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343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43A
KR20170002343A KR1020160177907A KR20160177907A KR20170002343A KR 20170002343 A KR20170002343 A KR 20170002343A KR 1020160177907 A KR1020160177907 A KR 1020160177907A KR 20160177907 A KR20160177907 A KR 20160177907A KR 20170002343 A KR20170002343 A KR 2017000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led
indoor unit
pane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479B1 (ko
Inventor
정창훈
안수연
권희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4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F11/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1/009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의 동작상태의 표시와 리모컨의 동작신호의 수신이 하나의 창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외관이 더욱 미려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중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1)는 본체 대부분이 천장 상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천장을 올려다 보았을 때 전면판넬(10)과 흡입그릴(20)만 보이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은 실내기(1)의 하면 외관 테두리부를 형상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되어 실내 공기가 실내기(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11)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구(12)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베인(13)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 즉, 상기 흡입구(11) 내부에는 대략 사각 판 모양을 가지며,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흡입그릴(20)을 통해서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상기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1)의 구동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며,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1)의 특성상 휴대용 리모컨 또는 벽에 매설되는 리모컨을 조작하여 상기 실내기(1)의 구동을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의 전면판넬(10)에는 상기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엘이디로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31)와 상기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32)가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실내기(1)에서는 다수의 표시부(31)와 조작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실내기(1) 자체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서비스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동작상태의 표시와 리모컨의 동작신호의 수신이 하나의 창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수용되며, 천정에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면에 장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판넬; 상기 판넬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판넬을 관통하여 개구되는 점검구;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판넬에 장착되어 상기 판넬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코너 커버; 상기 코너 커버에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을 차폐하며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수신창; 상기 수신창을 수용하는 상기 코너 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설치 홀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조작되는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수신부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홀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엘이디; 상하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설치홀의 둘레와 접하고 하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수신창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상기 수신부와 엘이디가 함께 수용되는 폐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설치홀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설치홀을 통한 상기 조작 신호의 수신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점검구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 커버의 개방시 노출되며, 상기 커넥터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전체 기판 중 상기 수신부 및 엘이디만을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설치 홀을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에는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기판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는 다수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는 다수개가 상기 수신부와 등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신창의 내측면에는 홈 또는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신창의 내측면에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치홀 둘레에는 테두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치홀 외측의 상기 코너 커버에는 리셋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셋홀 수직 하방의 상기 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기의 설정 상태를 초기화하는 리셋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코너커버는 상기 판넬의 모서리마다 동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홀은 다수의 상기 코너 커버들 중 하나의 코너 커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상기 점검구의 내벽면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고정 리브; 상기 고정 리브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와 점검구 내벽면 사이의 상기 고정 리브에서 돌출되며, 상기 커넥터가 지지되는 고정단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후크의 사이 공간에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점검구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는 전선의 연결방향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상기 커넥터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점검구에는 상기 점검구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에는 상기 전선 출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단일 구성의 수신창의 내측에 리모컨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창을 실내기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설정된 색상으로 밝힐 수 있는 엘이디가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리모컨의 조작신호 수신을 위한 구성과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실내기에 각각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용과 작업 공수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로 나타나는 부분을 최소화 하여 외관을 보다 간결하고 깔끔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와 엘이디를 포함하는 컨트롤러가 판넬의 점검구를 개폐하는 코너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전선의 커넥터가 점검구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는 한편, 결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를 수신창의 중앙에 배치하고 엘이디가 상기 수신창의 영역 외측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상기 수신부의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실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내기의 