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04A -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04A
KR20170003104A KR1020150093324A KR20150093324A KR20170003104A KR 20170003104 A KR20170003104 A KR 20170003104A KR 1020150093324 A KR1020150093324 A KR 1020150093324A KR 20150093324 A KR20150093324 A KR 20150093324A KR 20170003104 A KR20170003104 A KR 20170003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light source
dispos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791B1 (ko
Inventor
노재명
엄동일
오남석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21
    • F21S48/23
    • F21S48/31
    • F21W2101/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측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평판형 제1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측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는 램프와 이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는 램프는 광의 조사방향이 다른 적어도 2개의 광원을 이용하고 제어하여 입체적인 광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Lamp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출력 및 효율이나 신뢰성 측면에서 광원으로서 유익한 장점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명 장치 및 램프를 위한 고출력, 고효율 광원으로서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최근, LED는 자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이나,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조명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중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콤비네이션 램프(combination lamp)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야간 주행시 앞 차량 및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자신의 주행 의도를 알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의 차량의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식별 가능하도록 하여 방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차량의 후방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후진등, 후미등 및 제동등, 방향 지시등이 일체화된다.
그러나,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의한 조명의 대부분에는 광의 전달을 효율화하는 도광판 등의 부재를 적용하여 휘도적 측면에서 면광원에 접근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입체적 조명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의 조사방향이 다른 적어도 2개의 광원을 이용하여 입체적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개구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측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평판형 제1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측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는 램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리플렉터에 의하여 조사되는 광의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디퓨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광 조사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과 하우징; 상기 광 조사구로 광이 조사되게 상기 제2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광원; 및 상기 광 조사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브라켓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하우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돌출부의 일 영역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렌즈를 지지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제1 기판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IOL 타입일 수 있다. 인 램프.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테일 램프와 스탑 램프로 이용되는 상술 된 램프를 구비하는 차량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는 광의 조사방향이 다른 적어도 2개의 광원을 이용하고 제어하여 입체적인 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리플렉터를 배치하고, 상기 광원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램프의 전방에서 상기 광원이 보이지 않게 하면서도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는 광의 조사방향 및 광 조사 방식이 다른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조명을 구현함과 동시에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Section A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브라켓과 제1 광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브라켓과 제1 광원부의 결합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Section B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브라켓과 제1 광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제1 광원부에 배치된 디퓨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곡면 형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된 LED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곡면 형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된 LED 이용하는 램프의 점등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곡면 형상의 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금속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제1 광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제1 광원부의 점등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1)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용 램프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램프(1)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중 테일 램프(Tail Lamp)와 스탑 램프(Stop Lamp)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1)는 일측에 개구가 마련되게 내부에 수용공간(S)을 구비하는 브라켓(100), 브라켓(100)을 기준으로 브라켓(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간접 광조사 방식의 면광원을 구현하는 제1 광원부(200), 브라켓(100)의 수용공간(S)에 설치되어 직접 광조사 방식의 면광원을 구현하는 제2 광원부(300) 및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과 제1 광원부(2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브라켓(100)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 복수 개의 측부(120) 및 측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측부(120)는 제1 광원부(200)의 광 조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120)는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소정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측부(120)의 외측에는 외측면(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121)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원부(200)는 측부(120)의 외측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적어도 두 개의 제1 광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200)는 제1 기판(210), 제1 기판(2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광원(220) 및 리플렉터(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원(220) 및 리플렉터(230)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1)는 간접 광조사 방식의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분산하여 조사되게 하는 디퓨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브라켓(100)의 외측면에 제1 광원(220)이 설치된 제1 기판(210)을 홀더(130)에 고정한 후 리플렉터(230)를 브라켓(10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램프(1)는 간접 광조사 방식의 면광원을 구현하는 제1 광원부(200)를 브라켓(100)의 외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플렉터(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측벽(231)을 둘러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원(220)의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일부 측벽(231)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원(220)의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일부 측벽(231)의 내면에는 반사시트를 부착하거나 또는 반사도가 높은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210)은,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상에 회로 패턴이 형성된 평판형의 PCB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기판(210)은 제1 광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21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면(121)에 배치될 수 있는바, 제1 기판(210)에 설치되는 제1 광원(220)은 상기 램프(1)의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광원부(200)는 균일한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후미등과 같은 곡면의 면광원을 구현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와 같은 곡면 형상의 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곡면형 기판을 이용할 경우,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LED 또한 곡면 형상의 기판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광원에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FPCB를 이용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타입(Snap Type)의 LED를 적용하기 위해 복잡한 형상의 금속 패턴이 필요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제1 기판(210) 보다 더 많은 광원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램프(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제1 기판(210)에 기 설정된 간격(d)으로 복수 개의 제1 광원(220)을 배치할 수 있는바, 곡면형의 FPCB 보다 적은 수의 제1 광원(220)을 이용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간접방식의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1)의 제1 광원부(200)는 평면형 제1 기판(2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광원(220), 리플렉터(230) 및 디퓨저(240)를 이용하여 균일한 간접방식의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는 브라켓(100)에 평판형 제1 기판(210)과 리플렉터(230)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곡면형 기판을 이용하는 고비용 공정보다 조립이 용이하며 제조 단가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광원(220)은 발광 소자(221)와 광속 제어 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220)은 발광 소자(221)의 적어도 일부가 광속 제어 부재(222)의 내부에 수용되는 IOL(Integrated Optical Lens) 타입 즉, 발광 소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속 제어 부재(222)는 광원인 발광 소자(22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광의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발광장치의 휘도 균일성과 광 조사각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광원(220) 간의 이격 거리(d)는 멀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램프(1)는 적은 수의 제1 광원(220)을 이용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원(220)으로는 IOL(Integrated Optical Lens) 타입의 LED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할 수 있는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벌브와 같이 다양한 광원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플렉터(230)는 제1 광원(2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디퓨저(240)를 향하여 반사할 수 있다.
디퓨저(240)는 광의 균일도(uniformity)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광원(220)과 리플렉터(230)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브라켓(100)의 내부 수용공간(S)에는 제2 광원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원부(300)는, 차량에 상기 램프(1) 설치시, 스탑 램프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광원부(300)는 제2 기판(310), 하우징(320), 복수 개의 제2 광원(330) 및 렌즈(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310)은 브라켓(100)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310)은 기판상에 회로 패턴이 형성된 평판형의 PCB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100)의 형상에 따라 일정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 광원(330)은 제2 기판(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원(330)으로는 LED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320)은 제2 기판(310)이 브라켓(100)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2 기판(3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은 제2 기판(310)의 일측과 타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330)의 광이 조사되는 광 조사구가 형성되도록 제2 기판(310)과 하우징(320)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20)은 제2 기판(310)의 일측과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하우징 본체(321)와 하우징 본체(321)로부터 외측(제2 기판(310)의 배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돌출부(322)는 일 영역이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0)의 하우징 돌출부(322)는 브라켓(100)의 측부(12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광원(330)에서 발생하는 열은 브라켓(100)과 제2 기판(310) 사이로 방열된 후, 브라켓(100)의 측부(120)와 하우징(320) 사이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램프(1)의 방열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렌즈(3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조사구를 덮도록 하우징(3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340)를 통해 제2 광원(330)에서 조사되는 광은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340)는 광투과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그 제한이 없으며, 유리재질, PC(polycarbonate) 재질, PMMA(polymethylmethacrlate) 재질, 기타 고분자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렌즈(340)의 제2 광원(330)측 일측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제2 광원(330)에서 조사되는 광을 난투과시켜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400)는 커버 본체(410)와 돌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410)의 일측은 디퓨저(240)를 지지하고, 타측은 렌즈(34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의 하우징 돌출부(32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본체(410)는 디퓨저(240)와 렌즈(340) 각각의 일측을 지지하고, 돌출부(420)의 일단은 하우징 돌출부(322)에 설치되어 디퓨저(240)와 렌즈(3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프(1)는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3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 컨버터(미도시)와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버터로는 DC-DC 컨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광원(220)과 제2 광원 (330) 각각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1)를 통한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제1 광원부(200)와 제2 광원부(300) 각각에서 조사되는 광을 제어하여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1)는 광의 조사방향 및 광 구현 방식이 다른 적어도 2개의 광원부(200, 300)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조명을 구현함과 동시에 차량에 설치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램프
100 : 브라켓 110 : 베이스
120 : 측부 130 : 홀더
200 : 제1 광원부 210 : 제1 기판
220 : 제1 광원 230 : 리플렉터
300 : 제2 광원부 400 : 커버

