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48A -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48A
KR20170002648A KR1020167035105A KR20167035105A KR20170002648A KR 20170002648 A KR20170002648 A KR 20170002648A KR 1020167035105 A KR1020167035105 A KR 1020167035105A KR 20167035105 A KR20167035105 A KR 20167035105A KR 20170002648 A KR20170002648 A KR 20170002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tern
discovery
transmitting
time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086B1 (ko
Inventor
아야치 오마르 엘
순다르 수브라마니안
존 에드워드 스미
애시윈 삼파스
준이 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장치는,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하고, 복수의 접속 포인트들 (CP들) 로부터 각각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되,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고,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되, 각각의 타임슬롯은,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며, UE 의 결정된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결정된 빔포밍 방향에 따라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A DIRECTIONAL WIRELESS NETWORK}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6월 16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A DIRECTIONAL WIRELESS NETWORK" 인 미국 특허출원 제 14/306,097 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부가 본원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 (UE: user equipment) 가 빔포밍 (beamforming) 을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mmW)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 포인트들 (CPs: connection points) 을 발견하고 이 접속 포인트들과 연관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는 시그널링 프로시저에 관한 것이다.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컨대, 대역폭, 송신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multiple-access)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TD-SCDMA (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심지어 국제적 수준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부상하고 있는 전기통신 표준의 일 예는 LTE (Long Term Evolution) 이다. LTE 는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에 의해 반포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이동 표준에 대한 한 세트의 향상형태이다. LTE 는, 다운링크 (DL) 상에서 OFDMA, 업링크 (UL) 상에서 SC-FDMA, 그리고 다중입력다중출력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추고, 서비스를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고, 다른 개방형 표준들과 보다 양호하게 통합됨으로써 이동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보다 양호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이동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서 추가적인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개선들은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보다 높은 반송파 주파수들에서 기능하는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들은 가장 상업적인 마이크로파 시스템들, 예컨대 셀룰러 시스템들에서 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큰 대역폭을 차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높은 반송파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mmW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이 발생할 수 있기 전에, 증가된 경로손실 (pathloss) 의 존재를 처리해야만 한다. 증가된 경로손실은 다중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배열들 (antenna arrays) 을 레버리징 (leveraging) 함으로써 극복되어, 빔포밍된 신호를 전송하고 빔포밍 배열 이득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빔포밍은 위상 (phased) 안테나 배열의 커버리지 영역을 제한할 수도 있고, 따라서 무지향성 (omni-directional) 방식으로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과 비교할 때, 이웃하는 접속 포인트들 (CPs) 과의 발견 신호들의 통신을 보다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로 되는 것은, 빔포밍에 의해 야기되는 위상 안테나 배열 커버리지 영역 제한들을 극복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통신용 장치는,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listening)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하고, 복수의 접속 포인트들 (CP들) 로부터 각각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되,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고,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발견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하여 UE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고,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각각의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고,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 (timeslot) 을 결정하되, 각각의 타임슬롯은,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며, UE 의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제 1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에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일 타임슬롯에서 UE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되, UE 의 빔포밍 방향 및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한다. UE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높은 신호 품질로 UE 에서 수신되는 제 2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한다. CP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한다. 또한,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은, 발견 신호에 포함되거나 발견 신호로부터 추론되는 정보 또는 제 1 패턴에 따라 CP 에 의해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1 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진화형 노드 B (evolved Node B) 및 사용자 장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LTE 시스템과 함께 사용된 mmW 시스템의 예시적인 활용형태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a 및 도 5b 는 접속 포인트 및 UE 사이에서의 빔포밍된 신호들의 송신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발견 및 연관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 는 예시적인 장치에서 상이한 모듈들/수단들/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0 은 예시적인 장치에서 상이한 모듈들/수단들/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1 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형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형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본원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개념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일부 실례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전기통신 시스템들의 몇몇 양태들이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들은,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 ("엘리먼트들" 로 총칭됨) 에 의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들에서 예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예로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FPGA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PLDs), 상태 머신,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파일들, 실행의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인코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한정적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andom-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CD-ROM (compact disk 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 은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는 진화형 패킷 시스템 (EPS: Evolved Packet System) (100)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EPS (100) 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UE) (102), E-UTRAN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104), EPC (Evolved Packet Core) (110), 및 운영자의 인터넷 프로토콜 (IP) 서비스들 (12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EPS 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 있지만, 단순화를 위해 이들 엔티티들/인터페이스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EPS 는 패킷 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게 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회선 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E-UTRAN 은 진화형 노드 B (eNB) (106) 및 다른 eNB들 (108) 을 포함하며, MCE (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12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eNB (106) 는 UE (102) 를 향한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 프로토콜 터미네이션들을 제공한다. eNB (106) 는 백홀 (예컨대, X2 인터페이스) 을 통해 다른 eNB들 (108) 에 접속될 수도 있다. MCE (128) 는 진화형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eMBMS) 를 위한 시간/주파수 라디오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eMBMS 를 위한 라디오 구성 (예컨대,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을 결정한다. MCE (128) 는 별개의 엔티티 또는 eNB (106) 의 일부일 수도 있다. eNB (106) 는 또한, 기지국, 노드 B (Node B), 액세스 포인트, 기지 송수신기 국 (base transceiver station),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송수신기, 송수신기 기능, BSS (basic service set), ESS (extended service set), 또는 몇몇 다른 적합한 기술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106) 는 UE (102) 를 위해 EPC (110) 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UE들 (102) 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랩톱,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위성 라디오,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컨대,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 (102) 는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이동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이동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이동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이동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이동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 다른 적합한 기술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eNB (106) 는 EPC (110) 에 접속된다. EPC (110) 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12), HSS (Home Subscriber Server) (120), 다른 MME들 (114), 서빙 게이트웨이 (116),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게이트웨이 (124),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 (BM-SC: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126),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 (1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ME (112) 는 UE (102) 와 EPC (11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 (112) 는 베어러 (bearer)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 (116) 를 통해 전송되고, 서빙 게이트웨이 (116) 그 자체는 PDN 게이트웨이 (118) 에 접속된다. PDN 게이트웨이 (118) 는 UE IP 어드레스 할당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 (118) 및 BM-SC (126) 는 IP 서비스들 (122) 에 접속된다. IP 서비스들 (122) 은,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PS 스트리밍 서비스 (PSS),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BM-SC (126) 는 MBMS 사용자 서비스 프로비저닝 및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BM-SC (126) 는 콘텐츠 제공자 MBMS 송신을 위한 엔트리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PLMN 내에서의 MBMS 베어러 서비스들을 인가 및 개시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고, MBMS 송신들을 스케줄링 및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MBMS 게이트웨이 (124) 는 특정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MBSFN: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영역에 속하는 eNB들 (예컨대, 106, 108) 에 MBMS 트래픽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세션 관리 (시작/정지) 및 eMBMS 관련 과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102) 는 LTE 네트워크 및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 (102) 는 LTE 링크를 통해 eNB (106) 및/또는 다른 eNB들 (108)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UE (102) 는 mmW 링크를 통해 (mmW 시스템 통신을 할 수 있는) 접속 포인트 (CP) 또는 기지국 (BS) (13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다른 eNB들 (108) 중 적어도 하나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eNB (108) 는 LTE + mmW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CP/BS (130)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CP/BS (130) 는 LTE + mmW CP/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02) 는 mmW 링크뿐만 아니라 LTE 링크를 통해 다른 eNB (10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다른 eNB (108)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CP/BS (130) 는 오직 mmW 시스템만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LTE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eNB (108) 를 시그널링할 수 없는 CP/BS (130) 는 mmW 백홀 링크를 통해 다른 eNB (108) 과 통신할 수도 있다. UE (102) 와 CP (130) 사이에서의 EPS (100) 와 같은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발견 기법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된다.
