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50U -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50U
KR20170002850U KR2020160000588U KR20160000588U KR20170002850U KR 20170002850 U KR20170002850 U KR 20170002850U KR 2020160000588 U KR2020160000588 U KR 2020160000588U KR 20160000588 U KR20160000588 U KR 20160000588U KR 20170002850 U KR20170002850 U KR 201700028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lange
connecting member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드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드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드랜
Priority to KR2020160000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850U/ko
Publication of KR20170002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대공간 건축물에 기둥역할을 하는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건설하기 위하여 롱스팬 구조물의 개별구성인 단위트러스 일단에 연장방향으로 상호 볼트체결으로 인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므로 돌출부위가 없어 안전사고의 방지, 심미감,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THE LONG SPAN STRUCTURE HAVING CONNECTOR AND LARGE-SCALED DOME ROOF STRUCTURE}
본 고안은 대공간 건축물에 있어서 각종 전시장, 공연장, 스타디움, 실내경기장과 같은 대형 무주공간 구조물, 대형공장, 박람회 관련시설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공간 건축물에 기둥역할을 하는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건설하기 위하여 롱스팬 구조물의 개별구성인 트러스 일단에 연장방향으로 상호 볼트체결으로 인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트러스 구조의 제작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시장, 공연장, 스타디움, 실내경기장과 같은 일시적인 건축물이 아닌 대형 공간 건축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립식 트러스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설치하고 있다.
조립식 트러스를 이용한 대형 구조물은 설치 및 해체가 비교적 용이하고, 전체 무게가 가벼워 붕괴의 위험이 비교적 낮으며 특히, 트러스의 구조 및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형 구조물을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그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는 롱스팬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러한 절단된 스팬을 상호 연결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서로 조립하여 돔트러스를 건설할 수 있다. 스팬은 트러스를 구성하는 골조의 기능을 하며, 연결체는 2개 이상의 스팬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연결체는 스팬의 크기 및 트러스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통상 스팬을 연장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연결체로써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7874호에 개시된 결속돌기가 구비된 결속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스팬을 연결체에 결합하기 위해서 결속돌기에 박스 결속구를 결합하고 박스 결속구에 결속구를 더 결합하여 결속구를 연결부재에 융착시킨 후, 결속구에 스팬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연결부재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스팬과 결속구의 결합구조가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연결부재가 매끄럽지 못하고 트러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견상 보기가 좋지 않으며, 이에 따라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7874호 (2002.08.24)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대공간 건축물에 기둥역할을 하는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건설하기 위하여 롱스팬 구조물의 개별구성인 단위트러스 일단에 연장방향으로 상호 볼트체결으로 인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므로 돌출부위가 없어 안전사고의 방지, 심미감,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기 축부재의 절반에 길이를 갖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스팬과, 3개의 스팬이 상기 연결부재로 결합되어 쉘을 형성하는 단위트러스 및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트러스가 상기 연결부재로 상호 결합되어 롱스팬 구조를 이루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연장부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 및, 상기 고정플랜지와 결합플랜지에서 연장되어, 고정플랜지와 결합플랜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랜지와, 결합플랜지의 중앙에는 연결부재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살은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상기 고정플랜지의 외주면까지 형성되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에 의하면, 스팬을 결합하는 연결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은 다수로 배치된 연결살의 사이에 형성되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결합되는 방향이 연장부재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고, 결합위치가 연장부재의 외주면 내측에 위치되어 결합 후 필요에 따라 방수테이프로 결합부위를 감싸 내수성, 내염성, 내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돌출부위가 없어 안전사고의 방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개의 스팬이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육각의 트러스를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연장부재에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스팬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6개의 스팬이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육각의 트러스를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돔트러스 구조에 적용되는 단위트러스의 하나에 스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팬(11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3개의 스팬(110)이 연결부재(120)에 의해 결합되어 육각의 단위트러스(100)을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제1 실시예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본 고안에 의한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는 복수개의 단위트러스(100)가 구성되어 그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스팬(110)이 단부의 여러 방향에서 수평 연장되게 결합되어 육각형상의 쉘(140)을 형성하는 단위트러스(100)를 구성한다. 즉, 이러한 단위트러스(100)가 또 다시 복수개로 결합하여 롱스팬 구조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스팬(110)은 중공형으로 단면이 원형인 소정 길이를 갖는 축부재(111)와, 상기 축부재(111)의 양단에 용접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111)의 대략 절반에 길이를 갖는 연장부재(112) 및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용접, 억지끼움조립, 회전식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스팬(110)의 구성인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는 경량화를 위해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112)는 축부재(111)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3개의 스팬(110)이 결합되어 정육각 또는 변형된 육각형을 갖는 쉘(140)을 이루도록 상기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는 상호 대략 60도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의 쉘(140)을 갖는 단위트러스(100)가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롱스팬 구조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 및 분배를 위해 60도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스팬(110)들은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상호 수직, 수평 또는 소정 각을 이루도록 조립되어 단위트러스(100)가 제작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단위트러스(100)는 복수개로 결합되어 대공간 건축물에 적용됨으로써 공연장, 전시장 등 대규모 건축물을 설치하기 위한 롱스팬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팬(110)은 그 재질이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의 경우 도시 장식구조, 소형 건축물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재질의 강도가 약하여 대공간 건축물의 건설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스팬(110)의 재질을 스틸로 적용하는 동시에 휘어지기 쉬운 스팬(110)의 중앙부위에 연결부재(120)를 통하여 결합되므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스팬(110)이 상호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단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는 연결부재(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부재(120)는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연장부재(11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고정플랜지(121)와, 상기 고정플랜지(121)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고정플랜지(121)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고정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공(125)이 형성된 결합플랜지(124) 및,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에서 연장되어,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살(12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의 중앙에는 연결부재(120)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소정 직경으로 관통된 통공(123)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연결살(122)은 상기 통공(123)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고정플랜지(121)의 외주면까지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를 고정된다.
