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50U -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 Google Patents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50U
KR20170003250U KR2020170002265U KR20170002265U KR20170003250U KR 20170003250 U KR20170003250 U KR 20170003250U KR 2020170002265 U KR2020170002265 U KR 2020170002265U KR 20170002265 U KR20170002265 U KR 20170002265U KR 20170003250 U KR20170003250 U KR 201700032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e
lower plate
middle plat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일
Original Assignee
홍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일 filed Critical 홍승일
Priority to KR2020170002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25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 적재함에 안착되도록 평판 또는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고, 와이어 및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이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와 일측이 연결되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중판을 거쳐 상기 하판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 체인과,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과 하판은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상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마주보는 제1상태와,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Safe loading plate}
본 고안은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압식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와이어 동작으로 승강판을 펼침으로써 경사가 완만한 상태로 놓여지는 새로운 안전 승강판을 제안한다.
농가에서 과수 농사나 밭농사 등 각종 농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함께 기계 장비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 이러한 농업용 기계 장비는 마을 단위로 구매하여 공동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일부 개별 농가에서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모든 기계 장비를 다 구비하고 있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필요한 장비를 그때그때 임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농기계 임대사업장 또는 농협임대은행에서는 농가에 필요한 각종 농기계들, 예를 들어 파쇄기, 운반차, 관리기, 미니포크레인 등을 임대하고 있는데, 농기계의 운반은 통상 해당 장비를 트럭의 짐칸에 실은 채로 이동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 경우 트럭에 농기계를 상차하거나 하차시켜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통상 트럭의 짐칸이 지면으로부터 높게 위치해 있어 농기계의 상차 또는 하차 시 별도의 사다리가 필요하다.
농기계 상하차에 사용되는 사다리는 보통 알루미늄 재질의 사다리 한 쌍을 트럭 짐칸에 경사지도록 걸어두고 두 사다리에 농기계의 바퀴나 궤도를 지지시킨 채로 농기계를 상차하거나 하차시키게 된다. 그런데, 한 쌍의 사다리를 이용하여 농기계를 상하차시키는 경우 고도의 운전 기술이 필요하며, 농기계의 이동 시 균형을 유지한 채로 이동 속도를 세심하게 제어하지 않는 경우 자칫 상하차 과정에서 트럭 짐칸에 정확히 적재되지 못하거나 충격이 발생될 수 있고, 심한 경우 농기계가 전복되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운반용 트럭에 농기계를 상하차하는 과정에서 빈번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농기계 임대사용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국가적 재원이 낭비가 되고, 농업 생산성 향상에도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기존의 농기계 상하차용 사다리는 통상의 사다리에 안전 발판만을 구비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였다. 또한, 개선된 상하차용 사다리의 경우에도 단순히 지지수단이 더 부가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에 안전사고 예방에는 별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농기계 등을 트럭 짐칸에 적재한 채로 운반하기 위한 승강 수단으로서 기존의 상하차용 사다리를 개선한 실용신안출원 2000-19408호에 따르면, 사다리를 트럭 측면이나 후면에 부착시켜 이동이 편리하고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다. 또한, 실용신안출원 2004-23532호에 따르면, 상하차용 사다리의 저부에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안정성을 강화한 바 있다. 한편, 실용신안출원 2013-7143호의 경우 트럭 후방의 적재부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수평적인 사다리를 트럭 후방으로 인출하여 경사지도록 한 사다리의 인출입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기존의 상하차용 사다리를 일부 변형하여 개선된 효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차량 구조를 변경하거나 지정된 차량에만 설치가 가능한 단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다리 설치를 위한 구조변경된 차량이나 유압 펌프, 모터를 장착한 차량에 한하여 설치가 가능한 한계점이 있고, 사다리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이용자 측면에서 개선해야할 점들이 많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농업용 장비들의 상차 또는 하차 시 알루미늄 사다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빈번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농업용 장비들의 대여시 안전하게 농기계를 상차 및 하차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 승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농업용 장비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농업용 장비의 임대 사용을 높이고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럭 적재함에 안착되도록 평판 또는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고, 와이어 및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이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와 일측이 연결되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중판을 거쳐 상기 하판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 체인과,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과 하판은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상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마주보는 제1상태와,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양 측부에 차량 적재함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중판과 하판이 만나는 지점에서 하판의 끝단에는 상기 인장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농기계 임대사업장, 농축산 농가에서 농기계 상하차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 말과 같은 가축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상하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트럭 등의 운송 수단에 탈부착이 간단하여 임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수단으로 전기 모터를 구비한 윈치를 사용하고 차량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어 제조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승강판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승강판의 측면도
도 3은 안전 승강판의 와이어 감김 및 풀림 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안전 승강판의 인장 체인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안전 승강판의 구동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안전 승강판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a 내지 7f는 실제 제작된 안전 승강판의 동작을 보인 사진
본 고안은 농기계 등의 운송 장비를 트럭에 안전하게 상차 또는 하차시키기 위하여, 상판, 중판, 하판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승강판을 제안한다
본 고안의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은 별도의 유압식 동력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와인딩 및 언와인딩되는 와이어 동작으로 중판과 하판을 트럭 후방으로 펼침으로써 경사가 완만한 상태로 놓여지는 승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트럭 등의 운송차량 후방의 적재함에 장착되며, 와이어 및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이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와 일측이 연결되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중판을 거쳐 상기 하판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 체인과,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는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을 제안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승강판은 중판과 하판의 펼침 작용이 ‘인장 체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별도의 펼침 수단이 필요없으며, 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을 위한 모터 동작이 차량 전원으로부터 제공되어 트럭 등의 운송차량에 승강판을 적재한 채로 어느 장소에서도 승강판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판과 트럭 적재함을 별도의 와이어로 고정함으로써 승강판을 트럭에 고정하기가 용이하며, 다양한 사이즈와 종류의 트럭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상판은 트럭 후방의 적재함에 고정된 채로 중판과 하판이 지면을 향해 펼쳐짐으로써 낮은 경사도의 승강판이 제공되어 농기계 상하차 시 틀어짐이 없고 안정적으로 상차 및 하차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승강판(100)은 상판(110), 중판(120), 하판(130) 및 와이어(140), 그리고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수단(150)을 포함한다.
