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518A -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18A
KR20170004518A KR1020150094966A KR20150094966A KR20170004518A KR 20170004518 A KR20170004518 A KR 20170004518A KR 1020150094966 A KR1020150094966 A KR 1020150094966A KR 20150094966 A KR20150094966 A KR 20150094966A KR 20170004518 A KR20170004518 A KR 2017000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t
unit
food
p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진
Original Assignee
노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진 filed Critical 노현진
Priority to KR102015009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518A/ko
Publication of KR2017000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혹은 다수의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는 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애완동물 식기에 위치한 호스트장치 와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클라이언트장치를 사용하되, 애완동물의 개체별 인식 정보를 제공하고, 식기와 애완동물 사이의 일정 거리 내의 거리 정보 및 식기와 애완동물 사이의 일정 거리를 유지한 시간 정보 및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 또는 식기 주변에 닿거나 아주 근접하게 위치한 근접 정보 및 식기 안의 내용물 무게 변화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최종적으로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결정하며, 해당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단말기로 유무선 전송을 통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혹은 다수의 개체별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개체별 애완동물의 섭취량 정보를 토대로 식습관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식습관이 불규칙하거나 먹이 섭취량의 증가 또는 감소 정보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즉시 인지함으로써 능동적 대처를 할 수 있게 만들어 애완동물의 건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 of individual pet's food intake amount}
본 발명은 개체별 애완동물의 섭취량을 파악, 저장하며 주인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개체별 애완동물의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애완동물 자동급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 또는 양을 설정해서 장치가 자동으로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과 사용자가 원격으로 급식 장치를 제어해서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 그리고 애완동물의 요구가 있을 경우를 파악해서 자동으로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 줄 수 없는 환경에서 자동급식 장치가 사용자를 대신해서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다수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환경에서는 개체별 애완동물들이 먹이를 각 얼만큼 섭취했는지 일일이 파악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 애완동물 급식 시스템으로 다수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체별 먹이 섭취량 파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개체별 애완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애완동물이 식기와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애완동물이 식기와 일정 거리 내를 유지하는지 시간을 측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 식기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측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식기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먹이의 변화량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해 주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개체별 애완동물을 인식할 수 있는 개체식별부(150);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 얼마나 식기와 근접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근접측정부(140); 애완동물과 식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부(120); 애완동물이 식기에 접근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130); 식기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110); 각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최종적으로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결정하는 연산처리부(190); 개체식별부(150), 근접측정부(140), 거리측정부(120), 시간측정부(130), 무게측정부(110)의 측정 정보 및 연산처리부(190)의 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저장부(170);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60); 해당 정보를 유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전송부(180); 유무선으로 전송한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3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체별 다수 애완동물을 식별하고, 각 식별 장치를 통해 먹이 식기에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감지하되, 먹이 식기와 애완동물 사이의 근접 거리, 근접 거리 유지 시간,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 또는 식기 주변부와 닿거나 아주 근접한 거리의 한계점 돌파 여부 정보, 먹이 식기의 내용물 무게 변화량 측정 정보를 기준으로 먹이 섭취량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해서 사용자가 개체별 애완동물의 먹이 섭취량 정보를 토대로 식습관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식습관이 불규칙하거나 먹이 섭취량의 증가 또는 감소 정보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즉시 인지함으로써 능동적 대처를 할 수 있게 만들어 애완동물의 건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서 식기에 위치하는 호스트 장치의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블록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에 위치한 호스트장치(100)와 단일 또는 다수의 개체별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클라이언트장치(200) 및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서 식기에 위치하는 호스트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서 식기에 위치하는 호스트장치(100)는,
사용자단말기(300) 또는 호스트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개체별 애완동물 인식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개체 인식을 위해 신호를 보내는 개체식별부(150); 애완동물이 식기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신호를 보내는 거리측정부(120);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에 접근했을 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130);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 식기와 애완동물사이의 거리 한계점을 넘었는지 측정하는 근접감지부(140);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했을 시 식기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110); 상기 측정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최종적으로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결정하는 연산처리부(190); 거리측정부(120), 시간측정부(130), 근접감지부(140), 무게측정부(110)의 측정 정보 및 연산처리부(190)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70); 애완동물의 개체별 인식 정보 및 먹이 섭취 여부와 섭취량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 개체별 인식 정보 및 먹이 섭취 여부와 섭취량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이터전송부(18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클라이언트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클라이언트장치(200)는,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에 접근하는 애완동물 개체를 인식하기 위한 호스트장치(100)의 개체식별부(150)에서 보내는 개체 인식 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개체식별부(150);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에 접근할 시 호스트장치(100)의 거리측정부(120)에서 보내는 감지 신호에 대해 응답을 하는 거리측정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호작용하는 호스트장치(100)와 클라이언트장치(200)사이의 거리정보, 거리를 유지한 시간정보, 식기와의 거리 한계점에 대한 근접정보, 식기의 내용물 무게 변화 정보, 애완동물 개체별 식별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애완동물의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 또는 호스트장치(100)를 통해서 단일 또는 다수의 애완동물에게 각각 부착시킬 수 있는 클라이언트장치(200)의 개체식별부(150)에 애완동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어느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에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파악하기 위해 호스트장치(100)의 거리측정부(120)는 일정거리 내에 접근하는 단일 혹은 다수의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클라이언트장치(200)를 통해 애완동물의 개체별 접근을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서는 식기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해야 함과 동시에 해당 정보로 어떤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도를 하는지 알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최종적으로 어느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했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식기에 접근한 애완동물들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의 호스트장치(100)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는지 호스트장치(100)의 시간측정부(130)를 통해 시간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 일정 시간이 소요되며 해당 정보는 최종적으로 어느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했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식기에 접근한 애완동물이 실제로 먹이를 먹기 시도할 시 식기와 아주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일정 한계점을 넘었는지 여부에 대해 호스트장치(100)의 근접감지부(140)을 통해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먹이는 식기 내부에 위치하고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때 식기 또는 식기 주변에 닿거나 아주 근접한 위치 형태를 나타내며 해당 정보는 최종적으로 어느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했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식기에 접근한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 식기 안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무게 변화를 호스트장치(100)의 무게측정부(110)를 통해 실시간 측정한다. 무게측정부(110)는 내용물의 무게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정보는 최종적으로 어느 애완동물이 얼마나 먹이를 섭취했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개체식별부(150), 거리측정부(120), 시간측정부(130), 근접감지부(140), 무게측정부(110) 측정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호스트장치(100)의 연산처리부(190)를 통해 결정한다. 먼저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를 접근할 시 거리측정부(120)를 통해 단일 혹은 다수의 애완동물이 일정거리 내에 있는지 측정한 거리 정보와,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와 일정거리를 유지한 시간정보를 시간측정부(130)을 통해 측정한 시간 정보와, 먹이를 먹기 위해 애완동물이 식기 또는 식기 주변에 애완동물이 닿거나 아주 근접하게 위치할 시 근접감지부(140)를 통해 한계점을 넘었는지 측정한 근접 정보와, 한계점을 넘었을 경우 무게측정부(110)를 통해 식기 내용물 무게변화를 측정한 정보와, 개체식별부(150) 정보를 통해 최종적으로 어느 애완동물이 얼마나 섭취했는지에 대해 판단을 내린다.
상기 개체식별부(150), 거리측정부(120), 시간측정부(130), 근접감지부(140), 무게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정보 및 연산처리부(190) 결과를 호스트장치(100)의 데이터저장부(170)을 통해 실시간 저장한다.
호스트장치(100)의 데이터저장부(170)에 저장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식기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거나 호스트장치(100)의 데이터전송부(18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300)로 해당 정보를 유무선으로 전송해서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해서 애완동물의 식습관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식습관이 불규칙하거나 먹이 섭취량의 증가 또는 감소 정보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즉시 인지함으로써 능동적 대처를 할 수 있게 만들어 애완동물의 건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100 : 호스트장치 110 : 무게측정부
120 : 거리측정부 130 : 시간측정부
140 : 근접감지부 150 : 개체식별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데이터저장부
180 : 데이터전송부 190 : 연산처리부
200 : 클라이언트장치 3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1)

