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444A -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444A
KR20170004444A KR1020150094797A KR20150094797A KR20170004444A KR 20170004444 A KR20170004444 A KR 20170004444A KR 1020150094797 A KR1020150094797 A KR 1020150094797A KR 20150094797 A KR20150094797 A KR 20150094797A KR 20170004444 A KR20170004444 A KR 2017000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heat treatment
mold
grooves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328B1 (ko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주) 나무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들 filed Critical (주) 나무들
Priority to KR102015009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3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은 강판(11)을 준비한 후 강판(11)의 둘레를 절곡하여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된 형틀(10)을 성형하는 형틀성형단계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된 보강플레이트(20)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의 상부에,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갖고 함수율이 0.01 ~ 8%인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을 홈(31)과 돌기(32)가 서로 치합되도록 연결시킨 후, 볼트(33)로 상기 보강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는 보강플레이트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가 고정된 열처리목(30)들을 개구부(12) 상부에 안착시키되,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열처리목(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열처리목(30)과 형틀(10) 바닥 사이로 충진공간(5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50) 내부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발포시켜, 발포되어 형성된 우레탄층(40)이 열처리목(30) 및 형틀(10)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우레탄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단열재와 외장재의 기능이 하나의 판재에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단열 및 외장 성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외장재 변형 가능성이 적어 단열재와 외장재의 박리가 잘 발생하지 않고, 접착제 사용이 배제되어 친환경적이며, 보강플레이트를 통해 구성요소들이 견고하게 일체화되며, 다양한 형상과 무늬의 외장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urethan wood pannel}
본 발명은 판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면은 강판으로 구성되고 타측면은 열처리목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그 사이에 우레탄 층이 형성되도록 하되, 별도의 접착제 사용 없이 열처리목이 우레탄 층 및 강판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장 구조는 구조벽체, 외장재가 연속으로 배치된 형태를 취한다.
단열재는 종래에는 구조벽체와 일체화되어 구조벽체 내부에 설치되거나, 내부공간 구조벽체의 내부측 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축용 단열재는 합판,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 보드(Fiber Board),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EPS(expanded polystyrene) 패널,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를 사용한 우레탄 패널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재 중에서, 우레탄 발포체는 타소재와 비교하여 뛰어난 단열 효과와 함께 자체의 경량성, 완충성, 자기접착성 등의 성질이 우수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우레탄 판넬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은 아연도금강판이나 철판인 상하부 표면판재를 이송롤러로 각각 연속적으로 안내하면서 포밍기로 외곽을 굴곡지게 형성시키고 나서, 하부 표면판재상에 일정량의 우레탄수지액을 분사기로 분사시킨 다음, 상하부 표면판재를 더블벨트내로 진입시켜 가열기로 우레탄수지액을 가열하면 우레탄수지액은 120℃ ~ 140℃의 온도로 발열반응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면서 상하부 표면판재내에서 발포되어 충진된다.
이와 같이, 우레탄이 발포된 판넬은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된 후 적재장에 차곡차곡 쌓여 적재된 상태에서 자연냉각되는 숙성공정을 통해 제조가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우레탄 판넬의 발포 우레탄은 자연냉각되는 숙성공정에서도 상당시간 고온으로 유지되므로 상당한 온도로 발열을 하게 되고, 상기 발열에 의해 표면판재가 뒤틀리거나 웨이브 형태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우레탄 판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652호, 특허문헌 1)에는 상하부 표면판재 내부에 단열보드를 접착 고정시킨 후 우레탄 폼을 주입 충전시킴으로써 단열보드를 통해 우레탄 발열로 인한 표면판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구조는 공장 제조 공정에서 표면판재의 형상이 이미 결정된 상태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외장재로써 다양한 형상이나 무늬를 구현할 수 없어 심미감에 한계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장재로 사용시 우레탄을 감싼 상하부 표면판재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 노출되는데, 얇은 금속 철판은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외장재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우레탄 판넬에 다시 외장재를 접착제로 붙여야 하기 때문에 외장 공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목재는 표면의 다양한 음각, 양각, 페인트 칠이 가능해 전통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수분, 햇빛 등의 영향에 따른 수축과 팽창, 비틀림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 목재 생산량 감소 등의 요인으로 목재 가격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순수한 목재를 충분한 두께로 내외장재로 사용하기에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내외장용 목재 판넬과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인테리어용 우드 루바 및 그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3624호, 특허문헌 2)에는 집성목, 합판, 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기재판재와, 기재판재 위에 적층되는 천연무늬목 및 천연무늬목층의 표면에 피복되는 자외선 표면 코팅층을 포함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2는 얇은 천연무늬목에 기재판재를 접착시켜 심미감을 살리고, 표면 코팅을 통해 천연무늬목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2는 그 자체로 단열성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최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기술 동향과 비교할 때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은 단열재에 특허문헌 2와 같은 외장재를 접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높은 시공비 상승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KR 20-0403652 (2005.12.06) KR 10-2006-0093624 (2006.08.25)
