 대해서도 표기 방식이 미리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방폭 기기는 폭발 위험성과 착화원 등을 고려하여 방폭 효과를 얻을 수 있게 제작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방폭 효과를 얻을 수 있게 제작한 방폭 기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냉동사이클의 압축기에서 정전기로 인한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그 스파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방폭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폭 압축기 및 그를 채용한 방폭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2는 방폭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이격 공간을 형성한 채 배치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 상기 이격 공간에 채워져 외부의 압력을 흡수하는 알루미늄 발포체; 및 상기 알루미늄 발포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대향면과 연결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은 양압형 방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폭 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방폭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폭 가스를 압축 가스 형태로 전환하여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양압(positive pressure) 상태로 유지시키는 압축 가스 전환부; 상기 압축 가스 전환부에서 압축된 압축 가스를 본체부의 공간에 공급하는 압축 가스 공급관; 상기 압축 가스 전환부에서 분기되어 독립적으로 방폭 대상물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 가스 분기관; 및 상기 압축 가스 전환부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 도입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 방폭 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방폭 기기는 해당 위험물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재질과 구성 등으로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방폭 도면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착화원이나 위험물 등에 노출됨에 따라 방폭 기기가 파손되거나 원래 기능을 잃어버릴 우려가 있다.
(2) 또한, 방폭 기기는 다른 방폭 기기들과 마찬가지로 고장이나 파손 그리고 수명이 다하면 새로운 방폭 기기로 교체해야 하는 데,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방폭 도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폭 기기를 설치해야 한다.
(3) 한편, 이처럼 설치한 방폭 기기는 방폭 도면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때의 확인은 보통 점검자가 직접 방폭 기기를 돌아다니면서 장착 위치와 그 위에 맞게 방폭 기기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4) 하지만, 이러한 확인은 점검자가 정신을 집중하여 확인하더라도 확인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한 가지 방법으로 방폭 기기에 바코드를 부착하여 관리한다.
(5) 그러나, 현재 방폭 기기에 부착되는 바코드는 보통 제조회사, 제조연월일, 기기의 종류, 그리고 입고일과 같이 (방폭 정보가 아닌) 방폭 기기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으므로, 실제 방폭 기기를 장착하는 곳에 방폭 도면에서 설정된 방폭 기기를 장착하거나 교체를 하였는지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6) 특히, 이러한 확인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아니므로 점검자가 기재 오류나 기재 누락과 같은 오류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434137호 (등록일 : 2014.08.19) 한국등록특허 제1486023호 (등록일 : 2015.01.19) 한국등록특허 제1503705호 (등록일 : 2015.03.1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바코드에 방폭 장소에 설치하는 방폭 기기를 선택하는 데 따른 방폭 정보, 예를 들어서, 폭발성 물질의 종류, 폭발성 물질의 자동 점화 온도 등급, 방폭 구조, 위험 지역 선택, 그리고 방폭 기기의 종류를 바코드 형태로 2개를 출력하고, 이를 방폭 기기와 이 방폭 기기를 설치하는 장소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이 2개의 바코드를 통해 방폭 기기가 미리 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유지 관리를 할 수 있게 한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렇게 읽어 들인 2개의 바코드 값을, 방폭 도면에 기재하여 이 바코드를 출력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 방폭 정보와 비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중으로 방폭 기기의 설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방폭 기기의 정확한 장착과 유지 관리를 할 수 있게 한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시 방폭 정보를 재 코드화한 다음 바코드화를 통해 코드 길이를 줄일 수 있고, 하나의 방폭 구역이나 프로젝트에 사용하는 각 방폭 기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그 일련번호를 바코드에 포함시켜 방폭 기기의 설치나 검사할 때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순서가 바뀌더라도 방폭 도면의 설계에 반하여 설치나 검사가 빠지지 않고 이루어지게 하고, 이는 방폭 스위치와 같이 크기가 작은 방폭 기기에 대해서도 쉽게 바코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설치와 검사 결과를 확인, 판단할 수 있게 한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서버에 탑재하거나 개인용 단말에 내려받아서 사용하는 방폭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나 