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565A -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565A
KR20050032565A KR1020050023033A KR20050023033A KR20050032565A KR 20050032565 A KR20050032565 A KR 20050032565A KR 1020050023033 A KR1020050023033 A KR 1020050023033A KR 20050023033 A KR20050023033 A KR 20050023033A KR 20050032565 A KR20050032565 A KR 2005003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inding
rod
cord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신
Original Assignee
김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신 filed Critical 김중신
Publication of KR2005003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5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res; Mecha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optical testing of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 후 전원 플러그(plug)를 일명 콘센트(정확히는 'outlet', 이하 '콘센트'라 칭한다.)로부터 분리코자 할 시 상기 콘센트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일명 '멀티콘센트'로부터 분리 시에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분리 가능케 함과 동시에 플러그에 연결된 코드를 정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 후 처리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키고,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omitted}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 후 전원 플러그(plug)를 일명 콘센트(정확히는 'outlet', 이하 '콘센트'라 칭한다.)로부터 분리코자 할 시 상기 콘센트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일명 '멀티콘센트'로부터 분리 시에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분리 가능케 함과 동시에 플러그에 연결된 코드를 정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 후 처리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키고,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와 분리 할 시에 주로 양손을 콘센트와 전원 플러그에 각각 접하거나 잡고서 분리하거나, 한손으로 분리 시에는 전원 플러그를 잡은 나머지 손가락으로 콘센트를 눌러서 분리하고 있다.
전자는 양손을 사용케 되는 불편이 따르고, 후자의 경우는 콘센트가 손가락에 밀려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는 불안정 상태가 되어 역시 불편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줄이는 목적으로 코드의 정리 결속 삽입홈이 플러그의 머리 또는 코드 연결부 상으로 형성된 제품이 선보이고 있으나, 돌출된 삽입홈 자체가 플러그 부피를 키우게 되는 부작용과, 결속 후 상태가 불안정한 점 등의 보완할 여지를 남겨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한 문제점, 즉 플러그의 콘센트로부터 분리기능과, 코드결속 기능을 동시에 갖추게 되는 플러그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플러그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새로운 플러그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능케 하는 수단을 제공함과 동시에, 플러그와 결선된 코드의 정리, 결속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수단을 플러그 자체 몸통상에 최대한 단순한 구조로 편리하게 구성한 전원 플러그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원 플러그(1,2)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1a는 코드연결부(16)가 접속단자(7)의 상향 연장선(73)과 평행하는 평 몸체(11)로 이루어진 110V용 모델의 플러그(1)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b, 1c는 220V용 전원 플러그 가운데 전력 용량이 큰 제품에 흔히 부착되는 일명 직각 전원 플러그(2)로 코드연결부(26)가 접속단자(7)의 상향 연장선(73)과 직각을 이루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110V용 및 220V용 2종류로 구분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플러그(1,2)를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원 플러그(1,2)를 사용 후 콘센트(3)로부터 분리작업 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밀대(pusher)로서의 기능과 코드(6)를 정리 시 결속 가능한 기능을 겸하게 되는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러그(1,2)상에 결속밀대(8) 및 그 수납홈(9)을 몸체(11,21)에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는 상기 플러그(1,2)로부터 콘센트(3)를 밀어서 분리할 수 있도록 가능한 가늘고 짧은 몸체(81)를 상기 플러그(1,2) 몸체(11,21) 상하로 수직 관통하는 수납홈(9)상으로 슬라이드 하강시켜 상기 콘센트(3)를 밀어 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속밀대(8)의 슬라이드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눌러서 슬라이드 시켜 줄 수 있는 푸시노브(83)를 상기 결속밀대(8) 몸체(81) 상단에 형성한다.
