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93U -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 Google Patents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93U
KR20170004393U KR2020160003460U KR20160003460U KR20170004393U KR 20170004393 U KR20170004393 U KR 20170004393U KR 2020160003460 U KR2020160003460 U KR 2020160003460U KR 20160003460 U KR20160003460 U KR 20160003460U KR 20170004393 U KR20170004393 U KR 201700043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ough
outlet
shaft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4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6178Y1 (en
Inventor
정효환
정명종
Original Assignee
에스피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피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3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178Y1/en
Publication of KR20170004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9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6Extruding machines for making toroid-shaped products, e.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반죽 성형 장치의 플런저는 상면에 반죽이 투입되는 입구 및 측면에 상기 반축이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의 헤드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에 끼워져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을 공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는 다양한 모양의 반죽을 성형하기 위해 다른 모양의 출구를 갖는 헤드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The plunger of the dough molding apparatus comprises a hollow cylindrical hea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dough is injected into the top surfac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emi-axes are discharged, a first shaft fixed to the head through the inlet, And a second shaft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the plate being adap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axis to supply the dough to an inlet of the head. Thus, the plunger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head having a different shaped outlet for forming dough of various shapes.

Description

플런저 및 이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nger,

본 고안은 플런저 및 이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죽을 가압하여 공급하기 위한 플런저 및 이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nger and a dough molding apparatus having the plu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nger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dough and a dough molding apparatus having the plunger.

일반적으로, 도넛이나 추로스(churros) 등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죽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후 기름에 튀기거나 굽게 된다. Generally, in order to produce a product such as a donut or a churros, the dough is shaped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fried or bent in oil.

이때, 상기 제품의 형태로 인해 상기 반죽의 성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제품의 대량 생산이 어렵고, 또한, 상기 제품에 대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the shape of the product, the molding of the dough is often performed manually. Therefore, the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is difficult,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may be deteriorated.

본 고안은 제품 생산을 위한 반죽의 성형을 자동 및 대량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플런저를 제공한다. The design provides a plunger that can automatically and massively mold the dough for product production.

본 고안은 상기 플런저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gh molding apparatus having the plunger.

본 고안에 따른 플런저는 상면에 반죽이 투입되는 입구 및 측면에 상기 반축이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의 헤드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에 끼워져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을 공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cylindrical hea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dough is injected into the upper surfac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emi-axes are discharged, a first shaft fixed to the head through the inlet, And a second shaft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the plate being adap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axis to supply the dough to an inlet of the head.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반죽의 모양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출구의 형상이 다른 헤드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축은 상기 헤드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aft can be screwed to the head such that the shape of the outle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head to change the shape of the dough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head.

본 고안에 따른 반죽 성형 장치는 반죽을 수용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를 갖는 호퍼와, 상면에 반죽이 투입되는 입구 및 측면에 상기 반축이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호퍼의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의 헤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끼워져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을 공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플런저 및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이 공급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절단되도록 상기 플런저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dough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having a hollow body portion open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 receive a dough and a cylindrical guide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hollow cylindrical head having an outlet to be discharged and inserted into a guide portion of the hopper, a first shaft fixed to the head through the inlet, a second shaft inserted in the first shaft, A plunger including a plate for supplying the dough to an inlet of the head and a second shaft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plung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guide, the dough being supplied to an inlet of the head, And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is received by the guide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lifting the plunger to be cut by the uni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고,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절단되도록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하도록 상기 제1 축을 승강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헤드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상기 반죽이 배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축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헤드가 상승할 때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헤드와 같이 상승하도록 상기 제2 축을 승강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 descends along the guide unit so that the outlet of the h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is cut by the guide unit A first driving part for lifting the first shaft such that the head rises along the guide part and a second driving part for lifting the plate along the first axis so that the dough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when the outlet of the h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driving part for lifting the second shaft such that the plate rises like the head when the head rises.

