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47A -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47A
KR20170003847A KR1020150093666A KR20150093666A KR20170003847A KR 20170003847 A KR20170003847 A KR 20170003847A KR 1020150093666 A KR1020150093666 A KR 1020150093666A KR 20150093666 A KR20150093666 A KR 20150093666A KR 20170003847 A KR20170003847 A KR 2017000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unit
control signal
exter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748B1 (ko
Inventor
박민규
조순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748B1/ko
Priority to US15/194,883 priority patent/US10157587B2/en
Priority to CN201610511185.1A priority patent/CN106328033B/zh
Publication of KR2017000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직전압 생성부와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제공한다. 로직전압 생성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한다. 전원전압 생성부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다수의 전원전압을 생성한다. 전원전압 생성부는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 및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또는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위와 같은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에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빛을 투과시키거나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원공급부는 표시패널을 제어 및 구동하는 타이밍제어부 및 구동부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전압들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전원공급부는 표시장치의 파워 오프(턴 오프)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프신호(예컨대, UVLO; Under Voltage Lock Out)의 폴링 시점에 대응하여 모든 출력이 정지된다. 이때,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은 파워 오프 이후에도 하강하는 순서와 이들 간의 전위차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전원공급부는 파워 오프 이후 하강하는 전압들의 순서와 이들 간의 전위차가 유지되지 않아 전원역전 현상을 유발함은 물론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을 초래하고 있는바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간의 하강 순서를 유지함과 더불어 전원역전 현상을 방지하여 이와 연동하는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로직전압 생성부와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제공한다. 로직전압 생성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한다. 전원전압 생성부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다수의 전원전압을 생성한다. 전원전압 생성부는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다.
하프드레인전압은 드레인전압 대비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라운드전원전압의 레벨로 하강할 수 있다.
외부 입력전압이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부와, 내부 로직전압이 차단되면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전압 생성부는 제1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제2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1회로부는 외부 입력전압과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간의 차를 비교하고 외부 입력전압이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전압 감지부와, 외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제1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제2회로부는 제1오프신호와 내부 로직전압이 로직로우에 대응되는 레벨로 떨어지면 제2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전압 감지부와, 내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제2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 데이터구동부, 타이밍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구동부는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는 데이터구동부를 제어한다.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하는 로직전압 생성부와,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다수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갖는다. 전원공급부는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다.
하프드레인전압은 드레인전압 대비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라운드전원전압의 레벨로 하강할 수 있다.
외부 입력전압이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부와, 내부 로직전압이 차단되면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전압 생성부는 제1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제2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1회로부는 외부 입력전압과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간의 차를 비교하고 외부 입력전압이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전압 감지부와, 외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제1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제2회로부는 제1오프신호와 내부 로직전압이 로직로우에 대응되는 레벨로 떨어지면 제2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전압 감지부와, 내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제2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 데이터구동부, 타이밍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구동부는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는 데이터구동부를 제어한다. 제1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하는 로직전압 생성부와,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하프드레인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갖는다. 제2전원공급부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드레인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갖는다.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하프드레인전압은 드레인전압 대비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라운드전원전압의 레벨로 하강할 수 있다.
제1전원공급부의 전원전압 생성부와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 사이에 배선된 더미 전원라인을 더 포함하고,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제1전원공급부의 전원전압 생성부는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전압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 구현시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일부 전압(VDD, HVDD, GMA) 간의 파워 오프 시퀀스(Power Off Sequence)를 맞추어 전원역전 현상 문제를 해소하고, 데이터 구동부와 같은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구동부의 구현 공정에 있어서 고전압(High Voltage)이 아닌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기 위한 공정 조건으로 변경이 용이한바 표시장치 구현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원가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종래 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종래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퀀스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5는 종래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퀀스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시 개선점을 보여주는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전원공급부의 구성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퀀스를 보여주는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또는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위와 같은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에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일례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에는 영상공급부(110), 타이밍제어부(130), 게이트구동부(140), 데이터구동부(150), 액정패널(160), 백라이트유닛(170) 및 전원공급부(180)가 포함된다.