도 2 는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200) 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200) 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 (셀들) (202) 로 분할된다. 하나 이상의 저전력 클래스 eNB들 (208) 은 셀들 (202) 중 하나 이상과 중첩하는 셀룰러 영역들 (210) 을 가질 수도 있다. 저전력 클래스 eNB (208) 는 펨토 셀 (예컨대, 홈 eNB (HeNB)), 피코 셀, 마이크로 셀,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 (RRH: remote radio head) 일 수도 있다. 매크로 eNB들 (204) 은 각각, 각각의 셀 (202) 에 할당되며, 셀들 (202) 에서의 모든 UE들 (206) 을 위해 EPC (110) 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200) 의 이 예에는 중앙형 제어기가 없지만, 대안의 구성들에서는 중앙형 제어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eNB들 (204) 은, 무선 베어러 제어, 수락 제어, 이동성 제어, 스케쥴링, 보안 및 서빙 게이트웨이 (116) 로의 접속성을 포함하는 모든 라디오 관련 기능들을 담당한다. eNB 는 (섹터들로도 지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 (예컨대, 3 개) 의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용어 "셀" 은, 특정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 및/또는 eNB 의 가장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용어들 "eNB", "기지국" 및 "셀" 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206) 는 LTE 네트워크 및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UE (206) 는 LTE 링크를 통해 eNB (204) 과 통신할 수도 있고, mmW 링크를 통해 (mmW 시스템 통신을 할 수 있는) 접속 포인트 (CP) 또는 기지국 (BS) (212)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eNB (204) 및 CP/BS (212)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UE (206) 는 LTE 링크 및 (eNB (204) 이 mmW 시스템 통신을 할 수 있을 때에는) mmW 링크를 통해 eNB (204) 와 통신할 수도 있고, 또는 mmW 링크 및 (CP/BS (212) 가 LTE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을 때에는) LTE 링크를 통해 CP/BS (212)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eNB (204)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지만, CP/BS (212) 는 오직 mmW 시스템만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한다. 따라서, LTE 네트워크를 통해 eNB (204) 를 시그널링할 수 없는 CP/BS (212) 는 mmW 백홀 링크를 통해 eNB (20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 의해 채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스킴은, 활용되는 특정 전기통신 표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LTE 애플리케이션들에서, OFDM 은 DL 상에서 사용되고 SC-FDMA 는 UL 상에서 사용되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및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양자 모두를 지원한다. 당업자는, 본원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이 LTE 애플리케이션들에 양호하게 적합하다는 것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이들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법들을 채용하는 다른 전기통신 표준들에 용이하게 확장될 수도 있다. 예로서, 이들 개념들은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 (Ultra Mobile Broadband) 에 확장될 수도 있다. EV-DO 및 UMB 는, 표준들 중 CDMA2000 패밀리의 일부로서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에 의해 반포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고, 이동국들에 대한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CDMA 를 채용한다. 이들 개념들은 또한, W-CDMA (Wideband-CDMA) 및 TD-SCDMA 와 같은 CDMA 의 다른 변형들을 채용하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 를 채용하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OFDMA를 채용하는 진화형 UTRA (E-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및 Flash-OFDM 에 확장될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 은 3GPP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 는 3GPP2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채용되는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반적인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eNB들 (204) 은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도 있다. MIMO 기술의 이용은 eNB들 (204) 로 하여금,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 송신 다이버시티 (diversity) 를 지원하기 위해 공간 도메인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상이한 스트림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의 UE (206) 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UE들 (206) 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 (precoding) 하는 것 (즉, 진폭 및 위상의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것) 및 다음으로 DL 상의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UE(들) (206) 의 각각으로 하여금 그 UE (206) 를 향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상이한 공간 시그너처들과 함께 UE(들) (206) 에 도달한다. UL 상에서, 각각의 UE (206) 는, eNB (204) 로 하여금 각각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일반적으로, 채널 상태들이 양호할 때 사용된다. 채널 상태들이 보다 덜 유리할 때, 하나 이상의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하는 데 빔포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의 스트림 빔포밍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양태들이, DL 상에서 OFDM 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OFDM 는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부반송파들 상에서 데이터를 변조하는 확산 스펙트럼 기법이다. 부반송파들은 정밀한 주파수들로 이격된다. 이격은, 수신기로 하여금 부반송파들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직교성" (orthogonality) 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가드 간격 (guard interval) (예컨대, 순환 전치 (cyclic prefix)) 이, OFDM 심볼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OFDM 심볼에 추가될 수도 있다. UL 는 높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 (PAPR) 를 보상하기 위하여 DFT 확산 OFDM 신호 형태의 SC-FDMA 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 (350) 와 통신하는 기지국 (310) 의 블록도이다. 기지국 (310) 은,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eNB,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의 접속 포인트 (CP)/액세스 포인트/기지국,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는 eNB, 또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는 접속 포인트 (CP)/액세스 포인트/기지국일 수도 있다. UE (350) 는 LTE 시스템 및/또는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DL 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이 제어기/프로세서 (375) 에 제공된다. D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리오더링,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멀티플렉싱, 및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에 기초한 UE (350) 로의 라디오 리소스 할당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 패킷들의 재송신, 및 UE (350) 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송신 (TX) 프로세서 (316)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UE (350) 에서 순방향 에러 정정 (FEC) 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그리고 다양한 변조 스킴들 (예컨대, 2진 위상-편이 키잉 (BPSK), 직교 위상-편이 키잉 (QPSK), M-위상-편이 키잉 (M-PSK), M-직교 진폭 변조 (M-QAM)) 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들 (signal constellations) 로의 맵핑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코딩 및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스플리팅 (split) 된다. 다음으로, 각각의 스트림은 OFDM 부반송파로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 (예컨대, 파일롯) 로 멀티플렉싱되고, 다음으로 역 고속 퓨리에 변환 (IFFT) 을 이용하여 함께 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적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되어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채널 추정기 (374) 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공간적 프로세싱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코딩 및 변조 스킴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UE (350) 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및/또는 채널 상태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송신기 (318TX) 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 (320)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 (318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을 이용하여 RF 반송파를 변조할 수도 있다.
