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09A - 무선 회로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회로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09A
KR20170002509A KR1020167033423A KR20167033423A KR20170002509A KR 20170002509 A KR20170002509 A KR 20170002509A KR 1020167033423 A KR1020167033423 A KR 1020167033423A KR 20167033423 A KR20167033423 A KR 20167033423A KR 20170002509 A KR20170002509 A KR 2017000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wireless connection
connec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685B1 (ko
Inventor
안 큐. 루엉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0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6/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W72/04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는(10, 도 8) 무선 통신 회로를 갖는다. 무선 회로는 제1 무선 기지국(80-1, 도 8) 및 제2 무선 기지국(80-2, 도8)을 갖는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선택된 연결 설정들(212)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1차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제2 기지국(214)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 도 8)은 1차 연결이 동시에 유지되는 동안(228), 디바이스와 2차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수신된 연결 설정들을 복사할 수 있다. 1차 및 2차 연결이 설정된 후, 제1 및 제2 기지국은 반송파 집성 링크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 있다. 1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었던 수신된 연결 설정들을 복사하기 위해 제2 기지국을 이용함으로써, 반송파 집성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연결 시간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회로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WIRELESS CIRCUITRY AND MULTIPLE BASE STATIONS}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여기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2015년 5월 28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4/724,734호, 및 2014년 6월 13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2/012,22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수신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내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는 종종 무선 통신 능력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회로와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회로 및 다른 위성 수신기 회로가 위성 내비게이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2.4 ㎓ 및 5 ㎓에서의 IEEE 802.11 통신과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로컬 무선 링크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2.4 ㎓에서의 Bluetooth® 통신을 처리하기 위해서도 로컬 링크들이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셀룰러 전화기 대역을 이용하여 셀룰러 기지국들과 통신하기를 원하면서도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통신 대역을 이용하여 로컬 영역 네트워크 설비와 통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를 갖는 종래의 전자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회로는 전형적으로 단일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선택된 통신 대역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회로는 선택된 통신 대역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필터링 회로 및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필터링 및 스위칭 회로는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상이한 대역으로 스위치하도록 조정이 가능하다.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단일의 통신 대역을 이용하는 것은 대역폭 및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해 획득 가능한 데이터 처리율을 종종 제한한다.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단일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는 것은 연관된 전자 디바이스가 기지국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로 이동한 경우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해 획득 가능한 데이터 처리율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와 다중 무선 기지국들 사이의 다중 통신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에는 무선 통신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무선 통신의 처리를 위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다수의 송신기 및 다수의 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 구조물들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물들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 내의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선 주파수 스위치 스테이지와 같은 스위칭 회로가 다수의 해당 통신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선 주파수 스위치 스테이지는 요구되는 주파수를 사용 상태로 스위치하도록 실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수신 및/또는 송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예컨대, 반송파 집성 기법(carrier aggregation scheme)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처리함으로써, 무선 통신 회로가 단일 주파수 대역으로만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에 상대적으로 개선된 데이터 처리율을 가지게 허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는 LTE(Long-Term-Evoluti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지국은 제1 무선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 연결 설정을 이용하여(예컨대, 선택된 출력 레벨, 선택된 변조 방식, 선택된 LTE 자원 블록 할당, 선택된 대역폭, 처리율, 등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지국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제2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무선 기지국은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포함된 무선 연결 설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용도로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복사(클론)할 수 있다. 제2 무선 연결은 제1 기지국이 전자 디바이스와 (예컨대, 제1 무선 연결을 중단(drop)시키지 않으면서) 제1 무선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고 있는 동안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이 설정된 후, 제1 및 제2 무선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예컨대, 반송파 집성 기법 또는 링크를 이용한 각각의 LTE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성공적으로 사용된 무선 연결 설정을 복사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와 제1 및 제2 기지국 사이의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한 반송파 집성 링크(연결)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해 가능한 연결 설정을 순환하는 시스템들에 비해 셋업을 위해 보다 적은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예컨대, 전자 디바이스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의 반송파 집성 링크의 설정에 요구되는 연결 시간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저장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회로 상에 이웃 기지국 정보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웃 기지국 정보는 제2 무선 기지국 및 제2 무선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웃 기지국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자 디바이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 내의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두 개의 제1 커버리지 영역 사이의 중첩 영역 내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가 중첩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예컨대, 제1 및 제2 기지국 둘 모두에게 연결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독립적 무선 디바이스와 제2 무선 연결이 설정되지 않게 하기 위함임).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그의 특성 및 다양한 이점이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회로를 갖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가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안테나들의 사용을 제어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다수의 무선 기지국으로 동시에 전달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 및 회로를 포함하는 예시적 무선 회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어떻게 무선 통신 회로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떻게 무선 통신 회로가 LTE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채널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무선 통신 회로와 같은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될 수 있는 예시적인 주파수 대역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떻게 무선 디바이스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이한 지리학적 위치들에서 다수의 무선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들 사이에 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전달함으로써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디바이스와 다수의 무선 기지국 사이에 동시적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들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기지국과의 무선 연결을 동시에 설정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와 제1 무선 기지국 사이에 무선 연결을 성공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와 제2 무선 기지국 사이에 제2의 동시적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제2 무선 기지국에 클론될 수 있는 연결 설정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1의 디바이스(1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는 무선 통신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셀룰러 전화 대역에서의 통신과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장거리(셀룰러 전화) 대역의 예는 800 ㎒ 대역, 850 ㎒ 대역, 900 ㎒ 대역, 1800 ㎒ 대역, 1900 ㎒ 대역, 2100 ㎒ 대역, 700 ㎒ 대역, 및 다른 대역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장거리 대역은 소위 LTE(Long Term Evolution)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대역들은 넘버링(numbering)되고(예를 들면, 1, 2, 3, 등) 때때로 E-UTRA 동작 대역들로서 언급된다. 위성 항법 대역들과 연관된 신호와 같은 장거리 신호는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는 GPS 통신들과 연관된 1575 ㎒ 대역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단거리 무선 통신들은 또한 디바이스(10)의 무선 회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2.4 ㎓ 및 5 ㎓에서의 WiFi® 링크, 2.4 ㎓에서의 Bluetooth® 링크 등과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링크를 처리하는 무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소,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 내의 프로세싱 회로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프로세싱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는 인터넷 브라우징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전화 통화 규약(voice-over-internet-protocol, VOIP) 전화 통화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미디어 재생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 기능, 무선 주파수 송신 및 수신 동작 동안의 통신 대역 선택에 관계된 기능,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장치(10) 상에서 실행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장비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가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들은 인터넷 프로토콜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예를 들면, IEEE 802.11 프로토콜들 -- 때때로 WiFi®로서 언급된), Bluetooth® 프로토콜과 같은 다른 단거리 무선 통신 링크들을 위한 프로토콜들, 셀룰러 전화기 프로토콜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프로토콜들, 안테나 다이버시티 프로토콜들, 등을 포함한다. 통신 대역 선택 작동들과 같은 무선 통신 작동들은 디바이스(10) 상에 저장되고 구동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즉,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 및/또는 입출력 회로(30)상에 저장 및 구동하고 있는)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입출력 회로(30)는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가 디바이스(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가 디바이스(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들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이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데이터 포트 디바이스, 및 다른 입출력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디바이스들은 터치스크린, 터치 센서 기능을 갖지 않는 디스플레이, 버튼, 조이스틱, 클릭 휠, 스크롤 휠, 터치 패드, 키패드, 키보드,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스피커, 상태 표시자, 광원, 오디오 잭 및 다른 오디오 포트 컴포넌트, 디지털 데이터 포트 디바이스, 광센서, 모션 센서(가속도계), 커패시턴스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회로(30)는 외부 장비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로 형성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 전력 증폭기 회로, 저 잡음 입력 증폭기, 수동 RF 컴포넌트, 하나 이상의 안테나, 송신 라인, 및 RF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또한 광을 이용하여(예컨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다양한 무선 주파수 통신 대역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34)는 송수신기 회로(36, 38, 4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36)는 WiFi®(IEEE 802.11) 통신을 위한 2.4 ㎓ 및 5 ㎓ 대역을 취급할 수 있고, 2.4 ㎓ Bluetooth® 통신 대역을 취급할 수 있다. 회로(34)는 850 ㎒, 900 ㎒, 1800 ㎒, 1900 ㎒, 및 2100 ㎒와 같은 셀룰러 전화 대역, 및/또는 (예로서) LTE 대역 및 다른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해 셀룰러 전화 송수신기 회로(38)를 사용할 수 있다. 회로(38)는 음성 데이터 및 비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1575 ㎒의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또는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데이터와 같이 다른 위성 위치확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GPS 수신기 회로(42)와 같은 GPS 수신기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및 Bluetooth® 링크 및 다른 단거리 무선 링크에서, 무선 신호는 전형적으로 수십 또는 수백 피트에 걸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이용된다. 셀룰러 전화 링크 및 기타 장거리 링크에서, 무선 신호는 전형적으로 수천 피트 또는 마일에 걸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이용된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40)는 임의의 적합한 안테나 유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들(40)은 루프 안테나 구조물들, 패치 안테나 구조물들, 역-F형 안테나 구조물들, 슬롯 안테나 구조물들, 평면 역-F형 안테나 구조물들, 나선형 안테나 구조물들, 이들 설계들의 하이브리드들,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공진 소자들을 갖는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유형들의 안테나들은 상이한 대역들 및 대역들의 조합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유형의 안테나가 로컬 무선 링크 안테나를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한 유형의 안테나가 원격 무선 링크 안테나를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중복 안테나가 특정한 대역 또는 대역들에 대한 통신들을 취급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에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는 신호 세기 측정치들 또는 다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방식들에서, 다수의 안테나는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데이터 처리율을 높인다.
디바이스(10)에서 안테나(40)가 형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위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하우징(12)과 같은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은 플라스틱 벽들, 금속 하우징 구조물들, 탄소 섬유 물질들 또는 다른 합성물들, 유리, 세라믹스,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들로부터 형성된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단일 피스의 물질을 사용하여(예를 들면, 유니바디(unibody) 구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프레임, 하우징 벽들, 및 완전한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다른 개개의 부분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디바이스(10)의 구성요소들은 하우징(12)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물들(40)은 하우징(12) 내에 실장될 수 있으며, 원한다면, 하우징(12)의 부품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하우징(12)의 부품들은 안테나들(40)을 위한 안테나 공진 소자 구조물들, 안테나들(40)을 위한 기준 평면 구조물들, 등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 예를 들면, 하우징(12)은 금속 하우징 측벽들, 디바이스(10)의 주변을 따라(예컨대, 디바이스(10)의 외부 표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밴드-형태의 부재들(유전체 갭들을 갖거나 유전체 갭들이 없는), 전도성 베젤들, 및 안테나 구조물들(40)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전도성 구조물들과 같은 주변 전도성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물(40)은 경로(45)와 같은 경로에 의해 송수신기 회로(90)에 결합될 수 있다. 경로들(45)은 동축 케이블들, 마이크로스트립 송신 라인들, 스트립라인 송신 라인들, 등과 같은 송신 라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들(45)은 또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 필터 회로, 및 스위칭 회로와 같은 무선 주파수 전단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는 안테나들(40)이 관심 있는 통신 대역들에서 송수신기 회로(90)에 효율적으로 결합됨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터 회로는 다이플렉서들, 듀플렉서들, 및 트리플렉서들과 같은 주파수 기반 멀티플렉싱 회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는 송수신기 회로(90)의 요구되는 포트들에 안테나들(4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스위치는 주어진 안테나에 경로들(45) 중 하나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작동 모드에서, 스위치는 주어진 안테나에 경로들(45) 중 상이한 하나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90)와 안테나들(40) 사이에서의 스위칭 회로의 사용은 디바이스(10)가 제한된 수의 안테나들로 관심 있는 다수의 통신 대역을 지원하도록 허용한다.