본 고안에 따른 플런저는 헤드에 대해 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헤드의 입구로 투입된 반죽이 출구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성형되어 상기 출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의 성형이 용이하다.The plu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pl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ead so that the dough put into the inlet of the head is shaped like the shape of the outle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Therefore, it is easy to mold the dough.

또한, 상기 헤드가 제1 축과 나사 체결되므로, 상기 헤드를 상기 출구의 형상이 다른 헤드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반죽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head is screwed with the first shaft, the head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head having a different shape of the outlet. Therefore, the shape of the dough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head can be changed.

본 고안에 따른 반죽 성형 장치는 상기 플런저의 헤드가 호퍼의 가이드부 하방으로 돌출될 때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이 공급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 성형 장치는 상기 반죽의 성형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상기 성형된 반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of the plunger protrudes below the guide portion of the hopper, the dough is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hea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When the head is received in the guide portion,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is cut by the guide portion. Accordingly, the dough molding apparatus automatically performs the molding of the dough and can produce the molded dough in a large quantit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런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반죽 성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1 is an exploded side view illustrating a plu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lunger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ough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kneading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및 이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plu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ugh molding apparatus having the plung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런저의 측면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side view for explaining a plu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lunger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런저(100)는 헤드(110), 제1 축(120), 플레이트(130) 및 제2 축(1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lunger 100 includes a head 110, a first shaft 120, a plate 130, and a second shaft 140.

헤드(110)는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태를 갖는다. 헤드(110)는 반죽이 투입되는 입구(112) 및 상기 반죽이 배출되는 출구(114)를 갖는다.The head 110 has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head 110 has an inlet 112 into which the dough is put and an outlet 114 through which the dough is discharged.

입구(112)는 헤드(110)의 상면에 위치한다. 헤드(110)는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이 입구(112)를 형성할 수 있다. The inlet 112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ead 110. The head 110 may be open at its top surface and the open top surface may form an inlet 112.

출구(114)는 헤드(110)의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반죽이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면서 출구(114)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은 상기 출구(114)의 모양에 따라 성형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The outlet 114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head 110. The dough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and shap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outlet 114. Therefore, the shape of the dough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utlet 114.

제1 축(120)은 입구(112)를 통해 헤드(110)와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축(120)의 승강에 따라 헤드(110)도 승강할 수 있다. 이때, 헤드(110)와 제1 축(120)은 헤드(1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shaft 120 is secured to the head 110 through an inlet 112. Therefore, the head 110 can also move up and down along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shaft 120. At this time, the head 110 and the first shaft 120 can be fastened so that the head 110 can be replaced.

예를 들면, 제1 축(120)은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22)를 가지며, 나사부(122)가 헤드(110)를 관통하면서 헤드(11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haft 120 has a threaded portion 122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the threaded portion 122 can be screwed to the head 110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d 110.

제1 축(120)은 걸림턱(124)을 갖는다. 제1 축(120)에 헤드(110)와 나사 체결될 때 걸림턱(124)은 헤드(110)의 내부 저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걸림턱(124)은 제1 축(120)이 헤드(110)와 나사 체결되는 깊이를 한정한다. The first shaft 120 has an engagement jaw 124. When the head 110 is screwed to the first shaft 120, the engaging jaws 124 contact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ead 110. Thus, the locking jaw 124 defines the depth at which the first shaft 120 is screwed into the head 110. [

제1 축(120)이 헤드(110)와 나사 체결되고, 헤드(110)의 하방으로 돌출된 나사부(122)에 너트(126)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축(120)과 헤드(110)의 체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진동 등에 의해 제1 축(120)이 헤드(1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너트(126)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first shaft 120 is screwed to the head 110 and the nut 126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12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head 110. [ Therefore, the fastening between the first shaft 120 and the head 110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first shaft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ead 110 by vibration or the like. In some cases, the nut 126 may not be provided.

