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784A -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784A
KR20170004784A KR1020150095966A KR20150095966A KR20170004784A KR 20170004784 A KR20170004784 A KR 20170004784A KR 1020150095966 A KR1020150095966 A KR 1020150095966A KR 20150095966 A KR20150095966 A KR 20150095966A KR 20170004784 A KR20170004784 A KR 2017000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ap
switch
box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준
Original Assignee
류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한준 filed Critical 류한준
Priority to KR102015009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784A/ko
Publication of KR2017000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다구 멀티 탭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선을 정리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일체로 갖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정리함의 내부에 멀티 탭 콘센트를 설치하여 각종 플러그 또는 전전들이 전선 정리함 내부에 정리되도록 하여 미관과 전기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 탭 콘센트(20)가 내부에 매립되며, 내부의 멀티 탭 콘센트(20) 양측으로 전선(41)이 감아 정리되는 다수의 전선정리 고정막대(16)가 설치되고 외측으로 상단에서 전선(41)이 끼워지는 절개부(13)와 연결된 관통홀(12)을 형성한 전선 정리함(11)과;
상기 전선 정리함(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스위치(23)가 설치된 윗부분에 스위치 개폐용 덮개(31)가 설치된 뚜껑(30)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MULTI TAP CONCENT UNIFICATED WITH KEEPING SPACE OF WIRE ARRANGE}
본 발명은 통상의 다구 멀티 탭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선을 정리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일체로 갖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정리함의 내부에 멀티 탭 콘센트를 설치하여 각종 플러그 또는 전전들이 전선 정리함 내부에 정리되도록 하여 미관과 전기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구 멀티 탭 콘센트(20)는 다수개의 전원 접속구(2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플러그 단자(22)의 전기를 구속할 수 있는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선(24)에 의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멀티 탭 콘센트는 다수의 플러스(40)를 꽂아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멀티 탭 콘센트의 주변이 다수의 전선에 의하여 어지럽게 늘어져 있으므로 미관이 좋지 못하고 전기 위험에 노출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전선이 늘어져 있으며, 멀티 탭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플러그를 만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스위치(23)를 '오프' 시키면 모든 전원이 차단되므로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등의 전기, 전자 기기에 오류를 발생시키거나 자료가 손실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전원 접속구를 갖는 멀티 탭 콘센트를 전선 정리함의 내부에 설치하여 플러그의 연결시 남는 전선을 전선정리 고정막대에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좋게 하고 전기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 정리함의 뚜껑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며, 멀티 탭 콘센트의 전원을 '온, 오프' 시킬 때 스위치 개폐용 덮개를 열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 정리함의 어느 방향에서든지 플러그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선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 탭 콘센트가 내부에 매립되며, 내부의 멀티 탭 콘센트 양측으로 전선이 감아 정리되는 다수의 전선정리 고정막대가 설치되고 외측으로 상단에서 전선이 끼워지는 절개부와 연결된 관통홀을 형성한 전선 정리함과;
상기 전선 정리함의 상측에 설치되며 스위치가 설치된 윗부분에 스위치 개폐용 덮개가 설치된 뚜껑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원 접속구를 갖는 멀티 탭 콘센트를 전선 정리함의 내부에 설치하여 플러그의 연결시 남는 전선을 전선정리 고정막대에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좋게 하고 어린이로부터 전기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 정리함의 뚜껑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며, 멀티 탭 콘센트의 전원을 '온, 오프' 시킬 때 스위치 개폐용 덮개만 열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 정리함의 어느 방향에서든지 플러그를 꽂는 위치에 관계없이 전선을 인출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선 정리함에 대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개폐용 덮개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전선 정리함과 멀티 콘센트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플러그를 꽂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플러그를 꽂아 전선을 정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 부분으로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24)을 연결하고 공급하는 전원을 '온, 오프' 하는 스위치(23)가 설치되며 다수개의 전원 접속구(21) 내부에 플러그 단자(22)를 갖도록 형성된 멀티 탭 콘센트(20)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 콘센트(20)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전선 정리함(11)의 내부에서 멀티 탭 콘센트(20)를 중앙에 매립형으로 설치한다.
전선 정리함(11)은 내부게 정리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면으로 외벽이 돌출되어 있어서 이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선(41)이 관통하는 관통홀(12)이 설치되고 이 관통홀(12)의 상측으로 절개부(13)가 끝까지 절개되어 있도록 하여 전선(41)을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전선 정리함(11)의 넓은 면에는 외측으로 체결홈(15)이 형성되도록 돌출부(14)가 형성되어 뚜껑(30)이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관통홀(12)을 전선 정리함(11)의 사방향에 형성할 수 있지만, 돌출부(14)가 형성된 양측에만 형성하고 나머지 두 방향에는 외벽을 설치하지 않고 아무런 구조물이 없는 관통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전선 정리함(11)의 내부 중앙에는 멀티 탭 콘센트(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전선정리 고정막대(16)를 돌출시키며, 사방에는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18)이 형성되고 뚜껑(30)을 고정할 수 있는 뚜껑 체결돌기(19)를 사방향에 설치하였다.
전선 정리함(11)의 상측으로 결합하는 뚜껑(30)은 스위치(23)가 위치하는 상측에 스위치 개폐용 덮개(31)를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위치 개폐용 덮개(31)를 제외한 전체면에 통풍구(32)를 형성하였다.
상기 뚜껑(30)의 사방향에는 뚜껑 체결공(34)을 형성하였고, 긴 방향의 양측으로 탄성부재(33)를 설치하여 돌출부(13)와 체결홈(15)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멀티 탭 콘센트(2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전선 정리함(11)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필요한 경우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멀티 탭 콘센트(20)의 전선(24)은 전선 정리함(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2)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하며, 전선 정리함(11)의 바닥에 양면 테이프(17)를 설치하여 필요한 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하거나 체결공(18)을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플러그(4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러그(40)의 단자(42)를 전원 접속구(21)의 플러그 단자(22)에 꽂아 연결한다.
그러면 플러그(40)에 연결된 전선(41)이 남아 있게 되므로, 전선(41)을 잡아 절개부(13)에 꽂으면 절개부(13)가 얇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것이어서 벌어지면서 관통홀(12)에 들어가게 된다.
전선(41)을 잡아당기면서 남아있는 전선(41)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정리 고정막대(16)에 감아 전선(41)을 정리 또는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멀티 탭 콘센트(20)의 전원 접속구(21)에 다수개의 플러그(40)를 꽂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멀티 탭 콘센트(20)의 양쪽 공간에 형성된 전선정리 고정막대(16)에 전선(41)을 감아 정리 및 수납하게 된다.
전선 정리함(11)의 내부 수납공간에 전선(41)을 정리 및 수납할 때 다수의 관통홀(12)이 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전선(41)을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플러스(40)에 연결한 전선(41)을 정리한 후에는 뚜껑(30)을 상측에서 누르는 경우에는 탄성부재(33)가 돌출부(14)를 눌러 돌출부(14)가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체결홈(15)에 결합하며, 일측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탄성부재(33)가 돌출부(14)와 체결홈(15)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전선 정리함(11)의 상측에 뚜껑(3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전선 정리함(11)에 뚜껑(30)이 설치되면 통풍구(32)와 관통홀(12)에 의하여 내부에서 전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통풍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러그(40)는 한번 꽂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거의 뽑지 않고 사용하게 되므로 뚜껑(30)을 자주 열지 않아도 되므로 필요한 경우 뚜껑 체결공(34)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뚜껑 체결돌기(19)와 견고하게 체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멀티 탭 콘센트(20)에 연결한 다수의 플러그(40)를 사용하지 않고 전원의 공급을 중지하기 위해서는 뚜껑(30)을 열지 않고 스위치 개폐용 덮개(31)를 열면 그 내부에 스위치(23)가 위치하고 있게 되므로 스위치(23)를 필요에 따라서 간편하게 '온, 오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탭 콘센트(20)를 전선 정리함(11)의 한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공간에 전선정리 고정막대(16)를 가로방향으로 1열 또는 2열이 되도록 설치하여 전선(41)을 감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탭 콘센트(20)를 전선 정리함(11)의 외부에 돌출대(11')를 돌출시켜 이 돌출대(11')의 상측에 양면테이프를 통하여 고정하거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플러그(40)를 연결하고 전선(41)이 전선 정리함(11)의 절개부(13)와 관통홀(12)을 통과하여 내부의 전선정리 고정막대(16)에 감아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11 : 전선 정리함 12 : 관통홀 13 : 절개부
14 : 돌출부 15 : 체결홈 16 : 전선정리 고정막대
17 : 양면 테이프 18 : 체결공
19 : 뚜껑 체결돌기 20 : 멀티 콘센트
21 : 전원 접속구 22 : 플러그 단자
23 : 스위치 24, 41 : 전선 30 : 뚜껑
31 : 스위치 개폐용 덮개 32 : 통풍구
34 : 뚜껑 체결구 40 : 플러그