다른 개인용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 방폭 도면을 읽어오고, 읽어온 방폭 도면에서 방폭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 방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기능; 상기 방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기능; 상기 방폭 정보를 방폭 장소의 설치 장소와 방폭 기기에 각각 부착하는 제1바코드와 제2바코드를 출력하게 하는 출력 기능; 바코드를 읽어오는 읽기 기능; 및 상기 읽기 기능을 통해, 실제 방폭 기기가 설치된 곳에 부착한 제1바코드 및 방폭 기기에 부착한 제2바코드를 읽어오고, 각 바코드에서 읽어온 방폭 정보를 상기 방폭 도면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방폭 정보를 기준으로 실시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보여주는 판단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폭 정보는, (1)폭발성 물질의 종류, (2)폭발성 물질의 자동 점화 온도 등급, (3)방폭 구조, (4) 위험 지역 선택(Zone 0, Zone 1, Zone 2), (5) 읽어온 도면상에서의 방폭 위치에 대한 XY 좌표, (6) 방폭 기기의 종류 및 그 일련번호,(7)방진 등급, 그리고 (8)방수 등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폭 정보는, 재고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최종 사용자(End-user)의 회사명 및 프로젝트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코드와 제2바코드는 각각 "Code 128"로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기준의 판단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 기능은, 도면의 경로와 방폭 정보를 문자로 저장하는 기능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기능은, 방폭 기기가 장착된 위치의 GPS 신호를 더 입력받고, 이 신호를 상기 방폭 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기능은, 개인용 단말에 구성된 GPS 기능을 통해 각 방폭 기기의 GPS나 방폭 기기를 설치한 설치 장소의 GPS를 입력받아서 이 방폭 기기에 해당하는 방폭 정보와 연동하게 저장하거나, 하나의 방폭 기기의 GPS나 방폭 기기를 설치한 설치 장소의 GPS를 입력받아서 이 GPS 신호를 바탕으로 방폭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각 방폭 기기의 GPS 신호를 계산하고 이 신호를 각 방폭 기기에 해당하는 방폭 정보와 연동하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출력 기능은, 방폭 정보를 숫자와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재코드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방폭 정보를 바코드화하고 이 바코드를 통해 방폭 기기를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2) 특히, 바코드는 "Code 128" 방식으로 방폭 정보를 코드화하므로, 코드 길이를 줄이면서도 원하는 필요한 방폭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이는 방폭 스위치와 같이 크기가 작은 방폭 기기에 대해서도 바코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고 명확하게 코드를 읽어 들일 수 있어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쉽다. 게다가, 바코드는 재코드화를 통해 코드 길이를 줄여 쉽게 읽을 수 있게 하여 잘못 읽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또한, 방폭 시설에 관한 바코드를 두 개 생성하여 하나는 실제 방폭 시설에 부착하고 다른 하나는 이 방폭 시설을 설치하는 장소에 부착함으로써, 이들 두 개의 바코드가 일치하는지에 따라 정확한 방폭 기기의 설치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4) 게다가, 이런 방폭 기기의 설치 여부를, 두 개의 바코드에서 읽어 들인 방폭 정보와, 방폭 설계할 때 입력한 방폭 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정확한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방폭 기기의 정확한 설치 여부를 더욱 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5) 이에 방폭 기기를 설치한 장소에 다른 방폭 기기를 설치하거나, 오래되거나 고장 등으로 방폭 기기를 교체하여 다시 설치할 때, 방폭 구간에 맞지 않는 방폭 기기를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여 미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또한, 방폭 정보에는 이런 방폭 기기에 관한 기본 정보 이외에도, 회사명과 프로젝트명을 더 포함하여 입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방폭 기기에 관한 정보를 쉽게 추출하여 비교할 수 있고, 게다가 회사명과 프로젝트명을 이용하여 방폭 기기에 관한 재고를 더욱 쉽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폭 정보에는 방진 등급과 방수 등급을 더 포함해 방폭 기기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더 얻고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7) 한편, 본 발명은 이처럼 방폭 설계할 때 입력한 방폭 정보와, 두 개의 바코드에서 읽어온 방폭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점검자가 시각적 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하고 알 수 있게 하여 필요한 조처를 취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은 도면과 필요한 정보를 문자 형태로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 용량을 줄여 관리와 유지를 쉽게 할 수 있고, 때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읽어오거나 저장할 수 있게 하여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폭 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9)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방폭 기기나 이를 