판넬과 흡입그릴이 조립된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내기의 컨트롤러가 장착된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 및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컨트롤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신창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신창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신창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이하 "실내기"라 칭함)는 전체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삽입되는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의 설치시 상기 천장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판넬(200) 및 흡입그릴(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10)와, 실내공기의 강제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120)과, 상기 송풍팬(12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 형상의 에어가이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은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은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에는 상기 캐비넷(11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토출구(210)가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판넬(200)의 각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판넬(200)의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에 장착되는 베인(2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의 중앙부에는 흡입그릴(30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300)은 상기 실내기(1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300)의 적어도 일부는 그릴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판넬(200) 및 흡입그릴(30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실내기의 판넬과 흡입그릴이 조립된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200)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흡입구(230)가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30)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300)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30)의 외측에는 상기 토출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상하좌우 모두 네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30) 외측에는 그릴 안착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안착부(232)는 상기 흡입그릴(3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는 상기 흡입그릴(300)의 개폐를 위해 상기 판넬(200)과 흡입그릴(3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50)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300)은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판넬(200)의 하면과 상기 흡입그릴(300)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00)의 각 변에는 요입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310)는 각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의 라인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 라인과 상기 요입부(31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요입부(310)는 양측단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의 곡률은 상기 토출구(210) 및 베인(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0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220)의 내측 라인과 상기 흡입그릴(300)의 단부는 동일 간격으로 인접하게 되며, 상기 흡입그릴(300)과 판넬(200)은 보다 일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그릴(300)의 네 모서리에는 돌출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각각의 요입부(310) 사이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310) 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흡입그릴(300)의 장착시 각각의 상기 토출구(21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320)의 단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00) 및 상기 베인(220)이 형성하는 둘레의 형상과 상기 라운드 홈(234)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20)의 폭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코너 커버(250)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20)를 따라 형성되는 사이드 홈(238)은 상기 코너 커버(250)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판넬(200)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홈(238)은 상기 흡입그릴(300)의 요입부(310) 및 상기 베인(220)의 내측 라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의 하면을 바라보게 될 때 상기 라운드 홈(234)이 중앙에 위치되고, 네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사이드 홈(238)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 및 사이드 홈(238)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300)과 토출구(210) 및 베인(220)의 형상이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둘레는 전체적으로 상기 토출구(210)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둘레는 라운드 홈(23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라운드 홈(234)은 네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흡입그릴(300)의 돌출부(320)의 단부와 대응하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210)의 베인(220)과 흡입그릴(300) 및 상기 판넬(200)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은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판넬(200)을 따라 흐르지 않고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단면이 소정의 라운드 또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천장면이 젖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넬(200)의 네 모서리에는 점검구(240)가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40)는 상기 판넬(200)의 고정 및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판넬(200) 배면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의 서비스 또는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 확인을 위한 것으로 코너 커버(25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구(240)와 코너 커버(250)는 상기 판넬(200)의 네 모서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네개의 점검구(240) 중 어느 일측의 점검구(240)와 코너 커버(250)에는 실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리모컨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는 컨트롤러(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 커버(250)에는 컨트롤러(400)의 일 구성인 수신창(260)이 노출될 수 있는 설치홀(251)과 상기 실내기(1) 동작 상태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 커버(250)의 단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을 경계로 상기 흡입그릴(300)의 돌출부(320)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코너 커버(250)와 상기 돌출부(320)는 모두 상기 라운드 홈(234)과 대응하는 라인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체감이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상기 실내기의 컨트롤러가 장착된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도 8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코너 커버(25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코너 커버(250)가 상기 