본 발명의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발포 우레탄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표면에는 목재가 고정되어 단열 및 외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처럼 단열재와 외장재의 기능이 하나의 판재에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단열 및 외장 시공이 간소화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목재는 함수율이 낮은 열처리목으로 구성됨으로써 수분의 침투, 열, 빛에 의한 수축, 팽창, 비틀림과 같은 변형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특히, 목재를 열처리목으로 구성함에 따라 절곡 처리된 강판을 하부 표면재로 활용하고 열처리목을 상부 표면재로 활용하여 그 사이 공간에 우레탄 폼을 주입, 경화시켜 우레탄 폼의 접착성을 활용하여 그 자체로 열처리목에 결합됨으로써 접착제 사용을 배제하여 환경오염 물질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변형 가능성이 높은 목재가 우레탄폼과 일체화될 경우 목재의 변형에 의해 비틀리면서 일체화된 부분이 떨어져 나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목재가 함수율이 낮아 변형이 적은 열처리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우레탄폼과 일체화된 상태에서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켜 우레탄폼과 일체화된 열처리목이 우레탄폼과 잘 분리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 내부에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보강플레이트로 열처리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우레탄폼이 주입되도록 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열처리목, 우레탄폼, 형틀이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보강플레이트를 형틀 내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열처리목을 다양한 두께, 형상으로 배치하여 다양한 외장 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인접한 목재들은 서로 홈과 돌기를 통해 체결 상태를 갖도록 하되, 그 사이에 미세한 틈을 형성하여 우레탄폼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이 틈으로 채워져 인접한 목재들이 가일층 견고하게 고정되고, 틈새가 메워짐으로 인해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보강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열처리목의 설치 및 우레탄 폼의 주입을 선택적으로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환경이나 설계 변경 등의 외부 요인에 따른 열처리목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판(11)을 준비한 후 강판(11)의 둘레를 절곡하여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된 형틀(10)을 성형하는 형틀성형단계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된 보강플레이트(20)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의 상부에,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갖고 함수율이 0.01 ~ 8%인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을 홈(31)과 돌기(32)가 서로 치합되도록 연결시킨 후, 볼트(33)로 상기 보강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되, 서로 결합되는 인접한 열처리목(30)들의 홈(31)과 돌기(32)는 0.01 ~ 3mm 이격된 틈(34)이 단면상에서 전체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플레이트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가 고정된 열처리목(30)들을 개구부(12) 상부에 안착시키되,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열처리목(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열처리목(30)과 형틀(10) 바닥 사이로 충진공간(5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50) 내부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발포시켜, 발포되어 형성된 우레탄층(40)이 열처리목(30) 및 형틀(10)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틈(34)으로 우레탄 폼이 유입되어 인접한 열처리목(30)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우레탄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강판(11)을 준비한 후 강판(11)의 둘레를 절곡하여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된 형틀(10)을 성형하는 형틀성형단계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된 보강플레이트(20)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의 상부에,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갖고 함수율이 0.01 ~ 8%인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을 홈(31)과 돌기(32)가 서로 치합되도록 연결시킨 후, 볼트(33)로 상기 보강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는 보강플레이트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가 고정된 열처리목(30)들을 개구부(12) 상부에 안착시키되,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열처리목(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열처리목(30)과 형틀(10) 바닥 사이로 충진공간(5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50) 내부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발포시켜, 발포되어 형성된 우레탄층(40)이 열처리목(30) 및 형틀(10)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우레탄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발포 우레탄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표면에는 목재가 고정되어 단열 및 외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열재와 외장재의 기능이 하나의 판재에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단열 및 외장 시공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목재는 함수율이 낮은 열처리목으로 구성됨으로써 수분의 침투, 열, 빛에 의한 수축, 팽창, 비틀림과 같은 변형이 최소화된다.