UE (350) 에서, 각각의 수신기 (354RX) 는 그 각각의 안테나 (352)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354RX) 는 RF 반송파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 (RX) 프로세서 (356) 에 제공한다. 수신 (RX) 프로세서 (356)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 (356) 는 UE (350) 를 향하는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 (350) 를 향한다면, 그것들은 RX 프로세서 (356) 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RX 프로세서 (356) 는 고속 퓨리에 변환 (FFT) 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부반송파에 대해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반송파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기지국 (310) 에 의해 송신되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복원 및 복조된다. 이들 연판정 (soft decision) 들은 채널 추정기 (358) 에 의해 컴퓨팅되는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연판정들은, 물리적 채널 상의 기지국 (310) 에 의해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 (359) 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360)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360)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D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다음으로, 상위 계층 패킷들이 데이터 싱크 (362) 에 제공된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이 또한, 데이터 싱크 (36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acknowledgement) 및/또는 NACK (negative acknowled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UL 에서, 데이터 소스 (367) 는 제어기/프로세서 (359) 에 상위 계층 패킷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기지국 (310) 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리오더링, 그리고 기지국 (310) 에 의한 라디오 리소스 할당들에 기초한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 패킷들의 재송신, 및 기지국 (310) 으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추정기 (358) 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 또는 기지국 (310) 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스킴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TX 프로세서 (368)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368) 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송신기들 (354TX) 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 (35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 (354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을 이용하여 RF 반송파를 변조할 수도 있다.
UL 송신은 UE (350) 에서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 (310) 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 (318RX) 는 그 각각의 안테나 (320)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318RX) 는 RF 반송파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 (370) 에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376)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376)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프로세서 (375)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 (350) 로부터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이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를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극고주파 (EHF: Extremely high frequency) 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의 RF 의 일부이다. EHF 는 30 GHz 내지 300 GHz 의 범위 및 1 밀리미터와 10 밀리미터 사이의 파장을 갖는다. 대역에서의 라디오파들은 밀리미터파 (mmW) 로 지칭될 수도 있다. mmW 근방은 10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 3 GHz 의 주파수로 하향 확장할 수도 있다 (초고주파 (SHF: super high frequency) 대역은 3 GHz 와 30 GHz 사이에서 연장되며, 센티미터파로도 지칭된다). 본원에서의 개시는 mmW들을 참조하지만, 본 개시가 또한 mmW들 근방에도 적용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의 개시는 mmW 기지국을 지칭하지만 mmW 근방의 기지국들에도 또한 적용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밀리미터 파장 RF 채널은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갖는다. 밀리미터 파장 스펙트럼에서의 유용한 통신 네트워크를 빌드하기 위해, 빔 포밍 기법이 이용되어 극도의 높은 경로 손실을 보상할 수도 있다. 빔 포밍 기법은 RF 에너지를 좁은 방향으로 포커싱하여 RF 빔으로 하여금 그 방향으로 더 멀리 전파할 수 있게 한다. 빔 포밍 기법을 이용하면, 밀리미터 파장 스펙트럼에서의 비시선 (NLOS: non-line of sight) RF 통신은 빔들의 반사 및/또는 회절에 의존하여 UE 에 도달할 수도 있다. 방향이 차단된다면, 환경 (예컨대, 장애물들, 습도, 비 등) 에서의 UE 이동 또는 변경들 중 어느 일방 때문에, 빔이 UE 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UE 가 연속적이고 심리스 (seamless) 의 커버리지를 갖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한 다수의 상이한 방향들로의 다중 빔들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연속적이고 심리스의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UE 의 근방에 있는 몇몇 mmW 기지국들의 각각은 UE 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을 측정할 수도 있고, 기지국이 송신할 수 있는 최상의 빔 방향들을 찾아내어 UE 에 도달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들의 각각은 다른 mmW 기지국들과 조정하여, 어느 mmW 기지국이 최상의 빔 방향을 갖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들의 각각은 최상의 빔의 심각한 감쇠를 야기할 수 있는 갑작스러운 변경의 경우에 부차적인 빔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도 있다.
무선 환경들을 계속 변경시키는 모바일 UE 를 위해 연속적이고 심리스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빔 포밍 기법들 및 방법들이 이하에 제공된다.
LTE 에 대한 동기부여는 모바일 데이터 수요를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모바일 데이터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 수요들을 견뎌내기 위해 다양한 다른 기술들이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속 모바일 데이터는 밀리미터파 (mmW) 채널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mmW 링크는 mmW 빔포밍할 수 있는 송신기로부터 mmW 빔포밍할 수 있는 수신기로의 기저대역 심볼들의 전달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mmW 리소스 유닛은 빔 폭, 빔 방향, 및 타임슬롯의 특정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타임슬롯은 LTE 서브프레임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LTE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프레임 타이밍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송신기에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수신 mmW 신호 강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빔포밍이 적용될 수도 있다. 수신기 이득은 송신기 및 수신기의 양방 모두 또는 어느 일방의 mmW 빔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배열에 위상 편이를 적용함으로써 빔 폭이 변경될 수도 있다.
mmW 통신 시스템은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들 (예컨대, 10 GHz 내지 300 GHz) 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높은 반송파 주파수들은 큰 대역폭의 이용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60 GHz 의 mmW 무선 네트워크는 대략 60 GHz 의 주파수 대역에서 큰 대역폭을 제공하며, (예컨대, 6.7 Gbps 까지의)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들은, 백홀 통신들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예컨대, UE들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 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mmW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비압축형 비디오 스트리밍, 싱크-앤-고 (sync-n-go) 파일 전달, 비디오 게임들, 및 무선 디스플레이들로의 투영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mmW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들 및 빔포밍의 도움으로 낮은 이득을 갖는 채널을 극복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반송파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심한 감쇠는 송신된 신호의 범위를 몇 미터 (예컨대, 1 내지 3 미터) 로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장애물들 (예컨대, 벽들, 가구, 사람들 등) 의 존재는 고주파수의 밀리미터파의 전파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높은 반송파 주파수들에서의 전파 특성들은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빔포밍할 필요가 있게 만든다. 빔포밍은 수신 디바이스들로의 특정 방향으로 고주파 신호를 빔포밍하도록 협업하는 안테나들의 배열 (예컨대, 위상 배열들) 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므로, 신호의 범위를 확장할 수도 있다. mmW 시스템은 독립적인 형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mmW 시스템은 보다 많이 확립되지만 보다 낮은 주파수 (및 보다 낮은 대역폭) 시스템들, 이를테면 LTE 와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LTE 시스템과 mmW 시스템 간의 협업 기법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빔포밍, 동기화, 또는 기지국의 발견에 도움을 주기 위해 보다 견고한 (robust) 시스템의 존재를 활용할 수도 있다. mmW 시스템 및 보다 낮은 주파수 시스템 (예컨대, LTE) 간의 협업은 이하에 의해 수월하게 될 수도 있다: 1) 상이한 보다 낮은 주파수의 견고한 반송파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mmW 채널 상에서의 발견, 동기화, 또는 연관의 지원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의 유형들; 2) mmW 채널과 보다 낮은 주파수의 반송파 (예컨대, LTE) 간의 발견 및 동기화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순서; 3) 기존의 접속성의 활용; 4) 송신된 메시지에서 기지국들 (BS들)/사용자 장비들 (UE들) 에 의해 포함될 정보; 및 5) LTE 시그널링에 포함될 정보.