Claims (1)

  1. 전선(24)이 연결되며 플러그 단자(22)가 설치된 다수의 전원 접속구(21)를 갖고 한 부분에 스위치(23)가 설치된 멀티 탭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 콘센트(20)가 내부에 매립되며, 내부의 멀티 탭 콘센트(20) 양측으로 전선(41)이 감아 정리되는 다수의 전선정리 고정막대(16)가 설치되고 외측으로 상단에서 전선(41)이 끼워지는 절개부(13)와 연결된 관통홀(12)을 형성한 전선 정리함(11)과;
    상기 전선 정리함(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스위치(23)가 설치된 윗부분에 스위치 개폐용 덮개(31)가 설치된 뚜껑(30)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
KR1020150095966A 2015-07-03 2015-07-03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KR20170004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66A KR20170004784A (ko) 2015-07-03 2015-07-03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66A KR20170004784A (ko) 2015-07-03 2015-07-03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84A true KR20170004784A (ko) 2017-01-11

Family

ID=5783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966A KR20170004784A (ko) 2015-07-03 2015-07-03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62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팜비 멀티탭용 정리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62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팜비 멀티탭용 정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0219A (ko)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
US9425570B2 (en) Power receptacle assembly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US7819704B1 (en) Connector plug with movable conducting pole
US9331436B2 (en) Multi-outlet capable of conveniently organizing cables connected to electric appliances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KR200435152Y1 (ko) 콘센트 일체형 케이블 정리박스
KR20170004784A (ko)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CN104767090B (zh) 插头转换适配器
KR101445273B1 (ko) 원터치형 콘센트
CN104183424A (zh) 一种线圈接线端子容置腔结构
KR20140112294A (ko) 멀티탭용 케이스
KR20110044570A (ko) 양방향 멀티탭
KR20190011412A (ko) 테이블 장착용 콘센트
RU2676670C2 (ru) Электрощит
KR20050032565A (ko) 전원 플러그
US20050197013A1 (en) Flat plug structure
US9379474B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device
KR20170119420A (ko)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KR200408946Y1 (ko) 멀티탭 스위치 커버
KR101973090B1 (ko) 다단 조립식 콘센트
KR200473684Y1 (ko) 스마트형 플러그
KR20090106426A (ko) 박스형 멀티탭
KR101236650B1 (ko) 컨트롤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인터페이스용 컨트롤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