영상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신호와 더불어 각종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영상공급부(110)는 데이터신호와 각종 구동신호를 타이밍제어부(130)에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130)는 게이트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제어부(13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영상처리부(11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또는 데이터전압)(DATA)를 데이터구동부(150)에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타이밍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게이트라인들(GL)을 통해 액정패널(16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액정패널(16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데이터구동부(150)는 타이밍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 및 래치하고 감마 기준전압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구동부(150)는 데이터라인들(DL)을 통해 액정패널(16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15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
액정패널(160)은 게이트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 데이터구동부(15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전원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된 공통전압(VCOM)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패널(160)은 백라이트유닛(170)을 통해 제공된 빛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예컨대,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액정층(Clc)이 포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1)에 연결되고 소오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드레인전극에 일단이 연결되고 공통전압라인(Vcom)에 타단이 연결된다. 액정층(Clc)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드레인전극에 연결된 화소전극(1)과 공통전압라인(Vcom)에 연결된 공통전극(2) 사이에 형성된다.
액정패널(160)은 화소전극(1) 및 공통전극(2)의 구조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백라이트유닛(170)은 빛을 출사하는 광원 등을 이용하여 액정패널(160)에 빛을 제공한다. 백라이트유닛(170)은 발광다이오드(이하 LED), LED를 구동하는 LED구동부, LED가 실장된 LED기판, LED로부터 출사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도광판, 도광판의 하부에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하는 광학시트류 등이 포함된다.
전원공급부(1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입력전압(Vin)을 기반으로 타이밍제어부(130), 게이트구동부(140), 데이터구동부(150) 및 액정패널(160) 중 하나 이상에 공급할 다수의 전원전압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그 예로, 전원공급부(180)는 공통전압(VCOM), 제1양의전원전압(또는 콜렉터전압)(VCC), 그라운드전원전압(GND), 제2양의전원전압(또는 드레인전압)(VDD), 게이트로우전압(VGL), 게이트하이전압(VGH) 및 제3양의전원전압(또는 하프드레인전압)(HVDD)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하나 이상(예컨대, 공통전압, 게이트로우전압, 게이트하이전압)은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출력된 전원전압을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별도로 구성된 전원부(예: 레벨 시프터 등)에 의해 생성 및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된 전원공급부(180)는 액정표시장치의 파워 오프(턴 오프)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프신호(예컨대, UVLO; Under Voltage Lock Out)의 폴링 시점에 대응하여 출력이 정지된다.
데이터구동부(150)가 고전압(High Voltage)을 출력하기 위한 공정 조건으로 구현된 경우, 전원공급부(180)의 파워 오프에 따른 제2양의전원전압(VDD), 제3양의전원전압(HVDD) 및 감마전압의 파워 오프 시퀀스(Power Off Sequence)는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다. 한편, 감마전압은 데이터구동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회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즉,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의 위치는 장칭의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3양의전원전압(HVDD)을 기반으로 감마전압을 생성함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데이터구동부(150)가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기 위한 공정 조건으로 구현된 경우, 전원공급부(180)의 파워 오프에 따른 제2양의전원전압(VDD), 제3양의전원전압(HVDD) 및 감마전압의 파워 오프 시퀀스와 전위차는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에 의하면, 파워 오프 이후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의 하강 순서와 이들 간의 전위차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이후 데이터구동부(150)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종래 전원공급부는 파워 오프 이후 하강하는 전압들의 순서와 이들 간의 전위차가 유지되지 않아 전원역전 현상을 유발함은 물론 데이터구동부 등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선이 요구된다.
이하,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분에 대해 설명을 구체화한다.
도 3은 종래 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종래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퀀스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며, 도 5는 종래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공급부(180)에는 외부전압 감지부(181), 제어신호 생성부(185) 및 전원전압 생성부(187)가 포함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Ref)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Vin) 간의 차를 비교하고 외부 입력전압(Vin)이 기준전압(Ref) 이하로 떨어지면 오프신호(UVLOF)를 출력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외부 입력전압(Vin)이 차단되거나 일정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오프신호(UVLOF)를 출력한다. 예컨대, 오프신호(UVLOF)는 평상시 로직하이를 유지하다가 외부 입력전압(Vin)이 기준전압(Ref) 이하로 떨어지면 로직로우로 변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185)는 외부전압 감지부(181)로부터 출력된 로직로우의 오프신호(UVLOF)에 대응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87)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전원제어신호(CS1)를 출력한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외부 입력전압(Vin)을 기초로 공통전압(VCOM), 제1양의전원전압(VCC), 그라운드전원전압(GND), 제2양의전원전압(VDD), 게이트로우전압(VGL), 게이트하이전압(VGH) 및 제3양의전원전압(HVDD)을 생성한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제어신호 생성부(185)로부터 출력된 전원제어신호(CS1)에 대응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든 전압들(VCOM, VCC, GND, VDD, VGL, VGH, HVDD)에 대한 출력을 차단한다.