일 양태에서, mmW-가능형 접속 포인트들 (CP들) 또는 기지국들 (BS들) (mmW-가능형 디바이스들을 위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은 전봇대들, 빌딩 측면들 상에 탑재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메트로 셀들과 병립될 수도 있다. mmW 링크는 시선 (LOS) 혹은 장애물들 주변에서의 지배적인 반사된 경로들 또는 회절된 경로들을 따라 빔포밍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mmW-가능형 디바이스의 과제는 빔포밍하기 위한 적절한 LOS 또는 반사된 경로를 찾아내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LTE 시스템과 함께 사용된 mmW 시스템의 예시적인 활용형태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에서, 다이어그램 (400) 은 LTE 시스템이 mmW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병렬로 동작하는 활용형태를 예시한다.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 (402)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 (402) 는 LTE 링크 (410) 를 통해 eNB (40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LTE 링크 (410) 와 병렬로, UE (402) 는 또한 제 1 mmW 링크 (412) 를 통해 제 1 BS (406) 와 통신할 수도 있고, 제 2 mmW 링크 (414) 를 통해 제 2 BS (40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4b 에서, 다이어그램 (430) 은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이 병립되는 활용형태를 예시한다.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 (432)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BS (434)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는 LTE eNB 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BS (434) 는 LTE + mmW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BS (434)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는 mmW CP 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BS (434) 는 LTE + mmW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432) 는 LTE 링크 (436) 를 통해 BS (43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반면, UE (432) 는 또한, mmW 링크 (438) 를 통해 BS (43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4c 에서, 다이어그램 (470) 은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 (LTE + mmW 기지국) 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는 BS 가 오직 mmW 시스템만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는 BS들과 함께 존재하는 활용형태를 예시한다. 도 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 (472) 는 LTE 링크 (480) 를 통해 LTE + mmW BS (47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LTE + mmW BS (474) 는 LTE + mmW eNB 일 수도 있다. LTE 링크 (480) 와 병렬로, UE (472) 는 또한 제 1 mmW 링크 (482) 를 통해 제 2 BS (476) 와 통신할 수도 있고, 제 2 mmW 링크 (484) 를 통해 제 3 BS (47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 2 BS (476) 는 제 1 mmW 백홀 링크 (484) 를 통해 LTE + mmW BS (474) 와 추가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제 3 BS (478) 는 제 2 mmW 백홀 링크 (486) 를 통해 LTE + mmW BS (474) 와 추가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 는 CP 및 UE 사이에서의 빔포밍된 신호들의 송신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CP 는 mmW 시스템에서의 BS (mmW BS) 로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5a 를 참조하면, 다이어그램 (500) 은 빔포밍된 신호들 (506) (예컨대, 동기화 신호들 또는 발견 신호들) 을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A, B, C, 및 D) 로 송신하는 mmW 시스템의 CP (504) 를 예시한다. 일 예에서, CP (504) 는 시퀀스 A-B-C-D 에 따른 송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 (sweep)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CP (504) 는 시퀀스 B-D-A-C 에 따른 송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도 5a 에 대해서는 오직 네 개의 송신 방향들 및 두 개의 송신 시퀀스들이 설명되지만, 임의의 수의 상이한 송신 방향들 및 송신 시퀀스들이 고려된다.
신호들을 송신한 후, CP (504) 는 수신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CP (504) 는 CP (504) 가 상이한 송신 방향들로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종전에 송신했던 시퀀스 또는 패턴에 대응 (맵핑) 하는 시퀀스 또는 패턴으로 상이한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 (504) 가 시퀀스 A-B-C-D 에 따른 송신 방향들로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종전에 송신했다면, CP (504) 는 UE (502)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시도로 시퀀스 A-B-C-D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CP (504) 가 시퀀스 B-D-A-C 에 따른 송신 방향들로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종전에 송신했다면, CP (504) 는 UE (502)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시도로 시퀀스 B-D-A-C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빔포밍된 신호 상에서의 전파 지연은 UE (502) 로 하여금 수신 (RX) 스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수신 모드에서의 UE (502) 는 동기화/발견 신호 (506) 를 검출하기 위한 시도로 상이한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도 5b 참조). 동기화/발견 신호들 (506) 중 하나 이상은 UE (502) 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 (506) 가 검출되는 경우, UE (502) 는 CP (504) 의 최적의 송신 방향 및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에 대응하는 UE (502) 의 최적의 수신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502) 는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 (506) 의 예비 안테나 가중치들/방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CP (504) 가 빔포밍된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간 및/또는 리소스를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 UE (502) 는 빔포밍된 신호를 통해 CP (504) 와 연관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도 5b 를 참조하면, UE (502) 는 상이한 수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E, F, G, 및 H) 로의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에 대해 리스닝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UE (502) 는 시퀀스 E-F-G-H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 (502) 는 시퀀스 F-H-E-J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도 5b 에 대해서는 오직 네 개의 수신 방향들 및 두 개의 수신 시퀀스들이 설명되지만, 임의의 수의 상이한 수신 방향들 및 수신 시퀀스들이 고려된다.
UE (502) 는 빔포밍된 신호들 (526) (예컨대, 연관 신호들) 을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E, F, G, 및 H) 로 송신함으로써 연관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502) 는 CP (504) 가 연관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하도록 기대되는 시간/리소스에서 UE (502) 의 최적의 수신 방향을 따라 송신함으로써 연관 신호 (526) 를 송신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의 CP (504) 는 상이한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고, 수신 방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타임슬롯들 동안에 UE (502) 로부터 연관 신호 (526) 를 검출할 수도 있다. 강한 연관 신호 (526) 가 검출되는 경우, CP (504) 는 UE (502) 의 최적의 송신 방향 및 강한 연관 신호에 대응하는 CP (504) 의 최적의 수신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 (504) 는 강한 연관 신호 (526) 의 예비 안테나 가중치들/방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UE (502) 가 빔포밍된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간 및/또는 리소스를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CP (504) 는 다수의 빔포밍 방향들에 따라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퀀스 또는 패턴을 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CP (504) 는 UE (502) 가 동기화/발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시도로 다수의 빔포밍 방향들을 거쳐 스윕하기에 충분히 긴 시간의 양으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 빔포밍 방향은 n 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n 은 0 내지 N 의 정수이고, N 은 송신 방향들의 최대 수이다. 또한, UE 빔포밍 방향은 k 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k 는 0 내지 K 의 정수이고, K 는 수신 방향들의 최대 수이다. CP (504) 로부터 동기화/발견 신호를 검출하자마자, UE (502) 는, UE (502) 빔포밍 방향이 k = 2 이고 CP (504) 빔포밍 방향이 n = 3 일 때 가장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가 수신됨을 발견할 수도 있다. 따라서, UE (502) 는 대응 응답 타임슬롯에서 CP (504) 에 응답 (빔포밍된 신호를 송신) 하기 위해 동일한 안테나 가중치들/방향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UE (502) 는, CP (504) 빔포밍 방향 n = 3 에서 CP (504) 가 수신 스윕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대될 때의 타임슬롯 동안에 UE (502) 빔포밍 방향 k = 2 를 이용하여 CP (504) 에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지향성 무선 통신 시스템 (예컨대, 빔포밍을 활용하는 mmW 시스템) 에서 UE 가 연관하여 궁극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는 CP들을 발견하는 것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마이크로파 무선 시스템들보다 훨씬 더 높은 반송파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mmW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이 발생할 수 있기 전에 증가된 경로손실의 존재를 처리해야만 한다. 증가된 경로손실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배열들을 레버리징함으로써 극복되어 빔포밍 배열 이득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빔포밍은 위상 안테나 배열의 순간적인 커버리지/가시 (visibility) 영역을 제한할 수도 있고, 따라서 무지향성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비교할 때 이웃하는 CP 발견 및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교환에 앞서는 두 개의 근본적인 프로세스들) 를 보다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필요로 되는 것은 UE 로 하여금 이웃하는 CP들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게 하고, 이웃하는 CP들의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게 하고, 빔포밍된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의 목적으로 이웃하는 CP들로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추가적으로, UE 로 하여금 그 존재를 CP 에게 알리고 CP 와 연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셀룰러 시스템들에서, UE 는, 무작위 액세스 채널 (RACH: 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CP 에 송신함으로써, 그 존재를 CP 에게 알릴 수도 있고, 그 역으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빔포밍을 이용한 mmW 시스템과 같은 지향성 (빔포밍형) 무선 시스템은 무지향성 RACH 프로시저를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들은 차단에 대한 증가된 민감도 (susceptibility) 로 인해 열화되기 때문에, 발견 및 RACH 프로시저는 차단된 경로들 및 초기의 발견 기간 동안에 발견된 다른 CP들로 회귀하는 UE 를 처리하기 위해 상당히 견고해야 한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지향성 (빔포밍형)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mmW 시스템) 에서 UE 가 다수의 CP들을 발견하고 이 CP들과 연관하기 위한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제공한다. 다수의 연관된 CP들은, 현재의 서빙 CP 로의 접속이 상실된다면 UE 가 스위칭할 수 있는 송신기들의 활성 세트를 형성한다.