상기 푸시노브(83)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줌으로써 슬라이드 작동케 되는 결속밀대(8) 몸체(81)의 단부가 콘센트(3)를 밀어내게 되므로 결국은 콘센트(3)로부터 플러그(1,2)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결속밀대(8)의 슬라이드 운동으로 인해 플러그(1.2)의 단부로 노출되는 몸체(81) 단부와 상기 접속단자(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코드(6) 정리, 결속을 위한 결속공간(61)이라 칭한다.
상기 결속공간(61)상으로 코드(6)가 진입되며, 진입되는 코드(6)의 무단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82)를 결속밀대(8)의 몸체(81) 선단부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밀대(8)는 콘센트(3)로부터 플러그(1,2)를 밀어내어 분리시킴과 동시에 코드(6)를 결속하여 정리할 수 있는 2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겸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밀대(8)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2)는 몸체(81)의 탄성에 의해 접속단자(7)와 멀어졌다 가까워지는 신축 슬라이드 운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82)에 의해 플러그(1,2) 몸체(11,21) 상간에 형성되는 신축공간(62)상으로 코드(6)가 진입할 시 코드(6)의 원통형 외피가 걸림돌기(82) 표면에 닿아 슬라이드하며, 걸림돌기(82)를 외측으로 밀쳐냄과 동시 신축공간(62)을 통과한 후 결속공간(61)상으로 결속된다.
코드(6) 외피와 마찰하게 되는 걸림돌기(82)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유선형 몸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돌기(82)의 슬라이드 작동 시 향방이 일정키 위해서는 몸체(81)의 좌우 회전은 제한받을 필요가 있으므로 몸체(81)의 횡단면은 다각형 내지는 타원형등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81)가 슬라이드 운동되는 수납홈(9)의 횡단면 역시 몸체(81)에 부응하여 다각형 내지는 타원형 등으로 대응 형성토록 한다.
상기 몸체(81)는 슬라이드 후 남아 있는 수납홈(9)상의 몸체(81) 상반부가 요동하지 못하도록 수납홈(9) 내면부와 적절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수납홈(9)은 걸림돌기(82)에 의한 신축공간(62) 조성이 가능토록 접속단자(7)의 길이방향 연장선(73)과 일정 간격을 평행하게 유지하며 상하가 개방된 수직관통공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1,2) 몸체(11,21) 단부에 형성되는 개방 상단부(94)는 결속밀대(8)에 형성되는 푸시노브(83)의 수납홈(9) 내부진입을 저지하며, 개방 하단부(95)는 결속밀대(8)의 원위치를 위한 슬라이드 운동이 종료 시 걸림돌기(82) 하단면이 플러그(1,2) 몸체(11,21) 하단부(15,25) 외측에 노출되지 않고 하단부(15,25)와 수평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82) 향방은 일정해야 하므로 몸체(8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노브(83)는 조립식으로 끼움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홈(9)의 위치는 몸체(11,21)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날개판(28)이나 몸체(11) 전후 어느 일측 외벽상으로 돌출되는 수납통(17) 또는 몸체(11,21) 중심을 차지하는 몸통(22) 일정 부위에서 하향 형성하되, 상기 플러그 몸체(11,21)에 내장되는 코드(6) 내선 또는 방전단자 등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도 1c는 220V용 플러그(2)의 몸체(21) 중심을 차지하는 몸통(22) 후측부에 수납홈(9)을 형성하고 결속밀대(8)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즉, 220V용 플러그(2)에 있어서, 단벌로 된 결속밀대(8) 및 그 수납홈(9)을 플러그 몸체(21) 상단부(23) 좌우 중간 일정점에서 몸통(22)을 수직 관통되게 구성하고, 결속밀대(8)상에 형성되는 푸시노브(83)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구성하여 플러그(2)를 콘센트(3)로부터 분리시킨 후 푸시노브(83)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분리하면 푸시노브(83)의 자체 재질에 의한 복원탄성으로 결속밀대(8)가 원상복귀토록 한 경우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코드(6) 내선 등의 통상적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게 되는 바, 이에 대하여는 후술키로 한다.
