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84Y1 - 스마트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스마트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84Y1
KR200473684Y1 KR2020140003512U KR20140003512U KR200473684Y1 KR 200473684 Y1 KR200473684 Y1 KR 200473684Y1 KR 2020140003512 U KR2020140003512 U KR 2020140003512U KR 20140003512 U KR20140003512 U KR 20140003512U KR 200473684 Y1 KR200473684 Y1 KR 200473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rotrusion
space
pres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운
이석일
장혜순
Original Assignee
이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운 filed Critical 이기운
Priority to KR2020140003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부의 측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장부; 상기 외장부의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부 하부의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외장부와 몸체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걸림부와 상기 외장부의 홈부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와 콘센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합 및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형 플러그{A SMART TYPE PLUG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스마트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러그와 콘센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합 및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적게 드는 스마트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등에 있어서, 전기 동력과 쉽게 접속시키거나 또는 접속을 중단하기 위하여, 전자 제품의 코드 끝부분에 부착되는 전기 장치이다. 이러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빼고 끼워 넣는 조작에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콘센트에 계속 연결시켜 놓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전력의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을 당기는 방법으로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3-0087770호에서는 버튼을 눌러서 플러그를 뽑을 수 있는 플러그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플러그 장치는 이미 성형이 완료된 플러그 내부에 제거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 하기 때문에, 플러그의 사출 성형 과정 중 제거 장치를 함께 몰딩해야 하며, 이 경우 성형/제조 과정 중의 열이나 압력 등에 의하여 플러그의 내부에 균열이나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생산의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 생산 현장에서 거의 사용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플러그는 코드선의 단선 방지를 위해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를 위한 누름장치를 직접 내장 설치하여 누르더라도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점 역시 누름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물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상 및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한 플러그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3-0087770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방법이 간편하여 누구나 쉽게 조립을 할 수 있으며, 누름장치의 설치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내부에 플러그용 누름장치(10)를 포함하는 플러그(500)로서,
상기 누름장치(10)는, 플러그(5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장치(10)의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장치(10) 내부의 측면에 홈부(120)가 형성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가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300)가 관통되는 관통공(130)이 형성되는 외장부(100); 상기 외장부(100)의 공간부(110)에 삽입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10)가 형성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부(100) 하부의 관통공(130)으로 삽입되는 돌출부(300); 및 상기 외장부(100)와 몸체부(2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스프링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00)의 걸림부(210)와 상기 외장부(100)의 홈부(120)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210)는 몸체부(200)의 측면에 상부로 벌어지게 탄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편의 상단 외측으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는 외장부(100)의 상단에 걸릴 수 있는 꼭지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500)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30)의 내부의 측면에 홈부(520)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장치(10)는 상기 공간부(530)로 삽입되어 포함되고, 상기 누름장치(10)의 외장부(100)의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와 상기 플러그(500) 내부의 공간부(53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홈부(520)를 서로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는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400)는 돌출부의 외면을 따라 감싸는 1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500)는 상기 플러그의 공간부(530)에 삽입된 누름장치(10)가 플러그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는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 안전성의 확보는 물로,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플러그에 누름장치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조립을 할 수 있어 설치하기 편리하고, 플러그의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외장부와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외장부와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외장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해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내부에 플러그용 누름장치(10)를 포함하는 플러그(500)이다.
본 고안의 플러그용 누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외장부와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외장부와 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외장부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누름장치는 외장부(100), 몸체부(200), 돌출부(300), 스프링부(400)가 포함되며, 공간부(110), 홈부(120), 관통공(130), 걸림부(140, 210), 꼭지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외장부(100)는 플러그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의 측면에 홈부(120)가 형성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이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300)가 관통되는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100)는 본 고안의 누름장치를 플러그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누름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고, 마찬가지로 누름장치의 내부 구성으로부터의 충격이 플러그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외장부(100)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으로는 난연성 PC 수지, 또는 난연성 ABS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장부(100)의 내부에는 공간부(11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본체(100) 내부의 공간부(110)는 후술하는 