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45U - 복공판용 가설기둥 - Google Patents

복공판용 가설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45U
KR20170003245U KR2020160001264U KR20160001264U KR20170003245U KR 20170003245 U KR20170003245 U KR 20170003245U KR 2020160001264 U KR2020160001264 U KR 2020160001264U KR 20160001264 U KR20160001264 U KR 20160001264U KR 20170003245 U KR20170003245 U KR 201700032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late
bolt
lifting hole
anch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태
Original Assignee
한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태 filed Critical 한상태
Priority to KR2020160001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245U/ko
Publication of KR20170003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공판의 인양구멍을 이용하여 가설할 수 있는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1)은, 복공판(2)에 형성된 인양구멍(3)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인양구멍(3)에 삽입하여 수평으로 중심을 잡으면 인양구멍(3)에 걸려 인출되지 않게 되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걸림대(11), 및 걸림대(11)의 상부로 길게 돌출 형성된 볼트부(12)를 구비하는 앵커부재(10); 인양구멍(3)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져서 상기 인양구멍(3) 둘레의 복공판(2)에 걸쳐지고, 앵커부재(10)의 볼트부(12)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21a)이 형성된 받침판부(21), 및 받침판부(21)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볼트부(12)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둘레에는 제1 나사부(22b)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2)를 구비하는 지지대(20); 제1 관통공(21a) 및 제2 관통공(22b)을 통과하여 지지대(20)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부(12)에 나사 결합되며, 앵커부재(10)와 협력하여 지지대(20)를 인양구멍(3) 둘레의 복공판(2)에 고정하는 고정너트(30); 및 하단에 형성된 제2 나사부(40a)가 연결부(22)의 제1 나사부(22b)에 나사 결합되어서 지지대(20)에 연결되는 기둥부재(4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공판용 가설기둥{Temporary Pole for Road Decking Panel}
본 고안은 복공판용 가설기둥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공판의 인양구멍을 이용하여 가설할 수 있는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등 각종 지하구조물을 개착터널공법으로 건설할 때에는, 굴착된 지하공간 위에서 사람과 차량이 통행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H-빔 등의 골조 구조물 상부에 복공판을 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상적으로 복공판은 위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철이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으로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복공판은 그 위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과 통행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하므로 고강도로 제작되고, 따라서 200-300 킬로그램에 이를 정도로 그 무게가 상당하므로 그 설치 및 운반에는 주로 크레인이 사용되며, 이런 이유로 복공판에는 인양할 때 크레인의 후크를 걸기 위한 일정 직경의 인양구멍이 네 구석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공사와 같이 복공판을 적용하는 각종 개착터널공사현장에는, 공사구역, 작업구역, 통행구역, 적재구역, 통제구역 등으로 구획하고 표시하기 위한 각종 울타리(펜스) 등을 가설할 필요가 있으며, 이런 펜스 등의 가설을 위해서는 기둥 구조물을 가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복공판으로 복개된 공사현장에서는, 지하에서 파낸 흙을 지상으로 배출하고 지하공간과 지상 사이에 건축자재와 장비 등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서, 복공판들 사이에 복공판을 덮지 않은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런 개구부의 둘레에는 추락 등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안전펜스를 가설할 필요가 있고, 그밖에 작업구역과 통행구역을 구분하는 가이드를 구축하고, 전선을 배선하고, 경고등을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기둥 구조물을 가설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런 기둥 구조물을 스탠천(stanchion)이라고 한다.