도 2a, 2b는 110V용 플러그(1)와 220V용 플러그(2) 상으로 코드(6)가 결속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코드(6)의 한쪽 외피가 몸체(81)에 닿고 다른쪽 외피가 1개 또는 2개의 접속단자(7)에 닿은 채 걸림돌기(82)에 의해 안전결속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플러그(1,2)에 있어서, 도 3a에서는 110V용 플러그(1)의 사용 전 정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3b에서는 플러그(1)를 콘센트(3)에 접속된 상태에서 분리 시의 작동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는 바, 도면상의 플러그(1) 하단에서 코드연결부(16)에 인접하여 돌출된 통상의 파지돌기(13)가 보인다. 상기 파지돌기(13)는 플러그(1)를 분리할 시에 한 손가락으로는 푸시노브(83)를 밀고 다른 한 손가락으로는 반작용으로 파지돌기(13)를 반대방향으로 밀도록 하여 반작용 원리에 의해 보다 손쉽게 플러그(1)를 콘센트(3)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결속밀대(8)를 슬라이드 운동시키기 위해서는 대체로 푸시노브(83)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는 바, 나머지 검지손가락으로 파지돌기(13)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코드연결부(26)를 손바닥으로 움켜쥐고 잡아 당기면 몸체(11)가 슬라이드되면서 접속단자(7)가 동반 슬라이드 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접속단자(7)는 콘센트(3)상의 끼움개구(39)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콘센트(3)가 건물 벽면에 매립 설치되고, 도 1c와 같은 220V용 플러그(2)를 분리코자 할 시에는 푸시노브(83)를 검지와 중지로 받쳐서 당기면 되고, 멀티 콘센트에 수개의 플러그가 결합되어 복잡할 시는 검지와 중지로 당기면서 콘센트를 엄지로 밀면 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
이로서 플러그(1,2)의 콘센트(3)로부터 분리작업은 간단히 완료되며, 분리된 플러그(1,2)의 코드(6)를 접속단자(7)와 걸림돌기(82) 사이의 신축공간(62)상으로 통과 시키면 결속공간(61)에 코드(6)의 진입이 완료되어, 코드(6)의 안전한 결속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220V용 플러그(2)상의 결속밀대(8)는 작동 시에는 푸시노브(83)를 엄지로 누름과 동시 코드연결부(26)를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움켜쥐고 올리면 된다.
이상에서는 단벌로 된 결속밀대(8) 및 상기 결속밀대(8)가 슬라이드 될 시에 안내하는 수납홈(9)의 구성을 설명한 것이다.
도 4a 내지 5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1,2)의 제2실시예를 보인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결속밀대(8) 및 그 수납홈(9)이 좌우 복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플러그(1,2)가 콘센트(3)로부터 보다 원활하게 분리됨과 동시에 코드(6) 결속을 더욱 안정감 있게 실현코자 결속밀대(8) 및 그 수납홈(9)을 플러그(1,2)의 몸체(11,21) 좌우편으로 복수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결속밀대(8) 몸체(81)를 연결간(801)으로 일체화 한 결속밀대(8) 및 수납홈(9)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단벌로 구성된 결속밀대(8)의 플러그(1,2)는 결속밀대(8) 하강 중에 소위 외다리 현상으로 인하여 몸체(11,21)의 기울어짐 현상(즉, 일측으로의 편심현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콘센트(3)로부터 효율적인 분리작업에 자칫 지장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좌우 복수로 개략 형으로 결속밀대(8)가 구성될 시에는 양측의 결속밀대가 몸체(11,21)의 콘센트(3)에 대한 평형유지를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코드(6) 결속에 있어서는 코드(6)가 신축공간(62) 외에도 새로이 형성되는 상호공간(63)상으로도 출입통제 받으며 제2결속공간(61a)상으로 안전결속 가능케 된다.