도 6 은 발견 및 연관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600) 이다. 도 6 의 타임라인 (602) 을 참조하면, 발견 위상 동안에 CP들은 고유의 발견 신호들을 각각 송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CP 는 지향성 빔 송신 패턴 스윕에 따라 발견 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무지향성 커버리지 영역을 커버하도록 발견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 의 타임라인 (604) 을 참조하면, UE 는 지향성 빔 수신 패턴 스윕을 수행함으로써 발견 신호들에 대해 리스닝하여, 배열 이득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UE 는 발견 위상 동안에 관찰된 모든 고유의 발견 신호들에 대해 주목하고 이 신호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결정 또는 추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어느 CP들이 UE 의 근방에 있는지 결정할 수도 있다. UE 는 UE 의 클록에 상대적인 CP 의 타이밍을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CP 와 UE 사이에서의 타이밍 오프셋/정렬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 는 또한, CP 와 UE 사이에서의 반송파 오프셋을 추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 는 발견된 CP들의 각각과의 지향성 통신을 위해 이상적인 또는 바람직한 빔포밍 방향 (예컨대, TX 및 RX 빔포밍 벡터들) 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상적인 UE 빔포밍 방향은, 수신 패턴 스윕 동안에 수신된 빔들의 각각에 대한 신호-대-잡음비 (SNR: signal-to-noise ratio) 를 관찰하고 이 관찰된 SNR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추론될 수도 있다. 이상적인 UE 빔포밍 방향은, 가장 높은 SNR 을 갖는 빔이 수신되었던 방향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상적인 CP 빔포밍 방향은, CP 가 시스템적인 스위핑 (sweeping) 패턴을 추종하는 슬롯형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의 위치에 의해 추론 (결정)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CP 빔포밍 방향은 CP 가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패턴 스윕의 방향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6 의 타임라인 (606) 을 참조하면, 연관 위상 동안, UE 는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RACH 기회와 유사한) 지정된 연관 시간을 기다릴 수도 있다. CP 는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데 이용된 송신 스윕 패턴과 부합하는 (예컨대, 일대일 맵핑을 갖는) 수신 스윕 패턴을 고수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CP 의 송신 스윕 및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CP 의 수신 스윕 간의 맵핑은 CP 의 고유한 발견 신호에서 송신된 셀 식별 (ID) 의 함수이다.
UE 는 (발견 위상 동안에 결정되는) 이상적인 CP 빔포밍 방향 및 이상적인 UE 빔포밍 방향에 대한 인식을 이용하여, CP 의 수신 빔이 이상적인 UE 송신 빔에 매칭하는 타임 슬롯 동안에 연관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UE 는, 발견 신호가 검출되었던 모든 CP들에 대해 연관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도 있다.
UE 의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CP 는 UE 로 하여금 CP 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리소스 승인 (grant) 을 UE 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리소스 승인은 연관 위상 동안 UE 에 의해 지정된 동일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UE 는 리소스 승인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UE 의 능력들에 관계된 정보를 CP 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발견 및 연관 프로세스의 종단에는, UE 가 모든 이웃하는 CP들을 발견하고 동시에 각각의 CP 의 식별, 타이밍, 반송파 주파수, 및 빔포밍 방향 정보를 획득할 것이다. 또한, UE 는 UE 를 잠재적으로 서빙할 수도 있는 모든 CP들과 능동적으로 연관할 것이다. 이것은, UE 가 오직 하나의 CP 와 연관하고 핸드오버에 대한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른 CP들을 수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기존의 연관 동작보다 유리하다. 수동적인 모니터링과는 대조적으로, 보다 큰 "능동적인 CP 세트" 와의 본 개시의 능동적인 연관은,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가속화할 수 있고, 보다 높은 반송파 주파수들에서 경험된 신호 차단에 대한 UE 의 민감도를 상쇄시키는 것을 조력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발견 및 연관 위상들은 엄격하게 조정될 수도 있고 특정/예측가능의 타임라인을 추종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슬롯형/스케줄형 설계는, 각각의 송신이 장황한 프리앰블 (preamble) 에 의해 후행되어야 하고, 빔 ID 와 같은 모든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송신기가 채널에 대한 경합에서 이긴 후에 발생해야 하는, 비동기식 설계들 (예컨대, IEEE 802.11ad) 에서의 제어 상호동작의 오버헤드를 피한다. 본 개시의 슬롯형 설계에서는,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채널 경합 및 프리앰블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빔 방향과 같은 적절한 정보는 명시적으로 교환될 필요가 없고, 슬롯형 시스템의 타이밍 및 스위핑 구성에 의해 추론될 필요가 있다.
도 7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700) 이다. 방법은 UE (예컨대, UE (502))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702) 에서, UE 는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b 를 참조하면, UE 는 시퀀스/패턴 E-F-G-H, 시퀀스/패턴 F-H-E-G,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상이한 수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E, F, G, 및 H) 로의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에 대해 리스닝할 수도 있다.
단계 (704) 에서, UE 는 복수의 CP들로부터 각각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한다.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5a 를 참조하면, 각각의 CP 는 시퀀스/패턴 A-B-C-D, 시퀀스/패턴 B-D-A-C,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을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A, B, C, 및 D) 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706) 에서,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UE 는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한다. 정보는 각각의 CP 의 셀 식별자 (ID) 및/또는 연관 신호를 각각의 CP 에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 및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 간의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일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할 수도 있다.
단계 (708) 에서, UE 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발견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하여 UE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한다. 단계 (710) 에서, UE 는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각각의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한다.
단계 (710) 에서, UE 는 연관 신호를 각각의 CP 에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한다.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각각의 타임슬롯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단계 (712) 에서, UE 는 연관 신호를 UE 의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각각의 CP 에 송신한다. 연관 신호는 각각의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의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UE 의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은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연관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하다.