도6은 지하철공사현장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종래 가설기둥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가설기둥(100)은, 복공판이 아닌 복공판 아래의 H-빔(101)을 이용한 가설기둥으로서, H-빔(101)의 가로부(102)에 측면으로부터 삽입하고 볼트(111)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클램프(110), 클램프(110)의 상부에 부착된 받침판(120), 및 받침판(120)의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관(130), 및 연결관(130)에 끼워지는 기둥부재(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설기둥(100)은, 단지 볼트(111)를 풀고 조이는 것으로 용이하게 가설기둥(100)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의 클램프(110)의 체결을 필요로 하므로, H-빔(101)의 가로부(102)와 같은 가로부가 존재하는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가설기둥을 설치할 수 있고 그렇지 않는 곳에서는 설치할 수 없으며, 특히 복공판에는 클램프(110)를 체결할 수 있는 가로부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설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가설기둥이 개시된 종래기술로서는, 도6의 가설기둥(100)과 유사한 가설기둥이 사용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26968호의 '건축용 안전 난간 지지장치'와 대한민국 특허 제10-1143355호의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공판에 형성된 인양구멍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는 복공판용 가설기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복공판용 가설기둥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은, 앵커부재, 지지대, 고정너트 및 기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재는, 복공판에 형성된 인양구멍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인양구멍에 삽입하여 수평으로 중심을 잡으면 상기 인양구멍에 걸려 인출되지 않게 되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걸림대, 및 상기 걸림대의 상부로 길게 돌출 형성된 볼트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인양구멍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져서 인양구멍 둘레의 복공판에 걸쳐지고, 상기 앵커부재의 상기 볼트부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판부, 및 상기 받침판부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볼트부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둘레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앵커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지지대를 상기 인양구멍 둘레의 상기 복공판에 고정한다.
상기 기둥부재는, 하단에 형성된 제2 나사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다.
상기 앵커부재의 상기 걸림대와 상기 볼트부는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에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3 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아래에 상기 받침판부와의 사이에는, 렌치를 물리기 위한 볼트머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에 의하면, 상기 앵커부재의 상기 걸림대를 복공판의 인양구멍에 안쪽에서 걸리게 하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볼트부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를 상기 볼트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인양구멍 둘레의 복공판에 견고히 고정한 후에,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을 상기 지지대의 둘레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상기 기둥부재를 복공판의 인양구멍에 가설하고 역순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지하철공사와 같은 복공판을 적용하는 각종 공사현장에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설기둥을 복공판에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설하고 철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기적인 복공판용 가설기둥의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복공판용 가설기둥을 복공판에 설치한 상태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복공판용 가설기둥을 복공판에 설치한 상태의 사용상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기적인 복공판용 가설기둥을 복공판에 설치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복공판용 가설기둥을 공사현장의 복공판에 적용한 상태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6은 종래 가설기둥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1)은, 앵커부재(10), 지지대(20), 고정너트(30) 및 기둥부재(40)를 포함하며, 복공판(2)에 형성된 인양구멍(3)을 이용하여 기둥부재(40)를 복공판(2)에 가설함으로써, 복공판(2) 위에 안전펜스나 가이드 등의 각종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그 지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10)는, 고정너트(30)와 협력하여 지지대(20)를 복공판(2)의 인양구멍(3) 둘레의 복공판(2)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걸림대(11)와 볼트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대(11)는 복공판(2)에 형성된 인양구멍(3)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가로로 길게 신장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경사진 상태로는 인양구멍(3) 안으로 삽입할 수 있지만, 인양구멍(3) 안에 삽입한 후에 수평으로 중심을 잡으면, 양단이 인양구멍(3)에 걸려 밖으로 인출할 수 없다.
상기 볼트부(12)는 걸림대(11)의 상부에서 위로 길게 형성되고, 그 둘레에 나사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부재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1)은, 공사현장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소재와 부속들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바, 도시된 구체예는 공사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강바를 인양구멍(3)의 직경보다 길게 절단하여 그 중간에 구멍(11a)을 뚫어 걸림대(11)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공사현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헤드(12a)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를 상기 볼트부(12)로 사용하는 한편, 걸림대(11)의 구멍(11a)에 볼트부(12)를 삽입하여 헤드(12a) 위에 걸림대(11)가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앵커부재(10)를 형성한 예이다. 물론 앵커부재(10)는, 본 고안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걸림대(11)와 볼트부(12)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도 제작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대(20)는 앵커부재(10)와 고정너트(30)에 의해 인양구멍(3) 둘레에 복공판(2) 위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둥부재(40)를 지지하는 부재이며, 받침판부(21)와 연결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판부(21)는 인양구멍(3)의 크기(직경)보다 큰 크기(직경)를 가져서 인양구멍(3) 둘레의 복공판(2) 위에 걸쳐지는 부분으로서, 그 중심에는 앵커부재(10)의 볼트부(12)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21a: 도4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관통공(21a)에 볼트부(12)를 삽입함으로써 볼트부(12)에 위로부터 삽입되어 인양구멍(3)의 둘레의 복공판(2)에 올려진다.