즉, 도 4a,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10V용 플러그(1) 몸체(11)에 형성되는 수납통(17)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가이더(17a)와 커버체(17b)로 구성하여 상호 조립 후 몸체(11)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수납홈(9)은 상기 가이더(17a)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5b에서 도시된 제2결속공간(61a)은 좌우 결속밀대(8) 상간에 조성된 공간이고, 상호공간(63)은 걸림돌기(82) 상간에 조성된 공간이다.
도 5a,5b에서 도시되는 제2결속공간(61a)상으로 결속된 코드(6)는 220V용 플러그(2)상의 코드연결부(26)와 일직선을 이룰 수 있으므로 가지런하게 보여서 더욱 양호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간(801) 하단부와 수납홈(9) 상단부 사이의 스프링(89)은 결속밀대(8)를 밀어서 슬라이드 시킨 후 자동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수단으로써 다른 결속밀대(8)에도 장착 가능하다.
좌우 복수로 구성되는 결속밀대(8) 및 그 수납홈(9)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플러그(1,2) 몸체(11,21) 좌우 접속단자(7)를 연결하는 가상선상의 전측이나 후측 중 어느 한측의 좌우 중간 부위로 결속밀대(8) 및 그 수납홈(9)을 각 1조씩 구비하되, 상기 좌우 결속밀대(8) 몸체 상단 푸시노브(83)를 사용치 않고 상기 결속밀대(8) 상단부를 연결간(801)에 끼움결착되게 하여 그 형상이 대략 형의 복수형 결속밀대(8)로 구성하고, 이러한 복수형 결속밀대(8)는 플러그(2) 몸체(22)상에 형성되는 결합개구(211)를 통하여 수납홈(9)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속밀대(8) 몸체(81) 하단 걸림돌기(82)는 접속단자(7)와 함께 신축공간(62)을 조성함과 동시 상기 걸림돌기(82) 상호간에도 코드(6)의 입출 통제가 가능한 상호공간(63) 조성도 가능케 하거나, 또는 상기 신축 및 상호 두 종류 공간 중 어느 한 종류 공간 조성이 가능토록 걸림돌기(82)의 크기 또는 방향을 조정하거나 수납홈(9)의 위치를 조정 설정하여 구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결속된 코드(6)의 굵기도 감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결속밀대(8)를 구성하는 연결간(801)은 콘센트(3)가 벽면에 매립 설치된 경우, 또는 멀티콘센트에 수개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어 복잡할 시에 연결간(801)을 검지만 걸쳐서도 손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한 제2실시예의 복수형 결속밀대(8)를 플러그(2)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복수형 결속밀대(8) 연결간(801) 다리(802) 내부의 고정부(811)는 결속밀대 몸체(81) 상단부가 각이 지게 형성됨으로써 몸체(81)의 좌우 회전 불가하게 고정 끼움될 수 있다.
상기 몸체(81)는 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연장선단에 볼록하게 솟아 있으나, 링 따위로 볼록 솟은 부위를 대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걸림돌기(82)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일일이 열거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을 220V용 플러그(2)에 적용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형의 결속밀대(8)가 몸체 수평 하단부 걸림돌기(82)를 축으로 하고 후방으로 각운동하여 연결간(801)을 코드연결부(26) 후미(27)에 위치토록 구성된 것으로, 이는 플러그(2)의 외형을 단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연결간(801)의 코드연결부(26)상에 고정되기 직전의 결속밀대(8) 몸체 하반부 및 걸림돌기(82) 위로 상기 코드(6)를 걸치고 난 후 형 결속밀대(8)를 비스듬히 접속단자(7)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면 도 8a에서처럼 결속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형 결속밀대(8) 작동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플러그(2)가 콘센트(3)상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간(801)은 연결부 후미(27)에 가상선과 같이 위치되고, 분리될 시에는 연결간(801)이 화살표 1과 같이 각운동을 하게 되어 플러그(2) 몸통(23) 중심부에 위치케 되고, 검지손가락 이하 손가락으로 코드연결부(26)를 밑에서 받쳐들어 울리면서 동시에 엄지손가락으로 접속단자(7) 길이방향으로 결속밀대(8)를 구성하는 연결간(801)을 화살표 2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면 결속밀대(8)가 콘센트(3)상으로 화살표 3과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게 되고, 동시에 콘센트(3)에 끼움접속되어 있던 접속단자(7)가 콘센트(3)로부터 화살표 4방향으로 분리되면서 콘센트(3)상의 끼움개구(39)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써 상기 플러그(2)가 콘센트(3)로부터 분리된다.