장착한 위치의 GPS 정보를 방폭 정보에 포함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실제로 방폭 기기를 잘못 설치하거나 방폭 기기의 설치 위치가 다른 경우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한 가지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다른 한 가지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에 탑재한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창의 한 가지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방폭 정보를 CSV 형식으로 저장한 방폭 정보를 엑셀 파일 형태로 읽어들인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한 바코드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바코드를 설치하는 장소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판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이미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통신 기능, 입력 기능, 저장 기능, 출력 기능, 읽기 기능, 그리고 판단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서버에 탑재하여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개인용 단말에 내려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방폭 기기를 설계하면서 방폭 기기가 필요한 구간에 대해 방폭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기보 정보로 삼고, 이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각 방폭 기기와 이 방폭 기기가 장착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할 수 있도록 2개의 바코드를 생성하게 하고, 실제 방폭 기기와 이 방폭 기기가 장착된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바코드를 읽어옴에 따라 방폭 도면에서 입력받은 기본 방폭 정보와 비교하여 방폭 기기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폭 기기의 설치자와 운용자 그리고 검사자가 코드 인식을 잘못하거나 다른 방폭 기기를 설치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폭용 프로그램은 [도 1]과 같이 서버에 탑재하여 방폭 기기를 설계하는 설계자, 방폭 기기를 실제로 설치하는 작업자, 그리고 방폭 기기를 설치한 뒤에 점검하는 검사자 등이 각각 자신이 휴대한 개인용 단말(10,20,30)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와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도 2]와 같이 설계자와 작업자 그리고 검사자 각각의 개인용 단말(10,20,30)에 본 발명에 따른 방폭용 프로그램을 직접 탑재하거나 내려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기능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서버를 통해 설계자와 작업자 그리고 검사자 등 본 발명에 따른 방폭용 프로그램을 내려받거나 서버에 탑재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쌍방향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 기능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모두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무선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읽기 기능과 같이 방폭 기기가 설치된 곳에서 바코드를 읽어 올 때와 같이 유선 통신 방식을 채택할 경우 방폭 기기의 크기나 규모에 따라 유선으로 통신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설계자의 경우 보통 한정된 곳에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같은 경우나 방폭 기기 규모가 작을 때는 유선 통신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상관이 없다.
입력 기능은, 방폭 도면을 읽어오고 그 도면에서 방폭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 방폭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이다. 여기서, 설계도면은 CAD와 같은 설계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한 도면일 수도 있고, 이러한 도면을 이미지로 형성한 도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폭 정보는 방폭 기기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상기 방폭 정보는 폭발성 물질의 종류, 폭발성 물질의 자동 점화 온도 등급, 방폭 구조, 위험 지역, 방폭 기기의 종류, 방진 등급, 그리고 방수 등급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입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창을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방폭 도면은, [도 4]에서 지구 본 모양이나 "파일 선택" 버튼을 눌러서 불러오며, [도 4]에서는 오른쪽 상부에 이미지 형태로 불러온 도면의 한 가지 예를 보여준다.
폭발성 물질은 크게 분진(Dust)과 가스로 구분되고, 다시 가스는 47종, 분진은 19종으로 구분되어 국제전기기구(IEC)와 한국공업규격(KS)에서 세부 규정한 대부분의 폭발성 물질이 포함된다. [도 4]에서, 폭발성 가스의 종류는 "Explosive Substance" 항목으로 표시되며, 펼침목록(드롭다운 메뉴)을 통해 이들 분진과 가스 종류로 나뉘고, 그 아래에 각 폭발성 물질 중에서 선택하게 하여 입력받게 구성된다.
위험 지역은 폭발 분위기(폭발성 물질과 관련된 장소)의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의 빈도에 의해 결정되며 국제전기기구(IEC)와 한국공업규격(KS)에는 다음과 같이 구분되어 있다.
(1) 지속적인 분위기가 조성되는 지역을 말하며 1,000시간/년(폭발 가능성 10% 이상)을 0종 지역(Zone 0)이라고 하고 방폭 도면에서 0종 지역은 상하좌우로 교차하는 직선으로 표기된다.
(2) 폭발성 물질의 누출 등 비상시에 폭발 위험성이 존재하는 지역으로, 폭발 위험성은 10~1,000시간/년(폭발 가능성 0.1~10%)을 1종 지역(Zone 1)이라고 하며 방폭 도면에서 1종 지역은 교차 빗금으로 표기된다.
