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80U - 서류 보관용 파일 - Google Patents

서류 보관용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80U
KR20170003480U KR2020160001728U KR20160001728U KR20170003480U KR 20170003480 U KR20170003480 U KR 20170003480U KR 2020160001728 U KR2020160001728 U KR 2020160001728U KR 20160001728 U KR20160001728 U KR 20160001728U KR 20170003480 U KR20170003480 U KR 201700034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front cover
rear cover
fix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2020160001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48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4Covers with retention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되는 부분으로 서류가 빠지지 않도록 한 서류 보관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 전면표지와 후면표지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표지와 상기 후면표지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서로 접착 형성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전면표지와 상기 후면표지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을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류 보관용 파일 {File for keeping documents}
본 고안은 서류 보관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되는 부분으로 서류가 빠지지 않도록 한 서류 보관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
서류 보관용 파일은 회사, 학교, 관공서, 가정 등에서 많은 분량의 서류를 분류하여 정리하거나 해당서류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며, 장시간 서류를 보관하더라도 서류의 변색 또는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서류 보관용 파일은 하나의 단위 파일로도 사용되기도 하고, 통상적으로 클리어 파일이라고 일컬어지듯이 하나의 본체 내에 다수의 단위 비닐 파일이 수납되어 다수의 서류를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885호(2004.03.25 등록)는 서류 파일 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표지와 배면지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서류 등을 끼워 넣을 수 있게 접합부 및 접힘부를 형성한 파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배면지엔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이 형성되는 상측부엔 내측으로 접혀지는 고정편을 형성하고, 고정편의 측부엔 수용홈을 갖는 표시부를 형성하고, 표지와 배지 사이의 접합부 및 접힘부에는 신장부를 형성하고, 신장부에는 철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8602호(2001.07.04 등록)는 서류 파일에 관한 것으로, 일체로 된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동선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어 형성된 서류파일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소폭으로 판상 형성된 지철고정판의 내단부가 상기 좌우 양측판의 접하는 접동선에 인접하게 상기 상,하부판의 상단부 위치로 부착되고, 상기 지철고정판에는 서류를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철할 수 있도록 양측 끝 단부가 상기 하부판 방향으로 지향된 지철이 구비되며, 상기 지철고정판의 외단부와 상기 하부판의 외측에는 서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서류 파일은 서류를 수납하기 위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류가 외부로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서류 파일은 서류에 펀치로 천공 구멍을 뚫어 바인더 홀더에 끼워야하기 때문에 서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88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8602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가 수납부의 일측을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류 보관용 파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면표지부의 일측에 전면표지부를 삽입하면서 서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서류 보관용 파일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전면표지와 후면표지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표지와 상기 후면표지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을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보조 전면표지와 보조 후면표지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전면표지와 상기 보조 후면표지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서로 접착 형성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보조 전면표지와 상기 보조 후면표지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보조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C'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상기 수납부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C'자 형태로 형성된 2개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해주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전면표지와 상기 후면표지 사이에 형성되어, 서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서류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류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전면표지 또는 상기 후면표지의 내부면 양측에 라인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류 미끄럼방지부재는, 외부면이 미세 엠보싱 처리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일측에 삽입홈이 구비된 후면표지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후면표지부와의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전면표지부를 포함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후면표지부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표지부와의 사이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후면표지부와 상기 전면표지부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가 수납부의 일측을 삽입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류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바인더 홀더에 고정시키기 위해 서류에 천공 구멍을 뚫거나 서류를 손상시키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후면표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류 보관용 파일(10)는, 수납부(100),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수납부(100)는,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로 형성되며,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 사이에 서류를 삽입하여 수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100)는,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하거나,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100)는, 고정부(200)가 삽입되는 일측이 고정부(200)의 내부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고정부(200)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10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서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100)는, 표면에 항균제를 도포하여 각종 서류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박멸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여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 사이에 수납된 서류를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0)는, 도면에서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며, 서류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수납부(100)의 양측을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0)는, 'C'자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0)는, 일정한 탄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서류 보관용 파일(10)은, 고정부(200)가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여 수납된 서류를 가압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류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인더 홀더에 고정시키기 위해 서류에 천공 구멍을 뚫거나 서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200)는, 수납 미끄럼방지부재(201)를 포함한다.
