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64U - 다기능 오프너 - Google Patents

다기능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64U
KR20170002464U KR2020150008619U KR20150008619U KR20170002464U KR 20170002464 U KR20170002464 U KR 20170002464U KR 2020150008619 U KR2020150008619 U KR 2020150008619U KR 20150008619 U KR20150008619 U KR 20150008619U KR 20170002464 U KR20170002464 U KR 201700024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insertion portion
stopper
plug
o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택
Original Assignee
임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택 filed Critical 임근택
Priority to KR2020150008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464U/ko
Publication of KR20170002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4Combination tools, e.g. comprising cork-screws, can piercers, crowncap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 B67B7/184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by use of a flexible loop gripping the cap skirt or the container body by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30)가 연속된 공간에 형성되어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30)가 탄성 변형되며 마개를 파지할 수 있게 되면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의 제 1 미끄럼 방지돌기(300, 300a)가 마개가 삽입되는 입구쪽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가 좁아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 1 미끄럼 방지돌기(300, 300a)의 상부에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돌기(301, 301a)가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의 크라운 마개 개방구(200, 20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캔 마개 개방구(50)가 손잡이(40, 40a)의 앞쪽에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200, 200a)를 형성하는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오프너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오프너{Multifunctional bottle opener}
본 고안은 음료수 용기, 또는 식품용 용기의 마개를 개방시키는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라운 타입의 마개와 나사산이 형성된 캡 타입의 마개 및 캔 타입의 마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각종 마개를 하나의 오프너에 의하여 개방시킬 수 있는 다기능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용기, 또는 식품용 용기의 마개는 용기에 압입 방식으로 결합되는 크라운 타입의 마개와, 용기와 마개가 나사로 결합되는 방식의 마개, 그리고, 금속재 캔의 마개 등이 있다.
이러한 마개는 서로 다른 구조적 방식에 의하여 용기 및 캔을 밀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방시키는 오프너가 각각의 방식에 적합하도록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는 여러 가지의 오프너를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캔의 마개는 별도의 오프너가 없이 사용자가 마개의 일측을 손으로 들어올려서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인데, 마개가 캔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납작한 기구를 사용하여 마개를 들어올려서 개방시키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종료의 병마개를 개봉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이 합쳐진 오프너가 제안되었다.
실용신안공개 제 20-2009-0010843호의 오프너는 크라운 오프너부가 용기 뚜껑을 개봉할 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부와, 상기 크라운 오프너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턴 오프너부와, 상기 턴 오프너부를 용기뚜껑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가 좌우로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 및 상기 조임부의 끝단에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여 나사결합식 용기뚜껑과 크라운형의 용기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오프너는 나사산 방식의 마개를 개방시키는 턴 오프너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이 동일한 직경을 형성하고 있고, 회전할 때 마개와의 마찰을 감소시켜서 마개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나사산 방식의 매개를 개방시키기가 불편한 점이 있고, 크라운 오프너부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임부의 조임 작용이 원활하지 못한 불편한 점이 있고, 또한 캔의 마개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는 마련되어 있지 아니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 20-0412317호의 포일 절단기 겸용 병따개는 커버와 결합하는 본체의 내측에 1개소 이상의 병뚜껑 투입부에 다수의 회전칼날을 설치하거나, 너링가공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며, 본체 외측면에는 크라운 타입의 병뚜껑을 개봉하는 팁을 설치하고, 본체의 저면에는 영구자석이 노출되게 설치한 구성으로 된 공지의 포일 절단기 겸용 병따개에 있어서, 본체의 병뚜껑 투입부의 내주면에는 결합홈부를 형성하여 양단부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톱니부를 형성한 가압판을 상기 결합홈부에 끼운 후, 커버와 본체를 초음파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병뚜껑을 하나의 병따개로 모두 개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일 절단기 겸용 병따개는 나사식 마개를 파지하는 요철부의 내측면의 상하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병마개를 유입시키기가 불편한 점이 있고, 크라운 마개는 외부에 돌출된 팁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팁은 크라운 마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없는 구조로 되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20-0412317 공개실용신안 20-2009-0010843
본 고안은 종래의 오프너에서 발견되었던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크라운 방식의 마개와 나사 방식의 마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파지하여 개방시킬 수 있고, 더불어 캔의 마개를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다기능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목적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과 아래의 기재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다른 목적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용기의 마개를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에 크라운 마개 개방구를 구비하는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미끄럼 방지돌기를 구비하는 나사식 마개 삽입부 및 캔 마개 개방구가 형성되는 다기능 오프너에 있어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가 연속된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인 특징은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제 1 미끄럼 방지돌기가 마개가 삽입되는 입구쪽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가 좁아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인 특징은 제 1 미끄럼 방지돌기의 상부에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돌기가 크라운 마개 삽입부의 크라운 마개 개방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인 특징은 캔 마개 개방구가 손잡이의 앞쪽에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를 형성하는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가 연속된 공간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손잡이에 