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740A - 기판조립체 - Google Patents

기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740A
KR20070000740A KR1020050056314A KR20050056314A KR20070000740A KR 20070000740 A KR20070000740 A KR 20070000740A KR 1020050056314 A KR1020050056314 A KR 1020050056314A KR 20050056314 A KR20050056314 A KR 20050056314A KR 20070000740 A KR20070000740 A KR 20070000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bstrate
hook
connector body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911B1 (ko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9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조립체에 있어서, 절취 형성된 커넥터수용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커넥터수용부에 수용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커넥터본체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커넥터를 기판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커넥터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 걸림돌기, 후크

Description

기판조립체 {BOARD ASSEMBLY}
도1은 종래의 기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의 기판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넥터 10 : 기판
12 : 커넥터수용부 14 : 후크결합부
20 : 커넥터본체 22 : 단자부
23 : 후크지지부 24 : 후크
28 : 걸림돌기 29 : 지지면
본 발명은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기판과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조립체는 전자기기의 회로를 형성하는 하는 기판과, 기판 위에 결합되어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의 후방에는 후크가 마련되어 기판과 결합한다.
근래에는 전자기기가 소형화, 집적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판조립체 또한 소형화되고 고집적화 되고 있다. 이에, 기판조립체는 커넥터를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기판의 일영역을 절취하여 커넥터수용부를 마련하고, 그 커넥터수용부에 커넥터를 삽입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판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판조립체는 전자기기의 회로를 형성하는 기판(110)과, 기판(110)과 연결되는 커넥터(101)를 포함한다.
커넥터(101)는 커넥터수용부(112)에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넥터본체(120)와, 커넥터본체(120)로부터 기판(110)을 향해 돌출된 후크(124)를 포함한다.
기판(110)에는 커넥터(101)가 수용가능하도록 일 영역이 절취된 커넥터수용부(112)와, 후크(124)가 결합될 후크결합부(114)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1)와 기판(110)을 결합 시킬 때, 커넥터(101)가 커넥터수용부(112)에 수용되며, 후크(124)가 후크결합부(114)와 결합한다. 이에 커넥터(101)는 커넥터(101)의 자중 및 커넥터(101)와 연결된 콘센트(미도시)의 자중 등에 의해 처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커넥터를 기판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커넥터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조립체에 있어서, 절취 형성된 커넥터수용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커넥터수용부에 수용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커넥터본체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본체로부터 상기 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크지지부와, 상기 후크지지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해 돌출된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을 갖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본체에 마련된 D-SUB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조립체는 전자기기의 회로를 형성하는 기판(10)과, 기판(10)과 결합되며 콘센트(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를 포함한다.
기판(10)은 본 발명의 일예로 두께가 얇으며 가벼운 인쇄회로기판이다. 기판 (10)에는 커넥터(1)가 수용될 수 있는 커넥터수용부(12)와, 후술할 후크(24)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후크결합부(14)가 마련된다.
커넥터수용부(12)는 기판(10)의 일영역이 절취되어 마련되며 커넥터(1)를 수용 한다. 커넥터수용부(12)는 기판(10)을 'ㄷ'자 형상으로 절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수용부(12)는 커넥터(1)의 형상에 따라 삼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14)는 기판(10)상의 커넥터수용부(12)에 근접하게 마련되며 후크(24)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커넥터(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수용부(12)에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커넥터본체(20)와, 커넥터본체(20)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8)와, 콘센트(미도시)와 전기적인 결합을 할 수 있는 단자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1)는 커넥터본체(20)로부터 기판(10)의 판면방향으로 연장된 후크지지부(23)와, 후크지지부(23)로부터 기판(10)을 향해 돌출된 후크(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본체(20)는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며 커넥터(1)의 외관을 형성한다.
걸림돌기(28)는 커넥터(1)를 집어서 커넥터수용부(12)에 삽입할 때, 기판(10)의 상면에 걸릴 수 있도록 커넥터본체(20)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서 돌출된다. 걸림돌기(28)는 커넥터본체(20)의 좌우 양측면에서 한쌍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돌기(28)는 기판(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커넥터(1)를 기판(10)에 대하여 지지한다. 걸림돌기(28)의 저면 즉, 지지면(29)이 사각형 등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걸림돌기(28)는 기판(10)의 본체수용부(12)의 상부 면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걸림돌기(28)는 커넥터본체(20)와 일체형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기(28)는 좌우 양측에서 돌출되어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좌우 양측에서 두 쌍이 마련되는 등 걸림돌기(28)의 설치개수 및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후크지지부(2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20)로부터 기판(10)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크(24)는 후크지지부(23)로부터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후크(24)는 커넥터(1)가 기판(10)과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결합부(14)에 결합된다.
후크(24)와 후크지지부(23)는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24)와 후크지지부(23)는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 쌍이 마련되는 등 설치개수 및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단자부(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20)의 전방에 마련된다. 단자부(22)는 콘센트(미도시)와 전기적인 결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단자부(22)는 D-SUB 단자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취되어 커넥터본체(20)를 수용 할 수 있는 커넥터수용부(12)와 후크결합부(14)가 마련된 기판(10) 위에 커넥터(1)를 올려놓는다. 이때 커넥터(1)를 커넥터수용부(12)에 삽입하며, 후크(24)를 후크 결합부(14)에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28)를 기판(10)의 커넥터수용부(12)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올려놓는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를 기판(10)에 안정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고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와 기판(10)의 결합시 걸림돌기(28)가 기판(10)에 대해 커넥터(1)를 받쳐 주므로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를 기판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커넥터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기판조립체에 있어서,
    절취 형성된 커넥터수용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커넥터수용부에 수용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커넥터본체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본체로부터 상기 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크지지부와, 상기 후크지지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해 돌출된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본체에 마련된 D-SUB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KR1020050056314A 2005-06-28 2005-06-28 기판조립체 KR10111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314A KR101111911B1 (ko) 2005-06-28 2005-06-28 기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314A KR101111911B1 (ko) 2005-06-28 2005-06-28 기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40A true KR20070000740A (ko) 2007-01-03
KR101111911B1 KR101111911B1 (ko) 2012-02-14