수납 미끄럼방지부재(201)는, 고정부(2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책상 등에 올려두었을 때 고정부(2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 미끄럼방지부재(201)는, 고정부(200)의 일측면 라인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 미끄럼방지부재(201)는, 고정부(200)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고정부(200)는, 고정부재(210, 220), 연결부재(230), 절첩홈(240)을 포함한다.
고정부재(210, 220)는, 2개의 'C'자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개방된 부분이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2개의 고정부재(210, 220) 사이에 형성되며, 2개의 고정부재(210, 220)를 서로 연결해준다.
절첩홈(240)은, 연결부재(23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연결부재(230)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고정부(200)는, 다수 개의 수납부(100)를 양쪽으로 연결하여 많은 양의 서류를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으며, 절첩홈(240)을 통해 연결부재(230)를 절첩하여 고정부재(210, 220)에 삽입된 수납부(100)를 차례대로 쌓아올려 보관할 수 있다.
도 4은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수납부(100)는,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를 포함한다.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 사이에 형성되며,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 사이에 수납된 서류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전면표지(101) 또는 후면표지(102)의 내부면 양측에 라인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전면표지(101) 또는 후면표지(102)의 내부면에 다수 개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외부면이 미세 엠보싱 처리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서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류 보관용 파일(10)는, 수납부(100), 고정부(200), 보조수납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부(100), 고정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수납부(300)는, 수납부(10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보조 전면표지(301)와 보조 후면표지(302)로 형성되며, 보조 전면표지(301)와 보조 후면표지(302)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서로 접착 형성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보조 전면표지(301)와 보조 후면표지(302) 사이에 서류를 수납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수납부(300)는, 수납부(100)와 서로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수납부(300)는, 수납부(100)와 서로 절첩된 부분에 고정부(200)를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하거나, 반대편에 각각 고정부(200)를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수납부(300)는, 보조 전면표지(301)와 보조 후면표지(302)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보조 전면표지(301)와 보조 후면표지(302)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수납부(30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서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서류 보관용 파일(10)는, 후면표지부(400), 전면표지부(500)를 포함한다.
후면표지부(400)는, 일측에 삽입홈(401)이 구비되며, 삽입홈(401)에 전면표지부(500)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401)은, 전면표지부(5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여 전면표지부(50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표지부(40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서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표지부(500)는, 일측이 삽입홈(401)에 삽입 고정되며, 후면표지부(400)와의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여 보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표지부(50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서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류는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 사이에 삽입되어 수납되는데, 전면표지부(500)의 일측과 함께 서류의 일측도 삽입홈(401)에 삽입하여 서류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는 후면표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후면표지부(400)는, 탄력부재(410)를 포함한다.
탄력부재(410)는, 후면표지부(400)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전면표지부(500)와의 사이에 탄력을 제공한다. 즉, 탄력부재(410)를 눌러 서류를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 사이에 삽입한 후에 놓으면 탄력부재(410)가 탄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돌아오면서 서류를 가압하여 서류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410)는, 도면에서 후면표지부(400)의 내부면 상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후면표지부(400)의 내부면 하부 또는 후면표지부(400)의 내부면 상부와 하부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서류 보관용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류 보관용 파일(10)는, 후면표지부(400), 전면표지부(500), 고정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면표지부(400), 전면표지부(500)는 도 6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고정부(600)는,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의 다른 일측을 삽입하여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며,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 사이에 수납된 서류를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600)는, 도면에서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의 다른 일측을 삽입하며, 서류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의 일측도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600)는, 'C'자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후면표지부(400)와 전면표지부(500)의 다른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600)는, 일정한 탄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납부(100)는, 탈부착부재(110)를 포함한다.
탈부착부재(110)는,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 사이를 서로 부착하거나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가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이 접착 형성된 경우보다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 사이에 서류를 삽입하거나 빼내기 편리하며, 수납부(100)를 수직방향으로 들었을 때에 서류가 미끄러지면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재(110)는, 종이자석으로 형성되어 자석의 인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종이자석 외에 찍찍이(밸크로) 등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20 : 서류 보관용 파일
100 : 수납부
101 : 전면표지
102 : 후면표지
200, 600 : 고정부
201 : 수납 미끄럼방지부재
210, 220 : 고정부재
230 : 연결부재
240 : 절첩홈
300 : 보조수납부
301 : 보조 전면표지
302 : 보조 후면표지
400 : 후면표지부
500 : 전면표지부