상기 연결부(22)는 받침판부(21)의 상부에 원기둥형으로 일정 정도로 길게 돌출된 부분으로서, 중앙에는 볼트부(12)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둘레에는 제1 나사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2)는 공사현장에서 기둥으로 널리 사용되는 규격화된 원형강관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사이즈 맞춤 없이 제1 나사부(22b)가 후술하는 기둥부재(40)의 제2 나사부(40a)에 바로 나사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20)를 구성하는 받침판부(21)와 연결부(22)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성형하거나, 별도로 성형하여 용접함으로써 하나의 단일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받침판부(21)와 연결부(22)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는다.
연결부(22)의 아래에 받침판부(21)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6각이나 4각과 같은 볼트머리부(23)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20)에 기둥부재(40)를 나사 체결하고 분리할 때, 스패너와 같은 렌치를 물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30)는 받침판부(21)와 연결부(22)에 상하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21a)과 제2 관통공(22a)을 통과하여 지지대(20)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부(12)에 나사 결합되는 통상의 너트이다.
따라서 앵커부재(10)의 걸림대(11)를 인양구멍(3)의 내부로 삽입하여 인양구멍(3) 둘에의 복공판(2)에 걸리게 하고 볼트부(12)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 관통공(21a)과 제2 관통공(22a)에 볼트부(12)가 삽입되도록 지지대(20)를 인양구멍(3) 둘에의 복공판(2) 위에 걸쳐지게 한 후에, 고정너트(30)를 볼트부(12)에 조이면, 지지대(20)는 인양구멍(3)의 둘레의 복공판(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볼트부(12)에 고정너트(30)를 조이는 것만으로 지지대(20)를 복공판(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지만, 제2 관통공(22a)의 직경을 볼트부(1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고 제2 관통공(22a)의 내주면에도 제3 나사부(22c)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22)도 볼트부(12)와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기둥부재(40)는 각종 공사현장에서 널리 지주로 널리 사용되는 부재로서, 지지대(20)의 연결부(22)의 외주에 형성된 제1 나사부(22b)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40a)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나사부(22b)와 제2 나사부(40a)의 나사결합에 의해 기둥부재(40)는 지지부(20)에 상측에 세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기둥부재(40)로서 원형강관을 적용할 경우에는 원형강관의 하단에 바로 제2 나사부(40a)를 형성하여 지지대(20)에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며, 기둥부재(40)로서 예를 들어 사각파이프와 같은 각관을 적용할 때에는 제2 나사부(40a)를 형성한 원형강관과 같은 연결관(도시 생략)을 각관의 하단에 부착하여 지지대(2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설기둥(1)을 활용함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기둥부재(40)의 길이를 짧은 길이로 형성하고, 짧은 기둥부재(40)에 사용목적에 맞는 높이가 되도록 추가의 기둥을 연결(결합, 체결,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가설기둥(1)을 지하철공사장 등의 복공판(2)에 적용하여 펜스를 구축한 예로서,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설기둥(1)을 지주로 사용할 때에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기둥부재(40)에 예를 들어 펜스(4)를 구축에 필요한 수평바(5)를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41)를 부착할 수도 있고, 전선(6)을 걸기 위한 걸고리(42) 등을 더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야간 환경에서 기둥부재(40)가 눈에 잘 보이도록, 기둥부재(40)의 둘레에는 반사시트나 형광시트 등을 부착하거나, 형광도료 등을 도포하거나, 반사판 등을 부착하는 등의 각종 안전표지(43)를 적용할 수도 있다.