판넬(2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점검구(2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코너 커버(250)의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 장착부(253)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 장착부(253)는 상기 코너 커버(250)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테두리(254)에 의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254)는 상기 컨트롤러(400)의 외형과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러(400)가 상기 케이스 장착부(253)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홀(251)과 상기 리셋홀(252)은 상기 케이스 장착부(253)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실내기(1)에 내장되는 팬 모터, 모터, 밸브 등의 전장품(미도시)들과 전선(270,4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70,410)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전선(270,410)은 상기 컨트롤러(400)로 부터 나오는 컨트롤러측 전선(410)과, 상기 전장품으로부터 나오는 전장품측 전선(2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측 전선(410)과 전장품측 전선(270)은 커넥터(41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412)는 암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장품들과 상기 컨트롤러(400)가 서로 연결되어 동작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검구(240)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커넥터(412)가 고정되는 커넥터 고정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고정부(241)는 상기 점검구(240)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고정리브(2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리브(242)의 단부에는 후크(243)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243)과 상기 점검구(240)의 벽면 사이에는 고정단(24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244)과 상기 후크(24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커넥터(412)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412)는 상기 고정단(244)과 후크(243)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며, 걸림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412)가 상기 커넥터 고정부(24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412)는 암수 커넥터(412)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점검구(240)의 벽면과는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구(240) 측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점검구(240) 벽면에 형성되는 결로는 상기 커넥터(412)에 영향을 줄 수 없으며, 상기 커넥터(412) 측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커넥터(412)는 결합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412)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412)는 결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점검구(240)의 일측에는 점검구(240)의 일측이 절개되어 전장품측 전선(270)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245)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200)에는 상기 전선 출입구(245)와 연결되는 전선 안내부(271)가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장품측 전선(270)은 상기 전선 안내부(27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전선 출입구(245)를 통과하여 상기 점검구(240)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커넥터 고정부(24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412)가 상기 커넥터 고정부(241)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코너 커버(250)를 상기 판넬(200)에 장착하게 될 때 상기 전선(270,410)들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 커버(250)를 열어 상기 판넬(200)과 분리하게 될 때에는 상기 커넥터(412)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커넥터(412)의 핀이 빠지게 되어 암수 커넥터(41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20)가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422)에 의해 상기 코너 커버(25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00)의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러(4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도 9는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 및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컨트롤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4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20)와 상기 케이스(420)의 내측에 장착되며, 다수의 엘이디(440)와 수신부(432)가 실장되는 기판 어셈블리(430), 상기 엘이디(440)의 빛을 차단하는 가이드부재(450) 그리고 상기 설치홀(251)을 차폐하는 수신창(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20)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기판 어셈블리(4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420)는 상기 코너 커버(250)의 하면에 케이스 장착부(253)에 삽입되며, 상기 테두리(254)가 상기 케이스(420)의 선단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판 어셈블리(430)를 지지하는 지지부(423)가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러측 전선(410)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245)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2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422)가 체결되는 결합부재 체결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422)는 상기 결합부재 체결부(421)를 관통하여 상기 코너 커버(25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 어셈블리(430)는 피시비(431)와, 상기 피시비(431)에 실장되며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32)와, 상기 수신부(432)의 외측에서 상기 피시비(431)에 실장되는 엘이디(4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이디(440)는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온오프되는 것으로, 상기 엘이디(440)의 점등을 통해서 실내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엘이디(440)는 단색 엘이디로 구성되어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색상의 엘이디(440)가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0)가 단색이 아닌 삼색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엘이디(440)가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되면서 점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0)는 상기 수신부(432)를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40)는 상기 수신부(432)의 수신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상기 설치홀(25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0)와 상기 수신부(432)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상기 피시비(431)과 상기 코너 커버(250)의 사이에 밀착되며, 상하면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개구된 하단은 장착 돌기(451)와 장착 홈(433)에 의해 상기 피시비(431)에 고정 장착되며, 상단은 상기 코너 커버(250)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설치홀(251)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홀(251)에는 수신창(26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내측공간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부재(450) 내측 영역에 위치된 상기 엘이디(440)에서 조사되는 빛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되며, 상기 수신창(260)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된다.