가늘고 긴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디바이스에서, 안테나들(40)을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단부들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안테나(40)들 중 일부는 하우징(12)의 상단 영역(42)에 배치될 수 있고, 안테나(40)들 중 일부는 하우징(12)의 하단 영역(44)에 배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서의 안테나 구조물들은 영역(42)에서의 단일 안테나, 영역(44)에서의 단일 안테나, 영역(42)에서의 다수의 안테나, 영역(44)에서의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하우징(12)에서의 어딘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구조물들(40)은 영역들(42, 44)과 같은 영역들 중 일부 또는 모두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40T-1)와 같은 안테나는 영역(42-1) 내에 위치될 수 있거나 영역(42-1)의 일부 또는 모두를 채우는 안테나(40T-2)와 같은 안테나가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40B-1)와 같은 안테나는 영역(44-2)의 일부 또는 모두를 채울 수 있거나 안테나(40B-2)와 같은 안테나는 영역(44-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유형들의 장치들은 서로 배타적일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영역(44)은 안테나(40B-1)와 같은 제 1 안테나 및 안테나(40B-2)와 같은 제 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90)는 송신기들(48)과 같은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50)과 같은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48) 및 수신기(50)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예컨대, 셀룰러 전화 통신 회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회로, Bluetooth® 통신 회로,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 송전 신호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력 증폭기 회로, 수신 신호에서의 신호 전력을 증가시키는 저 잡음 증폭기 회로,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회로, 및 이들 회로의 조합)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상대적으로 큰 디바이스이거나(예컨대, 하우징(12)의 측방향 치수는 수십 센티미터 이상일 수 있음), 하우징(12)의 주축을 따라 종방향 치수가 15 cm 이하, 10 cm 이하, 또는 5 cm 이하를 가지고 보다 작은 횡방향 치수를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상대적으로 소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손목 장착형, 펜던트, 및 클립-장착형 디바이스들과 같은 초소형 디바이스들에서, 하우징(12)의 치수는 10 cm 이하, 또는 5 cm 이하일 수 있다(예로서).
디바이스(10)는 제어 알고리듬들(예컨대, 안테나 다이버시티 제어 알고리듬 및 다른 무선 제어 알고리듬들)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52)는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회로들, 등)를 포함할 수 있고, 기저대역 프로세서(5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54)는 무선 회로(34)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메모리 및 프로세싱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즉, 기저대역 프로세서(54)는 디바이스(10)의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54)는 데이터를 경로(56)를 통해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에 제공할 수 있다. 경로(56) 상의 데이터는 수신된 전력, 송신된 전력, 프레임 에러율, 비트 에러율, 신호-대-잡음 비(SNR)와 같은 무선 (안테나) 성능 메트릭들(metrics), 응답들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들에 대응하는 셀룰러 전화기 송신탑으로부터 수신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네트워크 액세스 절차가 성공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얼마나 많은 재-송신들이 전자 디바이스와 셀룰러 송신탑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요청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 시그널링 메시지의 손실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무선 회로(34)의 성능을 반영하는 다른 정보와 연관된 원시 데이터 및 프로세싱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다수의 액티브 송수신기 포트를 이용하거나 대체 안테나(들)가 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이용되는 시분할 다중화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수의 안테나에 대해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되었던 안테나 성능 메트릭들에 대한 정보는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 및/또는 프로세서(5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메트릭 정보는 외부 무선 통신 장비와 연결이 성공적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 회로(3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는 경로들(56, 58)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기저대역 프로세서(54) 및 송수신기 회로(9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써,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는 미리 결정된 성능 기준들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기저대역 프로세서(54) 및/또는 송수신기 회로(90)로 제어 커맨드를 발행할 수 있다.
무선 회로(34)는 송수신기 회로(90)와 안테나들(40) 사이의 경로들(45) 상에 개재된 무선 주파수 전단부 회로(6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72)와 같은 전력 증폭기 회로는 송신기들(48)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송신기들(48)과 전단부 회로(60) 사이의 경로들(45) 상에 개재될 수 있다. 증폭기(74)와 같은 저 잡음 증폭기 회로는 안테나들(4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수신기들(50)과 전단부 회로(60) 사이의 경로들(45) 상에 개재될 수 있다. 제어 회로(52)는 증폭기들(72, 74)을 조정하기 위해(예컨대, 증폭기들(72, 74)에 의해 제공된 게인을 조정하기 위해) 경로(76)를 통해 증폭기들(72, 74)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52)는 전력 증폭기(72)로 요구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함으로써 송신기들(48)에 의해 송신된 신호가 안테나들(40)을 통한 송신에 요구되는 업링크 전력 레벨로 제공된다. 무선 주파수 전단부 회로(60)는 스위칭 회로(68)와 같은 스위치들, 매칭 회로(70)와 같은 임피던스 매칭 회로, 다이플렉서 회로(64) 및 듀플렉서 회로(66)와 같은 필터링 회로, 무선 주파수 결합 회로, 커넥터 회로, 및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무선 주파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54)는 무선 회로(34)를 이용하여 송신될 것인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경로(45) 상으로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경로(62) 및 송수신기 회로(90)(예컨대, 송수신기 회로(90) 내의 하나 이상의 송신기(48))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전단부(6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들(40)에 의해 수신되는 인입 무선 주파수 신호는 무선 주파수 전단부(60), 하나 이상의 경로(45)과 같은 경로들, 증폭기 회로(74), 하나 이상의 수신기(50)와 같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90) 내의 수신기 회로, 및 경로(62)와 같은 경로들을 통해 기저대역 프로세서(54)에 제공될 수 있다. 원한다면, 개별적 안테나들(40)(예컨대, 제1 안테나(40-1), 제2 안테나(40-2), 등)은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단일의 대응하는 수신기(50)로 제공할 수 있고, 개별적 안테나들(40)은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상이한 수신기들(50)(예컨대, 상이한 주파수 또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상이한 수신기들)로 제공할 수 있고, 다수의 안테나(4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단일의 수신기(50)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이다.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 구성에서, 디바이스(10) 내부의 안테나들의 근접도로 인해, 통신 대역들 사이에는 간섭이 잠재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의 잠재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주파수 고조파를 생성할 수 있는, 경로들(45) 내의 회로의 존재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킬 때, 경로들(45) 내의 스위치들은 제2 고조파, 제3 고조파, 및 보다 높은 차수의 고조파의 생성으로 이어지는 비선형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송신된 신호가 안테나들(40)에 도달하기 전에 그와 연관된 고조파를 차단하는 필터링 회로를 경로들(45)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생성된 고조파와 안테나들(4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송신된 고조파의 강도가 실질적으로 저감되기 때문에,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안테나 및 수신기 회로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고조파의 강도가 실질적으로 저감된다. 고조파가 송신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신호 간섭에 대한 잠재성은 제거되고 만족스러운 디바이스 동작이 확보된다.
원한다면, 안테나들(40)과 같은 안테나들은 기지국들(80)과 같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기지국(예컨대, 제1 기지국(80-1), 제2 기지국(80-2), 등)으로부터 무선 송신을 수신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기지국들(80)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40) 중 하나 이상은 통신 링크(82)를 통해 기지국(80-1)과 통신할 수 있고, 통신 링크(84)를 통해 기지국(80-2)과 통신할 수 있거나, 통신 링크(82, 84) 둘 모두를 통해 기지국들(80-1, 80-2)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전단부(60) 내의 듀플렉서 회로(66), 다이플렉서 회로(64), 및 스위칭 회로(68)는 기지국들(8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기지국들(80)로 송신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플렉서 회로(64), 듀플렉서 회로(66), 및 스위칭 회로(68)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40)와 대응하는 송신기들(48) 및 수신기들(50) 사이의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 대역에서 주파수 신호의 송신 및 주파수 신호의 수신을 라우팅하기 위해, 경로(76)를 통해 제어 회로(5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68)는 다수의 스위치(예컨대, 스위치들의 다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각자의 주파수 범위와 연관된다. 스위칭 회로(68) 내부의 스위치들의 상태(즉, 스위칭 회로 내에서 어떤 스위치 단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가)는 경로(76)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회로(52)를 이용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칭 회로(68) 내의 스위치들은 요구되는 모든 송신기들(48) 및 수신기들(50)이 안테나들(40)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단자들(스위치 포트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스위칭 회로(68)는 단극 4단(single pole four throw, SP4T), 단극 5단(single pole five throw, SP5T) 스위치들, 또는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보다 많은 단자, 또는 보다 적은 단자들을 갖는 스위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들(80)은 디바이스(10)와 통신을 위해 무선 통신 회로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9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80)은 회로(92)와 같은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9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소,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92) 내의 프로세싱 회로는 기지국들(8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92)는 안테나들(98)을 통하여 디바이스(10)로의 송신을 위한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10) 상의 송신기들(48)로부터 기지국들(80)로 전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때때로 업링크 신호로서 지칭되는 반면, 기지국들(80)로부터 디바이스(10) 상의 수신기들(50)로 전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때때로 다운링크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저장 회로(92)는 디바이스 정보(94)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94)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기지국들(80)이 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와 통신하는 통신 링크(82 및/또는 84)와 연관된 연결 설정과 같은 디바이스(10)에 관한 정보(예컨대, 기지국들(80)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용되는 디바이스 설정)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저장 회로(92)는 이웃 기지국 정보(96)를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 정보(96)는 주어진 기지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다른 기지국들(8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80-1)은 기지국(80-2)이나 다른 기지국들이 기지국(80-1)에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다는 것을 식별하는 정보(96)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96)에 의해 식별된 이웃 기지국들은 특정 기지국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안에 있는 임의의 기지국이거나, 특정 기지국의 무선 커버리지와 중첩되는 무선 커버리지를 갖는 다른 기지국들일 수 있다. 원한다면, 정보(96)는 이웃 기지국들과 연관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96)는 각각의 이웃 기지국(80)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주파수(예컨대, 통신 대역)를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들(80)로부터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는 다이플렉서 회로(64)(예컨대, 회로(64) 내부의 하나 이상의 다이플렉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이플렉서 회로(64)는 주파수에 따라 신호를 라우팅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플렉서 회로(64)는 신호 손실을 최소화(예컨대, 삽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수신된 무선 송신들을 각각 저 주파수 및 고 주파수로 분리하는 로우 패스 필터 및 하이 패스 필터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송신 동안, 송신기들(48)로부터 수신된 저-대역 신호 및 고-대역 신호는 다이플렉서 회로(64)에 의해 조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조합된 신호는 안테나들(40)로 출력될 수 있다.