플러그(2)가 콘센트(3)로부터 분리된 이후의 코드(6) 결속작업과정은 전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8b는 상기 형 결속밀대(8) 상의 걸림돌기(82)가 수납홈(9)상에 정위치되고, 연결간(801)이 연결부 후미(27)에 고정된 상태를 저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서 걸림돌기(82)는 서로 상대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2결속공간(61a)과 상호공간(63)을 구성한다.
도 9b에서 형 결속밀대(8)상의 연결간(801)을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치 않고 철사류의 가늘고 긴 금속봉을 일정하게 밴딩(bending)하거나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을 통해 형 결속밀대(8) 좌우 몸체(81)와 연결간(801) 부위가 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통체로 이루어진 몸체(81) 하단에는 일정 크기의 구슬돌기(824)를 암수 나사(85) 조립방법을 통해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구슬돌기(824)와 같이 결속밀대 몸체(81) 하단이 밴딩되지 않고 직선상으로 이루어진 채 걸림돌기(82)가 구성되는 구조에서의 상기 상호공간(63) 조성을 위해서는 몸체(81) 간격이 좁게 구성될 필요성이 있다.
이는 도 9a 내지 도 9b 도면을 비교해서 알 수 있듯이 구슬돌기(824)의 크기에 따라 수납홈(9) 하단부(95) 또한 당연히 커야 되겠으나, 수납홈(9) 하단부(95)를 수용케 되는 날개판(28)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81) 간격이 좁게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몸체(81)가 스치게 되는 코드연결부(26)의 몸체 좌우 폭 또한 좁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코드연결부(26) 좌우 외벽상으로는 상기 몸체(81)의 운동제한이 가능한 돌기형의 스토퍼(161a,161b,161c)가 일렬 경사지게 수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61a,161b,161c)는 상기한 도 8a에서와 같은 형태의 코드(6) 결속시 몸체(81) 각도조절에 용이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결속밀대(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즉, 결속밀대(8)의 몸체(81) 상단 푸시노브(83) 및 하단의 걸림돌기(82)가 끼움조립 또는 암수 나사(85) 조립 가능케 구성되어 있고, 이는 도 2b에서 도시한 바 있는 220V용 플러그(2)상의 단벌로 된 결속밀대(8)에 적용이 적합한 구조로서, 몸체(81)의 좌우 회전이 제한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단의 걸림돌기(82)가 구슬모양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관계로 상기 몸체(81) 회전 시에도 접속단자(7)와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신축공간(62) 조성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플러그(1)의 제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는 110V용 플러그(1) 몸체 전후 어느 일측 하부 좌우 중간부위에 상하로 안내홈을 갖는 레일(99)이 돌출형성되고, 결속밀대(8)의 몸체(81) 좌우변에 형성되는 날개(88)를 레일(99) 상으로 끼움하여 결착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99)의 벌어진 사이에 결속밀대(8)를 길이방향으로 올려 놓고, 걸림돌기(82)는 정위치시킨 후 강제 끼움식으로 밀어 넣어 끼움조립케 되는 조립이 용이한 구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플러그 일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전기드라이어(600)를 사용한 후 코드(6)를 상기 전기드라이어(600) 자루에 감은 채 플러그(1)로 코드(6)를 깔끔하게 결속하여 보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내지 17은 본 발명을 220V용 플러그(2)에 접목시킨 경우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직각형의 220V용 플러그(2) 제조공정이 합리적 분리를 통해 마무리 조립작업 공정의 간소화를 극대화함으로써, 일괄 제작 시에 비해 용이하게 염가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즉, 220V용 직각 플러그(2) 몸체(21) 내부에는 대체로 3선이 결선되는 바, 2선은 각각 +선(2b), -선(2c)으로써 +,-접속단자(7)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선되며, 나머지는 편으로된 방전선(2a)이다.