상기에서는 제1 축(120)이 헤드(110)와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shaft 120 is screwed to the head 110,

헤드(110)의 교체가 가능하다면 헤드(110)와 제1 축(120)의 체결 수단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f the head 110 can be replaced, the fastening means of the head 110 and the first shaft 120 can take various forms.

헤드(110)와 제1축(120)의 고정을 해제하여 헤드(110)를 출구(114)의 형상이 다른 헤드(11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10)의 출구(114)로부터 배출되는 반죽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head 110 to the head 110 having the different shape of the outlet 114 by releasing the fixing of the head 110 and the first shaft 120. Therefore, the shape of the dough discharged from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can be changed.

플레이트(130)는 대략 원판 형태이며, 중앙에 관통홀(132)을 갖는다. 플레이트(130)의 관통홀(132)에 제1 축(120)이 끼워진다. 플레이트(130)는 제1 축(120)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헤드(110)를 향해 하강하면서 상기 반죽을 가압한다. 플레이트(12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반죽은 헤드(110)의 입구(112)로 공급되며, 헤드(110)의 출구(114)로 배출된다. The plate 130 has a substantially disc shape and has a through hole 132 at the center. The first shaft 120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32 of the plate 130. The plate 130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axis 120. The plate 120 presses down the dough as it descends toward the head 11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late 120, the dough is supplied to the inlet 112 of the head 110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플레이트(130)의 지름은 헤드(110)의 바깥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헤드(110)의 안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plate 13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side diameter of the head 110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side diameter of the head 110.

플레이트(130)의 지름이 헤드(110)의 바깥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플레이트(120)는 제1 축(120)을 따라 헤드(110)의 상면까지만 하강할 수 있다. 플레이트(130)의 지름이 헤드(110)의 안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플레이트(120)는 제1 축(120)을 따라 헤드(110)의 내부까지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diameter of the plate 13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110, the plate 120 may descend only up to the top surface of the head 110 along the first axis 120. When the diameter of the plate 13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ead 110, the plate 120 may descend along the first axis 120 to the inside of the head 110.

제2 축(140)은 플레이트(13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제2 축(140)은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플레이트(130)와 용접되거나, 플레이트(13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제2 축(140)의 승강에 따라 플레이트(130)도 승강할 수 있다. The second shaft 1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30. For example, the second shaft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130, welded to the plate 130, or screwed to the plate 130. As the second shaft 140 moves up and down, the plate 130 can also move up and down.

플런저(100)는 헤드(110)에 대해 플레이트(13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헤드(110)의 입구(112)로 투입된 상기 반죽이 출구(114)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성형되어 출구(114)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의 성형이 용이하다.The plunger 100 moves the plate 13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ead 110 so that the dough put into the inlet 112 of the head 110 is shap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outlet 114, . Therefore, it is easy to mold the dough.

또한, 헤드(110)가 제1 축(120)과 나사 체결되므로, 헤드(110)를 출구(114)의 형상이 다른 헤드(11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10)에서 성형되는 반죽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d 110 is screwed to the first shaft 120, the head 110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head 110 having a different shape of the outlet 114.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dough to be molded in the plunger 110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반죽 성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FIG.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ough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ugh mold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반죽 성형 장치(200)는 호퍼(210), 플런저(100) 및 구동부(220)를 포함한다.3 to 5, the dough mol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hopper 210, a plunger 100, and a driving unit 220.

호퍼(210)는 몸체부(212) 및 가이드부(214)를 포함한다.The hopper 210 includes a body portion 212 and a guide portion 214.

몸체부(212)는 상방이 개방된 중공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면, 몸체부(212)는 대략 사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212)는 개방된 상방을 통해 반죽을 수용한다. The body portion 212 has a hollow shape with an open top.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212 may have a substantially bowl shape. The body portion 212 receives the dough through the open upper side.