상기 수신창(260)은 상기 엘이디(44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고, 리모컨의 조작신호가 상기 수신부(43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창(260)은 상기 설치홀(25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노출부(260a)와 상기 노출부(260a)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단차부(26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홀(251)의 외측은 상기 단차부(260b)와 대응하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신창(260)이 상기 코너 커버(25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피시비(431)에는 리셋장치(43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셋장치(434)는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설정을 초기화 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셋장치(434)는 상기 코너 커버(250)에 형성되는 리셋홀(252)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리셋홀(252)을 통해 핀과 같은 별도의 부재로 상기 리셋장치(434)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432)는 상기 수신창(260)의 중앙에서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리모컨의 조작시 수신이 용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중앙 부분에 상기 수신부(432)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432)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엘이디(44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부(432)는 상기 엘이디(440)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컨에서 조작되는 신호의 수신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0)는 좌우 양측에서 조사되어 상기 수신부(432)에 의해 발생되는 음영지역이 상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의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가 리모컨을 조작하게 되면 조작신호는 상기 수신부(432)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432)에서 수신된 조작신호는 상기 실내기(1) 및 공기조화기의 각 전장품으로 전달되어 구동이 시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엘이디(440)는 동작하게 되며, 상기 엘이디(4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수신창(260)에서는 설정된 색상의 빛이 외부로 조사된다.
상기 엘이디(440)가 삼색 엘이디로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실내기(1)가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중인 경우에는 상기 엘이디(440)는 녹색의 빛을 조사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1)가 냉방 또는 난방 운전과 동시에 살균 및 공기정화를 하는 경우에는 연두색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실내기(1)가 운전은 하지 않는 상태에서 살균 및 공기정화를 하는 경우에는 황색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의 동작은 설명과 이해를 위해 예를 든 것일 뿐 상기 실내기(1)의 이상운전, 필터교환, 운전 모드 등에 따라서 설정된 색상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엘이디(440)에서 구현되는 색상 또한 기능과 설치환경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른 적절한 색상으로 선택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432)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수신창(260)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신부(432)의 양측에서 고르게 조사되는 상기 엘이디(440)의 빛에 의해서 상기 수신부(432)에 의해 음영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수신창(260)을 통해 고른 밝기의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모컨을 통한 상기 실내기(1)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조작할 수 있으며, 조작에 따른 운전 상태를 상기 수신창(260)을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술한 실시예외에도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각각의 컨트롤부의 내부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상기 컨트롤러의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검구(240)를 차폐하는 코너 커버(250)에는 컨트롤러(401)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러(401)의 수신창(260)은 상기 코너 커버(250)의 설치홀(251)에 장착되며, 리모컨의 송수신 신호와 엘이디(441)의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401)를 구성하는 케이스(410)의 내측에는 피시비(431)가 장착되고, 상기 피시비(431) 상에는 수신부(435)와 엘이디(4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1)와 수신부(435)의 외측에는 가이드부재(4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450) 내측의 엘이디(441)와 수신부(435)는 하나의 수신창(26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창(260)을 통해 상기 리모컨의 조작신호 수신과 상기 실내기(1) 및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설정된 색상의 빛을 상기 엘이디(441)를 통해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엘이디(441)는 상기 수신부(435)의 외측에 하나만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는 삼색 또는 사색 엘이디와 같이 다양한 색상으로 밝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설정된 빛을 상기 수신창(260)을 통해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1)는 상기 수신부(435)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신창(260)의 중앙보다는 다소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신부(435)가 최대의 수신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신부(435)는 상기 수신부(435)와 상기 피시비(431)를 연결하는 로드에 의해 상기 피시비(431)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컨트롤러(402)는 피시비(431)를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431)의 중앙에는 수신부(432)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부(432)의 좌우 양측에는 엘이디(440)가 구비된다. 