(3) 극히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폭발 가능성이 있는 장소로 폭발 가능성은 10시간/년(폭발 가능성 0.1% 이하)을 2종 지역(Zone 2)이라고 하며 방폭 도면에서 2종 지역은 동북방향에서 남서방향의 사선으로 표기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폭 도면을 설계할 때 관례에 따른 표기 외에, [도 4]에서 위험 지역 선택은,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항목으로 표시되며, 방폭 도면 표기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 표기된 부분에 각각의 방폭 기기 위치에 0종 지역(Zone 0)의 기기는 빨간색 원안에 일련번호, 1종 지역(Zone 1)의 기기는 녹색 원안에 일련번호, 2종 지역(Zone 2)의 기기는 파란색 원안에 일련번호를 표기하여 시각적 효과를 더하였다. 즉 방폭 도면 설계할 때도 시각적 효과를 더하여 방폭 기기의 선택에 따른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방폭 기기의 종류는 방폭 시설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요구에 부합되는 기기를 의미하는데, 방폭기기를 알파벳 순서로 펼침목록(드롭다운 메뉴)에 의해 보여져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에서, 방폭 기기는 "Equipment Name" 항목으로 표시되며, 직접 입력하여 찾거나, 펼침목록(드롭 다운 메뉴)에서 선택하여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펼침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방폭 기기는 입력란에 직접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면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방폭 기기는 기기의 명칭과 더불어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일련번호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해당 방폭 기기의 재고관리라든가 사용 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특히 예를 들어서 방폭 기기가 여러 개 설치된 시설에서 검사 등이 이루어질 때 설치된 기기에서 읽어 온 일련번호와 미리 저장한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방폭 기기의 설치나 검사가 제대로 이해되었는지 확인하는 근거가 된다.
방폭 구조는 방폭 설비가 내압 방폭, 압력 방폭, 몰드 방폭과 같은 방폭의 종류와 위험등급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폭 구조는 미리 정해진 기호이므로, [도 4]에서는 "Equipment Protection Type & Grade" 항목을 통해 보여주며, 펼침목록(드롭다운 메뉴)을 통해 선택하여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단, 안전성이 고려되어 방폭 지역의 등급보다 하위등급의 기기는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폭발성 물질의 자동 점화 온도 등급은 폭발물의 종류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도를 등급으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온도 등급은 폭발물의 종류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폭발물의 종류를 선택하면 바로 이에 상응하는 온도 등급이 자동으로 지정되어 입력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등급은 설계자가 수동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는 데, 이때 온도 등급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높은 등급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 등급은, [도 4]에서 "Temperature Group (automatically assigned)" 항목으로 표시하고, 팝업창을 통해 선택해서 입력하게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XY 좌표는 상술한 "위험 지역 선택"에서 위험 지역을 선택한 다음 읽어온 도면에서 방폭 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을 클릭하거나 터치를 하면 그 도면상에서의 XY 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에서 XY 좌표는 "XY coordinates" 항목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XY 좌표는 읽어온 도면에서 여러 개의 방폭 기기가 있다고 가정할 때 다른 방폭 기기와의 상대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방폭 기기가 제대로 설치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방진 등급과 방수 등급은 모두 방폭 정보에 포함되는 기본 정보로서, 방폭 기기를 설치하는 장소의 주변 여건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방진 등급은 "Dust Proof" 항목으로, 방수 등급은 "Water Proof" 항목으로 표시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폭 정보에는 방폭 기기를 의뢰한 최종 사용자(End-user)의 회사명과 전체 시설에 대한 프로젝트명 등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서 작업자나 검사자는 여러 곳에 설치된 방폭 기기를 돌아다니면서 작업하거나 검수해야 하는 데, 이때 이 회사명과 프로젝트명을 이용하여 자신이 작업하거나 검수하는 방폭 기기가 어느 회사의 어느 곳에 설치된 것인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고, 또한 설치한 방폭 기기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경우에 어느 회사의 어느 방폭 기기를 교체 또는 수리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하여 유지보수와 더불어서 재고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입력 기능은 작업자나 검사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접속하거나 내려받는 프로그램에서는 활성화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폭 기기는 설계자만이 방폭 정보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지정하여 사용하고 다른 이들(작업자 및 검사자)은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방폭 정보의 지정을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지정된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비교 판단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저장 기능은 상술한 방폭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이다. 이때 방폭 정보는 하나의 방폭 기기에 대해 하나씩 저장된다. 예를 들어서, 읽어 들인 도면에서 3곳에 서로 다른 방폭 기기를 설치한다고 가정하면, [도 5]와 같이, 세 개의 방폭 기기(Lighting, Hoist Motor, Actuator)에 대해 각각의 방폭 정보를 CVS(comma-separated values)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윈도우 OS의 엑셀 프로그램에 열어서 그 내용을 보여준다. 여기서, "CVS"는 여러 개의 데이터 필드를 쉼표(,)로 구분한 텍스트 데이터로, 텍스트 형식이므로 윈도우 계열이나 리눅스 와 같이 운영체계가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쉽게 열어서 그 내용을 볼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을 말한다.