의하여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며 마개를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용기의 마개를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에 편리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손잡이를 오므리기 전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크라운 마개 삽입부, 또는 나사식 마개 삽입부에 용기의 마개를 수월하게 삽입시킨 다음 손잡이를 오므려서 마개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마개를 오프너에 손쉽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제 1 미끄럼 방지돌기는 마개가 삽입되는 입구쪽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가 좁아지는 공간을 형성하데 됨에 따라 용기의 마개를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에 편리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 1 미끄럼 방지돌기의 상부에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돌기가 크라운 마개 삽입부의 마개개방구와 일체로 형성되어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가 연속된 공간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돌기와 제 2 미끄럼 방지돌기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오프너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오프너를 사출성형하는 공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캔 마개 개방구가 손잡이의 앞쪽에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를 형성하는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캔 마개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오프너를 이용하여 크라운 마개와 나사식 마개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면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입구가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입구가 넓은 상태에서 마개를 삽입한 다음 마개를 파지하여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캔 마개 개방구를 이용하여 캔 마개를 개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미끄럼 방지돌기와 제 2 미끄럼 방지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오프너의 사출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번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나사식 마개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크라운 마개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7a는 본 고안이 캔 마개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 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 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오프너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오프너는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 내에 크라운 마개 삽입부(20), 나사식 마개 삽입부(30), 손잡이(40, 40a) 및 캔 마개 개방구(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10)는 한쪽편의 힌지부(100)로부터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면서 다른 한쪽편이 개방되어 한 쌍의 손잡이(40, 40a)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30)가 형성된다.
힌지부(100)의 바닥면에는 주방에서 씽크대나 냉장고의 벽면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자석(101)이 매설되어 있다.
크라운 마개 삽입부(20)는 힌지부(100)로부터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에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어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와 연속된 공간을 형성하는데,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와의 경계 부위에는 마주보는 크라운 마개 개방구(200, 200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식 마개 삽입부(30)는 크라운 마개 삽입부(20)로부터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에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어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와 연속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제 1 미끄럼 방지 돌기(300, 300a)가 형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 돌기(300, 300a)는 나사식 마개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식 마개가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α)는 바람직하게 6~8°의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 돌기(300, 300a)의 상부에는 제 2 미끄럼 방지돌기(301, 301a)가 형성된다.
제 2 미끄럼 방지돌기(301, 301a)는 제 1 미끄럼 방지 돌기(300, 300a)로 파지하기가 어려운 나사식 마개를 보다 더 강력한 힘으로 붙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미끄럼 방지돌기(301, 301a)는 크라운 마개 개방구(200, 200a)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돌기(301, 301a)와 크라운 마개 개방구(200, 200a)는 금속재로 제작되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본체(10)에 인서트 사출로 고정된다.
손잡이(40, 40a)는 나사식 마개 삽입부(30)를 혀서하는 본체(1)로부터 대칭이 되게 마주보도록 형성되면서 바깥쪽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400, 400a)가 형성되어 있다.
캔 마개 개방구(50)는 크라운 마개 삽입부(200가 형성되는 부위의 본체(10) 비깥?V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캔 마개 개방구(50)는 본체(10)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재로 형성되어 본체(10)에 일체가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프너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이 크라운 마개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에 크라운 마개(500)를 삽입하여, 크라운 마개 개방구(200, 200a)가 크라운 마개(500)의 하단부에 걸려지게 한 다음 회전시켜서 개방시키게 되는 것으로, 통상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의 내부 공간이 마개 개방에 필요한 공간 보다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손잡이(40, 40a)를 잡고 오므려서 크라운 마개(500)를 개방시키면 된다.
한편, 크라운 마개 삽입부(20)가 마개 개방에 필요한 공간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손잡이(40, 40a)를 바로 회전시켜서 크라운 마개(5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이 나사식 마개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에 나사식 마개(600)를 삽입한 다음 손잡이(40, 40a)를 오므려서 제 1 미끄럼 방지돌기(300, 300a)가 나사식 마개(60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나사식 마개(6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에 형성되는 제 1 미끄럼 방지돌기(300, 300a)가 상부보다 입구쪽이 넓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나사식 마개(600)가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7a는 본 고안이 캔 마개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 마개 개방구(50)를 캔(700)의 마개(701) 하부에 삽입하여 회전시킨 다음,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올리면서 캔 마개(701)를 개방시키면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 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이 본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크라운 마개 삽입부
30 : 나사식 마개 삽입부 40, 40a : 손잡이
50 : 캔 마개 개방구 101 : 자석
200, 200a : 크라운 마개 개방구 300, 300a : 제 1 미끄럼 방지 돌기
301, 301a : 제 2 미끄럼 방지 돌기 400, 400a : 미끄럼 방지 돌기
500 : 크라운 마개 600 : 나사식 마개
700 : 캔 701 : 마개