가이드부(214)는 대략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몸체부(212)의 하부면에 연결된다. 가이드부(214)의 안지름은 플런저(100)의 헤드(110)의 바깥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214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2.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214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110 of the plunger 100.

몸체부(212)가 대략 사발 형태를 가지며, 가이드부(214)가 원통 형태를 가지므로, 호퍼(210)는 대략 깔대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Since the body portion 212 has a substantially bowl shape and the guide portion 214 has a cylindrical shape, the hopper 210 may have a roughly funnel shape.

플런저(100)는 헤드(110), 제1 축(120), 플레이트(130) 및 제2 축(140)을 포함한다. 플런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플런저(10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The plunger 100 includes a head 110, a first shaft 120, a plate 130, and a second shaft 14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lunger 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plunger 100 with reference to FIGS.

플런저(100)는 헤드(110)가 가이드부(214)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부(214)의 안지름은 플런저(100)의 헤드(110)의 바깥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가이드부(214)와 헤드(110) 사이를 통해 상기 반죽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죽의 누설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214)와 헤드(110) 사이에 실링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plunger 100 is disposed such that the head 1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14. [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214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110 of the plung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ugh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guide portion 214 and the head 110 have.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guide part 214 and the head 110 to prevent the dough from leaking more stably.

구동부(220)는 플런저(100)를 승강시킴으로써, 헤드(110)가 가이드부(214)의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헤드(110)의 입구(112)로 상기 반죽이 공급되어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헤드(110)가 가이드부(214)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헤드(110)의 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가이드부(214)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다. The driving unit 220 moves up and down the plunger 100 so that the head 110 protrudes below the guide unit 214 and the dough is supplied to the inlet 112 of the head 110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So that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is cut by the guide portion 214 while the head 110 is received in the guide portion 214. [

구체적으로, 구동부(220)는 제1 구동부(222) 및 제2 구동부(22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220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222 and a second driving unit 224.

제1 구동부(222)는 제1 축(120)과 연결되며 제1 축(120)을 승강시킴으로써 제1 축(120)에 고정된 헤드(110)를 승강시킨다. The first driving part 222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20 and lifts the first shaft 120 to move the head 110 fixed to the first shaft 120.

제2 구동부(224)는 제2 축(140)과 연결되며 제2 축(140)을 승강시킴으로써 제2 축(140)에 고정된 플레이트(130)를 승강시킨다. The second driving part 2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140 and lifts the second shaft 140 to move the plate 130 fixed to the second shaft 140.

제1 구동부(222)의 구동에 의해 헤드(110)가 가이드부(214)를 따라 하강하여 헤드(110)의 출구(114)가 외부로 노출된다. The head 110 is lowered along the guide part 214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part 222 and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2 구동부(224)의 구동에 의해 플레이트(130)가 제1 축(120)을 따라 하강하여 헤드(110)의 출구(114)가 외부로 노출될 때 헤드(110)의 출구(114)를 통해 상기 반죽이 배출된다. When the plate 130 descends along the first axis 120 and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unit 224, Thereby discharging the dough.

또한, 제1 구동부(222)의 구동에 의해 헤드(110)가 가이드부(214)를 따라 상승하면서 헤드(110)의 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가이드부(214)에 의해 절단된다.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is cut by the guide portion 214 while the head 110 rises along the guide portion 214 by driving the first drive portion 222 .

제2 구동부(224)의 구동에 의해 헤드(110)가 상승할 때 플레이트(130)가 제1 축(120)을 따라 헤드(110)와 같이 상승한다. 따라서, 플레이트(130)가 헤드(110)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The plate 130 rises along the first axis 120 as the head 110 when the head 110 is lift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4. Thus, the plate 130 may not interfere with the rise of the head 110.

