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18U - 상품 진열 케이스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18U
KR20170002818U KR2020160000534U KR20160000534U KR20170002818U KR 20170002818 U KR20170002818 U KR 20170002818U KR 2020160000534 U KR2020160000534 U KR 2020160000534U KR 20160000534 U KR20160000534 U KR 20160000534U KR 20170002818 U KR20170002818 U KR 201700028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surface
fixing hole
base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728Y1 (ko
Inventor
장주희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2020160000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2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를 절첩하여 형성하고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 고정공이 형성된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1 고정면과 연결되고 제 2 고정공이 형성된 제 2 고정면을 포함하는 상단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면과 연결되고 제 3 고정공이 형성된 제 3 고정면과 상기 제 3 고정면과 연결고 제 4 고정공이 형성된 제 4 고정면을 포함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은 상기 제 1 고정공, 제 2 고정공, 제 3 고정공 및 제 4 고정공에 걸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품 진열 케이스 {Case for Displaying Goods}
본 고안은 상품 진열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상품을 포장하는 한편, 상품 외관이 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진열을 가능하게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판매 대상인 상품을 포장하고 진열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육면체 형상의 포장 박스 내에 상품을 수납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포장 박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노출시키거나 투명 창을 구비하여 내부에 보관된 상품이 일부 보이도록 하기도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블리스터 패키지를 이용하여 상품을 보관하기도 한다. 블리스터 패키지를 이용한 포장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칫솔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블리스터 패키지의 일측에 걸이구를 형성하여 진열대에 걸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다양한 용기 포장 구성에 있어서, 판매되는 상품을 효과적으로 노출시켜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 상품을 포장하거나 진열하는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그런데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 창을 종이 재질의 포장 용기의 일측에 구비하거나 블리스터 패키지와 같은 경우에는 이종 재질을 접합하여 포장 용기를 구성함에 따라 재활용 측면에서 불편함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38642호 (2004.01.05. 등록)
본 고안은, 단일 재질을 절첩하여 판매 대상이 되는 상품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진열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판재를 절첩하여 형성하고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 고정공이 형성된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1 고정면과 연결되고 제 2 고정공이 형성된 제 2 고정면을 포함하는 상단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면과 연결되고 제 3 고정공이 형성된 제 3 고정면과 상기 제 3 고정면과 연결고 제 4 고정공이 형성된 제 4 고정면을 포함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은 상기 제 1 고정공, 제 2 고정공, 제 3 고정공 및 제 4 고정공에 걸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고정면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면과 상기 제 3 고정면의 연결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 적어도 일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고정면의 단부에는 고정편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절개 형성된 고정편 삽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편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4 고정면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2 고정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는 그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제 3 고정면과 상기 제 4 고정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는 그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공에는 상기 제 1 고정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 1 고정공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한 보조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는 상단에 돌출되고 걸이공이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한 제 1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접혀지되,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걸이부가 삽입되는 걸이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고정면를 연결하는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다른 측부에는 제 2 날개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날개부의 위쪽으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고정면에는 상기 제 2 고정면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편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이 상기 제 1 날개부 또는 상기 제 2 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매 대상이 되는 상품의 외관이 충분히 노출되도록 하며, 단일 재질을 이용하여 절첩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재활용이 용이한 상품 진열 케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품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진열대에 걸어 진열하는 것이 가능한 상품 진열 케이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에 상품을 보관하여 진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1)는, 베이스부(10), 날개부(20a, 20b), 상단 고정부(30), 및 하단 고정부(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1)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를 절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1)를 이루는 재질은 보관 및 진열 대상이 되는 상품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상품 진열 케이스(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실선은 절개선이고, 점선은 도 1을 기준으로 상면 방향으로, 즉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선이며, 일점 쇄선은 도 1을 기준으로 하면 방향으로, 즉 외측으로 접히는 접힘선이다.
베이스부(10)는 대략 사각 형태의 판재로 구성된다. 베이스부(10)의 상단에는 상단 고정부(30)가 연결되고, 상단 고정부(30)의 상단에는 하단 고정부(40)가 연결된다. 베이스부(10)의 양측에는 날개부(20a, 20b)가 구비된다.
베이스부(10)는 하단에는 고정편 삽입부(12)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베이스부(10)와 상단 고정부(3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걸이부 삽입홈(14)이 형성된다. 걸이부 삽입홈(14)은 베이스부(10)와 상단 고정부(30)의 연결선 상의 대략 중앙 부분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0a, 20b)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날개부(20a)와 제 2 날개부(20b)를 포함한다. 날개부(20a, 20b)의 상단은 베이스부(10)의 상단과 일치하는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날개부(20a)의 상단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걸이부(22)가 형성된다. 걸이부(22)에는 관통 형성된 걸이구(24)가 형성된다. 걸이구(2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1)를 전시대에 전시할 때 고리 등이 삽입되어 상품 진열 케이스(1)를 전시대에 걸 수 있도록 한다.