Claims (8)

  1. 일측에 형성된 개구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측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평판형 제1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측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리플렉터에 의하여 조사되는 광의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디퓨저를 더 포함하는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에 광 조사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과 하우징;
    상기 광 조사구로 광이 조사되게 상기 제2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광원; 및
    상기 광 조사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브라켓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하우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돌출부의 일 영역은 절곡되게 형성되는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렌즈를 지지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제1 기판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IOL 타입인 램프.
  8. 테일 램프와 스탑 램프로 이용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램프를 구비하는 차량.
KR1020150093324A 2015-06-30 2015-06-30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241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324A KR102411791B1 (ko) 2015-06-30 2015-06-30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324A KR102411791B1 (ko) 2015-06-30 2015-06-30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04A true KR20170003104A (ko) 2017-01-09
KR102411791B1 KR102411791B1 (ko) 2022-06-22

Family

ID=5781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324A KR102411791B1 (ko) 2015-06-30 2015-06-30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708A (ko) * 2021-08-09 2023-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704A (ja) * 2008-10-08 2010-04-22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灯具
KR101262546B1 (ko) * 2011-11-09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구조
JP2013178904A (ja) * 2012-02-28 2013-09-0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イ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704A (ja) * 2008-10-08 2010-04-22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灯具
KR101262546B1 (ko) * 2011-11-09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구조
JP2013178904A (ja) * 2012-02-28 2013-09-0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イト構造
JP5969218B2 (ja) * 2012-02-28 2016-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イ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708A (ko) * 2021-08-09 2023-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91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105B2 (en)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JP2015043347A (ja) 自動車の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用の後方取付け型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KR101344513B1 (ko) 엘이디 램프 조립체
JP2007234385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102423383B1 (ko) 조명 장치
JP6446202B2 (ja) 広角度拡散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6624550B2 (ja) 照明器具
JP2008159554A (ja) 発光照明器具
JP6955116B2 (ja) 車両のランニングボード用の電気デバイス
KR102497470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70003104A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WO2012164696A1 (ja) 照明装置
JP2003281908A (ja) 照明装置
JP5584850B2 (ja) 車両用灯具
KR20110000609A (ko) 측광원에 의해 발광하는 비구면렌즈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25880A (ko) 조명장치
JP5853128B2 (ja) 照明器具
KR20210115171A (ko) 천정등용 엘이디램프 및 이를 구성하는 렌즈
WO2005050588A1 (en) Signal lamp
JP2012015065A (ja) 照明装置
JP2012185969A (ja) 導光体及び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KR20160069675A (ko) 차량용 엘이디모듈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2016115673A (ja) 反射光学系を有する照明装置
JP2023048402A (ja) 照明ランプ及び照明器具
KR20160053707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