듀플렉서 회로(66)는 송신 및 수신된 신호 사이에 높은 분리를 제공하는 필터 회로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들(48)에 의해 송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수신기들(5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비해 훨씬 클 수 있다(예컨대, 몇 십 dBm 더 클 수 있음). 듀플렉서들(66)은 송신기들(50)로부터 송신된 상대적으로 큰 신호가 수신기들(48)에 의해 수신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송신기들과 수신기들 사이에 높은 분리를 제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듀플렉서 회로(66)는 송수신기 회로(90)에 대해 높은 대역 외 신호 감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회로(52)는 대응하는 안테나들(40)과 요구되는 송신기들 및 수신기 회로들 사이에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라우팅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68)를 구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LT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고 동작될 수 있다. LTE 통신 프로토콜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OFDM) 디지털 변조 방식을 이용한다. OFDM 방식은 많은 수의 밀접하게-이격된 직교 부반송파들이 데이터를 싣기 위해 이용되는 주파수-분할 변조 방식의 유형이다. OFDM의 상이한 변형들이 업링크 신호 송신 및 다운링크 신호 송신 각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신호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해 변조될 수 있고, 업링크 신호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해 변조될 수 있다. 밀접하게-이격된 직교 부반송파들은 때때로 주파수 부반송파들로도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부반송파가 주파수들의 범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예컨대, 15 ㎑의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들의 범위) 각각의 부반송파 내의 데이터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및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16-QAM 및 64-QAM)와 같은 각자의 디지털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기지국들(80)과 같은 기지국은 선택된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변조할 수 있고, 디바이스(10) 상의 무선 회로(34)는 선택된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기지국들(80)로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사용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타임 슬롯 동안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디바이스(UE1)(예컨대, 도 1 내지 도 3의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는 제1 시간 주기 동안 대응하는 기지국(80)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디바이스(UE2)는 제2 시간 주기 동안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3 사용자 디바이스(UE3)는 제3 시간 주기 동안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등이다. 다른 적합한 배열에서, 기지국(80)은 주어진 시간 슬롯 동안 2개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로 의도된 다운링크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예컨대, LTE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와 같은 무선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타임 슬롯 동안 다수의 자원 블록(300)에서 업링크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타임 슬롯은 시간 내에서 다수의 OFDM 심볼로 분할된다. 자원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적 OFDM 심볼들의 세트로서,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 주파수 부반송파들의 세트로서 정의되는 기본 스케줄링 단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블록(300)과 같은 자원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는 7개의 연속적 OFDM 심볼들로서,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12개의 연속적 주파수 부반송파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자원 블록을 정의하기 위해 이용되는 연속적 OFDM 심볼들의 세트는 일반적인 또는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Cyclic Prefix)와 같은 파라미터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자원 블록(300)은 0.5 ms와 180 ㎑의 곱으로 측정될 수 있다(즉, 부반송파 간격이 15 ㎑라는 전제하에).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일반적으로, 자원 블록들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들에서 임의의 크기를 갖는 연속적 OFDM 심볼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LTE 주파수 대역(예컨대, LTE 대역 1, LTE 대역 2, 등)은 연관된 업링크 대역 및 연관된 다운링크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LTE 대역 1은 1920-1980 ㎒로부터의 업링크 대역 및 2110-2170 ㎒로부터의 다운링크 대역을 갖는다. 다른 예로서, LTE 대역 5는 824-849 ㎒로부터의 업링크 대역 및 869-894 ㎒로부터의 다운링크 대역을 갖는다. 통신 동작들 중에, 디바이스(10)와 같은 무선 전자 디바이스는 요구되는 LTE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업링크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요구되는 LTE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다운링크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요구되는 LTE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업링크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신하면서, 요구되는 LTE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다운링크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업링크 대역 내의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선택된 업링크 대역 내의 이러한 주파수들의 범위는 때때로 연관된 채널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대역 1을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10)는 10 ㎒의 채널 대역폭을 가지고 1950 ㎒를 중심으로 하는 업링크 채널에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디바이스(10)는 주파수들 1945 ㎒ 및 1955 ㎒ 사이의 채널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대역폭은 LTE 대역 1의 주파수 범위 이외의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할 때, LTE 대역 1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10)는 1920-1980 ㎒로부터의 임의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는 업링크 채널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선택된 다운링크 대역 내의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선택된 다운링크 대역 내의 이러한 주파수들의 범위는 때때로 연관된 채널 대역폭을 갖는 다운링크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다).
상이한 LTE 대역들(예컨대, LTE 대역 1, LTE 대역 2, 등)은 각각 디바이스(10)가 선택된 채널 대역폭을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대역 1의 업링크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10)는 5 ㎒, 10 ㎒, 15 ㎒, 또는 20 ㎒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LTE 대역 5의 업링크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10)는 1.4 ㎒, 3 ㎒, 5 ㎒, 또는 10 ㎒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LTE 대역은 허용 가능한 채널 대역폭에 각자의 요구조건을 부과한다. 각각의 LTE 대역 내의 각각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은 ARFCN(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등과 같은 각자의 채널 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채널은 채널을 식별하도록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각각의 LTE 대역은 제어 신호와 측정 데이터가 디바이스(10)와 외부 장비 사이에서 그를 통해 전달되는 하나 이상의 전용 제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채널들은 예약된 자원 블록(즉, 각자의 제어 채널에 할당되었던 자원 블록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다수의 채널(304)을 갖는 예시적 LTE 대역(302)을 도시한다. 도 6의 LTE 대역 내의 각각의 채널은 대응하는 채널 대역폭(CBW)을 갖는다. 대역(302) 내의 각각의 채널은 LTE 대역(302)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대역 내의 임의의 번호가 부여된 채널일 수 있다(예컨대, 각각의 채널(304)은 대응하는 LTE 대역의 임의의 요구되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일 수 있다). 각각의 채널(304)은 다수의 자원 블록(306) 내로 주파수 분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302)은 임의의 요구되는 채널 대역폭을 갖는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채널들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채널은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자원 블록들(300)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각각의 채널(304)은 10 ㎒의 채널 대역폭(CBW), 및 50개의 자원 블록들(300)을 가질 수 있고, 대역(302)은 4개의 채널(302)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대역(302)은 10개의 채널(302)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들 및 각각의 채널들 내의 자원 블록들의 수는 이용되고 있는 중인 LTE 대역에 의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자신의 모든 이용 가능한 자원 블록들(300)을 활용할 필요는 없다. 디바이스(10)는 다만 하나의 자원 블록(300), 또는 자신의 자원 블록들(300) 중 허용된 부분(예컨대, 서브세트(subset))만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한다면, 디바이스(10)는 모든 이용 가능한 자원 블록들 내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디바이스(10)는 음영 처리된 자원 블록들(300')을 이용하여 통신한다(예컨대, 디바이스(10)는 채널(304)의 제3, 제4, 제5, 및 제7 자원 블록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자원 블록들(300')은 때때로 디바이스(10)에 의한 자원 블록들의 배치(deployment), 할당, 또는 구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용되는 자원 블록들의 배치는 대응하는 채널(304) 내의 임의의 요구되는 위치에서 시작되는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자원 블록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의해 배치된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다른 미사용 자원 블록들에 의해 주파수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6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동작 동안, 디바이스(10)는 특정 자원 블록 구성을 이용하여(예컨대, 대응하는 채널 내의 선택된 지점에서 시작되는 선택된 수의 자원 블록들을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들(80)은 자원 블록들(300)의 임의의 원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디바이스(10)로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의 무선 통신 회로(4)에 의한 통신 동작 도중, 안테나 구조물들(40)은 동시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예컨대, 무선 통신 회로(34)는 동시에 다운링크 대역의 채널 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대역의 채널 내에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듀플렉서 회로(66)(도 3)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자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로 분할할 수 있다.
안테나들(40)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는 일련의 바이너리 비트"1" 및 "0"을 갖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은 요구되는 변조 방식(예컨대, QPSK, 16-QAM, 64-QAM, 등)을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기지국들(80) 내의 회로(92)는 요구되는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변조 회로, 및 요구되는 다운링크 전력 레벨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증폭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92)는 임의의 요구되는 LTE 대역의 임의의 요구되는 채널 내의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LTE 자원 블록들(예컨대, 임의의 요구되는 자원 블록 배치)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저대역 모듈(54)은 기지국들(80)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다. 기저대역 모듈(54)에 의해 초당 성공적으로 독출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내의 비트의 수는 무선 통신 회로(34)의 데이터 수신 처리율로서 정의될 수 있다(때때로, 데이터 처리율 또는 수신 경로 데이터 처리율로서 지칭됨).
무선 통신 회로(34)의 데이터 처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2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지국들(8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셀룰러 기지국들(80)은 디바이스(10)가 2개의 상이한 LTE 통신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때때로 반송파 집성으로 지칭됨). 예로서, 기지국(80-1)과 같은 주어진 기지국은 디바이스(10)가 LTE 대역 4 및 LTE 대역 17에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LTE 대역 4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0)는 2110 ㎒ 내지 2155 ㎒의 주파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 대역 17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0)는 734 ㎒ 내지 746 ㎒의 주파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통신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용함으로써, 디바이스(10)에 증가된 대역폭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들을 LTE 대역 4 및 LTE 대역 17에 동시에 수신하는 디바이스(10)에는 LTE 대역 4 및 LTE 대역 17 각각의 대역폭의 조합과 동일한 통신 대역폭이 제공될 수 있다(예컨대, LTE 대역 4로부터의 45 ㎒와 LTE 대역 17로부터의 12 ㎒의 합).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에 개선된 데이터 송신 및 처리율이 제공된다.
원한다면, 디바이스(10)는 2개의 상이한 LTE 통신 대역에서 2개 이상의 기지국들(80)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예컨대, 디바이스(10)는 다수의 기지국(80)을 통해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LTE 대역 4를 이용하여 제1 기지국(80-1)과, 그리고 LTE 대역 17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80-2)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으로부터 LTE 대역 4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0)는 2110 ㎒ 내지 2155 ㎒의 주파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으로부터 LTE 대역 17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0)는 734 ㎒ 내지 746 ㎒의 주파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6은 2개의 상이한 기지국들(80)로부터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로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회로(34)를 갖는 디바이스(10)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의 예에서, 무선 통신 회로(34)는 모든 통신 대역들을 수용하기 위해 스위칭 회로(예컨대, 도 3의 68)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싱되는 단일의 송신기 및 2개의 수신기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회로(34)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셀룰러 기지국(80)으로부터의) 무선 송신을 수신하는 안테나(40-1)와 같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68)는 다수의 스위칭 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스위치(68LB, 68HB, 68LBRX, 68TX, 68HBRX)는 도 3의 스위칭 회로(68)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스위칭 스테이지, 멀티플렉서들, 또는 스위칭 멀티플렉서들로서 지칭될 수 있음). 수신된 무선 송신은 다이플렉서 포트(PA)를 통해 다이플렉서(64)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이플렉서(64)는 주파수에 따라 신호를 라우팅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플렉서(64)는 신호 손실을 최소화(예컨대, 삽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수신된 무선 송신들을 각각 저 주파수 및 고 주파수로 분리하는 필터(FLB)(예컨대, 로우 패스 필터) 및 필터(FHB)(예컨대, 하이 패스 필터)를 가질 수 있다. 저 주파수의 수신된 신호는 다이플렉서 포트(PL)로부터 스위치(68LB)의 단자(T')로 라우팅될 수 있다. 고 주파수의 수신된 신호는 다이플렉서 포트(PH)로부터 스위치(68HB)의 단자(T')로 라우팅될 수 있다. 신호 송신 동안, 포트(PL)의 저-대역 신호 및 포트(PH)의 고-대역 신호는 다이플렉서(64)에 의해 조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조합된 신호는 포트(PA)에서 출력될 수 있다.
