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812B1 -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812B1
KR101205812B1 KR1020110074010A KR20110074010A KR101205812B1 KR 101205812 B1 KR101205812 B1 KR 101205812B1 KR 1020110074010 A KR1020110074010 A KR 1020110074010A KR 20110074010 A KR20110074010 A KR 20110074010A KR 101205812 B1 KR101205812 B1 KR 10120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wich panel
core
core material
resin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박영하
이상진
박승현
박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주식회사 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주식회사 오코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7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Sewing,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심재조각 각각이 유리섬유(glass fabric)에 의해 래핑(wrapping)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을 유리섬유(glass fabric)로 스티칭(stitching)하여 구성되는 심재; 상기 심재의 상,하부면에 위치되는 면재; 및 상기 심재의 측면부에 위치되는 엣지블럭(edge block);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일방향 보강이 아닌, 길이 및 폭방향으로 보강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좌굴이나 휨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단계(S1);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금형에 제 1면재를 적층하는 제 1면재 적층단계(S2); 상기 적층된 제 1면재의 상부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심재 적층단계(S3); 상기 적층된 심재의 상부면에 제 2면재를 적층하는 제 2면재 적층단계(S4); 상기 적층된 제 2면재의 상부면에 베이깅필름(bagging film)을 감싸고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sealing)하는 밀봉단계(S5); 및 상기 베이깅필름의 내부로 합성수지를 진공주입하는 합성수지 주입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래핑 및 스티칭 부분에 수지가 함침되어 경화됨으로써 더욱 단단한 보강구조가 만들어지며, 이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성능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SANDWI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위치 패널의 좌굴(buckling)이나 휨(bending)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성능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각종 차량의 바닥판은 내수성, 내화염성 등으로 인한 부식 및 이로 인한 강도 저하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써,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37440호에는 보강재와 발포금속을 적용한 철도차량의 출입문 및 바닥판 제조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37440호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0), 상기 심재(10)의 상, 하면에 접착된 제 1, 2 표피재(21)(22), 상기 심재(10)와 제 1, 2 표피재(21)(22)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 1, 2 접착시트(31)(32) 및 강도 보강 또는 연결부위의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보강재(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심재(10)는 차음 및 흡음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경량화할 수 있도록 용융된 금속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발포금속을 적용하는데, 금속으로는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2 표피재(21)(22)는 심재(10)의 상, 하면에 부착되어 패널의 표피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강섬유에 수지가 함침되어 반 경화상태로 제작되는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일정 두께로 성형시킨 라미네이트 시트나, 알루미늄 시트 또는 스테인레스 시트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사용되는 보강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또는 폴리에 스테르 섬유를 적용하며, 수지로는 페놀릭,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플로로에틸렌 등과 같은 열경화성수지를 적용한다.
한편, 심재(10)의 양면에 부착되는 제 1, 2 표피재(21)(22)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여 일면에 부착되는 제 1 표피재(21)는 라미네이트를 적용하고 다른 일면에 부착되는 제 2 표피재(22)는 스테인레스 시트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되, 제 1, 2 접착시트(31)(32)로는 110℃ 이상의 고온에서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지속하면 경화반응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는 에폭시,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등의 접착필름이나 접착수지를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재(40)는 발포금속으로 이루어진 심재(10)의 강도확보를 위한 용도뿐 아니라 여러 가지 부속품들이 조립되거나 모서리의 마감처리 용도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스틸이나 스테인레스 재질의 프레임 또는 알루미늄 압출바 등이 적용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은 일방향 보강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이 대형화될 경우, 그 강성이 매우 취약해져 유연한 구조가 되며, 이로 인해 좌굴(buckling)이나 휨(bend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이나 강재 프레임과 같은 보강재를 계속 추가하여 늘릴 경우, 리벳팅(riveting)과 같은 다수의 접합 작업이 요구되어 생산효율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그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7440호 "보강재와 발포금속을 적용한 철도차량의 출입문 및 바닥판제조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재를 일정단위로 절단하여 심재조각을 제작하고, 각각의 심재조각을 유리섬유(glass fabric)로 래핑(wrapping)하면서 