도 4에서, "VL"은 전원공급부(180)의 내부 로직전압을 의미하고, RST는 타이밍제어부의 리셋신호를 의미하고, "EN"은 전원공급부(180)의 동작 활성화신호를 의미한다. 기타, DLY0 ~ DLY3은 지연시간으로서 이 값은 장치의 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원공급부(180)가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가 되면 오프신호(UVLOF)에 의해 모든 전압들(VCOM, VCC, GND, VDD, VGL, VGH, HVDD)은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전원공급부(180)는 파워 오프(Power Off) 이후 하강하는 전압들(VCOM, VCC, GND, VDD, VGL, VGH, HVDD)의 순서와 이들 간의 전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종래 전원공급부(180)는 도 5와 같이 파워 오프(Power Off) 이후 특정 전압들(예컨대, VDD, GMA) 간의 전원역전 현상이 유발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데이터구동부 등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실험예에서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실험을 한 결과, 이 문제는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해 개선 및/또는 방지할 수 있었다.
<제1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퀀스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시 개선점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80)에는 외부전압 감지부(181), 로직전압 생성부(182), 내부전압 감지부(183),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 및 전원전압 생성부(187)가 포함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Vin)이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Ref)과 외부 입력전압(Vin) 간의 차를 비교하고 외부 입력전압(Vin)이 기준전압(Ref)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UVLOF)를 출력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외부 입력전압(Vin)이 차단되거나 일정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UVLOF)를 출력한다. 예컨대, 제1오프신호(UVLOF)는 평상시 로직하이를 유지하다가 외부 입력전압(Vin)이 기준전압(Ref) 이하로 떨어지면 로직로우로 변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로직전압 생성부(182)는 외부 입력전압(Vin)을 기초로 전원공급부(180)의 내부 회로를 동작시키는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한다.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생성된 내부 로직전압은 외부전압 감지부(181), 내부전압 감지부(183),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 및 전원전압 생성부(187) 중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내부전압 감지부(183)는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생성되는 내부 로직전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내부전압 감지부(183)는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로직전압의 차단되면(VL Off)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내부전압 감지부(183)는 외부전압 감지부(181)로부터 출력된 제1오프신호(UVLOF)와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출력된 내부 로직전압이 로직로우에 대응되는 레벨로 떨어지면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는 외부전압 감지부(181)로부터 출력된 로직로우의 제1오프신호(UVLOF)에 대응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87)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전원제어신호(CS1)를 출력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와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는 제1회로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는 내부전압 감지부(183)로부터 출력된 로직로우의 제2오프신호(HVDDOF)에 대응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87)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2전원제어신호(CS2)를 출력한다. 내부전압 감지부(183)와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는 제2회로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외부 입력전압(Vin)을 기초로 공통전압(VCOM), 제1양의전원전압(VCC), 그라운드전원전압(GND), 제2양의전원전압(VDD), 게이트로우전압(VGL), 게이트하이전압(VGH) 및 제3양의전원전압(HVDD)을 생성한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제어신호(CS1)에 대응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중 제1그룹의 전압(VCOM, VCC, GND, VDD, VGL, VGH)에 대한 출력을 차단한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제어신호(CS2)에 대응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중 제2그룹의 전압(HVDD)에 대한 출력을 차단한다. 제2그룹의 전압(HVDD)에 대한 출력이 차단되면 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감마전압 또한 차단된다.