특히, 목재를 열처리목으로 구성함에 따라 절곡 처리된 강판을 하부 표면재로 활용하고 열처리목을 상부 표면재로 활용하여 그 사이 공간에 우레탄 폼을 주입, 경화시켜 우레탄 폼의 접착성을 활용하여 그 자체로 열처리목에 결합됨으로써 접착제 사용을 배제하여 환경오염 물질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변형 가능성이 높은 목재가 우레탄폼과 일체화될 경우 목재의 변형에 의해 비틀리면서 일체화된 부분이 떨어져 나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목재가 함수율이 낮아 변형이 적은 열처리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우레탄폼과 일체화된 상태에서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켜 우레탄폼과 일체화된 열처리목이 우레탄폼과 잘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 내부에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보강플레이트로 열처리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우레탄폼이 주입되도록 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열처리목, 우레탄폼, 형틀이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플레이트를 형틀 내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열처리목을 다양한 두께, 형상으로 배치하여 다양한 외장 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접한 목재들은 서로 홈과 돌기를 통해 체결 상태를 갖도록 하되, 그 사이에 미세한 틈을 형성하여 우레탄폼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이 틈으로 채워져 인접한 목재들이 가일층 견고하게 고정되고, 틈새가 메워짐으로 인해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보강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열처리목의 설치 및 우레탄 폼의 주입을 선택적으로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환경이나 설계 변경 등의 외부 요인에 따른 열처리목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열처리목의 결합 상태에 따른 우레탄 폼의 주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인접한 형틀끼리의 결합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형틀성형단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1)을 준비한 후 강판(11)의 둘레를 절곡하여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된 형틀(10)을 성형한다.
강판(11)은 실리콘 모디파이드 폴리에스터 스틸 시트(Silicon modified polyester steel 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는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좌우 한 쪽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전,후단에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절곡시 도 3,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부(12)와 결합돌기(14) 사이에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피스설치공간(15)이 형성되도록 하여 형틀(10)을 벽체와 같은 구조부재에 피스(60)를 설치할 때, 피스머리가 피스설치공간(1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열처리목(30)의 설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형틀(10)에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됨에 따라 형틀(10)끼리 피스(6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2. 보강플레이트고정단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ㅏ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된 보강플레이트(20)를 준비한다.
더불어,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갖는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을 서로 홈(31)과 돌기(32)가 치합되도록 연결함과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3)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플레이트(20)에 고정시킨다.
보강플레이트(20)는 1.2t 정도의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20)는 열처리목(30)을 고정시켜주는 역할 외에도 우레탄폼이 주입된 후 열처리목(30), 우레탄층(40), 형틀(10)이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해준다.
또, 보강플레이트(20)는 형틀(10) 내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열처리목(30)을 다양한 두께, 형상으로 배치하여 다양한 외장 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처리목은 함수율이 0.01 ~ 8%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목(30)의 함수율이 상기 8%를 초과하게 되면 우레탄층(40)과 열처리목(30)이 일체화된 후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열처리목(30)에 수축, 팽창, 비틀림 요인이 높아지게 되고, 이 결과 우레탄층(40)과 부착되어 있던 열처리목(30)이 우레탄층(40)으로부터 박리되거나, 우레탄층(40) 일부가 함께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높이가 다르게 이루어지거나, 서로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외장 무늬나 모양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치합되는 홈(31)과 돌기(3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0.01 ~ 3mm 이격된 틈(34)이 단면상에서 전체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레탄폼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이 틈(34)으로 채워져 인접한 열처리목(30)들이 가일층 견고하게 고정되고, 틈(34)이 메워짐으로 인해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해준다.
