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60U -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 Google Patents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60U
KR20170003560U KR2020160001850U KR20160001850U KR20170003560U KR 20170003560 U KR20170003560 U KR 20170003560U KR 2020160001850 U KR2020160001850 U KR 2020160001850U KR 20160001850 U KR20160001850 U KR 20160001850U KR 20170003560 U KR20170003560 U KR 201700035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quid
soup
cut
cu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상
Original Assignee
황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상 filed Critical 황영상
Priority to KR2020160001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56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3Integral handles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포장체는 포장지로 형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기다란 튜브형상이고, 액상의 라면 수프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밀폐하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를 밀폐하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절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토출공을 가로지르는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부를 이루는 상기 포장지의 내부면이 박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폭은 1~1.5cm를 유지하고, 길이는 상기 폭의 2배 이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절단부가 용이하게 절취되므로 액상 수프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액상의 수프를 토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Packing Object for liquid ramen soup}
본 고안은 인스턴트 라면에 사용되는 액상 수프를 수용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수프가 들어있는 포장체를 용이하게 개봉하고 배출시킬 수 있는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기름에 미리 튀긴 국수를 수프와 함께 끓는 물에 넣어서 요리하는 국수 식품이다. 근래에는 기름에 튀기지 않은 라면이 나왔다. 보통 라면은 면과 수프, 건더기가 함께 포장되어 끓는 물에 3~4분 정도 수프와 함께 끓이면 조리된다.
이와 같은 수프는 분말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근에는 액상의 수프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수프 포장체는 최소한 50kg의 정압에서도 파손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고 액체 수프가 묻어 있는 부분에서도 가열 압착에 의하여 밀봉 압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연질의 나일론/LLDPE 적층필름을 사용하면 해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대부분의 액체 수프 포장체에는 나일론/LLDPE 적층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문헌1: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2176호(1999.07.26. 공개) 문헌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0691호(2002.09.28. 공고) 문헌3: 등록특허공보 10-0776499호(2007.11.19. 공고) 문헌4: 공개특허공보 10-2012-0083717호(2012.07.26. 공개)
그러나 전술한 액상수프를 식품에 첨가하기 위해 개봉시킬 경우, 개봉하는 과정에 액상의 수프가 튀거나 흘러 손 혹은 의복에 묻는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액상 수프 수용체는 가로와 세로가 거의 비슷한 길이로 된 넓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서, 액상의 수프를 토출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수용체 내부에 잔존하여서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고, 수용체를 쓰레기로 매립되는 경우에도 유출수를 방출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의 수프 포장체에서 개봉할 때 액상 수프가 튀거나 흐르지 않도록 구조와 모양을 개선하여 액상의 수프를 용이하게 개봉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는 포장지로 형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기다란 튜브형상이고, 액상의 라면 수프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밀폐하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를 밀폐하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절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토출공을 가로지르는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부를 이루는 상기 포장지의 내부면이 박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폭은 1~1.5cm를 유지하고, 길이는 상기 폭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톱니형상의 톱니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의 단부는 상기 톱니부의 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요철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절단부를 절취하기 용이하여서 액상 수프가 절단과정에서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절취선이 기다란 홈으로 내부면에서 형성되고 양단부는 상기 톱니부의 홈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절단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액상의 수프를 토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폭은 1~1.5cm를 유지하고, 길이는 상기 폭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하여 수용체 내부에 수용된 액상 수프를 전부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프 포장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프 포장체의 종단면도.
도 3은 절단부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액상 수프를 토출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프 포장체의 사시도이고, 수프 포장체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의한 수프 포장체는 본체(20), 손잡이부(30) 및 절단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기다란 튜브형상이고, 내부 공간에는 액상의 라면 수프가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본체(2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20)의 중공부를 밀폐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절단부(40)는 상기 본체(20)의 타단부를 밀폐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40)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톱니형상의 톱니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40)에는 상기 본체(2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토출공(5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공(50)을 가로지르는 절취선(60)이 상기 절단부(40)에 형성되게 된다.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60)은 상기 절단부(40)를 이루는 포장지의 내부면이 박리되어 형성되고, 단부는 상기 톱니부(70)의 홈과 연결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절취선(60)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절단부(40)를 절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폭은 1~1.5cm를 유지하고, 길이는 폭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수프 포장체(10)의 사용은 도 3과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절취선(60)을 따라서 상기 절단부(40)를 상기 본체(20)에서 절취하게 된다.
상기 절취선(60)은 내부면이 박리되어서 기다란 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단부는 상기 톱니부(70)의 홈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절단부(40)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60)은 상기 토출공(50)을 가로지르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단부(40)가 절단되면, 상기 본체(20)의 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토출공(50)이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한 손은 상기 손잡이부(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의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서 상기 본체(20)를 협착하면서 상기 토출공(50)으로 밀게 되면, 액상의 수프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상의 수프를 토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20)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20)의 폭은 사용자의 엄지의 폭보다 더 좁은 1~1.5cm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20)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수프를 한번에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포장체, 20: 본체,
30: 손잡이부, 40: 절단부,
50: 토출공, 60: 절취선,
70: 톱니부