[도 5]에서, "B"열은 방폭 도면의 경로를, "C"열은 폭발성 물질의 종류를, "D"열은 방폭 기기를, "E"열은 XY 좌표를, "F"열은 위험 지역 선택을, "G"열은 방폭 구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 기능은 방폭 기기를 설계하기 위한 도면과 방폭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데, 이때 상기 도면은 [도 5]와 같이 그 경로를 방폭 정보와 함께 텍스트로 저장한 다음, 도면을 읽어올 때 이 도면 경로를 통해 해당 도면을 읽어 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데이터의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전송할 경우에도 용량이 적어 쉽고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텍스트로 방폭 정보를 저장한 경우, 설계자와 같이 방폭 정보를 수정해야 할 경우, 개인용 단말 등을 통해 쉽게 삽입하거나 수정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 기능은 입력받은 GPS 신호를 상술한 방폭 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필요할 때 출력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GPS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탑재하거나 서버를 통해 이용하는 개인용 단말에 탑재된 GPS 기능을 통해 얻는다. 예를 들어서, 작업자나 검사자는 방폭 기기가 있는 위치에서 자신의 GPS 신호를 입력하게 해서 방폭 기기에 대한 GPS 신호를 얻고 이 신호는 그 방폭 기기의 방폭 정보에 함께 저장함으로써 이 GPS 신호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폭 설비 도면에서 어느 하나의 방폭 기기의 위치(XY 좌표)를 기준으로 다른 방폭 기기의 상대위치(XY 좌표)를 얻을 수도 있고, 반대로 이러한 XY 좌표를 이용하여 GPS 신호를 얻지 않은 다른 방폭 기기의 GPS 신호도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때의 GPS 신호는, [도 7]과 같이, 방폭 설비(200) 자체의 GPS 신호이거나 이 방폭 설비를 설치한 설치 장소(100)의 GPS 신호일 수 있다. 문제는 GPS 좌표의 정확도인데 이는 각기 다른 단말에서 수집된 GPS 좌표가 컨트롤센터에 집약되어 상대 좌표로 다시 계산되면 현재 GPS 좌표의 일반적인 오류 범위인 평면상에 5m, 고저 10m에 대한 보정이 거의 정확하게 이루어져 도면의 XY(3차원 도면의 경우는 XYZ)좌표에 정확히 대응된다.
또한, GPS 위치정보는 방폭 기기의 설치가 평면에 그치지 않고 FPSO(부유식 가스, 원유 채굴장치)나 드릴리그(Drill Rig) 또는 폭발성 물질의 분해탑과 같이 각기 다른 고도의 방폭 도면과 3차원 도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기능은 개인용 단말에 구성된 GPS 기능을 통해 각 방폭 설비의 GPS나 방폭 설비를 설치한 설치 장소의 GPS를 입력받아서 이 방폭 설비에 해당하는 방폭 정보와 연동하게 저장하거나, 하나의 방폭 설비의 GPS나 방폭 설비를 설치한 설치 장소의 GPS를 입력받아서 이 GPS 신호를 바탕으로 방폭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각 방폭 설비의 GPS 신호를 계산하고 이 신호를 각 방폭 설비에 해당하는 방폭 정보와 연동하게 저장하게 한다.
이처럼 개인용 단말 등을 통해 전송받은 GPS 위치 정보는 방폭 기기가 장착된 실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추후에 도면 설계자가 그 정보를 바탕으로 향상된 설계에 참조할 때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출력 기능은 상술한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이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게 하는 기능이다. 이때, 바코드로 표시되는 정보는 방폭 정보의 내용 전부일 수도 있고 그 일부 일 수도 있다.