3. 안착단계
상기 보강플레이트(20)가 고정된 열처리목(30)들을 개구부(12)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더불어, 안착된 부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방식을 취하게 되면, 현장에서 본 발명의 형틀을 지면에 수직하도록 세운 상태에서 우레탄폼을 주입할 경우 열처리목(30) 및 보강플레이트(20)가 이탈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현장 시공이 용이해진다.
4. 우레탄주입단계
상기 열처리목(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열처리목(30)과 형틀(10) 바닥 사이로 충진공간(50)을 형성한다.
가압은 공장 제작시에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며, 현장에서는 수작업으로 가압하거나,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용접 고정된 경우 우레탄폼의 발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열처리목(30)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레탄 폼이 발포되어 형성된 우레탄층(40)이 열처리목(30) 및 형틀(10)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틈(34)으로 우레탄 폼이 유입되어 인접한 열처리목(30)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외장을 열처리목(30)으로 구성하고, 강판(11)이 절곡 처리되어 형성된 형틀(10)을 하부 표면재로 구성되고, 그 사이 공간에 우레탄 폼을 주입, 경화시킴에 따라 우레탄 폼의 접착성을 활용하여 그 자체로 열처리목(30)에 결합됨으로써 접착제 사용을 배제하여 환경오염 물질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보강플레이트(20)와 형틀(10) 사이의 고정 여부에 따라 전체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우레탄폼의 주입, 열처리목의 고정 작업이 선택적으로 현장에서 순서가 전환된 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선택적인 현장 제조가 이루어질 경우 다양한 현장 환경이나 설계 변경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열처리목(30)의 배치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우드 판넬은, 둘레가 절곡되어 있고,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형틀(10), 상기 형틀(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21)는 형틀(10) 바닥면에 지지되는 보강플레이트(20)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형틀(10)의 개구부(12)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양단에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가져 서로 연결 상태를 가진 채 설치되어 있으며, 함수율이 0.01 ~ 8%인 복수의 열처리목(30)과, 상기 열처리목(30)과 형틀(10) 내부 공간 사이에 충진되어 열처리목(30), 보강플레이트(20) 및 형틀(10)과 일체화된 우레탄층(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우레탄 우드 판넬은 발포 우레탄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표면에는 열처리목(30)이 고정되어 단열 및 외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열재와 외장재의 기능이 하나의 판재에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단열 및 외장 시공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함수율이 낮은 열처리목이 외장재 역할을 함에 따라 수분의 침투, 열, 빛에 의한 수축, 팽창, 비틀림과 같은 변형이 최소화된다.
특히, 함수율이 낮아 변형성이 작은 열처리목(30)이 우레탄층(40)과 일체화됨에 따라 우레탄층(40)과 일체화된 상태에서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켜 우레탄층(40)과 일체화된 열처리목(30)이 우레탄층(40)으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는, 변형 가능성이 높은 목재가 우레탄폼과 일체화될 경우 목재의 변형에 의해 비틀리면서 일체화된 부분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과 차별된다.
10 : 형틀 11 : 강판
12 : 개구부 13 : 결합홈
14 : 결합돌기 20 : 보강플레이트
21 : 절곡부 30 : 열처리목
31 : 홈 32 : 돌기
33 : 볼트 34 : 틈
40 : 우레탄층 50 : 충진공간
60 : 피스

Claims (2)

  1.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강판(11)을 준비한 후 강판(11)의 둘레를 절곡하여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된 형틀(10)을 성형하는 형틀성형단계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된 보강플레이트(20)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의 상부에,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갖고 함수율이 0.01 ~ 8%인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을 홈(31)과 돌기(32)가 서로 치합되도록 연결시킨 후, 볼트(33)로 상기 보강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되, 서로 결합되는 인접한 열처리목(30)들의 홈(31)과 돌기(32)는 0.01 ~ 3mm 이격된 틈(34)이 단면상에서 전체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플레이트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가 고정된 열처리목(30)들을 개구부(12) 상부에 안착시키되,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열처리목(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열처리목(30)과 형틀(10) 바닥 사이로 충진공간(5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50) 내부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발포시켜, 발포되어 형성된 우레탄층(40)이 열처리목(30) 및 형틀(10)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틈(34)으로 우레탄 폼이 유입되어 인접한 열처리목(30)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우레탄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2.