상기 엘이디(44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 커버(25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255)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55)는 상기 코너 커버(250)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코너 커버(250)에 형성되는 설치홀(251)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440)와 수신부(432) 그리고, 수신창(260)은 상기 가이드부재(255)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엘이디(440)는 다수개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432)의 외측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러(403)는 상기 코너 커버(25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 커버(250)에는 수신창(263)이 장착되는 설치홀(251)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403)를 구성하는 피시비(431)에는 상기 수신부(432)가 구비되며, 상기 피시비(431)와 상기 코너 커버(250)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45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상기 피시비(431)와 상기 코너 커버(25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내부에 상기 수신부(432)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신부(432)는 상시 수신창(263)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450)에는 엘이디(4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42)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내측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2)의 로드는 상기 피시비(431)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하게 이격된 상기 피시비(431)와 엘이디(442)를 연결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442)는 상기 수신부(43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2)는 상기 수신창(263)의 측방에서 상기 수신창(26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신부(432)의 동작 신호 수신을 전혀 간섭하지 않게 된다. 상기 수신창(263)의 하면 둘레에는 패턴(263a)이 형성되어 측방에서 조사되는 상기 엘이디(442)의 빛이 상기 수신창(263) 전체에 고르게 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창(263)의 하면 중앙부(263b)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의 빛이 효과적으로 상기 수신창(263)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신창(263)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증가되어 상기 수신창(263)의 밝기가 보다 밝아 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이디(442)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측면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엘이디(442)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밝힐 수 있는 엘이디(442)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442)가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단색의 엘이디(4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엘이디(44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부(432)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404)를 구성하는 피시비(431)에 수신부(432)와 엘이디(443) 그리고 리셋장치(4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432)와 엘이디(443)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리셋장치(434)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432)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수신부(432)의 양측에 엘이디(4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43)는 좌우 양측에 각각 한쌍의 엘이디(4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두 4개의 엘이디(443)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엘이디(443)는 상기 수신부(432)로부터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엘이디(443)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엘이디(443)는 단색 엘이디(44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3)는 다양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엘이디(443)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동작되는 상기 엘이디(443)의 수에 따라서 밝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컨트롤러의 구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405)를 구성하는 피시비(431)에 수신부(432)와 엘이디(444) 그리고 리셋장치(4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432)와 엘이디(444)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리셋장치(434)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432)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수신부(432)의 양측에 엘이디(4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44)는 좌우 양측에 각각 3개의 엘이디(44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두 6개의 엘이디(444)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엘이디(444)는 상기 수신부(432)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44)는 상기 수신부(432)로부터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모두 단색 엘이디(444)로 구성될 수 있다. 좌우측 중 일측의 엘이디(444)들은 모두 서로 다른 색상의 엘이디(44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의 엘이디(444)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색상의 엘이디(444)가 구비되게 된다.
예를들어 좌우측 중 일측에 구비되는 엘이디(444)는 녹색과 적색, 황색의 엘이디(444)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향되는 우측의 엘이디(444) 또한, 녹색과 적색, 황색의 엘이디(4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엘이디(444) 중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엘이디(444)는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일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의 엘이디(444)는 반대편의 중앙에 위치되는 엘이디(444)와 동일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술한 실시예외에도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7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상기 코너 커버에 장착되는 투시창의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는 상기 투시창의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7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신창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수신창(264)의 노출부(264a) 내측면에는 상기 노출부(264a)의 중심으로부터 다수의 동심원 형상의 제1홈(26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64b)의 하면에는 제2홈(264b')이 형성된다.
상기 제2홈(264b')은 상기 수신창(264)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홈(264b')은 필요에 따라서 간격이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264b) 전체에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강기 제1홈(264a')과 제2홈(264b')은 상기 엘이디(440)에서 조사되는 빛이 굴절 및 반사되어 확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신창(264)이 국부적으로 빛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신창(264) 전체가 고른 밝기로 빛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신창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수신창(265)은 노출부(265a)의 내측면에는 상기 노출부(265a)의 중심으로부터 다수의 동심원 형상의 제3홈(26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65b)의 하면에는 제4홈(265b')이 형성된다.