스위치들(68LB, 68HB)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단자(T)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들(68LB, 68HB)은 단자들(T) 중 선택된 하나를 단자(T')로 결합시키기 위해 제어 경로들(76)을 통해 제어 회로(52)(도 3)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각각 구성될 수 있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들(예컨대,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들)일 수 있다. 스위치들(68LB, 68HB)의 각각의 단자(T)는 듀플렉서들(66) 중 각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듀플렉서들(66)은 각각 각자의 고-대역 및 저-대역 필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듀플렉서는 필터(102)와 같은 제1 필터, 및 필터(104)와 같은 제2 필터를 가질 수 있다. 필터(102) 및 필터(104)는 개별적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개별적 주파수 대역들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필터들(102)은 송신(업링크)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을 격리하고, 격리된 주파수들을 듀플렉서 회로(66)에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68TX)는 송신기(148)(예컨대, 도 3의 송신기들(48) 중 하나인 특정 송신기(TX))를 요구되는 듀플렉서(66)로 결합시키기 위해 제어 경로(76)을 통해 구성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필터들(104)은 수신(다운링크)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을 격리할 수 있다. 필터들(102, 104)의 주파수 응답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듀플렉서(66)(및 연관된 단자(T))는 특정 통신 대역과 연관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자(T)는 LTE 대역 4와 연관될 수 있고, 제2 단자(T)는 LTE 대역 17과 연관될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스위치(68LB)에 결합된 필터들(104)은 스위칭 회로(68LBRX)에 결합될 수 있고, 스위치(68HB)에 결합된 필터들(104)은 스위칭 회로(68HBRX)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68LBRX, 68HBRX)는 제어 단자들(76)을 통해 구성 가능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들(예컨대,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68LBRX)는 제1 수신기(150)(예컨대, 도 3의 수신기들(50) 중 하나인 특정 수신기(RX1))로 결합될 수 있고, 스위치(68HBRX)는 제2 수신기(150)(예컨대, 수신기 회로(50)의 부가적 수신기(RX2))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RX1)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RX2)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LTE 표준을 이용하여 기지국들(80)과 통신하는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으로부터는 대역 4(예컨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제2 기지국들(80-2)로부터는 대역 17(예컨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안테나(40-1)를 통해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송신은 다이플렉서(64)에 의해 대역 4에 대응하는 신호, 및 대역 17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할될 수 있다.
대역 4에 대응하는 신호는 스위치(68HB)에 의해 수신되고 대역 4와 연관된 주파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듀플렉서(66)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듀플렉서(66)는 대역 4와 연관된 주파수들을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예컨대, 1710 ㎒ 내지 1755 ㎒에 대응하는 송신 대역, 및 2110 ㎒ 내지 2155 ㎒에 대응하는 수신 대역)으로 분할하고, 수신 대역과 연관된 신호를 멀티플렉서(68HBRX) 및 수신기(RX2)로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RX2)는 수신 대역과 연관된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예컨대, 수신기(RX2)는 신호를 복조하고 신호를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대역 17에 대응하는 신호는 스위치(68LB)에 의해 수신되고 대역 17과 연관된 제2 듀플렉서(66)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듀플렉서(66)는 대역 17과 연관된 주파수들을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예컨대, 704 ㎒ 내지 716 ㎒에 대응하는 송신 대역, 및 734 ㎒ 내지 746 ㎒에 대응하는 수신 대역)으로 분할하고, 수신 대역과 연관된 신호를 프로세싱을 위해 멀티플렉서(68LBRX) 및 수신기(RX1)로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RX1, RX2)가 상이한 통신 대역들 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원한다면 각각의 수신기는 각자의 로컬 발진기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RX1)는 로컬 발진기(LO1)에 결합될 수 있고 수신기(RX2)는 로컬 발진기(LO2)에 결합될 수 있다. 로컬 발진기들(LO1, LO2)이 적합한 주파수들을 갖는 신호를 생성함으로써(예컨대, 정현파 신호 또는 적합한 주파수를 갖는 다른 바람직한 신호), 수신기들(RX1, RX2)은 무선 주파수 신호의 프로세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RX1)는 LTE 대역 17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로컬 발진기(LO1)는 LTE 대역 17과 연관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기에 적합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튜닝될 수 있다.
2개의 개별적 로컬 발진기들(LO1, LO2)을 이용하여 각자의 신호를 갖는 수신기들(RX1, RX2)을 제공하는 것은 다만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원한다면, 로컬 발진기회로(156)가 수신기들(RX1, RX2)에 상이한 주파수들을 갖는 2개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발진기 회로(156)는 제1 주파수에서 제1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로컬 발진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신호는 수신기(RX1)로 제공될 수 있다. 로컬 발진기 회로(156)는 또한 제1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에서 제2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주파수 분할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신호는 수신기(RX2)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송신은 동시에 프로세싱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프로세싱함으로써, 디바이스(10)에 증가된 통신 대역폭, 그리고 이에 따라 증가된 데이터 처리율 및 송신율이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기지국들(80)로부터 각각의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10)는 기지국들 중 주어진 기지국에 대한 디바이스(10)의 지리적 위치(예컨대, 디바이스(10)가 기지국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와 관계없이 처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LTE 대역 4 및 LTE 대역 17과 연관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도 6의 회로를 이용하는 것은 다만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원하는 주파수 대역들을 수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34)를 구성함으로써, 임의의 2개의 상이한 통신 대역들이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대역 2는 LTE 대역 17, LTE 대역 5, MediaFLO 대역, 또는 다른 임의의 주파수 대역과 함께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LTE 대역 4는 LTE 대역 5 또는 MediaFLO 대역과 함께 동시에 수신될 수 있고, LTE 대역 1은 LTE 대역 8 또는 LTE 대역 20과 동시에 수신될 수 있고, LTE 대역 3은 LTE 대역 8 또는 대역 20과 동시에 수신될 수 있는 등이다. 원한다면, 3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다이플렉서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요구되는 수의 주파수 대역들 - 주파수 대역들은 각자의 수신기들에 의해 프로세싱됨 - 로 분리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배열되는데, 트리플렉서들이 이용되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3개 주파수 대역들로 분리하고, 쿼드플렉서들이 이용되어 신호를 4개 주파수 대역들로 분리하고, 임의의 수의 송신기들(TX) 및 수신기들(RX)이 이용되어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안테나들(40)을 이용하여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대역들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등이다.
수신기들(RX1, RX2)은 송수신기 회로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개별적 회로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RX1) 및/또는 수신기(RX2)는 송신기(TX)와 조합되어 송수신기를 형성하거나, 개별적 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들로서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제1 선택적 송수신기(154)가 수신기(RX1) 및 송신기(TX)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제2 선택적 송수신기(154)가 수신기(RX2) 및 부가적 송신기(TX)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수신기들(RX1, RX2) 및 송신기(TX)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5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들(RX1, RX2)은 스위치들(68LBRX, 68HBRX)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54)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RX1)는 LTE 대역 17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기저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152)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54)는 수신된 신호와 연관된 변조 방식을 디코딩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54)는 대역들 각각을 통해 동시에 수신된 신호를 단일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회로를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예시적 대역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의 예에서, 주파수 대역(LBTX)은 LTE 대역 17에 대해서 704-716 ㎒와 같은 낮은 송신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고, LBRX는 LTE 대역 17에 대해 734-746 ㎒와 같은 낮은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다(예컨대, LBTX는 LTE 대역 17의 송신 대역에 대응하고, LBRX는 LTE 대역 17의 수신 대역에 대응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HBTX)은 LTE 대역 4에 대해 1710-1755 ㎒와 같은 높은 송신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고, HBRX는 LTE 대역 4에 대해 2110-2155 ㎒와 같은 높은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다(예컨대, HBTX는 LTE 대역 4 송신 대역에 대응하고, HBRX는 LTE 대역 4 수신 대역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이플렉서(64)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송신을 F1 미만 주파수들의 제1 신호 파티션, 및 F1 초과 주파수들의 제2 신호 파티션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필터(FLB)는 제1 신호 파티션을 스위치(68LB)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필터(HLB)는 제2 신호 파티션을 스위치(68HB)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68LB)는 주파수 대역들(LBTX, LBRX)와 연관된 제1 듀플렉서(66)를 필터(FLB)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68HB)는 주파수 대역들(HBTX, HBRX)와 연관된 제2 듀플렉서(66)를 필터(HLB)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듀플렉서(66)는 (예컨대, F2보다 높은 주파수로부터 F2보다 낮은 주파수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필터들을 이용하여) 낮은 수신 대역(LBRX)으로부터 낮은 송신 대역(LBTX)을 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듀플렉서(66)는 (예컨대, F3보다 높은 주파수로부터 F3보다 낮은 주파수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필터들을 이용하여) 높은 수신 대역(HBRX)으로부터 높은 송신 대역(HBTX)을 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낮은 수신 대역(LBRX)은 제1 수신기(RX1)에 제공될 수 있고, 높은 수신 대역(HBRX)은 제2 수신기(RX2)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이 무선 통신 회로(34)에 의해 동시에 수신 및 프로세싱될 수 있다.