헤드(110)가 가이드부(214)의 상방으로 이탈하거나, 가이드부(214)의 하방으로 이탈하는 경우, 가이드부(214)를 통해 호퍼(210)의 반죽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부(222)는 헤드(110)가 가이드부(214)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헤드(110)를 승강시킨다. The dough of the hopper 21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portion 214 when the head 110 is moved upward or downwardly of the guide portion 214. [ 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part 222 moves the head 110 up and dow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head 110 does not separate from the guide part 214.

구동부(220)의 구동에 따라 플런저(100)가 승강하면서 상기 반죽이 성형 및 절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죽 성형 장치(200)는 상기 반죽의 성형 및 절단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상기 성형된 반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20 drives the plunger 100 to move up and down to form and cut the dough. Therefore, the dough molding apparatus 200 can automatically perform molding and cutting of the dough, and can produce the molded dough in large quantities.

한편, 헤드(110)의 출구(114)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록 헤드(110)의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14)에 의해 절단되는 반죽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헤드(110)와 플레이트(130)의 승강 거리 또는 승강 속도 등을 조절하여 헤드(110)의 출구(114)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10)와 플레이트(130)의 승강 거리 또는 승강 속도를 조절하여 반죽 성형 장치(200)에 의해 성형되는 반죽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longer the time that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may be. Therefore, the length of the dough cut by the guide portion 214 can be made longer. The time for exposing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to the outsid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elevating distance or the elevating speed of the head 110 and the plate 130. Therefore, the length of the dough to be formed by the dough molding apparatus 2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ift distance or the lift speed of the head 110 and the plate 130.

한편, 헤드(110), 플레이트(130) 및 가이드부(214)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헤드(110)의 출구(114)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이 동일하더라도 헤드(110)의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헤드(110), 플레이트(130) 및 가이드부(214)의 크기를 조절하여 반죽 성형 장치(200)에 의해 성형되는 반죽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When the size of the head 110, the plate 130 and the guide 214 is increased, even when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outlet 114 of the head 110, The length of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dough can be prolonged. Therefore, the length of the dough to be formed by the dough molding apparatus 20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izes of the head 110, the plate 130 and the guide portion 2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런저 및 이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는 헤드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상기 헤드의 교체를 통해 다양한 모양의 반죽을 성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and the dough molding apparatus having the plunger can easily replace the head, so that the dough of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hea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반죽 성형 장치는 상기 플런저의 헤드가 호퍼의 가이드부 하방으로 돌출될 때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이 공급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상기 반죽 성형 장치는 상기 반죽의 성형 및 절단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상기 성형된 반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dough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of the plunger protrudes below the guide portion of the hopper, the dough is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hea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is cut by the guide portion. Therefore, the dough molding apparatus automatically performs molding and cutting of the dough and can produce the molded dough in a large amount.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0 : 플런저 110 : 헤드
120 : 제1 축 130 : 플레이트
140 : 제2 축 200 : 반죽 성형 장치
210 : 호퍼 220 : 구동부
100: plunger 110: head
120: first shaft 130: plate
140: Second shaft 200: Dough molding device
210: Hopper 220:

Claims (4)

