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735A -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2735A KR20170002735A KR1020150092050A KR20150092050A KR20170002735A KR 20170002735 A KR20170002735 A KR 20170002735A KR 1020150092050 A KR1020150092050 A KR 1020150092050A KR 20150092050 A KR20150092050 A KR 20150092050A KR 20170002735 A KR20170002735 A KR 201700027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power
- instantaneous
- control command
- individual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3/38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8—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wind motor output pow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03D7/048—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controlling wind far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0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 F05D2270/05—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affect the output of the eng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0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 F05D2270/1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prolong engine lif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는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 입출력부;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하는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부; 상기 총 제어지령을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분할하는 개별 제어지령 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킨 최종 개별제어지령을 제공하는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터빈의 순시 무효전력 공급 가능량은 계통의 역률 범위 제한에 의해 순시 유효전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풍력단지 내 풍력터빈의 유효전력의 할당 방법에 따라 출력 가능한 무효전력량도 달라지게 된다.
또한 풍력터빈의 풍속 하중은 정격 풍속에서 가장 크게 받는데, 풍력단지 내 풍력터빈의 유효전력 할당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각 풍력터빈들이 갖는 풍속 하중의 편차가 달라진다.
도 1은 2MW급 풍력터빈의 풍속별 하중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MW 급 풍력터빈의 정격풍속은 약 11m/s 이며, 정격풍속 구간에서 풍속별 하중분포가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풍력터빈의 하중은 정격풍속에서 가장 크기 받으며 정격풍속을 기준으로 퐁속이 낮아지거나 정격풍속이 높아지면 하중은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풍력발전단지의 총 유효전력량을 제어함에 있어, 풍속하중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풍력터빈들 각각을 동일한 비율로 제어하였고, 이러한 제어방식은 풍력발전단지의 총 유효전력을 감소시키는 결과 및 풍력터빈들 각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풍력단지 내 풍력터빈들의 무효전력 공급 가능량과 각 풍력터빈들의 하중 편차를 고려하여 풍력단지 내 풍력터빈들에 유효전력을 할당할 수 있는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는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 입출력부;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하는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부; 상기 총 제어지령을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분할하는 개별 제어지령 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킨 최종 개별제어지령을 제공하는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방법은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하는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단계; 상기 총 제어지령을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분할하는 개별 제어지령 산출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킨 최종 개별제어지령을 제공하는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풍력터빈들 각각의 유효전력 출력율을 서로 다르게 할당, 예컨대, 높은 출력을 내는 풍력터빈의 유효전력 출력률은 감소시키고, 낮은 출력의 풍력터빈은 그대로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풍력단지 내 풍력터빈의 하중 편차가 줄어들어 유지보수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2MW급 풍력터빈의 풍속별 하중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를 나타낸 장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를 나타낸 장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풍력발전단지 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은 순시 유효전력을 측정하는 유효전력 측정기기(A) 및 풍속하중을 측정하는 풍속하중 측정기기(B)를 구비하고 있어, 각 풍력터빈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로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는 풍력발전단지 내의 각 풍력터빈에서 제공하는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이용하여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를 나타낸 장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100)는 입출력부(110),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부(120), 개별제어지령 산출부(130) 및 최종개별제어지령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110)는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 ~ Wn)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110)는 하기에 후술할 최종 개별제어지령을 풍력터빈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부(120)는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Wn)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들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한다.
상기 개별 제어지령 산출부(130)는 외부에서 제공된 총 제어지령을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140)는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Wn)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킨 최종 개별제어지령(A1~An)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단지 내의 풍력터빈들(W1~W10)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이 1.84MW일 경우, 풍력발전단지 내의 풍력터빈들 중 평균 순시 유효전력(1.84MW) 보다 작은 출력을 내는 풍력터빈들(W4, W5, W6, W9, W10) 의 동작은 그대로 유지시키고, 평균 순시 유효전력(1.84MW) 보다 큰 출력을 내는 풍력터빈들(W1, W2, W3, W7, W8)의 출력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도록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방식을 통해 평균 순시 유효전력(1.84MW) 보다 큰 출력을 내는 풍력터빈들의 풍속하중 및 풍속하중에 따른 순시 유요전력 출력량을 줄여줌으로써, 풍력터빈의 풍속하중에 따른 피로하중이 감소되고, 풍력발전단지의 전체 풍속하중이 분산되어, 풍력발전단지의 전체 유효전력량 및 무효전력공급가능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풍력터빈들 각각의 유지보수 기간을 조절(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방법(S100)은 정보수신단계(S110), 평균 순시 유효전력 가능량 산출단계(S120), 개별 제어지령 산출단계(S130),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신단계(S110)는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단계(S120)는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부(12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Wn)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들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개별 