도 8은 어떻게 디바이스(10)가 네트워크(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에서 2개의 무선 기지국들(80)(예컨대, 2개의 셀룰러 통신 송신탑들)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는지 도시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지리적 위치(160)에 위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180)는 제1 및 제2 무선 기지국들(80-1, 80-2)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8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관리자(예컨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지리적 위치(162)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기지국(80-2)은 지리적 위치(164)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무선 커버리지의 영역(166)을 가질 수 있다. 영역(166)은 제1 기지국(80-1)이 디바이스(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적합하게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위치들(예컨대, 제1 기지국(80-1)이 기지국(80-1)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무선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커버리지 영역), 무선 디바이스가 요구되는 신호 전력 레벨로 제1 기지국(80-1)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 기지국(80-1)이 요구되는 신호 전력 레벨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기지국(80-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충분한 신호 품질을 가지는 영역,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적절한 일 배열에서, 기지국(80-1)은 요구되는 통신 대역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영역(166)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배열에서, 영역(166)은 2개 이상의 커버리지 구역(168) - 커버리지 구역(168) 각각은 기지국(80-1)이 그 구역(168)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데 이용하는 대응하는 통신 대역을 가짐 - 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영역(166)은 각각 각자의 통신 대역을 갖는 4개의 커버리지 구역(168)으로 분리된다(예컨대, 제1 구역(168-1)은 제1 통신 대역(FA), 제2 구역(168-2)은 제2 통신 대역(FB), 제3 구역(168-3)은 제3 통신 대역(FC), 및 제4 구역(168-4)은 제4 통신 대역(FD)을 가짐).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무선 전자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의 구역(168-2) 내에 있는 위치(160)에 있고, 제1 기지국(80-1)은 대응하는 통신 대역(FB)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은 요구되는 통신 대역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영역(170)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배열에서, 영역(170)은 2개 이상의 커버리지 구역(172) - 커버리지 구역(172) 각각은 기지국(80-2)이 그 구역(172)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데 이용하는 대응하는 통신 대역을 가짐 - 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영역(170)은 각각 각자의 통신 대역을 갖는 4개의 커버리지 구역(172)으로 분리된다(예컨대, 제1 구역(172-1)은 제5 통신 대역(FE), 제2 구역(172-2)은 제2 통신 대역(FF), 제3 구역(172-3)은 제3 통신 대역(FG), 및 제4 구역(172-4)은 제4 통신 대역(FE)을 가짐).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무선 전자 디바이스(10)는 제2 기지국(80-2)의 구역(172-4) 내에 있는 위치(160)에 있고, 제2 기지국(80-2)은 대응하는 통신 대역(FE)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와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다수의 기지국(80)의 무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경우, 무선 신호가 상이한 통신 대역들에서 기지국들로부터 동시에 수신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10)는 다수의 기지국(80)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다(예컨대, 단일 통신 대역을 통한 통신에 상대적으로 개선된 데이터 처리율을 가짐). 도 8의 예에서,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166)과 제2 기지국(80-2)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170) 사이의 중첩 영역(174) 내에 위치되고, 제1 기지국(80-1) 및 제2 기지국(80-2) 둘 모두와 동시에 통신하도록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을 수행하는 경우,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커버리지 구역과 연관된 통신 대역에서 각각의 기지국(80)과의 통신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과는 통신 대역(FB)에서, 제2 기지국(80-2)과는 통신 대역(FE)에서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대역(FB)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주파수 대역(FE)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다이플렉서 회로(64)는 저-대역(FE)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80-2)으로부터 스위치(68LB)로 라우팅하여 제1 수신기(RX1)로 전달하게 할 수 있고(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고-대역(FB)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80-1)으로부터 스위치(68HB)로 라우팅하여 제2 수신기(RX2)로 전달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LTE 표준을 이용하여 기지국들(80)과 통신하는 시나리오에서,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으로부터는 대역 4(예컨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제2 기지국들(80-2)으로부터는 대역 17(예컨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예컨대, 대역(FB)은 LTE 대역 4이고, 대역(FE)은 LTE 대역 17일 수 있음).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송신은 다이플렉서(64)에 의해 대역 4에 대응하는 신호, 및 대역 17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할될 수 있다.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원한다면, 각각의 커버리지 구역(168, 172)은 연관된 LTE 대역 내의 각자의 채널(304)에 대응하거나,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주파수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원한다면, 스위칭 회로(68), 듀플렉서(66), 및/또는 다이플렉서(64)의 구성은 (예컨대, 제어 회로(52)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조정되어, 다수의 기지국(80)으로부터 대응하는 수신기 회로들(50)로 상이한 대역에서 동시에 라우팅하여 그러한 주파수들에서 신호가 처리되게 할 수 있다.
도 8의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원한다면, 커버리지 영역들(166, 170)은 임의의 요구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예컨대, 커버리지 영역들(166, 170)의 형상은 기지국들(80) 상의 무선 회로 및 안테나들(98)의 구성에 의해, 기지국들(80)이 위치된 영역의 지리(geography) 및 지형(topography)에 의해, 기지국들을 둘러싸고 있는 나무 또는 빌딩과 같은 물체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영역들(166, 170)과 같은 커버리지 영역들은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통신 대역들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커버리지 구역들을 가질 수 있다. 원한다면, 제2 기지국(80-2)의 커버리지 구역들(172) 중 하나 이상은 제1 기지국(80-1)의 커버리지 구역들(168)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연관된 통신 대역들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기지국들(80)과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다(예컨대, 3개, 4개, 또는 4개보다 많은 기지국들의 커버리지 영역들 내에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174)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3개 기지국들(80), 4개 기지국들(80), 4개보다 많은 기지국들(80), 등에서 동시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80)은 저장 회로(92) 내에 다른 근처의 기지국들(80)에 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에서, 기지국(80-1)은 기지국(172)을 이웃 기지국으로 식별하는 정보(96)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96)는 커버리지 영역(170), 및 기지국(172)과 연관된 대응하는 구역들(172)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96)는 기지국(80-2)의 어떤 커버리지 구역들(172)과 대응하는 통신 대역들이 기지국(80-1)의 커버리지 구역들(168)과 중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기지국(80-1)은 기지국(80-2)의 커버리지 구역(172-4)이 대응하는 통신 대역(FE)을 가지고 디바이스(10)가 위치된 기지국(80-1)의 커버리지 구역(168-2)과 중첩된다고 식별하는 정보(96)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이웃 기지국 정보(96)는 미리 결정되고 디바이스(10)와의 통신 이전에 저장소(9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80)과 연관된 네트워크 운영자는 기지국들(80) 상으로 정보(96)를 로딩함으로써 각각의 기지국이 이웃 기지국들 및 대응하는 커버리지 구역들이 공간상 어떻게 중첩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네트워크(180)의 동작 조건들은 시간에 걸쳐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웃 기지국 정보는 정보(96)가 네트워크(180)의 임의의 변경을 반영하도록 네트워크(180)의 일반 동작들 도중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 기지국 정보(96)는 네트워크(180)의 변경을 반영하도록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예컨대, 추가적 기지국들(80)이 네트워크(180)에 추가된 경우, 기지국들(80)이 네트워크(180)로부터 제거된 경우, 이웃 기지국들이 그들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구역 또는 영역을 변경한 경우, 이웃 기지국들이 주파수 대역을 변경한 경우, 등이다. 원한다면, 각각의 기지국(8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핸드오버 정보, 업데이트된 이웃 기지국 정보(96), 제어 신호, 또는 디바이스(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예컨대, 도 3의 디바이스 정보(94))와 같은 정보가 기지국들(80) 사이에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80)과 반송파 집성을 수행하는 경우, 디바이스(10)는 먼저 기지국(80-1)과 같은 단일의 기지국과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그에 대해 무선을 설정한 제1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1차 컴포넌트 반송파들(Primary Component Carriers, PCCs) 또는 1차 기지국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PCC와 디바이스(10) 사이에 전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1차 컴포넌트 반송파 신호, 1차 신호, 1차 컴포넌트 신호, 1차 반송파 신호, 또는 PCC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1차 기지국들과 디바이스(10) 사이의 무선 링크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1차 연결 또는 1차 무선 링크로서 지칭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와 PCC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면, 디바이스(10)는 1차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기지국(80-2)과 같은 다른 기지국(80)과의 추가적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기지국 둘 모두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예컨대, 캐리어 집성 방식으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 디바이스(10)가 1차 기지국과 무선 연결을 설정한 후 디바이스(10)와 연결을 설정하는 추가적 기지국들은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2차 컴포넌트 반송파들(Secondary Component Carriers, SCCs) 또는 2차 기지국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SCC와 디바이스(10) 사이에 전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2차 컴포넌트 반송파 신호, 2차 신호, 2차 컴포넌트 신호, 2차 반송파 신호, 또는 SCC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2차 기지국들과 디바이스(10) 사이의 무선 링크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2차 연결 또는 2차 무선 링크로서 지칭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대역에서 1차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2차 기지국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80)과의 연결을 설정한 경우, 디바이스(10) 및 기지국은 수신된 신호(예컨대, 수신된 신호와 연관된 계산된 성능 메트릭 정보)를 미리 결정된 성능 메트릭 기준들과 비교하여 적합한 연결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0)는 적합한 연결이 설정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들(80)과 디바이스(10)는 연결 설정들(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디바이스 연결 설정, 무선 연결 설정, 또는 무선 디바이스 연결 설정으로서 지칭됨)의 세트를 이용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연결 설정은 기지국들(80) 내의 무선 회로의 구성 및 디바이스(10)와 기지국들(80) 사이에 무선 연결을 설정하고 디바이스(10)와 기지국들(80) 사이에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무선 회로(34)의 구성(예컨대, 디바이스(10)의 듀플렉서들(66), 다이플렉서들(64), 스위칭 회로들(68), 안테나들(40), 증폭기들(72, 74), 송수신기(90) 및 기저대역 회로(54)에 대한 구성들)과 연관된 임의의 요구되는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연결 설정은 업링크 전력 레벨 설정(예컨대, 디바이스(10) 내의 증폭기들(72)에 의해 송신 신호로 제공되는 업링크 전력 레벨), 다운링크 전력 레벨 설정(예컨대, 기지국들(80) 내의 증폭기들에 의해 송신 신호에 제공되는 다운링크 전력 레벨, 전력 증폭기 오프셋 설정, 전력비 지수 설정(power ratio index setting), 경로 손실 조정 설정(오프셋), 업링크 및 다운링크 코드율 설정,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율 설정(예컨대, 디바이스(10) 및 기지국들(80)에 의해 생성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조 방식 설정(예컨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기저대역 프로세서(54) 및/또는 기지국(80)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방식),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 블록 배치 설정(예컨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기 위한 자원 블록들의 수), 처리율 설정, 스케줄링 설정, 목표 전력 레벨 설정, 업링크 및 다운링크 대역폭 설정,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설정, 주파수 설정, 주기적 전치부호 설정, 또는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무선 연결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와 주어진 기지국(80)은 연결 설정들의 제1 세트를 이용하여 연결을 설정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예컨대, 제1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전력 레벨, 대역폭 설정, 자원 블록 구성, 등을 이용). 