상판(110)은 트럭 등의 운송차량 후방의 적재함에 안착되도록 평판 또는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판에는 와이어(140) 및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150)이 구비된다. 와이어는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에 감겨진 채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면서 상판과 중판의 거리(내지 각도)를 조절한다.
중판(120)은 상기 상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평판 또는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판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따라 중판이 상판에 대해 경사도가 변화된다. 하판(130)은 중판의 타단(상판과 결합되는 중판의 일단 반대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중판을 중심으로 상판과 하판이 각각 중판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승강판이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길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150)은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160)을 포함하고 있고, 전원케이블의 끝에는 접속 단자(16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체인(170)의 일단이 고정된다. 인장 체인은 상기 중판을 거쳐 상기 하판에 타단이 고정된다. 인장 체인은 중판이 상판에 대하여 경사도가 변화될 때 하판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중판과 하판이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중판과 하판이 만나는 지점에서 하판의 끝단에는 상기 인장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1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에 의하여 인장 체인이 중판과 하판의 펼쳐지는 동작에도 안전하게 하판을 지지할 수 있고, 하판과 중판이 펼쳐진 후 일자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에서 상기 중판과 하판은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이 상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마주보는 제1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상태는 안전 승강판이 접혀진 상태로서 부피가 최소화되며 이 상태에서는 트럭에 승강판을 적재한 채로 이동이 용이하다.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되는데, 와이어 풀림 동작으로 제1상태에서 상판에 근접하여 세워진 상태의 중판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펼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에서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의 적절한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
도 3은 안전 승강판의 와이어 감김 및 풀림 수단을 보인 사시도로서, 감김 및 풀림 수단(150)을 상판에 연결된 지지대(112)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수단은 전기 모터를 구비한 윈치(winch)를 이용할 수 있다. 윈치에 연결된 케이블을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함으로써 어느 장소에서도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승강판을 적재함에 적재시키거나 지면에 대해 설치할 수 있다.
와이어와 더불어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에 있어서 중판과 하판의 펼침 작용을 담당하는 인장 체인이 매우 중요하다. 인장 체인은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상판의 일측으로부터 (중판을 거쳐) 하판에 연결된다. 와이어의 풀림 작용을 통해 중판이 아래로 경사지면서 이동하게 되면, 하판에 연결된 인장 체인이 하판에 인장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하판이 중판에 대해 펼쳐지게 된다. 도 4는 안전 승강판의 인장 체인(170)을 보인 사시도로서, 상판으로부터 하판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 체인의 길이에 따라 중판과 하판이 펼쳐진 후 중판과 하판 사이의 최종 각도가 결정된다. 인장 체인의 길이는 하판이 중판에 대해 펼쳐져 최종적으로는 중판과 하판이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이를 위하여, 인장 체인의 일단이 고정된 상판에는 턴버클(도 6의 172 참조) 등의 길이 조절 수단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체인 가이드(132)와 함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안내 고리 등도 인장 체인이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정확하게 하판에 인장력을 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은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상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마주보는 제1상태로부터,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된다.