이러한 3가닥의 선들로 인하여 수납홈(9)을 설치함에 공정상의 애로가 많으므로, 우선 결합끼움단자(29a)상의 +,-선(2b,2c)이 프레임(29')상의 접지단자(7) 양 상단에 각각 연결되게 하고, 상기 결합끼움단자(29a)상의 결착홈(2a')을 방전단자 상단날개(2a")에 끼움하면, 상기 3선 모두가 상기 결합끼움단자(29a)상의 암 플러그 구조로 배치된다.
다음 가둠돌기(2f')가 다수 형성된 절연체 고정편(2f)을 하강시켜 +,-선(2b,2c)을 가라 앉힌 후 PVC 재료로 플러그 반제품(29)을 성형한다.
이렇게 성형되는 플러그 반제품(29) 단부에 코드(6)가 연결될 시에는 재차 성형하여 연결부(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26)가 상기 플러그 반제품(29) 단부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책으로 반제품 플러그(29)상의 결합끼움단자(29a)를 에워싸는 부위의 플러그 반제품(29) 외벽에 걸림턱(29b)을 구비해 두어야 한다.
위와 같이 플러그 반제품(29) 몸체가 성형된 다음, 푸시노브(83)가 결합된 결속밀대(8)를 수납홈(9)상으로 끼움한 다음 결속밀대 몸체(81) 하단부에 걸림돌기(82)를 조립한 후, 상기 푸시노브(83)상으로 고무 재질로 된 탄성캡(831)을 씌우면 플러그(2) 반제품이 완성된다.
다음, 상기 플러그 반제품(29)에 코드(6)를 전기적으로 연결키 위해서는 상기 3가닥 선을 별도의 아주 작은 플러그 수컷식으로 구성하여 결합끼움단자(29a)에 정해진 대로 짝지어 꽂은 후 PVC 재료로 성형하면 플러그(2)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완성단계의 성형방법대신, 독립체로 구성되어진 연결부(26)를 코드선(6)에 역방향으로 먼저 끼움한 후 3선(2a,2b,2c)을 결합끼움단자(29a)에 연결하고 꽂음하고, 상기 독립체연결부(26)를 걸림턱(29b)을 통해 똑딱이식 결착끼움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소비자가 개별적으로 직접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써, 상기 걸림턱(29b)을 통한 똑딱이식 외에도 암수나사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러그(1,2)는 110V, 220V 등 전압에 상관없이 또한 접지단자(7)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그 형상에 맞게 다양한 구조와 성형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필요한 부가 및 한정 또는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어 복수의 수납홈 하단부(95)가 도 5b에서 도시하는 직각 플러그 하단부 상의 양 접지단자(7) 중간을 기점으로 전후방에 각각 위치케 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밀대 및 그 수납홈이 구비되는 전원 플러그는 전기, 전자기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 후의 전기, 전자기구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전기, 전자기구코드를 단정하게 정렬하여 결속할 수 있게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동작에 대한 접근을 용이케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전기, 전자 제품의 수명연장과 함께 에너지 절감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이 가능한 점 등으로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원 플러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110V용 모델에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원 플러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220V용 모델에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원 플러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220V용 모델에 적용한 또 다른 경우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을 11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코드를 결속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을 22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코드를 결속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을 11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 전과 분리 시 작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을 11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을 11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제2실시예의 일부를 분해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을 22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을 22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제2실시예를 보인 플러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플러그용 결속밀대의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220V 모델에 적용한 경우로서,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을 