단계 (716) 에서, UE 는, UE 로부터 송신된 연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CP들 중 적어도 하나의 CP 로부터 리소스 승인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후, 단계 (718) 에서, UE 는 리소스 승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CP 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8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800) 이다. 방법은 CP (예컨대, CP (50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802) 에서, CP 는 제 1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UE 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5a 를 참조하면, CP 는 시퀀스/패턴 A-B-C-D, 시퀀스/패턴 B-D-A-C,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을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A, B, C, 및 D)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패턴은 CP 의 셀 식별자 (ID) 의 함수이다. 다른 양태에서, 제 1 패턴은 발견 신호를 통해 UE 에 통신된다. 또한, UE 는 제 2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 를 참조하면, UE 는 시퀀스/패턴 E-F-G-H, 시퀀스/패턴 F-H-E-G,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상이한 수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E, F, G, 및 H) 로의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에 대해 리스닝할 수도 있다.
단계 (804) 에서, CP 는 일 타임슬롯에서 UE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한다. 연관 신호는 각각의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UE 의 의도를 포함한다. 연관 신호는 UE 의 빔포밍 방향 및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수신될 수도 있다. UE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높은 신호 품질로 UE 에서 수신되는 제 2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할 수도 있다. CP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할 수도 있다. 또한,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은, 발견 신호에 포함되거나 발견 신호로부터 추론되는 정보 및/또는 제 1 패턴에 따라 CP 에 의해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의 빔포밍 방향 및 CP 의 빔포밍 방향은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할 수도 있다.
발견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CP 의 셀 식별자 (ID) 및/또는 연관 신호를 UE 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 및 제 1 패턴에 따라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 간의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일 수도 있다. 또한,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할 수도 있다.
단계 (806) 에서, CP 는 UE 로부터 수신된 연관 신호에 기초하여 리소스 승인을 UE 에 송신한다. 그 후, 단계 (808) 에서, CP 는 리소스 승인을 통해 UE 와 데이터를 통신한다.
도 9 는 예시적인 장치 (902) 에서 상이한 모듈들/수단들/컴포넌트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하는 데이터 흐름도 (900) 이다. 장치는 UE (예컨대, UE (502)) 일 수도 있다. 장치는 수신 모듈 (904),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906), 정보 프로세싱 모듈 (908), 빔포밍 방향 결정 모듈 (910), 타임슬롯 결정 모듈 (912), 연관 신호 프로세싱 모듈 (914), 리소스 프로세싱 모듈 (916),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918), 및 송신 모듈 (920) 을 포함한다.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906) 은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수신 모듈 (904) 을 통해) 리스닝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b 를 참조하면,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906) 은 시퀀스/패턴 E-F-G-H, 시퀀스/패턴 F-H-E-G,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상이한 수신 방향들 (예컨대, E, F, G, 및 H) 로의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에 대해 리스닝할 수도 있다.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906) 은 복수의 CP들 (예컨대, 복수의 CP들 (950)) 로부터 각각 (수신 모듈 (904) 을 통해)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한다.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5a 를 참조하면, 각각의 CP 는 시퀀스/패턴 A-B-C-D, 시퀀스/패턴 B-D-A-C,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을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A, B, C, 및 D)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정보 프로세싱 모듈 (908) 은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한다. 정보는 각각의 CP 의 셀 식별자 (ID) 및/또는 연관 신호를 각각의 CP 에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 및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 간의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일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할 수도 있다.
빔포밍 방향 결정 모듈 (910) 은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발견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하여 장치 (902)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한다. 빔포밍 방향 결정 모듈 (910) 은 또한,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각각의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한다.
타임슬롯 결정 모듈 (912) 은 연관 신호를 각각의 CP 에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한다.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각각의 타임슬롯이 결정될 수도 있다.
연관 신호 프로세싱 모듈 (914) 은 연관 신호를 장치 (902) 의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각각의 CP 에 송신한다. 연관 신호는 각각의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의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장치 (902) 의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은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연관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하다.
리소스 프로세싱 모듈 (916) 은 연관 신호 프로세싱 모듈 (914) 로부터 송신된 연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CP들 중 적어도 하나의 CP 로부터 리소스 승인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후,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918) 은 리소스 승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CP 와 (수신 모듈 (904) 및 송신 모듈 (920) 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도 있다.
장치는 도 7 의 전술된 흐름도에서 알고리즘의 단계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7 의 전술된 흐름도에서의 각 단계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장치는 이들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언급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거나, 언급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그 일부 조합을 행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도 10 은 예시적인 장치 (1002) 에서 상이한 모듈들/수단들/컴포넌트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하는 데이터 흐름도 (1000) 이다. 장치는 CP 일 수도 있다. 장치는 수신 모듈 (1004),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1006), 연관 신호 프로세싱 모듈 (1008), 리소스 프로세싱 모듈 (1010),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012), 및 송신 모듈 (1014) 을 포함한다.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1006) 은 제 1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UE (예컨대, UE (1050)) 에 (송신 모듈 (1014) 을 통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5a 를 참조하면, 발견 신호 프로세싱 모듈 (1006) 은 시퀀스/패턴 A-B-C-D, 시퀀스/패턴 B-D-A-C,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을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컨대, 방향들 A, B, C, 및 D)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패턴은 장치 (1002) 의 셀 식별자 (ID) 의 함수이다. 다른 양태에서, 제 1 패턴은 발견 신호를 통해 UE 에 통신된다. 또한, UE 는 제 2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 를 참조하면, UE 는 시퀀스/패턴 E-F-G-H, 시퀀스/패턴 F-H-E-G,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 혹은 패턴에 따라, 상이한 수신 방향들 (예컨대, E, F, G, 및 H) 로의 빔포밍된 발견 신호들에 대해 리스닝할 수도 있다.
연관 신호 프로세싱 모듈 (1008) 은 일 타임슬롯에서 UE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 모듈 (1004) 을 통해) 수신한다. 연관 신호는 장치 (1002)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UE 의 의도를 포함한다. 연관 신호는 UE 의 빔포밍 방향 및 장치 (1002)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수신될 수도 있다. UE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높은 신호 품질로 UE 에서 수신되는 제 2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할 수도 있다. 장치 (1002)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할 수도 있다. 또한,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은, 발견 신호에 포함되거나 발견 신호로부터 추론되는 정보 및/또는 제 1 패턴에 따라 CP 에 의해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의 빔포밍 방향 및 장치 (1002) 의 빔포밍 방향은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할 수도 있다.
정보는 장치 (1002) 의 셀 식별자 (ID) 및/또는 연관 신호를 UE 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 및 제 1 패턴에 따라 장치 (1002) 에 의해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 간의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일 수도 있다. 또한, 장치 (1002)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할 수도 있다.
리소스 프로세싱 모듈 (1010) 은 UE 로부터 수신된 연관 신호에 기초하여 UE 에 리소스 승인을 (송신 모듈 (1014) 을 통해) 송신한다. 그 후,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012) 은 리소스 승인을 통해 UE 와 (수신 모듈 (1004) 및 송신 모듈 (1014) 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도 있다.