Claims (10)

  1. 전면표지(101)와 후면표지(102)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표지(101)와 상기 후면표지(102)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00); 및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여, 서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보조 전면표지(301)와 보조 후면표지(302)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전면표지(301)와 상기 보조 후면표지(302)의 하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서로 접착 형성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보조 전면표지(301)와 상기 보조 후면표지(302)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보조수납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C'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C'자 형태로 형성된 2개의 고정부재(210, 220);
    상기 고정부재(210, 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해주기 위한 연결부재(230); 및
    상기 연결부재(23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30)를 절첩하기 위한 절첩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상기 전면표지(101)와 상기 후면표지(102) 사이에 형성되어, 서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상기 전면표지(101) 또는 상기 후면표지(102)의 내부면 양측에 라인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 미끄럼방지부재(110)는,
    외부면이 미세 엠보싱 처리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8. 일측에 삽입홈(401)이 구비된 후면표지부(400); 및
    상기 삽입홈(401)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후면표지부(400)와의 사이에 서류를 수납하기 위한 전면표지부(500)를 포함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표지부(400)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표지부(500)와의 사이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력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표지부(400)와 상기 전면표지부(500)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용 파일.
KR2020160001728U 2016-03-31 2016-03-31 서류 보관용 파일 KR201700034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28U KR20170003480U (ko) 2016-03-31 2016-03-31 서류 보관용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28U KR20170003480U (ko) 2016-03-31 2016-03-31 서류 보관용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80U true KR20170003480U (ko) 2017-10-12

Family

ID=6040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728U KR20170003480U (ko) 2016-03-31 2016-03-31 서류 보관용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480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02Y1 (ko) 2001-03-21 2001-10-08 류권홍 서류 파일
KR200346885Y1 (ko) 2003-10-29 2004-04-03 박승옥 서류 파일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02Y1 (ko) 2001-03-21 2001-10-08 류권홍 서류 파일
KR200346885Y1 (ko) 2003-10-29 2004-04-03 박승옥 서류 파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01477A3 (en) Project management organizer clip
KR100929156B1 (ko) 제본용 노트
US20040034970A1 (en) Firmly secured paper clip
KR20170003480U (ko) 서류 보관용 파일
KR100774842B1 (ko) 자석 화일
US20070074377A1 (en) Magnetic paper clip structure
US6827014B1 (en) System for mounting, using and storing rubber stamps
KR20120006801U (ko)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 구조
KR200406496Y1 (ko) 착탈식 메모수첩
JP2019014248A (ja) 付箋用保持具
KR200484309Y1 (ko) 노트
JP2008023901A (ja) 書類・冊子類の取付補助具
JP3180764U (ja) 紙類挟みホル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保持具、並びに筆記具用キャップ体及び筆記具用キャップセット
JP5528220B2 (ja) シートファイル具
JP3160023U (ja) シート掲示具
WO2011086714A1 (ja) シートファイル具
CN209796080U (zh) 一种多功能产品展示盒
KR20110076171A (ko) 라벨 보호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서류철
JP6168251B1 (ja) 着脱式インデックス
JP3121640U (ja) 粘着式整理ファイル
JP2005059421A (ja) 書類保管装置
JP3159876U (ja) シートファイル具
KR100997876B1 (ko) 라벨지
KR101524586B1 (ko) 책갈피 공급 장치
JP2003341270A (ja) ファイル文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