1: 본 고안의 가설기둥 2: 복공판
3: 인양구멍 4: 펜스
5: 수평바 6: 전선
10: 앵커부재 11: 걸림대
11a: 걸림대의 구멍 12: 볼트부
12a: 헤드 20: 지지대
21: 받침판부 21a: 제1 관통구
22: 연결부 22a: 제2 관통구
22b: 제1 나사부 22c: 제3 나사부
23: 볼트머리부 30: 고정너트
40: 기둥부재 40a: 제2 나사부
41: 클램프 42: 걸고리
43: 안전표지

Claims (3)

  1. 복공판(2)에 형성된 인양구멍(3)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인양구멍(3)에 삽입하여 수평으로 중심을 잡으면 상기 인양구멍(3)에 걸려 인출되지 않게 되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걸림대(11), 및 상기 걸림대(11)의 상부로 길게 돌출 형성된 볼트부(12)를 구비하는 앵커부재(10);
    상기 인양구멍(3)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져서 상기 인양구멍(3) 둘레의 상기 복공판(2)에 걸쳐지고, 상기 앵커부재(10)의 상기 볼트부(12)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21a)이 형성된 받침판부(21), 및 상기 받침판부(21)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볼트부(12)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둘레에는 제1 나사부(22b)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2)를 구비하는 지지대(20);
    상기 제1 관통공(21a) 및 상기 제2 관통공(22b)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대(20)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부(12)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앵커부재(10)와 협력하여 상기 지지대(20)를 상기 인양구멍(3) 둘레의 상기 복공판(2)에 고정하는 고정너트(30); 및
    하단에 형성된 제2 나사부(40a)가 상기 연결부(22)의 상기 제1 나사부(22b)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대(20)에 연결되는 기둥부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설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10)의 상기 걸림대(11)와 상기 볼트부(12)는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부(21)와 상기 연결부(22)는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의 상기 제2 관통공(22a)의 내주면에 상기 볼트부(12)와 나사 결합되는 제3 나사부(22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설기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의 아래에 상기 받침판부(21)와의 사이에는, 렌치를 물리기 위한 볼트머리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설기둥.
KR2020160001264U 2016-03-09 2016-03-09 복공판용 가설기둥 KR201700032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64U KR20170003245U (ko) 2016-03-09 2016-03-09 복공판용 가설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64U KR20170003245U (ko) 2016-03-09 2016-03-09 복공판용 가설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45U true KR20170003245U (ko) 2017-09-19

Family

ID=6057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264U KR20170003245U (ko) 2016-03-09 2016-03-09 복공판용 가설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2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773B2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US10006220B2 (en) Support system and structure supported thereby
US20230407653A1 (en) Grab plate assembly
US11680400B2 (en) Concrete boss anchor
JPWO2015025565A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US8919060B1 (en) Connector and foundation for manufactured building
US20180058082A1 (en) Ground anchor bracket for multiple wall braces
AU2020260386A1 (en) Connection system
GB2571771A (en) Fence bracket
US20190301152A1 (en) Ground anchor bracket with simulated slab support for concrete wall braces
GB2089881A (en) Clamping device, primarily intended for attaching panels to posts
CA2885328C (en) Underground vault roof support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KR20190002728U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US20130193286A1 (en) Portable and resuable connection device having secure anchor point
KR20170003245U (ko) 복공판용 가설기둥
AU2019203118A1 (en) Coupling an upper end of a hollow section column to a building unit support
WO2014175803A1 (en) Solar panel support structure & method
JP6223874B2 (ja) 揚重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ポールの取付および取外方法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AU2018232911A1 (en) Lifting Device
GB2601237A (en) Fence bracket
EP4321712A1 (en) Block for supporting a hoarding system
CN210714074U (zh) 井场防护围栏
JP7195175B2 (ja) アンカー設置フレーム、アンカー組立体及び梁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