몸체부(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200)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외장부(100)에는 하부에 관통공(1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130)으로 후술할 돌출부(300)가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몸체부(200), 돌출부(300)와 외장부(100)이 결합되면서 외장부(100)의 하단 타측으로 돌출부(300)가 관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장부(100)의 내부의 측면에 홈부(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120)는 후술하는 몸체부(200)의 걸림부(210)과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외장부(100)와 몸체부(200)을 고정 유지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100) 내부의 홈부(120)의 가로길이는 상기 몸체부(200)의 걸림부(210)의 가로길이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외장부(100)의 홈부(120)의 세로길이는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돌출부(300)의 돌출길이에 맞추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장부(100)의 홈부(120)의 세로길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최대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장부(100)의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140)은 후술할 플러그의 내부에 있는 공간부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홈부(52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본 고안의 외장부와 플러그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100) 외부의 걸림부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상기 플러그 내부에 형성된 홈부(52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에 맞추어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의 걸림부(140)와 플러그 내부에 형성된 홈부(520)는 체결되어 확실히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몸체부(200)는 상기 외장부(100)의 공간부(110)에 삽입되고,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200)의 상단부에 꼭지부(22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는 돌출부(30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00)는 상기 외장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30)으로 삽입된다. 상기 몸체부(200)와 돌출부(300)는 본 고안의 누름장치를 작동시킬 때, 예를 들어 결합된 플러그와 콘센트를 분리시킬 때, 플러그를 결합부위에서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200)와 돌출부(300)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으로는 난연성 PC 수지, 또는 난연성 ABS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200)의 측면에는 걸림부(2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부(210)는 상기 외장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2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외장부(100)와 몸체부(200)을 고정 유지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외장부(100)의 홈부(120)와 결합된 걸림부(210)는 외장부(100)와 몸체부(200)를 고정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스프링부(400)에 의하여 몸체부(200)가 외장부(100)의 상단방향으로 압력을 받더라도 몸체부(200)가 외장부(10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0)의 형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몸체부의 측면에 상부로 벌어지게 탄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편의 상단 외측으로 돌기를 구비 형태의 걸림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200)의 하단에는 돌출부(30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30)으로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몸체부(200), 돌출부(300)와 외장부(100)이 결합되면서 외장부(100)의 하단 타측으로 돌출부(300)가 관통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20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단부에 꼭지부(220)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00)과 함께 손가락을 걸고 꼭지부(200)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그 힘에 의하여 돌출부(300)가 하부로 돌출되어 플러그(500)이 결합되었던 콘센트 등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스프링부(400)는 상기 외장부(100)와 몸체부(2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장부(100)의 공간부(110) 중 몸체부(200)의 하단 아래 부분으로 상기 돌출부(30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공간부(1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400)는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몸체부(200)와 돌출부(300)가 압력에 의하여 하강시켜 누름장치를 작동시킨 후, 외장부(100)의 하단 타측으로 관통된 돌출부(30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부(400)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으로는 스프링강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00)의 외면을 따라 감싸는 1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의 외장부(100), 몸체부(200), 돌출부(300) 및 스프링부(400)의 결합 순서 및 누름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제조방법은 a) 공간부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의 측면에 홈부(120)가 형성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가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공(130)이 형성되는 외장부(100)를 마련하는 단계; b)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10)가 형성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300)를 마련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통공(130)으로 상기 돌출부(300)가 관통하도록, 상기 외장부(100)의 내부에, 몸체부(200)와 돌출부(300)를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200)의 걸림부(210)와 상기 외장부의 홈부(120)를 서로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플러그용 누름장치의 제조방법은 d) 상기 외장부(100)와 상기 몸체부(200)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부(40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외장부(100)의 공간부(110)에 스프링부(400)를 위치시키고, 스프링부(400)의 내부에 돌출부(300)을 삽입한 후, 외장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30)으로 통과시켜, 몸체부(200) 및 돌출부(300)를 외장부(100)의 공간부(110)에 삽입한다. 이후 몸체부(200)의 걸림부(210)와 외장부(100)의 홈부(120)를 대응시킨 후, 몸체부(200)에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여 걸림부(210)와 홈부(120)를 결착 시킨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 누름장치가 완성된다. 