따라서 한 쌍의 연장부재(112)는 연결부재(120)에 의해 상호 결합되되,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부재(120)의 결합플랜지(124)에 형성된 결합공(125)을 통하여 고정볼트(130)와, 고정너트(131)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결합공(125)은 다수로 배치된 연결살(122)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살(122)은 6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공(125)도 마찬가지로 6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정적평형상태로 안정화된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6개의 연결살(122)이 육각형의 쉘(140)에 대응된다면, 더욱 정적평형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힘의 분배를 통하여 안정화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스팬의 상호 결합을 위해 별도의 결속구를 마련했으나, 이러한 결속구는 스팬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지 않아, 인장강력을 버틸 수 있는 힘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결속구가 스팬의 직경보다 더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롱스팬 구조는 상기 고정볼트(130)와 고정너트(131)가 결합되는 방향이 연장부재(112)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고, 결합위치가 연장부재(112)의 외주면 내측에 위치되어 결합 후 필요에 따라 방수테이프로 결합부위를 감싸 내수성, 내염성, 내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돌출부위가 없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방수테이프에 의한 결합부위에 도장, 도금처리 등의 마감공정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트(130)는 결합플랜지(124)의 두께에 두 배에 해당되는 길이와 고정너트(131)의 길이를 포함해야 원활한 결합이 가능해지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연결살(122)의 높이(H)는 상기 고정볼트(130)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다른 표현으로, 상기 연결살(122)의 높이(H)는 결합플랜지(124)의 두께에 두 배에 해당되는 길이와 고정너트(131)의 길이를 최소한 포함해야 고정볼트(130)를 원활하게 고정너트(131)에 연장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130)를 결합공(125)에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공(125)에 삽입하여 고정너트(131)와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트(130)의 체결과정에는 와셔부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팬(11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6개의 스팬(110)이 연결부재(120)에 의해 결합되어 육각의 단위트러스(100)을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팬(110)은 제1 실시예의 스팬(110)과 달리 축부재(111)의 구성이 없으며, 3개의 연장부재(112)가 단부에 상호 용접, 억지끼움조립, 회전식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축부재(111)를 대신하여 한 쌍의 연장부재(112)가 연결부재(120)를 통해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6개의 스팬(110)이 결합되어 정육각 또는 변형된 육각형을 갖는 쉘(140)을 이루고, 상기 연장부재(112)는 상호 대략 60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의 쉘(140)을 갖는 단위트러스(100)가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롱스팬 구조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 및 분배를 위해 상기 연장부재(112)의 결합각도는 60도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단위트러스(100)의 복수개에 결합에 의하여 본 고안의 롱스팬 구조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2 실시예에 의한 단위트러스(100)의 조립으로 다양한 형태의 돔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실시예의 스팬(110)에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의 결합각도,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축부재(111)에 결합각도에 의하여 돔트러스 연결구조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의 너비(W)와, 높이(H)가 상술한 결합각도에 의하여 결정되어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돔트러스 구조에 적용되는 단위트러스의 하나에 스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스팬(110)에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의 결합각도에서 상기 축부재(111)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장부재(112)가 도면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꺽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10은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실시예에서도 같은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각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단위트러스(100)는 다수개가 상호 결합하여 너비(W)와, 높이(H)가 결정되는 돔트러스 연결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의 상부에는 다수의 쉘(140)이 위치되고 있으므로, 상기 쉘(140)의 상부에 지붕(미도시)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단위트러스 110 : 스팬
111 : 축부재 112 : 연장부재
120 : 연결부재 121 : 고정플랜지
122 : 연결살 123 : 통공
124 : 결합플랜지 125 : 결합공
130 : 고정볼트 131 : 고정너트
140 : 쉘

Claims (9)

  1.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축부재(111)와, 상기 축부재(111)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기 축부재(111)의 절반에 길이를 갖는 연장부재(112) 및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하는 스팬(110);과,
    3개의 스팬(110)이 상기 연결부재(120)로 결합되어 쉘(140)을 형성하는 단위트러스(100); 및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트러스(100)가 상기 연결부재(120)로 상호 결합되어 롱스팬 구조를 이루되,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결합되고, 연장부재(11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고정플랜지(121)와,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고정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공(125)이 형성된 결합플랜지(124) 및,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에서 연장되어,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살(12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의 중앙에는 연결부재(120)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관통된 통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살(122)은 상기 통공(123)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상기 고정플랜지(121)의 외주면까지 형성되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팬(110)의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는,