도 7에서, "VL"은 전원공급부(180)의 내부 로직전압을 의미하고, RST는 타이밍제어부의 리셋신호를 의미하고, "EN"은 전원공급부(180)의 동작 활성화신호를 의미하고, GMA는 감마전압을 의미한다. 기타, DLY0 ~ DLY3은 지연시간으로서 이 값은 장치의 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원공급부(180)가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가 되면 제1오프신호(UVLOF)에 의해 제1그룹의 전압(VCOM, VCC, GND, VDD, VGL, VGH)이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오프신호(UVLOF)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이후 발생된 제2오프신호(HVDDOF)에 의해 제2그룹의 전압(HVDD)이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하게 된다. 즉, 제3양의전원전압(HVDD)의 출력은 다른 전압들 대비 지연시간(DLYP)을 가진 후 차단(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80)는 도 8과 같이 감마전압(GMA)과 제2양의전원전압(VDD) 간의 전원역전 현상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VDD가 DLY와 같이 지연시간을 가진 후 떨어지므로 VDD와 GMA 간의 전원역전 현상은 해소된다) 그 결과, 전원역전 현상에 의해 데이터구동부 등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 또한 해소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원공급부가 모든 전압을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전원공급부는 장치의 구성, 크기, 목적 또는 효과 등에 따라 다수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전원공급부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전원공급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파워 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퀀스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는 제1전원공급부(180)와 제2전원공급부(190)로 분리된다. 제1전원공급부(180)는 외부 입력전압(Vin)에 기초하여 공통전압(VCOM), 제1-1양의전원전압(또는 제1콜렉터전압)(VCC1), 제1-2양의전원전압(또는 제2콜렉터전압)(VCC2), 그라운드전원전압(GND), 제1-1게이트로우전압(VGL1), 제1-2게이트로우전압(VGL2), 게이트하이전압(VGH) 및 제3양의전원전압(또는 하프드레인전압)(HVDD)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2전원공급부(190)는 외부 입력전압(Vin)에 기초하여 제2양의전원전압(또는 드레인전압)(VDD) 및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을 생성 및 출력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제1전원공급부(180)에는 외부전압 감지부(181), 로직전압 생성부(182), 내부전압 감지부(183),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 및 전원전압 생성부(187)가 포함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Vin)이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Ref)과 외부 입력전압(Vin) 간의 차를 비교하고 외부 입력전압(Vin)이 기준전압(Ref)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UVLOF)를 출력한다. 외부전압 감지부(181)는 외부 입력전압(Vin)이 차단되거나 일정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UVLOF)를 출력한다. 예컨대, 제1오프신호(UVLOF)는 평상시 로직하이를 유지하다가 외부 입력전압(Vin)이 기준전압(Ref) 이하로 떨어지면 로직로우로 변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로직전압 생성부(182)는 외부 입력전압(Vin)을 기초로 전원공급부(180)의 내부 회로를 동작시키는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한다.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생성된 내부 로직전압은 외부전압 감지부(181), 내부전압 감지부(183),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 및 전원전압 생성부(187) 중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내부전압 감지부(183)는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생성되는 내부 로직전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내부전압 감지부(183)는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로직전압의 차단되면(VL Off)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내부전압 감지부(183)는 외부전압 감지부(181)로부터 출력된 제1오프신호(UVLOF)와 로직전압 생성부(182)로부터 출력된 내부 로직전압이 로직로우에 대응되는 레벨로 떨어지면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는 외부전압 감지부(181)로부터 출력된 로직로우의 제1오프신호(UVLOF)에 대응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87)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전원제어신호(CS1)를 출력한다. 또한,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는 외부전압 감지부(181)로부터 출력된 로직로우의 제1오프신호(UVLOF)에 대응하여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3전원제어신호(SSC)를 출력한다.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는 내부전압 감지부(183)로부터 출력된 로직로우의 제2오프신호(HVDDOF)에 대응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87)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2전원제어신호(CS2)를 출력한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제어신호(CS1)에 대응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중 제1그룹의 전압(VCOM, VCC1, VCC2, GND, VGL1, VGL2, VGH)에 대한 출력을 차단한다.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제2제어신호 생성부(186)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제어신호(CS2)에 대응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중 제2그룹의 전압(HVDD)에 대한 출력을 차단한다. 제2그룹의 전압(HVDD)에 대한 출력이 차단되면 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감마전압 또한 차단된다.
제1전원공급부(180)와 별도로 구성된 제2전원공급부(190)는 제1전원공급부(180)의 제1제어신호 생성부(185)로부터 출력된 제3전원제어신호(SSC)에 대응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에 대한 출력을 차단한다.
제2전원공급부(190)에는 인덕터(L1), 다이오드(D1), 부스트 스위치(CT1), 분리 스위치(ISOW), 커패시터(C1) 등이 포함된다.
인덕터(L1)는 외부 입력전원(Vin)이 공급되는 입력단에 위치한다. 다이오드(D1)는 인덕터(L1)의 후단에 애노드전극이 연결되며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에 캐소드전극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1)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라운드전원전압(GND)에 타단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1)는 역기전력 충전용 커패시터로 정의될 수 있다.