날개부(20a, 20b)는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접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날개부(20a)를 먼저 접은 후 제 2 날개부(20b)를 접을 수 있다. 이 때, 제 1 날개부(20a)에 형성된 걸이부(22)는 걸이부 삽입홈(14)에 삽입된다. 또한, 제 1 날개부(20a)와 제 2 날개부(20b)가 접하는 면은 접착제의 의해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단 고정부(30)는 제 1 고정면(32)과 제 2 고정면(34)을 포함한다. 제 1 고정면(32)의 일측은 베이스부(10)와 연결되고, 제 1 고정면(32)의 타측은 제 2 고정면(34)과 연결된다. 제 1 고정면(32)에는 제 1 고정공(33)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면(34)에는 제 2 고정공(35)이 형성된다. 제 1 고정공(33)과 제 2 고정공(35)은 각각 제 1 고정면(32)과 제 2 고정면(34)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제 1 고정공(33)의 일측에는 보조 날개(36)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날개(36)는 연결부(37)에 의해 제 1 고정면(32)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 날개(36)를 접은 경우, 제 1 고정공(33)은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단 고정부(40)는 제 3 고정면(42)과 제 4 고정면(44)을 포함한다. 제 3 고정면(42)의 일측은 제 2 고정면(34)과 연결되고, 제 3 고정면(42)의 타측은 제 4 고정면(44)과 연결된다. 제 3 고정면(42)에는 제 3 고정공(43)이 형성되고, 제 4 고정면(44)에는 제 4 고정공(45)이 형성된다.
한편, 제 3 고정면(42)에는 삽입편(41a, 41b)이 구비된다. 삽입편(41a, 41b)은 제 2 고정면(34)의 상단 양측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서 제 3 고정면(42)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편(41a, 41b)은 날개부(20a 20b)와 베이스부(10)의 사이로 삽입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 4 고정면(44)의 상단에는 고정편(46)이 구비된다. 고정편(46)은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고정편 삽입부(1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에 얻어진 판재를 절첩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진열 케이스(1)를 얻을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절첩된 상품 진열 케이스(1)를 설명한다.
베이스부(10)의 상부로 제 1 날개부(20a)를 접으면서 걸이부(22)를 걸이부 삽입홈(14)을 통해 삽입하여 걸이부(22)가 베이스부(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날개부(20b)를 제 1 날개부(20a) 위로 접는다.
제 1 고정면(32)과 제 2 고정면(34)을 내측으로 접고, 제 3 고정면(42)은 제 2 고정면(34)에 대해 외측으로 접는다. 또한, 제 4 고정면(44)은 제 3 고정면(42)에 대해 내측으로 접는다. 제 1 고정면(32)과 제 2 고정면(34)은 그 측면이 삼각형의 두 변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 3 고정면(42)과 제 4 고정면(44)도 그 측면이 삼각형의 두 변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3 고정면(42)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편(41a, 41b)는 베이스부(10)과 날개부(20a, 20b)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 경우, 삽입편(41a, 41b)는 베이스부(10) 또는 날개부(20a, 20b)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4 고정면(44)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편(46)은 베이스부(10)의 고정편 삽입부(12)에 삽입된다.