    다양한 형상의 쉘(140)을 갖는 단위트러스(100)가 제조되도록 결합각도가 60도 내지 120도를 이루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팬(110)의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는,
    육각형의 쉘(140)을 형성하여 롱스팬 구조의 힘에 균형 및 분배를 위해 60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살(122)은 6개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5)은 상기 연결살(1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쉘(140)에 대응되어 정적평형상태로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살(122)의 높이(H)는,
    상기 결합플랜지(124)의 두께에 두 배에 해당되는 길이와 고정너트(131)의 길이의 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6.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3개의 연장부재(112) 및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하는 스팬(110);과,
    6개의 스팬(110)이 상기 연결부재(120)로 결합되어 쉘(140)을 형성하는 단위트러스(100); 및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트러스(100)가 상기 연결부재(120)로 상호 결합되어 롱스팬 구조를 이루되,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연장부재(112)의 단부에 결합되고, 연장부재(11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고정플랜지(121)와,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고정볼트(130)가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공(125)이 형성된 결합플랜지(124) 및,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에서 연장되어,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살(12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랜지(121)와, 결합플랜지(124)의 중앙에는 연결부재(120)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관통된 통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살(122)은 상기 통공(123)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상기 고정플랜지(121)의 외주면까지 형성되는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112)는,
    다양한 형상의 쉘(140)을 갖는 단위트러스(100)가 제조되도록 결합각도가 60 내지 120도를 이루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8. 청구항 2의 단위트러스(100)의 결합으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스팬(110)의 축부재(111)와 연장부재(112)의 결합각도로 너비(W)와, 높이(H)가 결정되도록 형성되는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9. 청구항 7의 단위트러스(100)의 결합으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스팬(110)에 연장부재(112)의 결합각도로 너비(W)와, 높이(H)가 결정되도록 형성되는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KR2020160000588U 2016-02-02 2016-02-02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KR201700028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88U KR20170002850U (ko) 2016-02-02 2016-02-02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88U KR20170002850U (ko) 2016-02-02 2016-02-02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50U true KR20170002850U (ko) 2017-08-10

Family

ID=606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88U KR20170002850U (ko) 2016-02-02 2016-02-02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8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94A (ko) 2019-06-14 2020-12-23 이병일 착탈식 조명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874A (ko) 2001-03-21 2002-08-24 주식회사 네오시스테크놀로지 트러스 구조물용 조인트 박스의 모서리 결속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874A (ko) 2001-03-21 2002-08-24 주식회사 네오시스테크놀로지 트러스 구조물용 조인트 박스의 모서리 결속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94A (ko) 2019-06-14 2020-12-23 이병일 착탈식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088B1 (ko)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US2929473A (en) Structural framework
KR20170002850U (ko) 볼트체결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롱스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돔트러스 연결구조체
US20170298613A1 (en) Pre-fabricated dome
US5542227A (en) Structural metal roof system
KR20120134211A (ko)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
JP5660212B2 (ja) フェンス用の関節型ブラケット
KR101697423B1 (ko)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JP4988631B2 (ja) 屋外構造体
KR20180000163U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US10458113B2 (en) Building assembly structure
KR102433263B1 (ko) 그리드 쉘 구조물의 노드 조인트
KR20120063638A (ko)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KR20120113997A (ko) 조립식 휀스
JP5286525B2 (ja) 円筒支柱連結構造
JP2019143690A (ja) 長尺体カバー用自在継手
KR101522810B1 (ko)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돔 커넥터
KR20180067881A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JP2000110129A (ja) 外柵の接続具
JP5675202B2 (ja) 型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枠組構造体
JP2011006848A (ja) ヒサシ
AU2016231602B1 (en) Pre-fabricated dome
KR200384756Y1 (ko) 건축 구조물의 보 연결용 죠인트볼
KR101223472B1 (ko) 유리패널 고정 브라켓
KR0135580Y1 (ko)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