Claims (4)

  1. 용기의 마개를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에 크라운 마개 개방구를 구비하는 크라운 마개 삽입부와, 제 1 미끄럼 방지돌기와 제 2 미끄럼 방지돌기를 구비하는 나사식 마개 삽입부 및 캔 마개 개방구가 형성되는 다기능 오프너에 있어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30)가 연속된 공간에 형성되어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와 나사식 마개 삽입부(30)가 탄성 변형되며 마개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의 제 1 미끄럼 방지돌기(300, 300a)가 마개가 삽입되는 입구쪽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가 좁아지는 공간을 형성하여 마개를 쉽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미끄럼 방지돌기(300, 300a)의 상부에서 나사식 마개 삽입부(3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돌기(301, 301a)가 크라운 마개 삽입부(20)의 크라운 마개 개방구(200, 20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캔 마개 개방구(50)가 손잡이(40, 40a)의 앞쪽에서 크라운 마개 삽입부(200, 200a)를 형성하는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프너.
KR2020150008619U 2015-12-30 2015-12-30 다기능 오프너 KR201700024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19U KR20170002464U (ko) 2015-12-30 2015-12-30 다기능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19U KR20170002464U (ko) 2015-12-30 2015-12-30 다기능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64U true KR20170002464U (ko) 2017-07-10

Family

ID=5931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19U KR20170002464U (ko) 2015-12-30 2015-12-30 다기능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464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17Y1 (ko) 2005-12-16 2006-03-27 이구순 포일 절단기 겸용 병따개
KR20090010843U (ko) 2008-04-21 2009-10-26 김태호 오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17Y1 (ko) 2005-12-16 2006-03-27 이구순 포일 절단기 겸용 병따개
KR20090010843U (ko) 2008-04-21 2009-10-26 김태호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152B2 (en) Electric can opener having removable opener tools
JP2015081092A (ja) ヒンジキャップ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US20080011127A1 (en) Multi-purpose container opener
US20140318322A1 (en) Jar and bottle opener
KR20170002464U (ko) 다기능 오프너
JP2017065711A (ja) 容器
US20110198364A1 (en) Container
KR200483826Y1 (ko) 병뚜껑 개방수단이 구비된 소주잔
JP2009249035A (ja) 容器蓋のキャップオープナー
JP2002037387A (ja) 携帯用蓋開け具
US20150158709A1 (en) Multi-purpose container opening device
KR20090010843U (ko) 오프너
KR20100004940U (ko) 다기능 오프너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JP6449705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3119482U (ja) 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体
KR101269084B1 (ko) 오토 캡
JP3171921U (ja) キャップオープナー
KR101534400B1 (ko) 통조림통
KR20110009995U (ko) 다용도 분리형 캔 따개
KR20230002186U (ko) 다기능 오프너
KR20200079610A (ko) 1회용 플라스틱 용기
KR100523094B1 (ko) 병따개
CN204138322U (zh) 一种开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