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강판(11)을 준비한 후 강판(11)의 둘레를 절곡하여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결합홈(13)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된 형틀(10)을 성형하는 형틀성형단계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21)가 형성된 보강플레이트(20)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의 상부에, 양단에 서로 치합 가능한 한 쌍의 홈(31)과 돌기(32)를 갖고 함수율이 0.01 ~ 8%인 복수의 열처리목(30)들을 홈(31)과 돌기(32)가 서로 치합되도록 연결시킨 후, 볼트(33)로 상기 보강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는 보강플레이트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가 고정된 열처리목(30)들을 개구부(12) 상부에 안착시키되, 절곡부(21) 하단이 형틀(10) 하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열처리목(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열처리목(30)과 형틀(10) 바닥 사이로 충진공간(5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50) 내부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발포시켜, 발포되어 형성된 우레탄층(40)이 열처리목(30) 및 형틀(10)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우레탄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KR1020150094797A 2015-07-02 2015-07-02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KR10180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97A KR101802328B1 (ko) 2015-07-02 2015-07-02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97A KR101802328B1 (ko) 2015-07-02 2015-07-02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44A true KR20170004444A (ko) 2017-01-11
KR101802328B1 KR101802328B1 (ko) 2017-11-29

Family

ID=5783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797A KR101802328B1 (ko) 2015-07-02 2015-07-02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71A (zh) * 2017-12-01 2018-06-15 太原双鼎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结构板
CN110607883A (zh) * 2019-02-19 2019-12-24 宁夏浩鑫塑钢科技有限公司 一种竹木纤维集成墙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922B1 (ko) 2021-06-10 2021-12-01 민은숙 건축용 내외장재패널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419636B1 (ko) * 2022-01-17 2022-07-11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대리석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52Y1 (ko) 2005-09-15 2005-12-12 (주)영공 우레탄 판넬
KR20060093624A (ko) 2005-02-22 2006-08-25 이필우 인테리어용 우드 루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624A (ko) 2005-02-22 2006-08-25 이필우 인테리어용 우드 루바 및 그 제조방법
KR200403652Y1 (ko) 2005-09-15 2005-12-12 (주)영공 우레탄 판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71A (zh) * 2017-12-01 2018-06-15 太原双鼎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结构板
CN108166671B (zh) * 2017-12-01 2020-06-12 中建科技荆门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结构板
CN110607883A (zh) * 2019-02-19 2019-12-24 宁夏浩鑫塑钢科技有限公司 一种竹木纤维集成墙板
CN110607883B (zh) * 2019-02-19 2021-08-13 宁夏浩鑫塑钢科技有限公司 一种竹木纤维集成墙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328B1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328B1 (ko) 우레탄 우드 판넬의 제조 방법
KR100936934B1 (ko)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3518103B (zh) 反射元件及其制造方法和系统
WO2007062092A2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KR20110099689A (ko) 접착된 복합 플라스틱 부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품
KR101153303B1 (ko) 인서트와 이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20050118987A (ko) 도어
CN108474234A (zh) 隔热玻璃单元及其生产方法
KR100751548B1 (ko) 도어 및 도어세트
JP2014210401A (ja) 曲面パネルの製造方法、曲面パネル及びドア装置
JP6362563B2 (ja) 金属屋根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屋根葺き構造及び屋根葺き方法
JP2927730B2 (ja) 建築構造用ガラスウ−ル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17093A (ja) 断熱パネル
CN102862340A (zh) 预应力复合玻璃板及其生产工艺
WO2021093272A1 (zh) 一种预应力高强度胶合板及其制造方法
JP4442540B2 (ja) 木造軸組耐力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30030963A (ko) 커튼월용 백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12185B (zh) 用于制造框架构件的方法、框架构件、框架结构以及框架构件的使用
KR100757084B1 (ko) 고강도 고단열 frp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27395B1 (ko) 물탱크용 단위패널 제조방법
KR101243365B1 (ko) 구조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CN202810117U (zh) 木质复合蜂窝板材
KR20040107773A (ko) 알루미늄박 또는 은박 필름, 폴리 에틸렌 발포체, 섬유,직포 및 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5978B1 (ko) 알루미늄 장식 바 및 그 제조방법
KR200403652Y1 (ko) 우레탄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