[도 6]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바코드에서는, 바 위에 차례대로 기기 명칭(Electrical Actuator), 방폭 도면의 도면상 좌표(479,398), 위험지역 등급 구분(Zone 2)을 보여준다. 그리고 바 아래에는 "1-II 3G Ex ib IIA T1 00 E"로 차례대로 기기의 일련번호(1), 방폭 코드는 지하 지표(II), 분진 혹은 가스 등급(3G), 방폭 구조와 등급(Ex ib), 물질 그룹(IIA), 온도 등급(T1), 방진 등급(0), 그리고 방수 등급(0), 방폭 시설용인지 설치장소용 바코드(E)를 차례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기능은, 하나의 방폭 기기에 대해 제1바코드와 제2바코드 2개를 출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제1바코드(110)는 방폭 기기(200)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100)에 부착하고, 제2바코드(210)는 방폭 기기(200)에 바로 부착한다. [도 7]에서, 가는 선으로 그린 사각형은 2개의 방폭 기기(200)를 설치한 방폭 시설을, 그리고 그 안의 점선으로 그린 원과 타원은 각 방폭 기기(2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소(100)를, 원과 타원 안의 큰 사각형은 방폭 기기(200)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코드는 국제표준으로 인정된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Code 39" 또는 "Code 128"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때의 바코드는 개인용 단말(10,20,30)에 갖춰진 스캐닝 기능을 통해 정확하게 읽어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기능은, 이처럼 출력되는 코드 문자를 다시 재코드화함으로써, 코드 길이를 줄이고 쉽게 읽을 수 있게 하여 잘못 읽을 수 있는 경우 수를 줄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재코드화는 숫자와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방폭코드를 모두 포함하면서도 코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서, [도 6]의 코드 문자(1-II 3G Ex ib IIA T1 00-E)는 각 글자의 수(21글자)와 글자 사이 6개의 스페이스와 2개의 대시(-)를 합쳐 모두 최대 29개의 글자가 된다. 재코드화는, 여기서, 방폭 구조와 등급을 나타내는 글자 "Ex ib"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각각 한 자리 숫자로 표시하고, 이 방폭 구조와 등급만을 하나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방폭 구조와 등급이 통상적으로 "Ex d"부터 "Ex q"까지 14종류(IEC 규정)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자, 즉 영문 대문자 "A~N"을 이용하여 대응 방폭코드를 치환한 재코드화를 통해, 1~9999까지 기기 일련번호, 2개의 대시(-), 두 개의 영문 대문자를 포함한 6개의 숫자로, 최소 11글자에서 최대 14글자로 재코드화할 수 있다. 이때 한 글자가 6개의 막대 바로 표시되는 Code 128의 경우 다만 66~84개의 막대 바가 그려지기 때문에 막대 바를 굵게 표기할 수 있어 스캐닝에 의한 인식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스페이스를 포함하여 20글자에 이르는 상기 원시방폭코드는 국내, 국제 규정에 의거 숫자와 영문 대, 소문자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영문 대문자와 숫자로 재코드화된 7글자에, 일련번호와 구분자를 포함한 것이 최종적으로 바코드화되어 인쇄되는 것이다. 어느 경우든 바코드는 인간의 육안 식별이 목적이 아니라 바코드에 포함된 내용을 정해진 기준에 맞는지 정확성 판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며, 굳이 육안 식별이 필요하면 바코드 하단의 라벨에 방폭코드를 참조할 수도 있다.
읽기 기능은 상술한 두 곳에 부착한 제1 바코드와 제2 바코드를 읽어오는 기능이다. 이때, 읽기 기능은, [도 7]과 같이, 작업자나 검사자가 지닌 개인용 단말(20,30)을 통해 하나의 방폭 기기(200)에 대해 제1 바코드(110)와 제2 바코드(210) 2개의 바코드를 읽어 들인다. 이처럼 읽어 들인 바코드 정보(방폭 정보)는 후술할 판단 기능을 수행할 때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개인용 단말(10,20,30)을 통해 바코드를 읽어오는 경우, 바코드를 읽어오지 못하거나 잘못 읽어오는 경우, 예를 들어서 "Code 39"나 "Code 128"로 형성한 바코드를 "UPC 바코드" 형식으로 읽어오는 것과 같이 오인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읽기 기능에서는 이러한 바코드의 디코딩이 진행되지 않게 하여 인식 결과를 보여주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 기능은 방폭 도면을 작성할 때 입력받아 저장했던 방폭 정보와, 상술한 두 개의 제1바코드 및 제2바코드에서 읽어 들인 방폭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통해 판단한다.