연결하며,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을 다시 유리섬유(glass fabric)로 스티칭(stitching)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일방향 보강이 아닌, 길이 및 폭방향으로 보강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좌굴이나 휨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심재를 상,하부 면재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이깅 필름(bagging film)과 실란트(sealant)를 이용하여 실링(sealing)하고 수지를 진공주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래핑 및 스티칭 부분에 수지가 함침되어 경화됨으로써 더욱 단단한 보강구조가 만들어지며, 이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성능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심재조각 각각이 유리섬유(glass fabric)에 의해 래핑(wrapping)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을 유리섬유(glass fabric)로 스티칭(stitching)하여 구성되는 심재; 상기 심재의 상,하부면에 위치되는 면재; 및 상기 심재의 측면부에 위치되는 엣지블럭(edge block);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심재는, 제 1심재의 상부에 제 2심재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심재는 제 1심재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제 1심재를 90°로 회전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스티칭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심재는, 길이방향으로 라미네이트 보강물이 삽입되고, 폭방향으로 스티칭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심재는, 제 1심재유닛 및 제 2심재유닛이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 2심재유닛은 제 1심재유닛을 90°로 회전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심재조각 각각을 래핑하는 유리섬유는, 요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래핑하되, 상기 요철부의 형성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함몰부에 상기 심재조각 각각을 수용하는 형태로 래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심재조각은, PVC(polyvinyl chlorid) 폼(form), PMI(Polymethacrylimide) 폼, 발사목(balsa wood) 또는 우레탄(urethane)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재는, 2축 또는 4축 직조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엣지블럭은, 알루미늄 압출재 또는 인발 성형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솔리드 라미네이트(solid lamin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 보강물은, 유리섬유촙(Glass fiber chop)/페놀(Phenol) 수지, 유리섬유/페놀 수지, 유리섬유촙/에폭시(Epoxy) 수지, 유리섬유/에폭시 수지, 유리섬유촙/UP(unsaturated polyester) 수지 또는 유리섬유/UP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단계(S1);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금형에 제 1면재를 적층하는 제 1면재 적층단계(S2); 상기 적층된 제 1면재의 상부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심재 적층단계(S3); 상기 적층된 심재의 상부면에 제 2면재를 적층하는 제 2면재 적층단계(S4); 상기 적층된 제 2면재의 상부면에 베이깅필름(bagging film)을 감싸고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sealing)하는 밀봉단계(S5); 및 상기 베이깅필름의 내부로 합성수지를 진공주입하는 합성수지 주입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는, 에폭시(epoxy)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비닐에스테르(vinylester)수지 또는 페놀수지(phenolic resin)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를 일정단위로 절단하여 심재조각을 제작하고, 각각의 심재조각을 유리섬유(glass fabric)로 래핑(wrapping)하면서 연결하며,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을 다시 유리섬유(glass fabric)로 스티칭(stitching)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일방향 보강이 아닌, 길이 및 폭방향으로 보강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좌굴이나 휨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심재를 상,하부 면재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이깅 필름(bagging film)과 실란트(sealant)를 이용하여 실링(sealing)하고 수지를 진공주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래핑 및 스티칭 부분에 수지가 함침되어 경화됨으로써 더욱 단단한 보강구조가 만들어지며, 이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성능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은 심재(10), 면재(20) 및 엣지블럭(edge block)(30)을 포함하여 샌드위치 패널(100)을 구성한다.
상기 심재(10)는 본 발명의 주 특징부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조각(10a) 각각이 유리섬유(glass fabric)(G)에 의해 래핑(wrapping)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10a)을 유리섬유(G)로 스티칭(stitching)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심재조각(10a) 각각을 래핑하는 유리섬유(G)는 다양한 형태로 래핑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써 요철부(g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래핑하되, 상기 요철부(g1)의 형성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함몰부(g2)에 상기 심재조각(10a) 각각을 수용하는 형태로 래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심재조각(10a)은,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PVC(polyvinyl chlorid) 폼(form), PMI(Polymethacrylimide) 폼, 발사목(balsa wood) 또는 우레탄(urethane) 폼을 적용하였다.
상기 면재(20)는, 상기 심재(10)의 상,하부면에 위치되어 샌드위치 패널(100)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것으로,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축 또는 4축 직조된 유리섬유를 적용하였다.