장치는 전술된 도 8 의 흐름도에서 알고리즘의 단계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술된 도 8 의 흐름도에서의 각 단계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장치는 이들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언급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거나, 언급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그 일부 조합을 행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도 11 은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을 채용하는 장치 (902') 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1100) 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일반적으로 버스 (1124) 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124) 는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124) 는, 프로세서 (1104), 모듈들 (904, 906, 908, 910, 912, 914, 916, 918, 920),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124)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각종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송수신기 (11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송수신기 (11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120) 에 커플링된다. 송수신기 (11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각종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송수신기 (11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12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1114),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 (904) 에 제공한다. 또한, 송수신기 (111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114),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 (920)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에 인가될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104)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1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1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상기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104) 에 의해 다루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모듈들 (904, 906, 908, 910, 912, 914, 916, 918, 및 920)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11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1104)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UE (35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메모리 (360) 및/또는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용 장치 (902/902') 는,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수단; 복수의 접속 포인트들 (CP들) 로부터 각각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단;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수단;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발견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하여 UE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각각의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타임슬롯은,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CP 에 의해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수단; UE 의 빔포밍 방향 및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복수의 CP들 중 적어도 하나의 CP 로부터 리소스 승인을 수신하는 수단; 및 리소스 승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CP 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902') 의 프로세싱 시스템 (1114) 및/또는 장치 (902) 의 전술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구성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일 수도 있다.
도 12 는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을 채용하는 장치 (1002') 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1200) 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일반적으로 버스 (1224) 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224) 는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224) 는, 프로세서 (1204), 모듈 (1004, 1006, 1008, 1010, 1012, 1014),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224)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각종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송수신기 (12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송수신기 (12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에 커플링된다. 송수신기 (12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각종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송수신기 (12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1214),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 (1004) 에 제공한다. 또한, 송수신기 (121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214),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 (1014)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에 인가될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204)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2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2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상기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204) 에 의해 다루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모듈들 (1004, 1006, 1008, 1010, 1012, 및 1014)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12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1204)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CP (31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메모리 (376) 및/또는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용 장치 (1002/1002') 는, 제 1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에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일 타임슬롯에서 UE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UE 의 빔포밍 방향 및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연관 신호가 수신되고, UE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높은 신호 품질로 UE 에서 수신되는 제 2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하고, CP 의 빔포밍 방향은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제 1 패턴의 일 방향에 기초하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이 결정되되, 발견 신호에 포함되거나 발견 신호로부터 추론되는 정보, 또는 제 1 패턴에 따라 CP 에 의해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UE 에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는 수단; 및 리소스 승인을 통해 UE 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1002') 의 프로세싱 시스템 (1214) 및/또는 장치 (1002) 의 전술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구성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일 수도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흐름도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 (hierarchy) 는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라는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흐름도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일부 단계들은 결합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포괄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원에 나타낸 양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 문언에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부합하는 것이며,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그렇게 언급되지 않았다면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시적" 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 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예시적" 으로서 기재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명확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C, 또는 그 임의의 조합" 과 같은 조합들은 A, B, 및/또는 C 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A 의 배수들, B 의 배수들, 또는 C 의 배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C, 또는 그 임의의 조합" 과 같은 조합들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및 B 및 C 일 수도 있고, 여기서 임의의 이러한 조합들은 A, B, 또는 C 의 하나 이상의 멤버 또는 멤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러한 개시가 명시적으로 청구항들에 열거되는지에 상관 없이 공중에게 공여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청구항 엘리먼트는, 엘리먼트가 어구 "~하는 수단" 을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는다면, 기능식 (means plus function) 으로서 해석되서는 아니된다.

Claims (30)

  1.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listening)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복수의 접속 포인트 (CP) 들로부터 각각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상기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발견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제 1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UE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각각의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타임슬롯은, 상기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상기 각각의 패턴에 따라 상기 각각의 CP 에 의해 상기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 및 상기 각각의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상기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신호는 상기 각각의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의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 및 상기 각각의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상기 연관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한,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CP들 중 적어도 하나의 CP 로부터 리소스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소스 승인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CP 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각각의 CP 의 셀 식별자 (ID); 또는
    상기 연관 신호를 상기 각각의 CP 에 송신하기 위한 상기 타임슬롯 및 상기 각각의 패턴에 따라 상기 각각의 CP 에 의해 상기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타임슬롯 간의 맵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인,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한,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8. 접속 포인트 (CP) 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에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타임슬롯에서 상기 UE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UE 의 빔포밍 방향 및 상기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발견 신호가 높은 신호 품질로 상기 UE 에서 수신되는 제 2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고,
    상기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제 1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며,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타임슬롯이 결정되되,
    상기 발견 신호에 포함되거나 상기 발견 신호로부터 추론되는 정보, 또는
    상기 제 1 패턴에 따라 상기 CP 에 의해 상기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상기 CP 의 셀 식별자 (ID) 의 함수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패턴은 상기 발견 신호를 통해 상기 UE 에 통신되는,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신호는 상기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상기 UE 의 의도를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 및 상기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상기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한,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소스 승인을 통해 상기 UE 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CP 의 셀 식별자 (ID); 또는
    상기 UE 로부터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타임슬롯 및 상기 제 1 패턴에 따라 상기 CP 에 의해 상기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타임슬롯 간의 맵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인,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한, 접속 포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16. 사용자 장비 (UE) 로서,
    제 1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빔에 대해 리스닝(listening)함으로써 발견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수단;
    복수의 접속 포인트 (CP) 들로부터 각각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CP 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발견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단;
    상기 각각의 CP 로부터 검출된 상기 발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CP 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수단;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발견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제 1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UE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각각의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여 각각의 CP 의 빔포밍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타임슬롯은, 상기 각각의 CP 에 대해 결정된 정보 또는 상기 각각의 패턴에 따라 상기 각각의 CP 에 의해 상기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 및 상기 각각의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각각의 타임슬롯에서 상기 각각의 CP 에 연관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신호는 상기 각각의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의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 및 상기 각각의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상기 연관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한, 사용자 장비.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CP들 중 적어도 하나의 CP 로부터 리소스 승인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리소스 승인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CP 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각각의 CP 의 셀 식별자 (ID); 또는
    상기 연관 신호를 상기 각각의 CP 에 송신하기 위한 상기 타임슬롯 및 상기 각각의 패턴에 따라 상기 각각의 CP 에 의해 상기 각각의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타임슬롯 간의 맵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인, 사용자 장비.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한, 사용자 장비.
  23. 접속 포인트 (CP) 로서,
    제 1 패턴에 따라 지향성 빔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UE) 에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및
    타임슬롯에서 상기 UE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UE 의 빔포밍 방향 및 상기 CP 의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발견 신호가 높은 신호 품질로 상기 UE 에서 수신되는 제 2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고,
    상기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제 1 패턴의 방향에 기초하며,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이 결정되되,
    상기 발견 신호에 포함되거나 상기 발견 신호로부터 추론되는 정보, 또는
    상기 제 1 패턴에 따라 상기 CP 에 의해 상기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타임슬롯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접속 포인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상기 CP 의 셀 식별자 (ID) 의 함수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패턴은 상기 발견 신호를 통해 상기 UE 에 통신되는, 접속 포인트.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신호는 상기 CP 와 통신 링크를 확립할 상기 UE 의 의도를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UE 의 상기 빔포밍 방향 및 상기 CP 의 상기 빔포밍 방향은 상기 연관 신호의 빔포밍 방향 또는 상기 연관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타임슬롯으로부터 추론가능한, 접속 포인트.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리소스 승인을 통해 상기 UE 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CP 의 셀 식별자 (ID); 또는
    상기 UE 로부터 상기 연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타임슬롯 및 상기 제 1 패턴에 따라 상기 CP 에 의해 상기 발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타임슬롯 간의 맵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은 셀 ID 의 함수인, 접속 포인트.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CP 의 타이밍 정보 및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한, 접속 포인트.