부스트 스위치(CT1)는 인덕터(L1)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전극에 드레인전극이 연결되고 그라운드전원전압(GND)에 소오스전극이 연결된다. 부스트 스위치(CT1)는 펄스폭신호(PWM)에 대응하여 턴오프/턴온을 반복하게 된다. 부스트 스위치(CT1)의 스위칭 동작에 대응하여 인덕터(L1)에는 역기전력이 형성되거나 미형성된다. 부스트 스위치(CT1)는 부스트 IC(195)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ISOW)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전극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에 제2전극이 연겨되고 제3전원제어신호(SSC)가 전달되는 제어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된다. 분리 스위치(ISOW)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전극 측과 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 측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전원제어신호(SSC)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분리 스위치(ISOW)를 비활성화 또는 턴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로직로우의 제3전원제어신호(SSC)가 제2전원공급부(190)의 부스트 스위치(ISOW)에 공급되면 다이오드(D1)의 캐소드전극 측과 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 측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때문에, 로직로우의 제3전원제어신호(SSC)가 제2전원공급부(190)의 부스트 스위치(ISOW)에 공급되면, 제2전원공급부(19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은 차단된다.
한편, 제1전원공급부(170)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을 전달받는다.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은 제1전원공급부(180)의 전원전압 생성부(187)에 전달된다. 즉, 제1전원공급부(180)의 전원전압 생성부(187)와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 사이에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을 전달하는 더미 전원라인(DVDD)이 배선된다.
제1전원공급부(180)의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에 기초하여 전압(VCOM, HVDD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은 제1전원공급부(180)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VCOM, HVDD) 대비 전원전압 레벨이 높기 때문이다. 달리 설명하면,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은 다른 전압들(VCOM, VCC, HVDD) 대비 가장 늦게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전원공급부(180)의 전원전압 생성부(187)는 외부 입력전압(Vin) 또는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전압을 생성하게 된다. 다만, 제2전원공급부(190)의 출력단(Vout)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GND, VDD)에 기초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구간은 제1전원공급부(180)가 파워 오프(Power Off)된 이후가 될 것이다.
도 12에서, "VL"은 제1전원공급부(180)의 내부 로직전압을 의미하고, RST는 타이밍제어부의 리셋신호를 의미하고, "EN"은 전원공급부(180)의 동작 활성화신호를 의미하고, GMA는 감마전압을 의미한다. 기타, DLY0 ~ DLY4는 지연시간으로서 이 값은 장치의 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전원공급부(180)가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가 되면 제1오프신호(UVLOF)에 의해 제1그룹의 전압(VCOM, VCC1, VCC2, GND, VGL1, VGL2, VGH)이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3전원제어신호(SSC)에 의해 제2전원공급부(190) 또한 파워 오프 상태가 되며 이로부터 출력되는 전압(VDD, GND) 또한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오프신호(UVLOF)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이후 발생된 제2오프신호(HVDDOF)에 의해 제2그룹의 전압(HVDD)이 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하게 된다. 즉, 제3양의전원전압(HVDD)의 출력은 다른 전압들 대비 지연시간(DLYP)을 가진 후 차단(그라운드전원전압(GND)의 레벨로 하강)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80, 190)와 같이 전원을 생성하는 장치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더라도 감마전압(GMA)과 제2양의전원전압(VDD) 간의 전원역전 현상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전원역전 현상에 의해 데이터구동부 등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 또한 해소되었다.
이상,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 구현시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일부 전압(VDD, HVDD, GMA) 간의 파워 오프 시퀀스(Power Off Sequence)를 맞추어 전원역전 현상 문제를 해소하고, 데이터 구동부와 같은 장치의 손상이나 신뢰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구동부의 구현 공정에 있어서 고전압(High Voltage)이 아닌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기 위한 공정 조건으로 변경이 용이한바 표시장치 구현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원가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영상공급부 130: 타이밍제어부
140: 게이트구동부 150: 데이터구동부
160: 액정패널 170: 백라이트유닛
180: 전원공급부 181: 외부전압 감지부
182: 로직전압 생성부 183: 내부전압 감지부
185: 제1제어신호 생성부 186: 제2제어신호 생성부
187: 전원전압 생성부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하는 로직전압 생성부; 및
    상기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다수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드레인전압은
    드레인전압 대비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라운드전원전압의 레벨로 하강하는 전원공급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부와,
    상기 내부 로직전압이 차단되면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1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외부 입력전압과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간의 차를 비교하고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전압 감지부와, 상기 외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오프신호와 상기 내부 로직전압이 로직로우에 대응되는 레벨로 떨어지면 상기 제2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전압 감지부와, 상기 내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5.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데이터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하는 로직전압 생성부와, 상기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다수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갖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드레인전압은
    드레인전압 대비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라운드전원전압의 레벨로 하강하는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부와,
    상기 내부 로직전압이 차단되면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1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한 이후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하프드레인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외부 입력전압과 내부에 설정된 기준전압 간의 차를 비교하고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1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전압 감지부와, 상기 외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오프신호와 상기 내부 로직전압이 로직로우에 대응되는 레벨로 떨어지면 상기 제2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전압 감지부와, 상기 내부전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오프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데이터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내부 로직전압을 생성하는 로직전압 생성부와, 상기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하프드레인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갖는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외부 입력전압을 기초로 드레인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생성부를 갖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하프드레인전압은 상기 드레인전압 대비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라운드전원전압의 레벨로 하강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전원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 사이에 배선된 더미 전원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전원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전압을 생성 및 출력하는 표시장치.