도 5는 안전 승강판의 구동 모습을 보인 모식도로서,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와이어가 풀리면서 중판은 상판에 대해 마주보던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경사도가 커지면서 펼쳐지게 되고, 하판도 인장 체인의 인장력을 받으면서 중판에 대해 경사도가 커지면서 펼쳐지게 된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승강판이 펼쳐진 상태로 변화된다. 이러한 제2상태에서 중판과 하판은 일자로 평행하게 유지되면서 지면에 대해 경사를 가진 지지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상태는 차량 정지 시 승강판이 트럭 후방의 지면에 펼쳐지게 되며, 차륜이나 궤도를 구비한 농기계 등이 승강판을 따라 트럭의 적재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은 와이어 풀림 작용을 통해 세워진 중판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농기계 등의 상차 및 하차를 위한 낮은 경사면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에서 상기 상판은 양 측부에 차량 적재함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 연결부(115)가 마련되어 있고, 예를 들어 자동바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판과 차량 적재함을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럭의 크기나 적재함 사이즈에 상관없이 본 고안의 승강판을 차량 후방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1톤 트럭의 경우에는 2 ~ 3 분 정도의 짧은 시간 내에 승강판의 이동이나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판과 하판 사이에는 지지기둥(180)이 개재되어 있는데,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되면 상기 지지기둥은 지면을 지지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지지기둥은 고하중의 농기계를 빈번하게 상하차시키는 경우 승강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실제 제작된 안전 승강판의 동작을 도 7a 내지 7f에 나타내었다. 최초 트럭 적재함에 접혀진 상태로 승강판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태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도 7a). 농기계 등을 상차하기 위해 트럭을 정차시킨 후 승강판을 동작시킨다. 상판은 트럭 후방의 적재함에 고정된 채로,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중판과 하판이 경사가 변화되면서 지면에 펼쳐지게 된다(도 7b ~ 7d). 이후, 상차하려는 농기계가 하판과 중판 상면을 지지면으로 하여 트럭에 상차된다(도 7e 및 7f). 중판과 하판의 상면이 넓고, 지면과 트럭 적재함 상면 사이의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하중이 큰 농기계의 경우에도 쉽게 트럭 적재함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중판과 하판 사이에는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쇼크 업소버가 부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안전 승강판을 이용함으로써 농기계상하차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소, 말과 같은 가축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트럭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트럭 적재함에 탈부착이 간단하기 때문에 임대용으로 활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안전 승강판 110:상판
115:고정와이어 연결부 120:중판
130:하판 132:체인 가이드
140:와이어 150:와이어 감김 및 풀림 수단
160:전원케이블 162:접속단자
170:인장 체인 172:턴버클
180:지지기둥

Claims (2)

  1. 트럭 적재함에 안착되도록 평판 또는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고, 와이어 및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이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와 일측이 연결되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중판을 거쳐 상기 하판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 체인과,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과 하판은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상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마주보는 제1상태와,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되고,
    상기 중판과 하판이 만나는 지점에서 하판의 끝단에는 상기 인장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장 체인의 일단과 상판 사이에는 턴버클이 부가되어 있고,
    상기 상판은 양 측부에 차량 적재함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판에 구비되는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 수단은 전기 모터를 구비한 윈치(winch)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과 하판 사이에는 지지기둥이 개재되어 있고,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판에 대해 경사진 채로 중판과 하판이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상태로 변화되면 상기 지지기둥은 지면을 지지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KR2020170002265U 2017-05-09 2017-05-09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KR201700032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65U KR20170003250U (ko) 2017-05-09 2017-05-09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65U KR20170003250U (ko) 2017-05-09 2017-05-09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544 Division 2016-03-09 2016-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50U true KR20170003250U (ko) 2017-09-19

Family

ID=6057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65U KR20170003250U (ko) 2017-05-09 2017-05-09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2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904B1 (ko) 2020-06-10 2021-11-17 김미옥 화물차 적재함 사다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904B1 (ko) 2020-06-10 2021-11-17 김미옥 화물차 적재함 사다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3873A1 (en) Tow trailer assembly
US8353661B2 (en) Vehicle mounted lift
CA2911908A1 (en) Log loading device
CA1038115A (en) Portable stock loading chute
CA2635886C (en) Ground level loading trailer
US5123799A (en) Trailer loading apparatus
JP2016532616A (ja) 関節アームを有する台車
KR20170003250U (ko)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456337B1 (ko)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US9162856B2 (en) Lifting device for vehicle wheels
US7658157B2 (en) Boxed tree transporter
US20170120794A1 (en) Dual Axis Tow Lift
CN216272121U (zh) 一种角度可调节的登车桥
CN2695285Y (zh) 装卸车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NL2009495C2 (en) Lifting or hoisting system and method of stabilizing a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US4071115A (en) Multi-story lift device
CN212101077U (zh) 一种冷链运输货物卸载装置
US7427184B1 (en) Boat lift system for a trailer
CN109704204B (zh) 一种具有支撑平台的集装箱门机及其工作方法
CN208327278U (zh) 一种挂车用升降式上料装置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US10744923B2 (en) Extendible boom suspended vehicle towing
WO2017155186A1 (ko) 상하차용 안전 승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