KR1020167035105A 2014-06-16 2015-06-05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61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06,097 US9474013B2 (en) 2014-06-16 2014-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a directional wireless network
US14/306,097 2014-06-16
PCT/US2015/034527 WO2015195376A1 (en) 2014-06-16 2015-06-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a directional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48A true KR20170002648A (ko) 2017-01-06
KR101761086B1 KR101761086B1 (ko) 2017-07-24

Family

ID=5349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105A KR101761086B1 (ko) 2014-06-16 2015-06-05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74013B2 (ko)
EP (1) EP3155846B1 (ko)
JP (1) JP6243066B2 (ko)
KR (1) KR101761086B1 (ko)
CN (1) CN106664574B (ko)
BR (1) BR112016029304A2 (ko)
WO (1) WO2015195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8423A1 (en) 2013-01-31 2014-08-07 Nokia Corporation Billing related information reporting
US9705581B2 (en) 2014-09-24 2017-07-11 Mediatek Inc. Synchronization in a beamforming system
US10396873B2 (en) 2014-09-24 2019-08-27 Mediatek Inc. Control signaling in a beamforming system
US11171702B2 (en) * 2014-09-30 2021-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nodes and beamforming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446303B2 (ja) * 2015-03-19 2018-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70006593A1 (en) * 2015-07-02 2017-01-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Beam Detection, Beam Tracking and Random Access in MM-Wave Small Cells in Heterogeneous Network
US10887861B2 (en) * 2015-07-20 2021-0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harmoniz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delivery
US9698885B1 (en) 2015-12-31 2017-07-04 Facebook, Inc. Link acquistion in directional wireless systems
EP3852312B1 (en) * 2015-12-30 2023-07-19 Meta Platforms, Inc. Link acqui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70230869A1 (en) 2016-02-10 2017-08-10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uplink and downlink based mobility
EP3455948B1 (en) * 2016-05-10 2023-09-0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beam selection
EP3562243A4 (en) * 2016-12-22 2020-07-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KR102354591B1 (ko) * 2017-05-18 2022-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US11272426B2 (en) * 2017-05-26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rectional discovery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system
US10841862B2 (en) 2017-05-26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Millimeter wave directional discovery signal design
CN110999113B (zh) * 2017-06-16 2022-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分配资源的装置和方法
US10893439B2 (en) * 2017-07-10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 a wireless backhaul network
US10720980B2 (en) * 2017-07-19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hannel window design in millimeter wave shared spectrum
IT201800000832A1 (it) * 2018-01-12 2019-07-12 Inst Rundfunktechnik Gmbh Sender und/oder empfänger zum senden bzw. empfangen von rundfunkinformationssignalen
US11284396B2 (en) * 2018-03-19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beams for beam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s
CN108495322B (zh) * 2018-03-20 2022-02-25 深圳捷豹电波科技有限公司 网络接入控制方法、装置、无线网关设备及存储介质
US11076286B2 (en) * 2018-06-21 2021-07-27 Qualcomm Incorporated Beam-switching capability indication in wireless networks that utilize beamforming
CN110611917B (zh) * 2018-06-21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US11565177B2 (en) 2019-11-06 2023-01-3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Edge compute proxy for cloud gaming and 5G
JP2021083108A (ja) * 2021-02-15 2021-05-27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834B2 (en) * 2003-11-24 2008-12-0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directional beam antenna in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O2006030582A1 (ja) * 2004-09-17 2006-03-23 Nec Corporation 通信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回線制御局
US9118529B2 (en) 2006-06-20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of neighbor cells
CN101548488B (zh) * 2006-12-07 2012-10-24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无线终端站、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US8280445B2 (en) * 2008-02-13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by selective use of beam level training
US8379560B2 (en) 2008-03-07 2013-02-1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enabling neighbor location discovery for mmwave WPAN with an out of band control channel
JP5077024B2 (ja) * 2008-03-31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
US8437752B2 (en) 2008-03-31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xecution of automatic neighbor relation functions
KR101271918B1 (ko) * 2008-09-22 2013-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CN102177742B (zh) * 2008-10-29 2015-04-22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在多天线通信设备中高效和灵活的传输波束成形扇区扫描
US8189555B2 (en) * 2009-02-06 2012-05-29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 with peers using multiple antenna patterns
US8422961B2 (en) 2009-02-23 2013-04-16 Nokia Corporation Beamforming training for functionally-limited apparatuses
JP5434137B2 (ja) 2009-02-26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8767640B2 (en) 2009-11-09 2014-07-01 Adept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centralized contention based peri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4221B2 (en) * 2010-02-03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for communication
CA2789791A1 (en) * 2010-02-24 2011-09-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antennas
US8321166B2 (en) 2010-03-17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platform attitude determination
US20120064841A1 (en) 2010-09-10 2012-03-15 Husted Paul J Configuring antenna arrays of mobile wireless devices using motion sensors
US8649791B1 (en) 2011-06-23 2014-02-11 Cellco Partnership Automatic neighbor list generation for long-term evolution (LTE)
US9749935B2 (en) * 2012-03-09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scanning i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US9236916B2 (en) * 2012-03-15 2016-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Node and method for generating beamformed for downlink communications
US10966141B2 (en) * 2012-07-09 2021-03-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illimeter wave access architecture with cluster of access points
CN105052199A (zh) * 2012-08-28 2015-11-1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使用主波束通信链路切换的方法
WO2014124237A1 (en) * 2013-02-07 2014-08-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ng-range device discovery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s
KR101904951B1 (ko) * 2013-11-13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셀 검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74013B2 (en) 2016-10-18
CN106664574B (zh) 2019-08-20
BR112016029304A2 (pt) 2017-08-22
US20150365814A1 (en) 2015-12-17
CN106664574A (zh) 2017-05-10
EP3155846B1 (en) 2017-10-18
JP6243066B2 (ja) 2017-12-06
JP2017525202A (ja) 2017-08-31
EP3155846A1 (en) 2017-04-19
KR101761086B1 (ko) 2017-07-24
WO2015195376A1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086B1 (ko)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827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weight messaging during initial synchronization,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directional wireless systems
KR101775307B1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통합된 안테나 빔 트레이닝에 의한 핸드오버
CN106537804B (zh) 用于在毫米波接入系统中进行波束跟踪的非对称能力驱动方法和装置
KR101775306B1 (ko) 지원된 밀리미터 파장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의 ue 개시된 발견
EP3155729B1 (en) Beamform scheduling based on the directionality of ues
US10097321B2 (en) Cooperative techniques between lower-frequency carriers and millimeter-wave channels for discovery and synchronization and beamforming
WO2016022235A1 (en) Methods exploiting asymmetric capabilities for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in mm-wave access systems
KR101958537B1 (ko)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