제 1 고정공(33), 제 2 고정공(35), 제 3 고정공(43), 및 제 4 고정공(45)은 순차적으로 연통된 형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고정공(33)으로부터 제 4 고정공(45) 방향으로 상품(100)을 삽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100)은 본체부(110)와 뚜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 비해 뚜껑부(120)의 단면 크기를 작게 하고, 제 4 고정공(45)의 크기는 뚜껑부(120)만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하면 본체부(110)는 제 4 고정공(45)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도 3에서는 튜브 타입의 본체부(110)를 가진 상품(100)을 예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제 1 고정공(33), 제 2 고정공(35), 및 제 3 고정공(43)의 크기는 삽입되는 상품(100)의 본체부(110)의 형상을 고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공(33)에 형성된 보조 날개(36)는 상품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에 상품을 보관하여 진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1)의 제 1 내지 4 고정공(33, 35, 43, 45)을 통해 상품(100)을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걸이부(22)를 위쪽으로 오게 하고 걸이부(22)의 걸이공(24)에 전시대의 고리(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 케이스(1)를 전시대에 전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상품 진열 케이스 10 : 베이스부
12 : 고정편 삽입부 14 : 걸이부 삽입홈
20a, 20b : 날개부 22 : 걸이부
24 : 걸이공 30 : 상단 고정부
32 : 제 1 고정면 33 : 제 1 고정공
34 : 제 2 고정면 35 : 제 2 고정공
36 : 보조 날개 37 : 연결부
40 : 하단 고정부 41a, 41b : 삽입편
42 : 제 3 고정면 43 : 제 3 고정공
44 : 제 4 고정면 45 : 제 4 고정공
46 : 고정편

Claims (10)

  1. 판재를 절첩하여 형성하고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 고정공이 형성된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1 고정면과 연결되고 제 2 고정공이 형성된 제 2 고정면을 포함하는 상단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면과 연결되고 제 3 고정공이 형성된 제 3 고정면과 상기 제 3 고정면과 연결고 제 4 고정공이 형성된 제 4 고정면을 포함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은 상기 제 1 고정공, 제 2 고정공, 제 3 고정공 및 제 4 고정공에 걸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고정면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면과 상기 제 3 고정면의 연결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 적어도 일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고정면의 단부에는 고정편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절개 형성된 고정편 삽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편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4 고정면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2 고정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는 그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제 3 고정면과 상기 제 4 고정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는 그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공에는 상기 제 1 고정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 1 고정공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한 보조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뚜껑과 용기 본체를 포함한 용기이고, 상기 제 4 고정공에는 상기 뚜껑은 통과하되 상기 용기 본체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 크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는 상단에 돌출되고 걸이공이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한 제 1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접혀지되,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걸이부가 삽입되는 걸이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고정면를 연결하는 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다른 측부에는 제 2 날개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날개부의 위쪽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면에는 상기 제 2 고정면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편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이 상기 제 1 날개부 또는 상기 제 2 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케이스.
KR2020160000534U 2016-01-29 2016-01-29 상품 진열 케이스 KR200484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34U KR200484728Y1 (ko) 2016-01-29 2016-01-29 상품 진열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34U KR200484728Y1 (ko) 2016-01-29 2016-01-29 상품 진열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18U true KR20170002818U (ko) 2017-08-08
KR200484728Y1 KR200484728Y1 (ko) 2017-10-19

Family

ID=6040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34U KR200484728Y1 (ko) 2016-01-29 2016-01-29 상품 진열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9132A (zh) * 2018-11-22 2019-01-29 广东工业大学 一种酒瓶包装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563U (ja) * 1982-03-02 1983-09-08 アケボノ食品株式会社 商品パツケ−ジ
JPS6062025U (ja) * 1983-09-30 1985-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容器
JPS6290354U (ko) * 1985-11-26 1987-06-09
JPS62110124U (ko) * 1985-12-28 1987-07-14
KR200338642Y1 (ko) 2003-10-27 2004-01-16 김재홍 건전지 포장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563U (ja) * 1982-03-02 1983-09-08 アケボノ食品株式会社 商品パツケ−ジ
JPS6062025U (ja) * 1983-09-30 1985-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容器
JPS6290354U (ko) * 1985-11-26 1987-06-09
JPS62110124U (ko) * 1985-12-28 1987-07-14
KR200338642Y1 (ko) 2003-10-27 2004-01-16 김재홍 건전지 포장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9132A (zh) * 2018-11-22 2019-01-29 广东工业大学 一种酒瓶包装盒
CN109279132B (zh) * 2018-11-22 2024-03-26 广东工业大学 一种酒瓶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28Y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7264A1 (en) Display package
US9108760B2 (en) Retail sealed folding box with handle
US20170297772A1 (en) Display package having two modes
KR200484728Y1 (ko) 상품 진열 케이스
KR101218035B1 (ko)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JP3186276U (ja) 包装容器
KR101994868B1 (ko) 포장상자
KR200483713Y1 (ko) 개방형 상품 진열 케이스
KR200469412Y1 (ko) 진열형 포장박스
KR20150068204A (ko) 포장박스
CN211224289U (zh) 一种电商包装用的分类包装盒
JP3213444U (ja) 筐体
JP3195683U (ja) 収納小箱及び当該収納小箱を取り付けた箱体
RU129088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изделия (варианты)
KR200304553Y1 (ko) 제품 보관 및 전시용 상자
JP6857020B2 (ja) 物品収容体
KR200352938Y1 (ko) 포장박스
KR20210073835A (ko) 테이프 없이 포장가능한 포장상자
JP2015209237A (ja) ケース組み立て用シート、包装ケース及び包装体
JP2015089818A (ja) 台座付き台紙
JP3174956U (ja) 包装展示用紙箱
TWM447370U (zh) 食品包裝結構
JP5821373B2 (ja) ディスプレイカートン
JP2008265846A (ja) 展示用包装具
JP2011051630A (ja) 吊り下げフック付き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