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570A - 기판용 클립 - Google Patents

기판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70A
KR20170004570A KR1020150095104A KR20150095104A KR20170004570A KR 20170004570 A KR20170004570 A KR 20170004570A KR 1020150095104 A KR1020150095104 A KR 1020150095104A KR 20150095104 A KR20150095104 A KR 20150095104A KR 20170004570 A KR20170004570 A KR 20170004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lip
clip body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186B1 (ko
Inventor
조경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8Coupling devices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립은 클립몸체(11)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클립몸체(11)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장측판(12,12')과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측판(14,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에서 연장되어 접촉탄성편(20)이 상기 클립몸체(11)의 내부공간(16)에서 연장된다. 상기 접촉탄성편(20)에는 접촉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6)에 삽입된 외부도체(34)와 접촉한다. 상기 접촉탄성편(20)에는 장착누름부(24)가 각가 상기 장측판(12,12') 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에는 관통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5)에는 장착걸이(26)가 형성되어 자유단부가 기판(30)의 기판통공(32) 내에 걸어진다. 상기 장착걸이(26)에는 상기 장착누름부(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동부(28)가 접촉탄성편(2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측판(14,14')의 일단부에서는 걸이편(18)이 형성되어 기판통공(32)이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기판(30)의 표면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10)이 기판(30)에 착탈되는 것이 간단하여 기판(30)이나 관련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판용 클립{Clip for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기판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압입타입으로 장착하여 상대 터미널 또는 버스바의 터미널부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기판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에는 회로가 형성되고 다양한 부품들이 실장된다. 이와 같은 부품과 회로가 서로 협력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에는 반드시 외부와의 신호전달이나 전원전달을 위한 구조가 있다. 예를 들면,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어 상대 커넥터가 결합됨에 의해 외부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최근에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각각의 배터리셀의 전극과 연결되는 버스바를 인쇄회로기판과 솔더링을 통해서 연결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솔더링으로 인쇄회로기판과 버스바를 연결하게 되면, 하나의 배터리셀의 고장이나 손상에도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295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과 외부의 도체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압입타입으로 장착하여 외부 도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판에 형성된 기판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기판용 클립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기판통공의 개방방향중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몸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탄성편과, 상기 클립몸체에 형성된 관통부 내에 위치되어 자유단부가 상기 기판통공의 내면에 걸어지는 장착걸이와, 상기 클립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판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클립몸체가 상기 기판통공의 일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편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탄성편은 상기 클립몸체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클립몸체의 내면중 반대쪽 내면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탄성편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탄성편에는 마주보는 클립몸체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이의 자유단부쪽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장착누름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누름부와 대응되는 상기 장착걸이에는 연동부가 상기 접촉탄성편의 장착누름부를 향해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클립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장측판과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과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측판으로 구성되어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장착판에서는 상기 접촉탄성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판에 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장착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측판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절곡되어 상기 걸이편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용 클립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립은 인쇄회로기판에 압입 타입으로 장착할 수 있고, 상대물인 도체가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솔더링 공정없이 클립을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여 외부 도체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클립을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게 되면, 클립과 외부 도체를 자유롭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외부 도체와 연결되는 부품에 손상이 있거나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 손상이 있는 것만을 분리해서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이 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에 외부 도체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클립(10)은 도전성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클립(10)의 골격을 클립몸체(11)가 형성하는데, 상기 클립몸체(11)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장측판(12,12')과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과 각각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측판(14,1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의 폭에 비해 제1 및 제2 단측판(14,14')의 폭이 작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사이의 치수관계가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과 제1 및 제2 단측판(14,14')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클립몸체(11)의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클립몸체(11)의 내부에는 클립몸체(11)의 상하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6)이 있다. 