한편, 상기 엣지블럭은, 상기 심재(10)의 측면부에 위치되어 심재(10)의 강도보완 및 타 부재와의 결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압출재 또는 인발 성형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솔리드 라미네이트(solid laminate)를 적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로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심재조각(10a) 각각이 유리섬유(G)에 의해 래핑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10a)을 유리섬유(G)로 스티칭하여 구성된 제 1심재(10b)와 제 2심재(10c)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2심재(10c)는 제 1심재(10b)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제 1심재(10b)를 90°로 회전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하고 스티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심재조각(10a) 각각이 유리섬유(G)에 의해 래핑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10a)을 유리섬유(G)로 스티칭하여 구성된 심재(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그 사이에 라미네이트 보강물(10d)을 삽입하고, 폭방향으로 다시 스티칭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트 보강물은,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리섬유촙(Glass fiber chop)/페놀(Phenol) 수지, 유리섬유/페놀 수지, 유리섬유촙/에폭시(Epoxy) 수지, 유리섬유/에폭시 수지, 유리섬유촙/UP(unsaturated polyester) 수지 또는 유리섬유/UP 수지를 적용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심재조각(10a) 각각이 유리섬유(G)에 의해 래핑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10a)을 유리섬유(G)로 스티칭하여 구성된 제 1심재유닛(10e) 및 제 2심재유닛(10f)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태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심재유닛(10f)은 제 1심재유닛(10e)을 90°로 회전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실시예에 따른 심재(10)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100)의 일방향 보강이 아닌, 길이 및 폭방향으로 보강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샌드위치 패널(100)의 좌굴이나 휨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써, 본 발명은 도포단계(S1), 제 1면재 적층단계(S2), 심재 적층단계(S3), 제 2면재 적층단계(S4), 밀봉단계(S5) 및 합성수지 주입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포단계(S1)는,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로써, 상기 이형제는 통상적으로 탈형 작업시 성형품이 금형으로부터 쉽게 탈형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이형제 화합물인 프리코트(Frekote) 700NC(지우교역)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형제의 종류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 1면재 적층단계(S2)는,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금형에 제 1면재를 적층하는 단계로써,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 용도 등에 따라 1 플라이(ply)~ 복수의 플라이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면재는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축 또는 4축 직조된 유리섬유를 적용하였다.
상기 심재 적층단계(S3)는, 상기 적층된 제 1면재의 상부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단계로써, 심재는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의 각 실시예에 따른 심재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심재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소재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제 2면재 적층단계(S4)는 상기 적층된 심재의 상부면에 제 2면재를 적층하는 단계로써, 상기 제 1면재와 마찬가지로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 용도 등에 따라 1 플라이(ply)~ 복수의 플라이로 적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축 또는 4축 직조된 유리섬유를 적용하였다.
상기 밀봉단계(S5)는, 상기 적층된 제 2면재의 상부면에 베이깅필름(bagging film)을 감싸고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sealing)하는 단계로써, 후술되어질 합성수지 주입단계(S6)를 위한 전처리단계이다.
상기 합성수지 주입단계(S6)는, 상기와 같이 밀봉된 베이깅필름의 내부에 위치한 심재에 합성수지를 진공주입하는 단계로써, 실링 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722 ~ -798 mmHg 진공압으로 진공을 시킨 상태에서 합성수지를 주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는,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에폭시(epoxy)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비닐에스테르(vinylester)수지 또는 페놀수지(phenolic resin)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 주입단계(S6) 후에는 샌드위치 패널을 정해진 형상으로 트리밍하는 마무리공정 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트리밍 공정은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심재를 상,하부 면재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이깅 필름과 실란트를 이용하여 실링하고 수지를 진공주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래핑 및 스티칭 부분(도 2 내지 5 참조)에 수지가 함침되어 경화됨으로써 더욱 단단한 보강구조가 만들어지며, 이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성능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샌드위치 패널 10 : 심재
20 : 면재 30 : 엣지블럭
10a : 심재조각 G : 유리섬유
g1 : 요철부 g2 : 함몰부
10b : 제 1심재 10c : 제 2심재
10d : 라미네이트 보강물 10e : 제 1심재유닛
10f : 제 2심재유닛

Claims (11)

  1.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심재조각 각각이 유리섬유(glass fabric)에 의해 래핑(wrapping)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각 심재조각을 유리섬유(glass fabric)로 스티칭(stitching)하여 구성되는 심재;
    상기 심재의 상,하부면에 위치되는 면재; 및
    상기 심재의 측면부에 위치되는 엣지블럭(edge block);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제 1심재의 상부에 제 2심재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심재는 제 1심재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제 1심재를 90°로 회전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스티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길이방향으로 라미네이트 보강물이 삽입되고,