220V 모델에 적용한 제3실시예의 요부 발췌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을 220V 모델에 적용한 제3실시예의 플러그 저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결속밀대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결속밀대의 또 다른 구성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평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요부 발췌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또 다른 결속밀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플러그의 제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플러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하나의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하나의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플러그 반제품을 코드와 인서트 성형할 시의 그 구조를 돕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푸시노브와 결속밀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반제품과 코드연결부를 인서트 성형한 경우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2: 플러그 2a: 방전단자
2b: + 선 2c: - 선
2f: 고정편 3: 콘센트
39: 끼움개구 6: 코드
7: 접속단자 8: 결속밀대
81: 몸체 82: 걸림돌기
83: 푸시노브 801: 연결간
802: 다리 811: 고정부
824: 구슬돌기 9: 수납홈
94: 개방 상단부 95: 개방 하단부
11,21: 몸체 13: 파지돌기
14: (플러그 몸체)상단부 15,25: 몸체 하단부
16: 코드연결부 17: 수납통
17a: 가이더 17b: 커버체
22: 몸통 23: 몸통
26: 코드연결부 27: 후미
28: 날개판 29: 플러그 반제품
29': 프레임 29a: 결합끼움단자
29b: 걸림턱 61: 결속공간
61a: 제2결속공간 62: 신축공간
63: 상호공간 73: 연장선
85: 나사 88: 날개
89: 스프링 99: 레일
161a,161b,161c: 스토퍼돌기 600: 전기드라이어
211: 결합개구 831: 탄성캡

Claims (15)

  1. 전기, 전자제품용 전원 플러그(1,2)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2)에 형성된 1쌍의 콘센트(3) 접속단자(7) 길이 방향으로 몸체(11,21)상에 형성되는 수납홈(9)과,
    상기 수납홈(9)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과 후단부에 각각 코드(6) 걸림돌기(82)와 탄성재로 이루어진 푸시노브(83)를 갖는 결속밀대(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의 몸체(81)와 수납홈(9)은 그 절단면이 다각형 내지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홈(9)의 하단은 걸림돌기(8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82)는 접속단자(7)와 함께 신축작동에 따라 코드(6) 결속을 위한 결속공간(61)과, 신축공간(62)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9)은 플러그 몸체(21) 상단부(23) 좌우 중간 일정점에서 몸통(22)을 수직 관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홈(9)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속밀대(8)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5. 전기, 전자제품용 전원 플러그(1,2)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2)에 형성된 1쌍의 콘센트(3) 접속단자(7) 길이 방향으로 몸체(11,21)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9)과,
    상기 수납홈(9)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간(801)에 의해 형으로 구성된 몸체(81) 선단부에는 코드(6) 걸림돌기(82)를 가지는 결속밀대(8)와,
    상기 몸체(81) 하단의 걸림돌기(82)가 1쌍의 접속단자(7) 상간에서 신축공간(62) 및 상호공간(63), 제2결속공간(61a)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9)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가이더(17a)와 커버체(17b)로 구성되고, 이들을 상호 조립 후 몸체(11)에 고정시켜 가이더(17a)상에 수납홈(9)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6)를 플러그(2)와 연결하는 코드연결부(26)가 몸체(21)에 직각하는 플러그(2)상의 몸통(22) 머리(23) 상으로 결속밀대(8)의 연결간(801)을 위치토록 하고,
    상기 결속밀대(8) 좌우 몸체(81) 및 수납홈(9)이 머리(23) 부위 몸통(22) 벽체 하단의 날개판(28) 코너 인접점에서 날개판(28)을 수직관통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 및 수납홈(9)은 결속밀대(8) 몸체 하단 좌우 걸림돌기(82)가 서로 마주 향해 돌출 형성된 채 상호공간(63)을 조성하고,