제1 연결 설정을 이용하여 적합한 무선 연결이 설정되지 못한 경우(예컨대, 기지국 및/또는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불충분한 성능 메트릭 정보의 특징을 갖는 경우), 디바이스(10) 및/또는 기지국(80)은 적합한 연결이 설정되기까지 상이한 연결 설정들을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와 기지국들(80) 사이에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시간 소비적이고, 반송파 집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80)과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와 같이 추가적 기지국들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반송파 집성 링크 설정으로서 지칭됨), 디바이스(10)와 무선 연결 설정에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기지국들 사이의 반송파 집성을 수행하기 위해 개선된 무선 연결의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반송파 집성 모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예컨대, 반송파 집성 링크를 통해 상이한 통신 대역으로 동시적 무선 주파수 송신을 이용한 셀룰러 기지국들(80)과 무선 디바이스(10)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는), 도 9의 예시적 흐름도의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도 6의 기지국(80-1)과 같은 제1 셀룰러 기지국, 기지국(80-2)과 같은 제2 셀룰러 기지국, 및 무선 전자 디바이스(10)는 반송파 집성 동작을 위해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연결 설정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80-1)과 제1(1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들(80)은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의 송신을 준비할 수 있고,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게 상이한 통신 대역에서의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의 동시적 수신을 준비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예컨대, 기지국(80-1) 또는 기지국(80-2)은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게 반송파 집성 모드로 동작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은 단일의 소스 데이터 스트림을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예컨대, 단일의 소스 데이터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들로 분리되어 네트워크(180) 내의 다른 네트워킹 장비로부터 기지국들(80-1, 80-2)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의 동시적 수신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는 적절한 라우팅 연결을 만들기 위해 스위치들(68)을 구성할 수 있다(예컨대, 스위치들은 각각의 통신 대역을 각자의 수신기(50)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에게 반송파 집성을 준비하라고 명령하기 전에 반송파 집성 모드로 디바이스(10)가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커버리지 구역(예컨대, 커버리지 구역(168-2))을 식별할 수 있고, 저장된 이웃 기지국 정보(96)에 기초하여 그러한 커버리지 구역이 제2 기지국(80-2)의 커버리지 구역과 공간적으로 중첩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의 커버리지 구역이 디바이스(10)가 위치된 기지국(80-1)의 커버리지 구역과 중첩되는 경우, 제1 기지국은 디바이스(10)에게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회로(34)를 구성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예컨대,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에게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제2 기지국(80-2)의 커버리지 구역(172)에 대응하는 통신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을 수행하라고 명령할 수 있고, 디바이스(10)는 그러한 통신 대역 - 제1 기지국(80-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통신 대역 - 에서 동시적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68), 다이플렉서 회로(64), 및 듀플렉서 회로(66)를 구성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배열에서, 디바이스(10)는 반송파 집성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을 이용하지 않고도 데이터 처리율이 만족스러운 경우, 디바이스(10)는 반송파 집성 동작은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고, 단일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80-1)과 후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상이한 통신 대역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의 동시적 수신에 대해 준비되었다면, 디바이스(10)는 제2 기지국(80-1)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의 예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는 우선 제1 기지국(80-1)과 1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연결 설정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80-1)과 1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예컨대,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력 레벨, 변조 방식, 등을 이용해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커버리지 구역에 대응하는 통신 대역(FB)에서 제1 기지국(80-1)과 통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FB)을 갖는 커버리지 구역(168-2) 내에 위치되어 있다고 식별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저장된 이웃 기지국 정보(96)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80-2)이 커버리지 구역(172-4) 및 커버리지 구역(168-2)과 중첩되는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FB)을 갖는다고 식별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에게 주파수 대역(FB, FE)을 이용한 반송파 집성을 준비하라고 후속적으로 명령할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의 제어 회로(52)는 주파수 대역(FB, FE)에서 신호의 동시적 송신/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다이플렉서 회로(64), 듀플렉서 회로(66), 및 스위칭 회로(68)를 구성하기 위해 경로(76)를 통해 전단부 회로(60)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후속적으로 통신 대역(FE)에서 제2 기지국(80-2)과 2차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204에서, 기지국들(80)은 상이한 통신 대역들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무선 전자 디바이스(10)로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80-1)은 LTE 대역 17에서 제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고, 제2 기지국(80-2)은 LTE 대역 4에서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06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다이플렉서(64) 및 듀플렉서(66)와 같은 멀티플렉싱 회로를 이용하여 기지국들(80-1, 80-2)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에 기초하여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는 안테나(40-1)에 의해 기지국들(80-1, 80-2)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다이플렉서(64)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및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로 분리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는 구성되어 있는(예컨대, 단계 202 동안 구성된) 제1 스위치(68LB)로 제공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제1 듀플렉서(66)로 라우팅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는 제2 스위치(68HB)로 제공되고 제2 듀플렉서(66)로 라우팅될 수 있다. 제1 듀플렉서(66)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에서 기지국(80-1)으로부터 수신된 제1 데이터 스트림을 격리시키고, 제1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기(RX1)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듀플렉서(66)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로부터 제2 데이터 스트림을 격리시키고,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기(RX2)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08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다수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RX1)는 제1 데이터 스트림을 복조하고 복조된 제1 데이터 스트림을 기지국에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RX2)는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복조하고 복조된 제2 데이터 스트림을 기저밴드 프로세싱 회로(54)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10에서, 기저대역 프로세싱 회로(54)는 복조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고, 복조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조합하여 단일의 소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복원할 수 있다.
도 10은 반송파 집성 동작을 위해(예컨대, 디바이스(10)와 기지국들(80) 사이에 1차 및 2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디바이스(10)와 기지국들(80)을 준비시키기 위해 도 6의 네트워크(180)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단계들은 도 7의 단계 202를 프로세싱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12에서,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와 1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에게 무선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에게 무선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연결 설정(예컨대, 선택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연결 설정)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80-1)과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시도할 수 있다. 적절한 하나의 배열에서,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1)은 기지국(80-1)과 디바이스(10) 사이에 적합한 연결이 설정될 때까지 연결 설정들을 순환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1) 사이에 성공적으로 연결이 설정되는데 이용된 연결 설정은 저장 회로(92)에 디바이스 정보(94)의 일부분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정보(예컨대, 고유 디바이스 식별 번호, 등록 번호, 일련 번호, 타임스탬프 정보, 디바이스(10)의 지리적 위치와 연관된 GPS 정보와 같은 지리적-위치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저장 회로(92)에 디바이스 정보(94)의 일부분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원한다면,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커버리지 구역(168)을 식별하고, 식별된 커버리지 구역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94)의 일부분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 정보(94)를 저장된 이웃 기지국 정보(96)와 비교함으로써 디바이스(10)에게 추가적(SCC) 기지국과의 반송파 집성에 대해 준비하라고 명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80-1)은 이웃 기지국 정보(96)가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커버리지 구역(168)과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170)을 갖는 이웃 기지국을 식별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적합한 다른 배열에서,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지리적-위치 정보를 이웃 기지국 정보(96)와 비교하여 디바이스(10)가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170)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80-1)이 기지국(80-2)과 같은 추가적 기지국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 내에 디바이스(10)가 위치된다고 결정한 경우,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추가적 기지국의 커버리지 구역(172)과 연관된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214에서,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94)를 네트워크(180) 내의 다른 기지국들(80)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적절한 하나의 배열에서, 제1 기지국(80-1)은 저장된 이웃 기지국 정보(96) 내에 식별된 모든 이웃 기지국들에게 디바이스 정보(94)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배열에서,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커버리지 영역(170)을 가진 기지국(80-2)에게 디바이스 정보(94)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은 대응하는 회로(92) 내의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94)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216에서, 제1 기지국(80-1)은 이웃 기지국 정보(96)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디바이스(10)에게 송신하여 디바이스(10)에게 추가적 기지국(80-2)과 연관된 주파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 동작을 준비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이웃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예컨대, 이웃 기지국 정보에 의해 식별된 주파수 대역에서). 이러한 단계는 단지 예시적이다. 원한다면, 단계 216은 단계 214 이전에 수행되어 이웃 기지국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전에 디바이스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단계 218에서, 제2 기지국(80-2)은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예컨대, 커버리지 영역(170) 내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22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2 기지국(80-2)은 요청을 전송했던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80-2)은 수신된 요청 내에 포함된 디바이스 정보를 식별하거나, 또는 기지국(80-2)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 후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된 디바이스 정보는 고유 디바이스 식별 번호, 등록 번호, 일련 번호, 타임스탬프 정보, 디바이스(10)의 지리적 위치와 연관된 GPS 정보와 같은 지리적-위치 정보, 또는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했던 디바이스에 관한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2에서, 제2 기지국(80-2)은 검색된 디바이스 정보를 제1 기지국(80-1)으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94)와 비교하여 요청을 전송했던 무선 디바이스가 기지국(80-1)이 그와의 반송파 집성을 위해 준비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무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가 디바이스 정보(94)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요청을 전송했던 디바이스가 독립적으로 연결을 설정하려고 시도 중인 디바이스(10) 외의 커버리지 영역(170) 내의 무선 디바이스인 경우, 등), 프로세싱은 (경로(22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218로 루프 귀환하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추가적 요청을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80-2)은 네트워크(180)에서 다른 기지국들(80)과 통신하고 있지 않거나, 반송파 집성 연결을 설정하려고 시도하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들과 반송파 집성 연결을 설정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원한다면, 기지국(80-2)은 디바이스 정보(94)와 매칭되지 않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독립적인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가 디바이스 정보(94)와 매칭되는 경우(예컨대, 기지국(80-2)으로 요청을 전송했던 무선 디바이스가 기지국(80-1)과 1차 연결을 설정했던 동일한 디바이스인 경우), 프로세싱은 경로(22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228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228에서, 기지국(80-2)은 제1 기지국(80-1)으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와의 2차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원한다면, 기지국(80-2)은 디바이스(10)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시도할 때 제1 기지국(80-1)과 성공적으로 연결이 설정되게 했던 디바이스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클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80-2)은 디바이스(10)와 1차 기지국(80-1) 사이에 1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용되었던 동일한 다운링크 전력 레벨, 변조 방식, 자원 블록 배치, 및/또는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다. 클론된 연결 설정들은 기지국(80-1)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디바이스(10)를 연결하는데 이미 사용된 바 있으므로,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이 기지국(80-2)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에 성공적으로 연결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기지국(80-2)은 연결이 성공적으로 설정될 때까지 가능한 연결 설정들을 순환하지 않으면서, 또는 추가적 소스로부터의 최적의 연결 설정들을 요청하지 않으면서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10)와 제1 기지국(80-1) 사이의 1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비해, 제2 기지국(80-2)과의 2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10)와 1차 기지국(80-1) 사이에 1차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단계 214 내지 단계 228이 수행될 수 있다(예컨대, 디바이스(10)와 2차 기지국(80-2) 사이의 2차 연결은 디바이스(10)와 1차 기지국(80-1) 사이의 1차 연결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셋업될 수 있다).