    폭방향으로 스티칭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제 1심재유닛 및 제 2심재유닛이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 2심재유닛은 제 1심재유닛을 90°로 회전시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조각 각각을 래핑하는 유리섬유는,
    요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래핑하되,
    상기 요철부의 형성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함몰부에 상기 심재조각 각각을 수용하는 형태로 래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조각은,
    PVC(polyvinyl chlorid) 폼(form), PMI(Polymethacrylimide) 폼, 발사목(balsa wood) 또는 우레탄(urethane)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는,
    2축 또는 4축 직조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블럭은,
    알루미늄 압출재 또는 인발 성형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솔리드 라미네이트(solid lamina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보강물은,
    유리섬유촙(Glass fiber chop)/페놀(Phenol) 수지, 유리섬유/페놀 수지, 유리섬유촙/에폭시(Epoxy) 수지, 유리섬유/에폭시 수지, 유리섬유촙/UP(unsaturated polyester) 수지 또는 유리섬유/UP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10.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단계(S1);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금형에 제 1면재를 적층하는 제 1면재 적층단계(S2);
    상기 적층된 제 1면재의 상부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심재 적층단계(S3);
    상기 적층된 심재의 상부면에 제 2면재를 적층하는 제 2면재 적층단계(S4);
    상기 적층된 제 2면재의 상부면에 베이깅필름(bagging film)을 감싸고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sealing)하는 밀봉단계(S5); 및
    상기 베이깅필름의 내부로 합성수지를 진공주입하는 합성수지 주입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에폭시(epoxy)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수지, 비닐에스테르(vinylester)수지 또는 페놀수지(phenolic resin)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10074010A 2011-07-26 2011-07-26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10A KR101205812B1 (ko) 2011-07-26 2011-07-26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10A KR101205812B1 (ko) 2011-07-26 2011-07-26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812B1 true KR101205812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10A KR101205812B1 (ko) 2011-07-26 2011-07-26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98B1 (ko) 2016-08-09 2017-03-22 이재규 샌드위치패널 제조방법
WO2017200190A1 (ko) * 2016-05-16 2017-11-23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459B1 (ko) 2000-01-19 2003-01-14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페놀 폼 샌드위치 패널
JP2003227594A (ja) 2002-02-05 2003-08-15 Hitachi Ltd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459B1 (ko) 2000-01-19 2003-01-14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페놀 폼 샌드위치 패널
JP2003227594A (ja) 2002-02-05 2003-08-15 Hitachi Ltd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90A1 (ko) * 2016-05-16 2017-11-23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8698B1 (ko) 2016-08-09 2017-03-22 이재규 샌드위치패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307B2 (en)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US7419713B2 (en) Composite component
KR10183230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백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1873B1 (ko)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56379A1 (en) Composite panels
US20230398772A1 (en) High-strength low-heat release composites
KR101365961B1 (ko) 연속섬유를 포함한 박판형 열가소성 복합소재로 제조된 차량용 언더바디
KR101205812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37440B1 (ko) 보강재와 발포금속을 적용한 철도차량의 출입문 및 바닥판제조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39743B1 (ko)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와 폼코어를 이용한 자동차 루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5450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복합재료 판재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거푸집
KR20040050006A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 샌드위치 복합재 판넬 및 이의제조방법
JP4658620B2 (ja) 構造部材、構造部材の形成方法
KR101819050B1 (ko) 자동차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JP2013043446A (ja) 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ハニカムパネル
JP4015584B2 (ja) ド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80124B1 (ko) 거푸집 및 거푸집용 프레임의 프로파일
JP2011104862A (ja) Frp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frp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101157424B1 (ko) 곡면 허니컴 패널의 제조방법
CN110944833A (zh) 由层压层覆盖的聚碳酸酯多壁片材制成的复合面板
JP2019077061A (ja) 樹脂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72891A (ja) 樹脂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08019A (ko) 에프알피 샌드위치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N117141012B (zh) 一种泡沫材料增强方法
US11313124B2 (en) Composite structure joining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