    상기 결속밀대(8)가 코드연결부(26) 후미(27)를 향해 수납홈(9) 하단을 축으로 45˚ 정도 회전운동 가능토록 상기 수납홈(9)상의 후측 내벽도 수납홈(9) 하단에서 연결부 후미(27)를 향해 45˚ 정도 경사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코드연결부(26)상에 위치케 되는 연결간(801) 양 다리(802)가 코드연결부(26) 좌우 벽면을 압축끼움 고정 가능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연결부(26) 좌우 벽면상에는 결속밀대(8)상의 몸체(81) 운동을 제한 가능토록 수개의 스토퍼(161a,161b,161c)가 일렬로 경사지게 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는 좌우 몸체(81) 및 연결간(801)이 가늘고 긴 금속봉으로 밴딩 성형되거나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일체형 결속밀대(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 몸체 외벽과 수납홈(9) 내벽은 각각 몸체(81)의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형성되고,
    상기 결속밀대(8) 하단에는 구슬돌기(824)가 암수 나사(85)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는 플러그(1) 몸체(11)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좌우 레일(99)상으로 결속밀대(8)의 좌우 날개(8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의 연결간(801)과 수납홈(9)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89)이 탄력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는 플러그(1) 몸체(11)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좌우 레일(99)상으로 결속밀대(8)의 연결간(801) 좌우 몸체(8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밀대(8)의 연결간(801)과 수납홈(9) 상단 사이에는 탄성캡(831)이 탄력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KR1020050023033A 2005-01-25 2005-03-16 전원 플러그 KR20050032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8285 2005-01-25
KR1020050008285 2005-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565A true KR20050032565A (ko) 2005-04-07

Family

ID=3723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033A KR20050032565A (ko) 2005-01-25 2005-03-16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5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03B1 (ko) * 2012-02-27 2013-07-19 심화준 전원플러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CN106159563A (zh) * 2016-06-28 2016-11-23 台州携康电子有限公司 插头助拔构件及带有该构件的易拔式插头
KR200485406Y1 (ko) * 2017-06-05 2018-01-04 장지환 종속콘센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03B1 (ko) * 2012-02-27 2013-07-19 심화준 전원플러그
WO2013129800A1 (ko) * 2012-02-27 2013-09-06 Shim Wha Joon 전원접속기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CN106159563A (zh) * 2016-06-28 2016-11-23 台州携康电子有限公司 插头助拔构件及带有该构件的易拔式插头
KR200485406Y1 (ko) * 2017-06-05 2018-01-04 장지환 종속콘센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7087B (zh) 具有可翻转的受保护接线端子的通用安装接触块
KR20050032565A (ko) 전원 플러그
US20190207349A1 (en) Power supply connector assemblies
JP5496571B2 (ja) 非常用の充電器
US20210204738A1 (en) Storage box and gimbal assembly having thereof
KR20070120219A (ko)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
CN204886280U (zh) 一种手机充电器的绕线装置
CN105261907A (zh) 一种可伸缩的地极插销转换器
CN204465324U (zh) 电源适配器
KR102420750B1 (ko)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CN110676661A (zh) 一种插座
KR101479449B1 (ko) 핸드폰 일체형 충전기
CN210379649U (zh) 移动插座及组合移动插座
CN209880972U (zh) 一种转接插座以及电力分配设备
CN204045848U (zh) 线缆连接器的切换结构
EP2176899A2 (de) Stromversorgungsgerät
CN207652634U (zh) Tws耳机的胶囊式充电贮存盒
CN205709205U (zh) 一种绕线装置
CN220984929U (zh) 一种具有让位结构的电源插头
CN105206986B (zh) 组装式插排
CN102761038A (zh) 薄型插座
EP4016760A1 (en) Plu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200239704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CN218732219U (zh) 一种连接线
CN211198233U (zh) 高阻燃环保跳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