원한다면, 도 10의 단계들은 추가적 기지국들(80)과의 추가적인 2차 연결을 설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 스테이션(예컨대, 기지국(80-1) 및 2개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 스테이션과 동시에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반송파 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은 3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이들은 상이한 각자의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와 3개의 기지국들 각각 사이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제2 기지국들이 1차 기지국(80-1)과 공조하여 디바이스(10)와 동시에 통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네트워크(180)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기지국들(80)과 반송파 집성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단계들은 도 9의 단계 202가 수행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80-1)과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10)는 기지국(80-1)으로 연결을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80-1)으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 및/또는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1) 사이에 성공적인 통신 링크가 설정되는데 이용되는 성공적 연결 설정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1) 사이의 연결 설정들의 제1 세트가 적합한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데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연결 설정들의 제2 세트가 링크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연결이 설정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242로 진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 및/또는 기지국(80-1)은 디바이스(10)가 기지국(80-1)과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용한 성공적 연결 설정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 242에서,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기지국(80-1)과 데이터 통신 동작들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정규(normal) 통신 데이터(예컨대, 셀룰러 음성 데이터 및 비-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바이스 식별 정보, 또는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원한다면, 디바이스(10)는 정규 통신 데이터를 기지국(80-1)으로 전송하기 전에 성공적 반송파 집성 연결이 다수의 기지국들과 설정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단계 244에서, 디바이스(10)는 기지국(80-1)으로부터 도 3의 이웃 기지국 정보(96)와 같은 이웃 기지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수신된 기지국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네트워크(180) 내의 추가적 기지국(80)과의 2차 연결을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수신된 기지국 정보가 2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적합한 기지국(80)을 식별한다고 결정한 경우(예컨대, 수신된 기지국 정보가 디바이스(10)의 위치를 포함하는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도 8의 기지국(80-2)과 같은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246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기지국 정보는 기지국(80-1)이 디바이스(10)에게 추가적 기지국들(80)과 연결을 설정하라고 발행한 커맨드, 추가적 기지국들(80)과의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디바이스(10)는 반송파 집성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예컨대,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율이 만족스러운 경우, 등), 이런 경우 디바이스(10)는 제1 기지국(80-1)과 정규 통신 동작들을 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46에서, 디바이스(10)는 기지국(80-1)으로부터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2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네트워크(180) 내의 다른 기지국들(80)(예컨대, 디바이스(10)가 이미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지국(80-1) 이외의 기지국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예컨대, 적절한 송신기들(48), 수신기들(50), 및 안테나들(40) 사이로 신호를 라우팅하기 위해 스위칭 회로(68), 다이플렉서 회로(64), 및 듀플렉서 회로(66)를 구성함으로써) 이웃 기지국(80-2)과 연관된 주파수 대역 및 제1 기지국(80-1)과 연관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적 통신을 위한 무선 회로(34)를 구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가 위치된 이웃 기지국(80-2)의 커버리지 구역(172)에 대응하여,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 내에서 식별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배열에서,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는 디바이스(10)에게 기지국(80-2)에 의해 이용되는 적절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라고 명령하는, 기지국(80-1)에 의해 발행된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는 이웃 기지국(80-2)에 의해 사용 중이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통한 요청의 브로드캐스트는 생략함으로써, 반송파 집성 연결을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 248에서, 디바이스(10)는 2차 연결이 설정될 이웃 기지국(80-2)으로부터의 확인을 대기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이웃 기지국(80-2)으로부터의 확인을 대기하는 동안 제1 기지국(80-1)과의 1차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예컨대, 무선 회로(34)의 구성은 1차 연결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1차 연결 및 하나 이상의 2차 연결을 통한 동시적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2차 연결이 설정될 것이라는 확인이 이웃 기지국(80-2)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25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2)은 2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2차 연결을 설정하는 동안, 디바이스(10)는 이웃 기지국(80-2)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 - 제1 기지국(80-1)과 디바이스(10) 사이의 연결이 설정되는데 이용된 선택된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송신되었음 - 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80-2)은 디바이스(10)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디바이스(10)에게 제1 기지국(80-1)과 디바이스(10) 사이의 연결이 설정되는데 이용된 선택된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와 제1 기지국(80-1) 사이에 1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연결 설정들을 기지국(80-2)이 모르는 시나리오에 비해, 보다 적은 시간 내에 이웃 기지국(80-2)과 디바이스(10) 사이에 만족할 만한 무선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1차 기지국(80-1)과 2차 기지국(80-2) 사이에서 반송파 집성을 이용하여 정규 데이터 통신 동작들을 후속적으로 시작함으로써, 다만 단일의 주파수 대역이 이용되는 통신 방식들에 비해 개선된 데이터 처리율을 갖는 디바이스(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디바이스(10)와 제1 기지국(80-1) 사이에 1차 연결을 설정하고, 디바이스(10)와 제2 기지국(80-2) 사이에 2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연결 설정들의 테이블(398)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테이블(398) 내의 정보는 제1 기지국(80-1)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94)의 일부분으로서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디바이스 연결 설정들(398) 또는 디바이스 연결 정보(398)로서 지칭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와의 성공적 연결이 설정된 경우(예컨대, 도 8의 프로세싱 단계 212 이후), 제1 기지국(80-1)은 디바이스 연결 정보(398)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고, (예컨대, 도 8의 프로세싱 단계 214 동안) 연결 정보(398)를 네트워크(180) 내의 이웃 기지국들(80)에게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연결 정보(398)의 각각의 엔트리(행)는 기지국과 디바이스 사이에 성공적으로 1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기지국(80-1) 및/또는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용되는 연결 설정에 대응할 수 있다. 연결 정보(398)의 엔트리들은 업링크 연결 설정들(404)과 같은 업링크 신호의 생성 및 송신과 연관된 연결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운링크 연결 설정들(406)과 같은 다운링크 신호의 생성 및 송신과 연관된 연결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들(80)로 송신하기 위해 연결 설정들(404)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80)은 다운링크 신호를 디바이스(10)로 송신하기 위해 연결 설정들(406)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1차 기지국(80-1) 및/또는 2차 기지국(80-2)은 디바이스(10)에게 설정들(404)을 이용하여 기지국(80-2)으로 2차 신호를 송신하라고(예컨대, 2차 연결을 설정하라고) 명령할 수 있고, 또는 디바이스(10)가 디바이스(10)와 제1 기지국(80-1) 사이에서 이미 이용 중인,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28) 상에 저장된 미리 결정된 업링크 연결 설정들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80-2)으로 2차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은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2) 사이에 2차 연결을 설정할 때(예컨대, 도 10의 프로세싱 단계 228 중에) 디바이스 연결 설정들(398) 중 하나 이상의 엔트리를 클론(복사)할 수 있다.
테이블(398)의 열(column)(400)은 디바이스(10)와 기지국(80-1) 사이의 설정된 연결과 연관된 연결 설정들을 포함한다. 열(402)은 열(400) 내의 각각의 연결 설정에 대응하는 값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도 12의 예에서, 업링크 연결 설정들(404)은, 기지국들(80)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용되는 자원 블록들(300)의 수(예컨대, 디바이스(10)는 25개 자원 블록(300)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채널(304) 내의 시작 자원 블록(예컨대, 디바이스(10)는 채널 내에서 제1 자원 블록에서부터 시작하여 25개 자원 블록들(300)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 업링크 신호들이 생성되는데 이용되는 변조 방식(예컨대, 디바이스(10)는 QPSK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변조할 수 있음),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때 이용하기 위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예컨대, 디바이스(10)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 A를 갖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 전력 증폭기(72)에 의해 제공되는 업링크 전력 레벨(예컨대, 전력 증폭기(72)는 전력 레벨 B에서 업링크 신호를 제공할 수 있음), 업링크 신호에 추가되기 위한 경로 손실 보상 값(예컨대, 경로 손실 보상 값 E가 디바이스(10) 및/또는 기지국들(80)에 의해 업링크 신호에 추가될 수 있음), 및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때 이용하기 위한 채널 대역폭(예컨대, 디바이스(10)는 채널 대역폭 F를 갖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요구되는 업링크 연결 설정들(404)이 저장되어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예컨대, 설정들(404)은 사용하기 위한 자원 블록들(300)의 특정 배치, 사용하기 위한 특정 LTE 대역의 주파수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업링크 설정들(404)을 이용하여 기저대역 회로(54), 증폭기 회로(72), 전단부 회로(60), 안테나들(40), 및/또는 송수신기들(90)을 구성하여, 반송파 집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예컨대, 반송파 집성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들(80-1, 80-2)로 송신될 것인 대응하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 다운링크 연결 설정들(406)은 다운링크 신호를 디바이스(10)로 송신하기 위해 기지국들(80)에 의해 이용되는 다운링크 자원 블록들(300)의 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시작 자원 블록,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변조 방식,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 다운링크 전력 레벨, 다운링크 전력 오프셋 레벨,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 등을 포함한다.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요구되는 다운링크 연결 설정들(406)은 저장되어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들(80)은 다운링크 설정들(406)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고 디바이스(10)로 송신하기 위한 대응하는 무선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원한다면, 디바이스(10)는 다운링크 설정들(406)을 이용하여 기지국들(80)로부터의 대응하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도록 준비하기 위한 기저대역 회로(54), 증폭기 회로(74), 전단부 회로(60), 안테나들(40), 및/또는 송수신기들(90)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80-2)은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디바이스 연결 설정들(398)을 이용하여 기지국(80-2)과 디바이스(10) 사이에 2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적절한 하나의 배열에서, 제2 기지국(80-2)은 2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398) 내의 연결 설정들 모두를 클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예컨대, 디바이스(10)가 기지국(80-1)과 기지국(80-2)에 대해 상이한 거리에 위치된 경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력 레벨과 같은 일부 연결 설정들(398)은 제2 기지국(80-2)에서 클론되는 것에서 생략될 수 있다(예컨대,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기지국들(80-1, 80-2)과 디바이스(10) 사이의 경로 손실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임).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기지국(80-2)은 임의의 요구되는 알고리듬을 이용하여(예컨대, 상이한 전력 레벨을 순환하는 등으로) 2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전력 레벨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연결 설정들(398)이 디바이스(10)와의 2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제2 기지국(80-2)에서 클론될 수 있다. 설정들(398)이 디바이스(10)와 제1 기지국(80-1) 사이에 성공적인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전에 이용된 바 있으므로, 제2 기지국(80-2)은 동일한 연결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와 성공적인 2차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2차 연결을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들(80)과 디바이스(10)는 기지국들(80)과 디바이스(10) 사이에 고-처리율 반송파 집성 동작을 빠르게 셋업하고 시작할 수 있다.