상면에 반죽이 투입되는 입구 및 측면에 상기 반축이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의 헤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끼워져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을 공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A hollow cylindrical hea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dough is injected into the upper surfac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half shaft is discharged;
A first shaft fixed to the head through the inlet;
A plate fitted to the first shaft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first axis to supply the dough to an inlet of the head; And
And a second shaft secur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반죽의 모양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출구의 형상이 다른 헤드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축은 상기 헤드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플런저. 2. The plung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haft is screwed to the head such that the shape of the outle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head to change the shape of the dough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head. 반죽을 수용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를 갖는 호퍼;
상면에 반죽이 투입되는 입구 및 측면에 상기 반축이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호퍼의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의 헤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헤드와 고정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끼워져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을 공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플런저; 및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헤드의 입구로 상기 반죽이 공급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절단되도록 상기 플런저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성형 장치.
A hopper having a hollow body portion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for receiving the dough and a cylindrical guide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hollow cylindrical hea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dough is injected into the upper surfac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half shaft is discharge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of the hopper, a first shaft fixed to the head through the inlet, A plunger inserted into the shaft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first axis to supply the dough to an inlet of the head, and a second shaft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head is proj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he dough is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hea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is received in the guide portion while the head is received in the guide portion,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lunger up and down so as to be cut by the cut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고,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반죽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절단되도록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하도록 상기 제1 축을 승강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헤드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헤드의 출구를 통해 상기 반죽이 배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축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헤드가 상승할 때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헤드와 같이 상승하도록 상기 제2 축을 승강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성형 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
The head is lowered along the guide portion so that the outlet of the h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shaft is lifted and lowered such that the head is lifted along the guide portion so that the dough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is cut by the guide portion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Wherein the plate is lowered along the first axis so that the dough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 when the outlet of the h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driving part for moving the shaft up and down.
KR2020160003460U 2016-06-20 2016-06-20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KR2004861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60U KR200486178Y1 (en) 2016-06-20 2016-06-20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60U KR200486178Y1 (en) 2016-06-20 2016-06-20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93U true KR20170004393U (en) 2017-12-28
KR200486178Y1 KR200486178Y1 (en) 2018-05-28

Family

ID=6125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460U KR200486178Y1 (en) 2016-06-20 2016-06-20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178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05Y1 (en) * 2000-12-05 2001-05-15 임용택 A doughnut making apparatus
KR20030093795A (en) * 2002-06-05 2003-12-11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paring a wheat plaster for crepe
KR20050101008A (en) * 2004-04-16 2005-10-20 (주)푸드벤처코리아 Pan cake cooking device
JP3983225B2 (en) * 2004-01-23 2007-09-26 株式会社オシキリ Dough splitting machine
KR20130005689U (en) * 2012-03-21 2013-10-01 이정기 The doughnut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05Y1 (en) * 2000-12-05 2001-05-15 임용택 A doughnut making apparatus
KR20030093795A (en) * 2002-06-05 2003-12-11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paring a wheat plaster for crepe
JP3983225B2 (en) * 2004-01-23 2007-09-26 株式会社オシキリ Dough splitting machine
KR20050101008A (en) * 2004-04-16 2005-10-20 (주)푸드벤처코리아 Pan cake cooking device
KR20130005689U (en) * 2012-03-21 2013-10-01 이정기 The doughnut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178Y1 (en)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38229A (en) Liquid material extrusion method and device
US8281963B2 (en) Dispensing apparatus
KR102281139B1 (en) Injection mold with side gate automatic cutting apparatus
CN104028616A (en) Anti-jumping waste material stamping die
KR200486178Y1 (en) Plunger and apparatus for forming paste having the plunger
KR101843735B1 (en) A press mold
WO2011148735A1 (en) Material pumping apparatus
KR100371507B1 (en) Resin-molding mold unit and resin-mol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sin-molding mold unit
CN110523975B (en) Metal powder metallurgy forming process
CN110126222B (en) Novel runner structure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thereof
JP2007210022A (en) Powder charging device and powder charging method
CN203991905U (en) Anti-tripping waste diel
KR101512151B1 (en) Releasing spray cassette for die-casting die
CN106231914A (en) There is the pressuring template of molding stop part
KR20190031009A (en) Reaction high forging molding device
JP6115712B2 (en) Viscous material filling method and filling device
CN102143832B (en) Compression molding method and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CN207449018U (en) A kind of injection mold ejector sleeve ejection stroke control mechanism
KR101512150B1 (en) Releasing spray cassette
KR101670138B1 (en) Press molding apparatus
KR200452741Y1 (en) Tools for removing oil from wet type powdery cosmetics
CN215550622U (en) Simple die-cut water gap equipment
US11590679B2 (en) Injection molding mold
KR101423166B1 (en) Injection mold for molding pipe-shaped product having undercut
CN217072756U (en) Material agglomeration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