예를 들어서, 현장에서 바코드를 읽어와서 그 결과를 보여주는 [도 8]과 같이, 방폭 기기에 부착한 바코드를 읽어오면 방폭 도면을 작성할 때 입력했던 방폭 정보를 읽어 오고 동시에 바코드에 입력된 방폭 정보를 읽어와서 각 항목이 서로 일치하는가를 보여주고 그 결과를 방폭 기기의 결과(Result-Apparatus)로서 보여준다. 이때, 방폭 정보의 각 항목이 모두 "OK"로 표시되면 방폭 기기의 결과(Result-Apparatus)도 "OK"로 표시되나, 방폭 정보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NO"로 표시되면 방폭 기기의 결과(Result-Apparatus)도 "NO"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방폭 기기를 장착한 설치 장소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오면, 상술한 방폭 기기와 같은 방법으로 바코드에서 읽어온 방폭 정보와 방폭 도면을 작성할 때 입력했던 방폭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설치장소에 관한 결과는 "Result-SITE Spot"을 통해 보여준다.
한편, 이처럼 읽어와서 비교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방폭 기기의 결과(Result-Apparatus)와 설치장소(Result-SITE Spot)에서의 결과가 "OK"로 나오면 정해진 방폭 기기가 정해진 장소에 정확하게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도 8]에서 보여주는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불일치("No" 항목)되면, 이를 화면에 보여준다. 예를 들어, 방폭 기기의 결과(Result-Apparatus)에서 "NO"로 표시가 되면 방폭 기기를 잘못 선택하거나 다른 방폭 기기를 장착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설치장소(Result-SITE Spot)에서 "NO"로 표시가 되면 방폭 기기를 장착한 위치가 잘못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판단 결과를 토대로 방폭 기기나 설치 장소에 이상이 있으면 검수자나 작업자가 이러한 검사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알려준다. 이때, 이러한 검사결과는 통신 기능을 통해 그 결과를 알아야 하는 사람, 예를 들어서 방폭 설계자와 관리자에게도 문자와 같이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통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 기능은 이처럼 판단한 결과가 불일치인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작업자나 검사자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방폭 도면을 작성할 때 입력했던 방폭 정보를 실시간으로 읽어 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방폭 설계에서 설계 변경과 같은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정확한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방폭 기기의 설계에 반영한 방폭 정보를 바탕으로 방폭 기기와 이 방폭 기기를 설치하는 설치 장소에 각각 부착한 바코드에서 읽어 들인 방폭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두 번에 걸쳐 방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나 검사자의 피로 등으로 집중도가 떨어짐에 따라 잘못 판단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10, 20, 30 : 개인용 단말
100 : 설치 장소
110 : 제1바코드
200 : 방폭 기기
210 : 제2바코드

Claims (9)

  1. 서버에 탑재하거나 개인용 단말에 내려받아서 사용하는 방폭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나 다른 개인용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
    방폭 도면을 읽어오고, 읽어온 방폭 도면에서 방폭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 방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기능;
    상기 방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기능;
    상기 방폭 정보를 방폭 장소의 설치 장소와 방폭 기기에 각각 부착하는 제1바코드와 제2바코드를 출력하게 하는 출력 기능;
    바코드를 읽어오는 읽기 기능; 및
    상기 읽기 기능을 통해, 실제 방폭 기기가 설치된 곳에 부착한 제1바코드 및 방폭 기기에 부착한 제2바코드를 읽어오고, 각 바코드에서 읽어온 방폭 정보를 상기 방폭 도면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방폭 정보를 기준으로 실시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보여주는 판단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정보는,
    (1)폭발성 물질의 종류, (2)폭발성 물질의 자동 점화 온도 등급, (3)방폭 구조, (4) 위험 지역 선택(Zone 0, Zone 1, Zone 2), (5) 읽어온 도면상에서의 방폭 위치에 대한 XY 좌표, (6) 방폭 기기의 종류 및 그 일련번호,(7)방진 등급, 그리고 (8)방수 등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 정보는,
    재고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최종 사용자(End-user)의 회사명 및 프로젝트명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코드와 제2바코드는 각각 "Code 128"로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기준의 판단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기능은,
    도면의 경로와 방폭 정보를 문자로 저장하는 기능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기능은,
    방폭 기기가 장착된 위치의 GPS 신호를 더 입력받고, 이 신호를 상기 방폭 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기능은,
    개인용 단말에 구성된 GPS 기능을 통해 각 방폭 기기의 GPS나 방폭 기기를 설치한 설치 장소의 GPS를 입력받아서 이 방폭 기기에 해당하는 방폭 정보와 연동하게 저장하거나,