원한다면, 기지국들(80)과 디바이스(10)는 무선 테스트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의 테스트 모드, 또는 동작의 정규 모두에서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동작의 테스트 모드에서, 디바이스(10)는 기지국들(80)로 무선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있거나 기지국들(80)로부터 무선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원한다면, 디바이스(10)는 테스트 모드 도중 기지국들(80)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터에 추가하거나 그에 대신하여 기지국들(8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의 정규 모드 도중, 디바이스(10)는 기지국들(80)로부터 (예컨대, 기지국들(80)의 구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80)과 디바이스(10)의 소프트웨어 또는 테스트 회로는 인에이블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기지국들에 대한 무선 테스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는 (예컨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인에이블되고/되거나, 기지국의 사용자(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가 테스트 수행을 선택한 경우) 또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예컨대, 디바이스의 최종 사용자가 테스트 수행을 선택한 경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인에이블될 수 있다. 원한다면, 디바이스 연결 설정들은 디바이스(10)가 다만 테스트 모드에서 동작할 때, 다만 정규 통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 및/또는 테스트 모드와 정규 통신 모드 둘 모두에서 통신할 때, 기지국들 사이에서 클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지국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제1 기지국에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제1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고, 제1 기지국에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에서, 제1 기지국이 전자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는 동안,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1 및 제2 기지국들에서, 각자의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저장 회로를 포함하며, 방법은,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이웃 기지국 정보를 저장 회로에 저장하고, 제1 기지국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저장된 이웃 기지국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1 기지국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으로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2 기지국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제2 기지국에서,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2 기지국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2 기지국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제1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제1 무선 연결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전자 디바이스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의 서브세트를 이용하여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 내의 무선 연결 설정들 모두를 이용하여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는 선택된 LTE 프로토콜 자원 블록 할당을 포함하고,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선택된 LTE 프로토콜 자원 블록 할당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선택된 LTE 프로토콜 자원 블록 할당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제2 기지국에서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된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복사하고, 복사된 무선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사된 무선 연결 설정들은 다운링크 전력 레벨 설정, 변조 방식 설정, 및 대역폭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자의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것은 각각 LTE 대역 17 및 LTE 대역 4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1 기지국에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제3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3 기지국에서, 제1 기지국이 전자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고 제2 기지국이 전자 디바이스와의 제2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는 동안,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제3 기지국과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3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해 무선 주파수 송신을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무선 통신 회로에서,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제1 무선 기지국과의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고, 무선 통신 회로에서,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이웃 기지국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무선 통신 회로에서, 제1 기지국과의 제1 연결을 유지하면서,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무선 기지국과의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통신 회로에서, 제1 기지국과의 제1 연결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선택된 연결 설정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2 무선 기지국과의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통신 회로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무선 연결을 통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무선 연결을 통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고, 무선 통신 회로 내의 기저대역 회로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단일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이웃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이웃 기지국 정보를 수신 -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는 제2 주파수 대역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사용 중임을 식별함 - 하고,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기지국에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 기지국 정보는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 및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며, 방법은, 무선 통신 회로에서, 무선 통신 회로가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과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 사이의 중첩 영역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무선 통신 회로에서, 무선 통신 회로가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 및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 사이의 중첩 영역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제2 기지국으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해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시스템은 제1 기지국 - 제1 기지국은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통신 회로와의 1차 무선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됨 -, 및 제2 기지국 -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수신하고, 제1 기지국이 1차 무선 연결을 유지하는 동안, 수신된 선택된 연결 설정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 회로와의 2차 무선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선택된 연결 설정들은, 1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선택된 변조 방식 설정 및 선택된 LTE 자원 블록 할당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선택된 변조 방식 및 선택된 LTE 자원 블록 할당을 이용하여 2차 연결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통신 회로로 데이터 신호의 제1 부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기지국은 1차 및 2차 무선 연결들이 설정된 후,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통신 회로로 데이터 신호의 제2 부분을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사항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들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지국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에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는 동안, 상기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들에서, 각자의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저장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이웃 기지국 정보를 상기 저장 회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저장된 이웃 기지국 정보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가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중단(drop)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의 서브세트(subset)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 내의 무선 연결 설정들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는 선택된 LTE(Long-Term-Evolution) 프로토콜 자원 블록 할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LTE 프로토콜 자원 블록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택된 LTE 프로토콜 자원 블록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연결 설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사된 무선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된 무선 연결 설정들은 다운링크 전력 레벨 설정, 변조 방식 설정, 및 대역폭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자의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단계는 각각 LTE 대역 17 및 LTE 대역 4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를 제3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2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는 동안, 상기 무선 연결 설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기지국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제3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해 무선 주파수 송신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제1 무선 기지국과의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이웃 기지국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상기 제1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기지국과의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상기 제1 연결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선택된 연결 설정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기지국과의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내의 기저대역 회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스트림들을 단일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조합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웃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웃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사용 중임을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이웃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2 기지국에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기지국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가 상기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과 상기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 사이의 중첩 영역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가 상기 제1 무선 커버리지 영역 및 상기 제2 무선 커버리지 영역 사이의 상기 중첩 영역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무선 통신 회로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기지국 - 상기 제1 기지국은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이용하여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무선통신 회로와의 1차 무선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됨 -; 및
    제2 기지국 -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연결 설정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1차 무선 연결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수신된 선택된 연결 설정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의 2차 무선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상기 선택된 연결 설정들은, 상기 1차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선택된 변조 방식 설정 및 선택된 LTE 자원 블록 할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택된 변조 방식 및 상기 선택된 LTE 자원 블록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연결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데이터 신호의 제1 부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1차 및 2차 무선 연결들이 설정된 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제2 부분을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67033423A 2014-06-13 2015-05-29 무선 회로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2227P 2014-06-13 2014-06-13
US62/012,227 2014-06-13
US14/724,734 US9699784B2 (en) 2014-06-13 2015-05-28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wireless circuitry and multiple base stations
US14/724,734 2015-05-28
PCT/US2015/033231 WO2015191313A1 (en) 2014-06-13 2015-05-29 System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wireless circuitry and multiple base st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09A true KR20170002509A (ko) 2017-01-06
KR101881685B1 KR101881685B1 (ko) 2018-07-24

Family

ID=5343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23A KR101881685B1 (ko) 2014-06-13 2015-05-29 무선 회로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99784B2 (ko)
JP (1) JP6440831B2 (ko)
KR (1) KR101881685B1 (ko)
CN (1) CN106465386B (ko)
DE (1) DE112015002792T5 (ko)
GB (1) GB2540713B (ko)
WO (1) WO2015191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249B1 (ko) * 2014-09-01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10320470B2 (en) * 2014-09-27 2019-06-1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using frequency band of mobile satellite service for LTE/LTE-A
US10015683B1 (en) * 2014-10-31 2018-07-03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Device optimization acros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160268678A1 (en) * 2015-03-13 2016-09-15 Sony Corporation Methods of antenna selection based on movement/orientation, and related wireless electronic devices
US10616053B2 (en) * 2015-12-04 2020-04-07 Skyworks Solutions, Inc. Multi-stage reconfigurable triplexer
DE102016114663A1 (de) * 2016-08-08 2018-02-08 Snaptrack, Inc. Multiplexer
US10264590B2 (en) 2016-08-31 2019-04-16 Intel Corporation Channel allocation among multiple radio frequency networks
US10797731B2 (en) * 2017-03-10 2020-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oftware defined radio for auxiliary receiver
SE541535C2 (en) * 2017-03-23 2019-10-29 Lox Container Tech Ab Remotely controlled container lock, system and method
JP2018198372A (ja) * 2017-05-23 2018-12-1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80352584A1 (en) * 2017-06-02 2018-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XILIARY RECEIVERS FOR QoS BALAN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76167B2 (en) 2017-07-20 2019-11-12 Apple Inc. Adjustabl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antenna structures
US10886607B2 (en) 2017-07-21 2021-01-05 Apple Inc.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antenna structures
US10721717B2 (en) * 2017-11-28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Band combination constraint on the number of supported layers
US10512094B2 (en) 2017-12-28 2019-12-17 Intel Corporation Assessment and mitigation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of networked devices
PT3766286T (pt) * 2018-03-15 2022-05-25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colocar um nó numa comunicação sem fios em modo de vigília, assim como o nó correspondente
US10616801B1 (en) * 2018-06-04 2020-04-07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inter band carrier aggregation
US10826543B2 (en) 2018-07-27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Filter circuit configur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JP7219566B2 (ja) * 2018-08-27 2023-02-08 日本無線株式会社 無線通信テスト装置、無線通信テスト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880702B1 (en) * 2019-06-04 2020-12-2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ata communications for user applications that are executing in a wireless user device
CN110856202B (zh) * 2019-11-18 2022-10-11 四川通信科研规划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设置通信基站的方法
US20210184760A1 (en) * 2019-12-13 2021-06-17 Mosat Corporatio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with satellite suppor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496920B1 (en) * 2020-11-23 2022-11-08 Sprint Spectrum L.P. Use of historical rate of data flow as basis to limit quantity of concurrent air-interface connec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9009B1 (en) * 1998-10-19 2006-08-0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ommunication with a target base station in a cellular or cordless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10103309A1 (en) * 2009-10-30 2011-05-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ly processing multiple radio carrier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666A (ja) * 2000-12-05 2002-06-21 Sony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1053610B1 (ko) * 2004-06-2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ofdma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AU2005287981B2 (en) * 2004-08-17 2008-08-2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nd transmitting/receiving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US9258833B2 (en) * 2006-02-09 2016-02-09 Altair Semiconductor Ltd. LTE/Wi-Fi coexistence
EP2088790B1 (en) 2006-11-10 2014-10-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naging the resources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y a mobile station
GB2454650A (en) * 2007-10-29 2009-05-20 Nec Corp Resource Allocation for persistently allocated resources
US8570910B2 (en) * 2008-06-20 2013-10-29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WO2009157725A2 (ko) 2008-06-25 200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용레인징코드를 이용한 핸드오버 지원방법
EP2341730B1 (en) * 2008-09-22 2017-11-29 Sharp Kabushiki Kaisha Measurements by a terminal using carrier aggregation
EP2487945A4 (en) * 2009-10-06 2017-02-22 NTT DoCoMo, Inc. Base station device and user device
KR101327131B1 (ko) * 2010-02-12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2400803B1 (en) * 2010-06-28 2019-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JP5443293B2 (ja) * 2010-07-28 2014-03-19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先決定方法
US8600426B2 (en) * 2010-09-01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on a deactivated component carrier
US20120183093A1 (en) 2011-01-14 2012-07-19 Fujitsu Limited Power Setting and Pre-Coding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from Multiple Locations to a Single Device
US9237559B2 (en) * 2011-01-27 2016-01-12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2120797A1 (en) * 2011-03-04 2012-09-13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137804B2 (en) * 2011-06-21 2015-09-15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in carrier aggregation
US9363782B2 (en) * 2011-06-22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positioning in multicarrier configurations
BR112013030774B1 (pt) * 2011-07-13 2022-02-15 Sun Patent Trust Aparelho de terminal e método de transmissão
CN106060877B (zh) 2011-10-24 2020-04-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蜂窝通信的方法及设备
GB2498758B (en) * 2012-01-26 2014-02-19 Broadcom Corp Power control
CN104106302B (zh) 2012-02-10 2019-04-0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增强连接控制的方法和设备
WO2013122161A1 (ja) * 2012-02-14 2013-08-22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US9312888B2 (en) * 2012-06-2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for carrier aggregation on multiple antennas
JP5899600B2 (ja) * 2012-07-04 2016-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9591589B2 (en) * 2012-10-01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by reduced power in intraband non-contiguous uplink carrier aggregation
US9544891B2 (en) * 2012-12-18 2017-0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US20140177555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enb coordination methods to support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for lte-advanced
US9357438B2 (en) 2013-02-22 2016-05-31 Htc Corporation Method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base station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TWI540848B (zh) * 2013-05-16 2016-07-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通信裝置與方法
US9532392B2 (en) 2013-06-07 2016-12-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mmunicating via multiple communication layers provided by multiple wireless network devices
US9264205B2 (en) * 2013-10-22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ull duplex communication in the presence of mixed full and half duplex us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9009B1 (en) * 1998-10-19 2006-08-0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ommunication with a target base station in a cellular or cordless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10103309A1 (en) * 2009-10-30 2011-05-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ly processing multiple radio 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40713A (en) 2017-01-25
CN106465386B (zh) 2019-11-05
DE112015002792T5 (de) 2017-03-09
JP6440831B2 (ja) 2018-12-19
CN106465386A (zh) 2017-02-22
KR101881685B1 (ko) 2018-07-24
US20150365946A1 (en) 2015-12-17
WO2015191313A1 (en) 2015-12-17
GB2540713B (en) 2021-05-05
GB201620249D0 (en) 2017-01-11
JP2017523744A (ja) 2017-08-17
US9699784B2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685B1 (ko) 무선 회로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826594B2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10425132B2 (en) Configurable receiver architecture for carrier aggregation with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US20210050906A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KR10147926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피어투피어 통신 선택 방법 및 장치
EP3089262B1 (en) Antenna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8886253B2 (en) Method to control a multiradio RF platform
US20140233666A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02898A1 (en) Flexible bandwidt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common physical layer technology platform
US9807775B2 (en) Terminal for D2D communication and rejecting interference method thereof
JP2011071706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装置
JP2014509460A (ja) 送受信を行う装置
KR20030019136A (ko) 통신 채널 설정 방법, 통신 제어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N107005263B (zh) 无线电布置、无线电装置、天线布置以及其中所执行的方法
WO2016041334A1 (zh) 终端、终端的多载波发送及接收方法
CN113615234A (zh) 终端设备、基站设备、通信方法和基站设备控制方法
US11283511B2 (en) System which supports both TDD and FDD, with signal separation
WO201209368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10060268A (ko) 전자기 신호용 송신/수신 장치, 송신/수신 셀, 송신/수신국 및 주파수 호핑 방법
KR20150139469A (ko) Tv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14058361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for managing inter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