KR1020150093666A 2015-06-30 2015-06-30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37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66A KR102374748B1 (ko) 2015-06-30 2015-06-30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5/194,883 US10157587B2 (en) 2015-06-30 2016-06-28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1610511185.1A CN106328033B (zh) 2015-06-30 2016-06-30 电源和使用该电源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66A KR102374748B1 (ko) 2015-06-30 2015-06-30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47A true KR20170003847A (ko) 2017-01-10
KR102374748B1 KR102374748B1 (ko) 2022-03-17

Family

ID=5768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66A KR102374748B1 (ko) 2015-06-30 2015-06-30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57587B2 (ko)
KR (1) KR102374748B1 (ko)
CN (1) CN1063280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44A1 (ko) * 2021-11-30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86B1 (ko) * 2014-09-16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압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301849B (zh) * 2017-07-19 2018-08-1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驱动芯片及液晶显示装置
CN109410851B (zh) * 2017-08-17 2021-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电压转换装置、显示装置及其关机控制方法
CN109857358B (zh) * 2017-11-30 2022-03-04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计算机系统及其显示接口电路与显示接口方法
CN110890048B (zh) * 2019-11-19 2022-10-18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伽马电压生成电路及显示装置
CN110910810B (zh) * 2019-11-26 2022-05-0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电源管理芯片及显示装置
JP2024029556A (ja) * 2022-08-22 2024-03-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325A (ko) * 2006-11-28 2008-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전원전압생성회로
US20080225034A1 (en) * 2007-02-14 2008-09-18 Advanced Analog Technology, Inc. Image sticking erasing circu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30107916A (ko) * 2012-03-23 2013-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20140058166A (ko) * 2012-11-06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02036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2745A (ko) * 2013-12-20 2015-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21B1 (ko) * 2003-04-07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JP3935891B2 (ja) * 2003-09-29 2007-06-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ンプ電圧発生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駆動型表示装置
CN100449364C (zh) * 2004-10-01 2009-01-07 罗姆股份有限公司 对扫描线驱动电路的电源供给方法、电源电路
CN100498914C (zh) * 2006-01-10 2009-06-10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液晶显示器面板栅极驱动电路的电源电路
KR100843148B1 (ko) * 2006-12-22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테스트용 커넥터 및이의 테스트 방법
KR101369398B1 (ko) * 2007-01-15 2014-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1377906B (zh) * 2007-08-31 2012-07-1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加快电源放电速度的装置
KR102215086B1 (ko) * 2014-09-16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압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325A (ko) * 2006-11-28 2008-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전원전압생성회로
US20080225034A1 (en) * 2007-02-14 2008-09-18 Advanced Analog Technology, Inc. Image sticking erasing circu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30107916A (ko) * 2012-03-23 2013-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20140058166A (ko) * 2012-11-06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02036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2745A (ko) * 2013-12-20 2015-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44A1 (ko) * 2021-11-30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57587B2 (en) 2018-12-18
KR102374748B1 (ko) 2022-03-17
US20170004800A1 (en) 2017-01-05
CN106328033A (zh) 2017-01-11
CN106328033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129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374748B1 (ko)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373861B1 (ko) 액정표시장치
EP303809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2537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ource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0989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8699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857806B1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9645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70118436A (ko) 표시장치
US102830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083565A (ko) 표시장치
KR20130017892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33119B1 (ko) 백라이트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9508298B2 (en) Adaptive inversion control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104594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556962B1 (ko) 표시 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80078475A (ko) 액정표시장치의 테스트 회로
KR101876335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510439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56768B1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60035193A (ko) 표시장치
KR102223903B1 (ko) 표시장치
KR20130021909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07007934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