Claims (4)

  1. 포장지로 형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기다란 튜브형상이고, 액상의 라면 수프가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밀폐하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타단부를 밀폐하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절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토출공을 가로지르는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절단부를 이루는 상기 포장지의 내부면이 박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폭은 1~1.5cm를 유지하고, 길이는 폭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톱니형상의 톱니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단부는 상기 톱니부의 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요철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KR2020160001850U 2016-04-06 2016-04-06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KR201700035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50U KR20170003560U (ko) 2016-04-06 2016-04-06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50U KR20170003560U (ko) 2016-04-06 2016-04-06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60U true KR20170003560U (ko) 2017-10-16

Family

ID=6040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50U KR20170003560U (ko) 2016-04-06 2016-04-06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560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91Y1 (ko) 2002-03-30 2002-09-28 임형태 면류의 스프 포장체
KR100776499B1 (ko) 2006-10-13 2007-11-19 (주) 보성인더스트리 개봉이 용이한 액체 스프 포대
KR20120083717A (ko) 2011-01-18 2012-07-26 송행곤 소금이 분리 포장된 라면스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91Y1 (ko) 2002-03-30 2002-09-28 임형태 면류의 스프 포장체
KR100776499B1 (ko) 2006-10-13 2007-11-19 (주) 보성인더스트리 개봉이 용이한 액체 스프 포대
KR20120083717A (ko) 2011-01-18 2012-07-26 송행곤 소금이 분리 포장된 라면스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710A (en) Cover structure with integral utensil means for canned and cupped food
JP6151805B2 (ja) バター等の食品用のポーションパッケージ
KR20170003560U (ko) 액상의 라면 수프 포장체
US8393815B2 (en) Condiment packet having a sp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21613Y1 (ko) 피자포장용 지지기구
KR100718599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위생적인 튀김수용용기
KR200439550Y1 (ko) 식품포장용기
KR200346995Y1 (ko)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KR101661812B1 (ko) 다용도 식도구 포장대
JP3123385U (ja) 食品包装容器
KR200235802Y1 (ko) 일회용 라면용기
KR200257881Y1 (ko) 랩칼
KR200440106Y1 (ko) 식품포장용기
KR200206832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의 종이재 뚜껑
KR200369244Y1 (ko) 식품용 튜브
KR200305964Y1 (ko) 합성수지필름 뚜껑 따개
RU2010126496A (ru)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являющийся свежим и натуральным фруктом киви
JP2015089834A (ja) 食品容器
KR200274900Y1 (ko) 용기뚜껑이 구비된 음식물용기
KR200286281Y1 (ko) 냅킨 겸용 포장지
KR200380951Y1 (ko) 음식물 배달용 용기
KR200330090Y1 (ko) 포장용 봉지의 개봉부 밀봉부재
KR20110117925A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KR200304851Y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식품포장용기
KR200310675Y1 (ko) 손잡이가 있는 식품포장용 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