    하나의 방폭 기기의 GPS나 방폭 기기를 설치한 설치 장소의 GPS를 입력받아서 이 GPS 신호를 바탕으로 방폭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각 방폭 기기의 GPS 신호를 계산하고 이 신호를 각 방폭 기기에 해당하는 방폭 정보와 연동하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능은,
    방폭 정보를 숫자와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재코드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50096911A 2015-07-08 2015-07-08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70006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11A KR20170006378A (ko) 2015-07-08 2015-07-08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11A KR20170006378A (ko) 2015-07-08 2015-07-08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378A true KR20170006378A (ko) 2017-01-18

Family

ID=5799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911A KR20170006378A (ko) 2015-07-08 2015-07-08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3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5323A (zh) * 2018-08-17 2018-12-07 蘑菇物联技术(深圳)有限公司 机电设备防止恶意抢夺保养的方法
KR102498106B1 (ko) * 2022-09-26 2023-02-09 포엑스주식회사 방폭 진단을 위한 안전검사 솔루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37B1 (ko) 2014-04-29 2014-08-26 곽은희 방폭압축기 및 그를 채용한 방폭냉장고
KR101486023B1 (ko) 2013-11-08 2015-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KR101503705B1 (ko) 2014-05-23 2015-03-19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양압형 방폭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23B1 (ko) 2013-11-08 2015-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KR101434137B1 (ko) 2014-04-29 2014-08-26 곽은희 방폭압축기 및 그를 채용한 방폭냉장고
KR101503705B1 (ko) 2014-05-23 2015-03-19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양압형 방폭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5323A (zh) * 2018-08-17 2018-12-07 蘑菇物联技术(深圳)有限公司 机电设备防止恶意抢夺保养的方法
KR102498106B1 (ko) * 2022-09-26 2023-02-09 포엑스주식회사 방폭 진단을 위한 안전검사 솔루션
WO2024071608A1 (ko) * 2022-09-26 2024-04-04 포엑스주식회사 방폭 진단을 위한 안전검사 솔루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voltage
CA2803152C (en) Low-power wirelessly-linked rfid tracking system
JP2010165321A (ja) 配電盤点検システム
KR101934571B1 (ko) 아날로그 계측 장비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아날로그 계측 장비 관리 방법
CN203982103U (zh) 在多个使用环境中使用的可配置过程控制设备以及阀位置控制器
CN103065694B (zh) 核电厂严重事故仪表可用性分析方法
EA025420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пожара в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и
KR20160045931A (ko) 태그를 갖는 튜브 및 튜브를 정비하기 위한 방법
KR102430060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감시시스템
KR20170006378A (ko) 방폭 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2006048584A (ja) 設備点検支援システム
US9811895B2 (en) Equipment manufacture supporting apparatus, equipment manufacture suppor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equipment manufacture supporting program
JP2008257433A (ja) 受発信装置、携帯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158791A (ja) 3次元図面表示システム
JP2006343675A (ja) 操作禁止札および操作禁止札管理システム
KR101077649B1 (ko) 전력설비 작업 관리용 단말 장치
KR20150129337A (ko) 맞춤형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
KR20140098044A (ko) 무선 전자인식 수단을 이용한 작업 품질안전 관리시스템
JP2007179233A (ja) 機械設備のリスクを評価する装置と方法
US20210123569A1 (en) Inspection Method and Associated Computer Software
KR101954795B1 (ko) 전시물 관리 시스템
CN105787106A (zh) 一种基于Mapinfo的企业安全标识监管系统及方法
Homce et al. A comparison of US mining industry criteria for intrinsically safe apparatus to similar IEC-based standards
KR20130124999A (ko) 무선 전자인식 수단을 이용한 작업 품질안전 관리시스템
Calder et al. Intrinsically safe systems: equivalency of international standards compared to US mining approval cri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