제어지령 산출단계(S130)는 개별 제어지령 산출부(130)에서 외부에서 제공된 총 제어지령을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Wn)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유효전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Wn)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단계(S140)는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14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W1~Wn)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켜 생성한 최종 개별제어지령(A1~An)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unit)' 또는 블록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일괄적으로 풍력터빈들을 동일한 비율로 풍력터빈의 유효전력을 할당하는 것보다 높은 출력을 내는 풍력터빈의 유효전력을 풍속별 하중에 따라 감소시키고, 낮은 출력을 내는 풍력터빈은 그대로 운전시킴으로써, 풍력발전단지 내 풍력터빈들 각각의 풍속하중 편차가 줄어들어, 이로 인하여 풍력터빈들 각각의 유지보수 기간을 조절(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110: 입출력부
120: 평균 순시 유효전력 가능량 산출부
130: 개별제어지령 산출부
140: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
A: 유효전력 측정기기
B: 풍속하중 측정기기
110: 입출력부
120: 평균 순시 유효전력 가능량 산출부
130: 개별제어지령 산출부
140: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
A: 유효전력 측정기기
B: 풍속하중 측정기기
Claims (2)
-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 입출력부;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하는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부;
상기 총 제어지령을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분할하는 개별 제어지령 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킨 최종 개별제어지령을 제공하는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부;
를 포함하는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 풍력발전단지의 총 제어지령, 풍력발전단지 내의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의 순시 유효전력 및 풍속하중을 제공받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제공된 순시 유효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을 산출하는 평균 순시 유효전력가능량 산출단계;
상기 총 제어지령을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에서 출력한 순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지령으로 산출하는 개별 제어지령 산출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풍력터빈들 중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순시 유효전력 출력량을 풍속하중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쇄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한 후, 상기 평균 순시 유효전력을 초과 출력하는 풍력터빈의 개별제어지령에 적용시킨 최종 개별제어지령을 제공하는 최종 개별제어지령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050A KR102190474B1 (ko) | 2015-06-29 | 2015-06-29 |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050A KR102190474B1 (ko) | 2015-06-29 | 2015-06-29 |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735A true KR20170002735A (ko) | 2017-01-09 |
KR102190474B1 KR102190474B1 (ko) | 2020-12-14 |
Family
ID=5781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2050A KR102190474B1 (ko) | 2015-06-29 | 2015-06-29 |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04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44740A (zh) * | 2017-12-21 | 2019-06-28 |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 风电场场群控制方法和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8484A (ko) * | 2010-05-28 | 2012-01-30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감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윈드팜 |
KR101418413B1 (ko) | 2012-09-27 | 2014-07-0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 발전 단지 제어 방법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2050A patent/KR1021904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8484A (ko) * | 2010-05-28 | 2012-01-30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감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윈드팜 |
KR101418413B1 (ko) | 2012-09-27 | 2014-07-0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 발전 단지 제어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44740A (zh) * | 2017-12-21 | 2019-06-28 |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 风电场场群控制方法和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0474B1 (ko) | 2020-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64889B1 (ja) | 時変ドループに基づく風力発電機の慣性制御方法 | |
US9496812B2 (en) | Wind park control system | |
EP2447530B1 (en) | Wind turbine having an active pitch angle control during idling situation | |
AU2018353933A1 (en) | Primary frequency modulation method and device for wind turbine | |
JP2010084545A (ja) | 風力発電装置群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
JP2006170208A (ja) | ウィンドファーム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 | |
US11264802B2 (en) | Relating to reactive power control in wind power plants | |
US11098694B2 (en) | Method of controlling a wind turbine generator | |
CN107346893B (zh) | 一种风电场有功功率控制方法及系统 | |
JP2013126260A (ja) | 自然変動電源の運用装置及び方法 | |
ES2948724T3 (es) | Control de un parque eólico con turbinas eólicas que amortiguan las oscilaciones de torre | |
US20180230969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wind farm frequency control | |
KR20170002735A (ko) |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증대장치 및 방법 | |
JP6150012B2 (ja) | 発電制御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7947230B (zh) | 一种光伏发电系统的防逆流控制方法、装置及系统 | |
JP6726937B2 (ja) | ウィンドファーム制御装置,ウィンドファーム及びウィンドファーム制御方法 | |
KR102190475B1 (ko) | 후류효과를 고려한 풍력발전단지의 최대유효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 |
CN107196319B (zh) | 一种基于功率扰动值响应的风机调频控制方法 | |
AU2018208736A1 (en) | Provision of controlling capacity during the operation of a regenerative power generating unit, specifically a wind turbine installation | |
KR101475486B1 (ko) | 풍력 발전 단지의 제어 시스템 | |
JP6503155B2 (ja) | 分散電源の出力変動抑制システム | |
WO2014183421A1 (zh) | 一种风电场并网发电输出有功功率的控制方法 | |
WO2012063576A1 (ja) | 風力発電装置群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
KR102672933B1 (ko) | 풍력발전단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JP7068507B2 (ja) |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