  1. 단일 혹은 다수의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장치(1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개체별 애완동물 인식 에 필요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개체 인식을 위해 신호를 보내는 개체식별부(150) 및 해당 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장치(200)의 개체식별부(150);

    애완동물이 식기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신호를 보내는 호스트장치(100)의 거리측정부(120) 및 해당 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장치(200)의 거리측정부(120);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식기에 접근했을 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130);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시 애완동물이 식기 또는 식기 주변에 닿거나 아주 근접한 위치 형태의 거리 한계점을 넘었는지 측정하는 근접감지부(140);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했을 시 식기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110);

    개체식별부(150), 거리측정부(120), 시간측정부(130), 근접감지부(140), 무게측정부(110)의 측정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최종적으로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를 결정하는 연산처리부(190);

    개체식별부(150), 거리측정부(120), 시간측정부(130), 근접감지부(140), 무게측정부(110)의 측정 정보 및 연산처리부(190)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70);

    애완동물의 개체별 인식 정보 및 먹이 섭취 여부와 섭취량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

    개체별 인식 정보 및 먹이 섭취 여부와 섭취량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이터전송부(1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KR1020150094966A 2015-07-03 2015-07-03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KR20170004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66A KR20170004518A (ko) 2015-07-03 2015-07-03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66A KR20170004518A (ko) 2015-07-03 2015-07-03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18A true KR20170004518A (ko) 2017-01-11

Family

ID=5783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966A KR20170004518A (ko) 2015-07-03 2015-07-03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34A (ko) * 2018-06-19 2019-12-30 박웅수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WO2021235631A1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34A (ko) * 2018-06-19 2019-12-30 박웅수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WO2021235631A1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0229B2 (en) In-home pet feeding and monitoring system
JP6868695B2 (ja) 伝送出力電力を限定するための伝送アンテナのヒト身体への近接の決定
JP6438476B2 (ja) 遠隔ペット監視及び給餌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給餌装置
AU2009243860B2 (en) Detection of moving objects
US20150177114A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particulate storage
US20150373945A1 (en) Smart Animal Feeder
CN102679686A (zh) 一种网络冰箱及其系统
KR102031200B1 (ko) 가축 무게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72360A1 (en) Volume Measurement Using Non-Volumetric Sensors
KR20160139229A (ko)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 동물 생애 주기 관리 시스템
CN106327807A (zh) 一种饮水装置的预警系统
JP2019000102A (ja) ペット用食事管理システム
KR20170004518A (ko)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US20190057766A1 (en) System for monitoring diet
US104460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the weight and food consumption of a user
JP6807898B2 (ja) 愛玩動物を管理する管理サーバ及び管理プログラム
CN106359154A (zh) 一种宠物智能喂养系统
US112529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ondition of at least one pig in a pen
KR20150080314A (ko) 가축의 도체 등급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72042B (zh) 利用红外触发式鱼类自主采食系统及采食方法
JP2005278547A (ja) 家畜健康状態測定システムおよび家畜健康状態測定プログラム
EP33454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eding of ruminating livestock animals
JP2016161995A (ja) タグリーダ及びタグリーダ制御装置
KR20150072506A (ko) 모돈 자동 사료 급이 로봇 및 그 방법
KR101657682B1 (ko) 가속도 센서 및 gps를 이용한 사료효율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