상기 내부공간(16)에는 외부도체(34)가 삽입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접촉편(20)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클립몸체(11)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측판(14,14')의 일단부에는 걸이편(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제1 단측판(14)과 제2단측판(14')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클립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편(18)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30)의 기판통공(32)의 가장자리에 걸어져서 클립(10)이 기판(10)에 대해 일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클립몸체(11)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서는 탄성접촉편(20)이 있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은 상기 클립몸체(11)의 내부공간(16)에 위치한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은 본 실시례에서는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나란히 연장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접촉편(20)을 일측 장측판(12,12')에서만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일측 장측판(12,12')과 하나의 탄성접촉편(20) 사이에 외부도체(34)가 위치되어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은 도 4나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의 일측에 접촉부(22)가 반대쪽 장측판(12,12')을 향해 돌출되게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22)는 상기 탄성접촉편(20)의 폭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이 2개 있는 경우에는 양측의 탄성접촉편(20)의 접촉부(22)가 서로 마주보게 되어 그 부분에서 가장 틈새가 좁게 된다. 상기 탄성접촉편(20)의 접촉부(22)가 상대측의 장측판(12,12')을 향해 돌출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탄성접촉편(20)의 자유단부는 해당되는 탄성접촉편(20)이 연장된 장측판(12,12')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탄성접촉편(20)에는 또한 장착누름부(24)가 있다. 상기 장착누름부(24)는 상기 접촉부(22)와는 반대쪽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장착누름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걸이(26)를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접촉편(20)의 사이에 외부도체(34)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접촉편(20)이 밀리면서 상기 장착누름부(24)가 장착걸이(26)를 밀어 기판(30)의 기판통공(32) 내면에 장착걸이(26) 선단이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클립몸체(11)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12,12')에는 관통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5) 내에는 장착걸이(26)가 위치된다. 상기 관통부(25)는 상기 장착걸이(26)를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장착걸이(26)는 클립몸체(11)가 기판(30)의 기판통공(32) 내면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걸이(26)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장착걸이(26)의 선단에 인접하여서는 연동부(28)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28)는 상기 접촉탄성편(20)의 장착누름부(24)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연동부(28)는 상기 장착걸이(26)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28)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장착걸이(26)가 상기 탄성접촉편(20)의 장착누름부(24)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된다. 상기 장착걸이(26)의 연동부(28)가 장착누름부(24)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장착걸이(26)의 자유단부가 기판(30)의 기판통공(32) 내면에 걸어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10)은 기판(30)의 기판통공(32)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기판(30)은 인쇄회로기판으로서 내부에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소자들이 실장된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 부호 34는 외부도체로서 상기 기판(30)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도체(34)는 예를 들면 버스바가 있을 수 있다. 즉, 배터리셀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용 클립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클립(10)은 상기 기판(30)의 기판통공(32) 내에 장착된다. 상기 클립(10)은 상기 기판(30)의 기판통공(32)에 도 5에 표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기판통공(32)에 상기 클립(10)이 삽입될 때, 상기 걸이편(18)이 상기 기판통공(32)에 상기 클립(10)이 삽입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30)의 상부로 상기 클립(10)이 기판통공(3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걸이(26)는 상기 클립(10)이 상기 기판통공(32)에서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기판통공(32)이 내면에 상기 장착걸이(26)의 선단이 걸어져서 고정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기판통공(32)에 상기 클립(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도체(34)가 상기 클립몸체(12)의 내부공간(16)으로 삽입된다. 즉,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외부도체(34)가 삽입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탄성편(20)의 접촉부(22) 사이에 외부도체(34)가 위치된다. 상기 접촉부(22)는 상기 외부도체(34)에 접촉되면서 상기 접촉탄성편(20)이 탄성변형되도록 하여 외부도체(34)와의 접촉상태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도체(34)가 상기 접촉부(2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접촉탄성편(20)이 각각 대응되는 장측판(12,12')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누름부(24)가 상기 장착걸이(26)의 연동부(28)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연동부(28)가 상기 접촉탄성편(20)의 장착누름부(24)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상기 장착걸이(26)이 자유단부는 상기 기판통공(32)의 내면에 보다 더 파고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도체(34)가 클립몸체(12)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장착걸이(26)가 상기 기판통공(32)의 내면으로 더 밀착되면서 클립(10)의 설치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클립(10)은 상기 기판(30)에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어, 각각의 클립(10)에 각각의 외부도체(34)가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외부도체(34)에 연결된 부품이나 상기 기판(30)에 손상이 오게 되면, 손상이 온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도체(24)와 연결된 부품이면, 상기 외부도체(24)와 해당되는 부품을 상기 기판(30)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만약 상기 기판(30)이 손상되었다면, 상기 클립(10)을 기판(30)에서 빼거나, 상기 외부도체(34)를 클립(10)에서 분리해서 기판(30)을 교체하고 다시 외부도체(34)들을 교체된 기판(30)의 클립(10)들에 삽입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판(30)에서 상기 클립(10)을 분리하는 것은, 상기 클립몸체(11)의 외부에서 상기 장착걸이(26)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된다. 특히,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장측판(12,12')에 형성된 관통부(25)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장착걸이(26)를 후퇴시키면, 상기 장착걸이(26)의 자유단부가 기판통공(32)의 내면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10)을 도 5의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상기 클립(10)이 상기 기판통공(3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립(10)을 분리하면, 기판(30)이 손상되어 교체하더라도 클립(10)은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클립몸체(11)에 형성된 내부공간(16)은 상기 기판통공(32)의 개방방향으로 개방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클립몸체(11)의 양측으로 개방된다. 하지만, 클립몸체(11)의 일측으로만 내부공간(16)이 개방되어도 된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상기 장착걸이(26)는 상기 접촉탄성편(20)에 의해 눌러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접촉탄성편(20)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장착걸이(26)도 하나만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접촉탄성편(20)은 하나의 장측판(12,12')에 하나가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하나의 장측판(12,12')에 대해서 한 쌍의 접촉탄성편(20)이 있도록 될 수도 있다.
10: 클립 11: 클립몸체
12: 제1 장측판 12': 제2 장측판
14: 제1 단측판 14': 제2 단측판
16: 내부공간 18: 걸이편
20: 접촉탄성편 22: 접촉부
24: 장착누름부 25: 관통부
26: 장착걸이 28: 연동부
30: 기판 32: 기판통공