Family

ID=3786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314A KR101111911B1 (ko) 2005-06-28 2005-06-28 기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29A1 (ko) * 2018-05-31 2019-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Pcb 다이렉트 커넥터
WO201924037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2열 터미널 구조의 pcb 다이렉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279B1 (ko) * 2003-07-23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장치 일체형 내장 안테나 및 그 내장안테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JP4102747B2 (ja) * 2003-12-01 2008-06-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29A1 (ko) * 2018-05-31 2019-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Pcb 다이렉트 커넥터
US11114786B2 (en) 2018-05-31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WO201924037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2열 터미널 구조의 pcb 다이렉트 커넥터
US11114788B2 (en) 2018-06-12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having two-row termina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911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594B2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JP3109106U (ja) 電源用コネクタ
JP2006134859A (ja) 電気コネクタ
KR20100028545A (ko) 가요성 회로용 커넥터
US20110059626A1 (en) Shieled connector having leveling arrangement ensuring reliable interconnection
US20160314911A1 (en) System comprising electronics housing and grounding contact assembly
KR960043357A (ko) Sim 카드 커넥터
US6537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shield having latch and mounting arms
KR900015384A (ko) 기판상에 장착되기 위한 접속기
TW201513469A (zh) 線狀導體連接用端子
JP580111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モジュール
CN107591655B (zh) 卡缘连接器及其组件
US20090149078A1 (en) Connector
KR940002899B1 (ko) 전기 콘넥터
US7281943B1 (en) Connector
KR101111911B1 (ko) 기판조립체
US20100144196A1 (en) Board Mounted Connector System with Shield Assembly
JP2004031259A (ja) 電子部品
JP2003045525A (ja) コネクタ
US647503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tention devices
US629946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ixing device
JP200430369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US6962508B2 (en) Card connector
JP2009205998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7287519A (ja) 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