본 고안의 누름장치는 상기와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그 순서를 바꿀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결합방법에 의하여 누구나 쉽게 간편한 방법으로 조립 완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누름장치의 꼭지부(220)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고 아래로 누르면, 돌출부(300)가 관통공(130)의 하단으로 돌출을 하게 되고, 손가락을 떼면, 스프링부(400)의 탄성에 의하여 몸체부(200)와 돌출부(300)가 다시 제자리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플러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플러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분해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누름장치(10)는 플러그(5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본 고안의 누름장치(10)를 포함하는 플러그(5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플러그(500)의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30)의 내부의 측면에 홈부(520)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장치(10)는 상기 공간부(530)로 삽입되어 포함되고, 상기 누름장치(10)의 외장부(100)의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와 상기 플러그 내부의 공간부(53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홈부(520)를 서로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500)의 내부 공간부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홈부(520)는 앞서 서술한 외장부(100)의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본 고안의 외장부와 플러그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100) 외부의 걸림부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상기 플러그 내부에 형성된 홈부(52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에 맞추어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의 걸림부(140)와 플러그 내부에 형성된 홈부(520)는 체결되어 확실히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플러그(500)는 상기 플러그의 공간부(530)에 삽입된 누름장치(10)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플러그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누름장치(10)가 삽입된 플러그(50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500)을 조립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플러그의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a)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의 측면에 홈부(520)가 형성된 플러그(500)를 마련하는 단계; b) 본 고안의 플러그용 누름장치(10)를 상기 공간부(530)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누름장치(10)의 외장부(100)의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와 상기 플러그(500) 내부의 공간부(53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홈부(520)를 서로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름장치(10)의 결합 순서에 따라서 결합시키거나, 누름장치(10)를 먼저 결합 시킨 후, 플러그(50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완성된 플러그(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고, 그 내부 구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종래의 고안과 달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누름장치의 각 구성을 순서대로 체결하여 누름장치를 구성하고, 또 플러그를 결합하기 때문에, 누름장치에 대하여 가열 공정, 가압 공정, 사출 성형 등의 추가 공정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플러그에 비하여, 제조 공정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누름장치 100-외장부
110-공간부 120-홈부
130-관통공 140-걸림부
200-몸체부 210-걸림부
220-꼭지부 300-돌출부
400-스프링부 500-플러그
510-손잡이부 520-홈부
530-공간부

Claims (5)

  1. 내부에 플러그용 누름장치(10)를 포함하는 플러그(500)로서,
    상기 누름장치(10)는,
    플러그(5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장치(10)의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장치(10) 내부의 측면에 홈부(120)가 형성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가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300)가 관통되는 관통공(130)이 형성되는 외장부(100);
    상기 외장부(100)의 공간부(110)에 삽입되고,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10)가 형성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부(100) 하부의 관통공(130)으로 삽입되는 돌출부(300); 및
    상기 외장부(100)와 몸체부(2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스프링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00)의 걸림부(210)와 상기 외장부(100)의 홈부(120)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210)는 몸체부(200)의 측면에 상부로 벌어지게 탄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편의 상단 외측으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는 외장부(100)의 상단에 걸릴 수 있는 꼭지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500)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30)의 내부의 측면에 홈부(520)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장치(10)는 상기 공간부(530)로 삽입되어 포함되고,
    상기 누름장치(10)의 외장부(100)의 외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와 상기 플러그(500) 내부의 공간부(53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홈부(520)를 서로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돌출부의 외면을 따라 감싸는 1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공간부에 삽입된 누름장치가 플러그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2020140003512U 2014-05-02 2014-05-02 스마트형 플러그 KR200473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12U KR200473684Y1 (ko) 2014-05-02 2014-05-02 스마트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12U KR200473684Y1 (ko) 2014-05-02 2014-05-02 스마트형 플러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365 Division 2013-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684Y1 true KR200473684Y1 (ko) 2014-07-22

Family

ID=5199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512U KR200473684Y1 (ko) 2014-05-02 2014-05-02 스마트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849A1 (fr) * 2016-02-11 2017-08-18 Pierre Yves Mayan Prise de courant pouvant etre saisie et manipulee a la maniere d'une sering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70A (ko) * 2002-05-09 2003-11-15 최형흠 누름 버튼식 플러그 제거 장치
KR20090044859A (ko) * 2007-11-01 2009-05-07 김경환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70A (ko) * 2002-05-09 2003-11-15 최형흠 누름 버튼식 플러그 제거 장치
KR20090044859A (ko) * 2007-11-01 2009-05-07 김경환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849A1 (fr) * 2016-02-11 2017-08-18 Pierre Yves Mayan Prise de courant pouvant etre saisie et manipulee a la maniere d'une sering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960B2 (en) Extension co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30296B2 (en) Power jack with a movable socket cover
JP4456142B2 (ja) リテーナ付きモールドケース
EP2811580B1 (en) Power plug
CN101359792B (zh) 连接器
EP1770829B1 (en) Connector
US8430680B2 (en) Connector with a dustproof cover
US20100330842A1 (en) Anti-mismating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ing same
US7881034B2 (en) Surge protector with spatial variation
KR200473684Y1 (ko) 스마트형 플러그
US9178300B1 (en) Power plug protector assembly
JP2014222612A (ja) 差し込みプラグ
US20100120285A1 (en) Cable assembly with dustproof cover
KR102125248B1 (ko) 트래킹 현상 방지를 위한 전원 플러그
KR100976524B1 (ko) 휴즈 케이스
US7086891B2 (en) Electrical plug with protection structure
CN109288212B (zh) 智能手环
KR101683981B1 (ko) 고전압 정션박스의 암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6195381B2 (ja) ジャックコネクタ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100556584B1 (ko) 접지 커넥터
KR101496191B1 (ko) 안테나가 내장된 보호케이스
KR101933407B1 (ko) 무선통신모듈
KR101564843B1 (ko) 콘센트
KR20170004784A (ko) 정리와 수납이 일체화된 멀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