Claims (7)

  1. 기판에 형성된 기판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기판용 클립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기판통공의 개방방향중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몸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탄성편과,
    상기 클립몸체에 형성된 관통부 내에 위치되어 자유단부가 상기 기판통공의 내면에 걸어지는 장착걸이와,
    상기 클립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판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클립몸체가 상기 기판통공의 일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편을 포함하는 기판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탄성편은 상기 클립몸체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클립몸체의 내면중 반대쪽 내면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가 구비되는 기판용 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탄성편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기판용 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탄성편에는 마주보는 클립몸체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이의 자유단부쪽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장착누름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기판용 클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누름부와 대응되는 상기 장착걸이에는 연동부가 상기 접촉탄성편의 장착누름부를 향해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기판용 클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장측판과 상기 제1 및 제2 장측판과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측판으로 구성되어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는 기판용 클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판에서는 상기 접촉탄성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판에 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장착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측판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절곡되어 상기 걸이편이 형성되는 기판용 클립.
KR1020150095104A 2015-07-03 2015-07-03 기판용 클립 KR10244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04A KR102444186B1 (ko) 2015-07-03 2015-07-03 기판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04A KR102444186B1 (ko) 2015-07-03 2015-07-03 기판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70A true KR20170004570A (ko) 2017-01-11
KR102444186B1 KR102444186B1 (ko) 2022-09-16

Family

ID=5783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04A KR102444186B1 (ko) 2015-07-03 2015-07-03 기판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1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08B2 (ja) * 1995-04-28 2000-10-03 日本精機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3643002B2 (ja) * 2000-01-31 2005-04-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実装型端子の実装方法
KR101329525B1 (ko) 2006-10-04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그레이톤 블랭크 마스크와 그레이톤 포토마스크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08B2 (ja) * 1995-04-28 2000-10-03 日本精機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3643002B2 (ja) * 2000-01-31 2005-04-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実装型端子の実装方法
KR101329525B1 (ko) 2006-10-04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그레이톤 블랭크 마스크와 그레이톤 포토마스크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186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8746B1 (en) Busbar connection system
EP2498589B1 (en) Surface mount clip
TWI632740B (zh) Electrical connector
US9699930B2 (en) Electric device system
KR19990023687A (ko) 인쇄 회로 기판 소켓
US9640342B2 (en) System comprising electronics housing and grounding contact assembly
US10396504B2 (en) Plug connection with a shield support and a wall bushing
US9263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70068028A (ko) 보강 래치를 갖춘 커넥터
CN109155491A (zh) 高速电连接器
JP2018097975A (ja) 電気コネクタ
EP2549596B1 (en) Terminal connector
CN108780956B (zh) 用于支承导轨总线系统的总线元件的电接触元件
JP5459266B2 (ja)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1510637A (zh) 具有接地连接的印刷板连接器
JP6342997B2 (ja) プラグおよびプラグアセンブリ
KR100536617B1 (ko) 커넥터
KR20170004570A (ko) 기판용 클립
JP6613129B2 (ja) 金属端子
JP200430369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CN105449454A (zh) 卡缘连接器
CN215379685U (zh) 具有屏蔽片的插式连接器组件
JPH0668352U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070000740A (ko) 기판조립체
JP2016207259A (ja) 多段基板接続構造、及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