상기 제4홈(265b')은 상기 제3홈(265a')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창(265)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의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4홈(265b')은 필요에 따라서 간격이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265b) 전체에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강기 제3홈(265a')과 제4홈(265b')은 상기 엘이디(440)에서 조사되는 빛이 굴절 및 반사에 의해 확산되도록 하여 상기 수신창(265)이 국부적으로 빛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신창(265) 전체가 고른 밝기로 빛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신창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수신창(266)은 노출부(266a)와 단차부(266b)로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266b)의 하면에는 연장부(267)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67)는 상기 단차부(266b)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67)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 상기 수신창(266)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67)는 상기 엘이디(442)가 측방에서 상기 연장부(267)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442)의 측방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이디(442)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측면에서 상기 연장부(267)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67)가 양측에 2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연장부(267)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267)가 1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67)가 1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442)에 조사되는 빛은 상기 연장부(267)를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빛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노출부(266a)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신창(266)이 국부적으로 빛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신창(266) 전체가 고른 밝기로 빛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수용되며, 천정에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면에 장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판넬;
    상기 판넬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판넬을 관통하여 개구되는 점검구;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판넬에 장착되어 상기 판넬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코너 커버;
    상기 코너 커버에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을 차폐하며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수신창;
    상기 수신창을 수용하는 상기 코너 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설치 홀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조작되는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수신부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홀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엘이디;
    상하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설치홀의 둘레와 접하고 하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수신창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상기 수신부와 엘이디가 함께 수용되는 폐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설치홀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설치홀을 통한 상기 조작 신호의 수신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점검구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 커버의 개방시 노출되며, 상기 커넥터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전체 기판 중 상기 수신부 및 엘이디만을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설치 홀을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기판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다수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다수개가 상기 수신부와 등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창의 내측면에는 홈 또는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창의 내측면에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 둘레에는 테두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 외측의 상기 코너 커버에는 리셋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셋홀 수직 하방의 상기 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기의 설정 상태를 초기화하는 리셋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커버는 상기 판넬의 모서리마다 동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홀은 다수의 상기 코너 커버들 중 하나의 코너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상기 점검구의 내벽면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고정 리브;
    상기 고정 리브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와 점검구 내벽면 사이의 상기 고정 리브에서 돌출되며, 상기 커넥터가 지지되는 고정단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후크의 사이 공간에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점검구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선의 연결방향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상기 커넥터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에는 상기 점검구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에는 상기 전선 출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60177907A 2016-12-23 2016-12-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83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07A KR101833479B1 (ko) 2016-12-23 2016-12-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07A KR101833479B1 (ko) 2016-12-23 2016-12-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944A Division KR20150043573A (ko) 2013-10-11 2013-10-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43A true KR20170002343A (ko) 2017-01-06
KR101833479B1 KR101833479B1 (ko) 2018-04-13

Family

ID=5783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907A KR101833479B1 (ko) 2016-12-23 2016-12-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54Y1 (ko) * 2017-01-25 2018-01-11 장성록 천정형 에어컨 장치
KR102122172B1 (ko) * 2019-08-23 2020-06-11 삼성넥스텍(주)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129Y1 (ko) * 1997-08-29 1999-11-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54Y1 (ko) * 2017-01-25 2018-01-11 장성록 천정형 에어컨 장치
WO2018139817A1 (ko) * 2017-01-25 2018-08-02 장성록 천정형 에어컨 장치
KR102122172B1 (ko) * 2019-08-23 2020-06-11 삼성넥스텍(주)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WO2021040322A1 (ko) * 2019-08-23 2021-03-04 삼성넥스텍(주)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479B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35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4546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US10544947B2 (en) Air conditioner
EP2602563A1 (en) Air conditioner
US10677475B2 (en) Air conditioner
CN105546690B (zh) 空调室内机
KR1018334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2149781A (ja) 空気調和機
CN217187134U (zh) 换气式紫外线灯具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KR200161129Y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KR102587027B1 (ko) 공기처리장치
KR102175297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18116378A1 (ja) 通信機器及び空気調和機
JP647012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7152100A (ja) 電子回路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20100052202A (ko) 공기조화기
KR102458262B1 (ko) 환풍기의 소음 저감용 그릴 구조
KR10263819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7187135U (zh) 换气式紫外线玉米灯
CN210832139U (zh) 烟机
CN212777662U (zh) 天花式空调器
JP200718739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445879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