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94U - 일회용 컵 뚜껑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94U
KR20170002094U KR2020150007963U KR20150007963U KR20170002094U KR 20170002094 U KR20170002094 U KR 20170002094U KR 2020150007963 U KR2020150007963 U KR 2020150007963U KR 20150007963 U KR20150007963 U KR 20150007963U KR 20170002094 U KR20170002094 U KR 20170002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opening
hole
lid
disposab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
Original Assignee
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 filed Critical 정만
Priority to KR2020150007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094U/ko
Publication of KR20170002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빨대 또는 입을 대고 음용할 때, 음료수나 커피를 흘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음용 컵에 장착한 후 일부를 개방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뚜껑 몸체의 상부 선단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폐부는,
일단에 마련된 절첩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 회동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며 결합고정하도록 형성된 결합요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에 의하면, 빨대 또는 입을 대고 음용할 때, 음료수나 커피를 흘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컵 뚜껑{A DISPOSABLE CUP COVER}
본 고안은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 푸드(Fast Food)나 테이크 아웃(Take Out)점에서 판매하는 컵 뚜껑에는 음료수나 커피등의 액체의 외부 유출이나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심에 열십(十)자로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선을 통해 사용자가 빨대를 삽입한 후, 이 빨대를 통해 음료수나 커피등을 음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절단선의 경우 사용자가 컵 내부의 음료수나 커피등을 마시기 위해 빨대를 꼽으면, 틈이 벌어져 충격에 의해 내용물의 유출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컵 뚜겅의 일측 가장자리에 음용공을 형성하여 뻘대 대신 사용자가 입을 대고 컵을 기울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히 관통공을 형성한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과 각도가 맞지 않을 경우, 옆으로 흘러 사용자의 옷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일회용 컵 뚜껑을 실용신안등록 출원하여(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0001551호) 2012년 7월 13일자로 등록(20-0461543호)된 바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461543호에 개시된 일회용 컵 뚜껑(C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용 컵(CP)에 장착한 후 일부를 개방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뚜껑 몸체(CB)의 상부 선단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개폐부(OA)에 의해 개폐 가능한 관통공(HL)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부(OA)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FX)가 절첩선(LN)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 절첩되어 결합홈(FH) 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결합홈(FH)은 돌출 형성된 돌출부(DA)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HL)의 선단은 뚜껑 몸체(CB)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반경의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HL)의 선단 및 측면과 상기 개폐부(OA)의 선단 및 측면은 상기 관통공(HL) 개방 후, 재밀폐 시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컵 뚜껑(CA)은 상기한 관통공(HL)을 통해 음료수나 커피등의 음료를 빨대로 음용할 때는 별문제 없으나, 입을 대고 음용할 때는 상술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관통공(HL)과 입의 각도가 조금만 틀어져도 외부로 흐르며 사용자가 흘리는 일이 다발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빨대 또는 입을 대고 음용할 때, 음료수나 커피를 흘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음용 컵에 장착한 후 일부를 개방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뚜껑 몸체의 상부 선단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폐부는,
일단에 마련된 절첩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 회동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며 결합고정하도록 형성된 결합요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요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이 밀착되도록 내측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촉하는 양측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컵 뚜껑은,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는 타측으로 관통형성된 음용공과, 상기 음용공의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 펜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펜스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개폐부의 결합요홈이 형성된 양테두리부에서 상기 음용공이 형성된 테두리까지 점점 높아지는 경사부가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펜스는,
상기 음용공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된 음료유도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료유도홈은,
그 단면이 호형 또는 삼각형 이상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에 의하면, 빨대 또는 입을 대고 음용할 때, 음료수나 커피를 흘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컵 뚜껑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보인 참고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10)(이하, "뚜껑"이라 칭한다)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며, 뚜껑 몸체(100)의 상부 선단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개폐부(110)와, 이 개폐부(11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30)을 포함하며, 이 개폐부(110)는, 절첩선(111)과 결합돌기(113)와 결함요홈(1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110)와 관통공(130) 형성을 위해 상기 뚜껑 몸체(100)의 상부 선단을 일부 절개하여 절개선 내측이 개폐부(110)가 되고, 절개선이 관통공(130)이 되는 것이다.
이 절개선은 "ㄷ"자형으로 절개시켜, 관통공(130)의 개방시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음용 컵(CP)의 상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둥글게 말라 올린 커링(Curring) 부위와 나머지 측면 테두리부위는 본 출원인이 권리를 갖고 있는 종래와 동일함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개폐부(110)의 관통공(130) 일측, 즉, "ㄷ"자형으로 절개된 부위 이외의 부위에는 절첩선(1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개폐부(110)의 결합돌기(113)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결합돌기(113)는 상기한 절첩선(111)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 회동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로 경사("θ"표시부위)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요홈(115)과 견실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결합요홈(115)은 대략 정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요홈으로서, 상기한 결합돌기(113)의 완전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합요홈(115)의 양 측면에는 대칭형으로 가이드돌기(116)가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돌기(11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돌기(113)가 삽입되며 고정이 용이하도록 동일 각도의 경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은 음용공(200)과 가이드 펜스(300)를 더 포함한다.
음용공(200)은 상술한 개폐부(110)의 관통공(130)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빨대를 이용하지 않고 음용 컵(CP) 내부의 음료를 직접 입을 대고 먹을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으로서, 적당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서 음료의 과다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펜스(300)는 상기한 음용공(200)의 외주 테두리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한 개폐부(110)의 결합요홈(115)이 형성된 양테두리부에서 상기 음용공(200)이 형성된 테두리까지 점점 높아지는 경사부(301)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상기한 음용공(200)이 형성된 일측의 가이드펜스(300) 내부에는 음용컵(CP) 내부의 음료수가 음용공(200)을 통해 배출될 때, 사용자의 입부분으로 정확히 유출될 수 있도록 음료 유도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음료유도홈(310)은, 그 단면이 호형 또는 삼각형 이상 다각형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음료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결합돌기(113)를 회동하여 관통공(130)으로 빨대를 삽입하여 음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결합동기(113)를 뒤로 제껴 절첩선(111) 이외에 절개된 부위가 관통공(130)과 이격되며 절첩선(111)을 기준하여 뒤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결합돌기(113)는 결합요홈(115)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이 결합요홈(115) 양측에 대칭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116)에 사다리꼴로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삽입되며 견실한 삽입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빨대를 꽂아서 음용 컵(CP) 내부의 음료를 음용하면 된다.
계속해서, 음용공(200)을 통해 음료를 마시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가이드 펜스(3000의 중간부분에 입을 대고, 음용 컵(CP)을 기울이면 음용공(200)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는 음료 유도홈(301)을 따라 흐르며,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으로 정확하게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10)에 의하면, 빨대 또는 입을 대고 음용할 때, 음료수나 커피를 흘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펜스(300)의 경사부(31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음용 컵 10 : 컵 뚜껑
100 : 뚜껑 몸체 110 : 개폐부
111 : 절첩선 113 : 결합돌기
115 : 결합요홈 116 : 가이드돌기
130 : 관통공 200 : 음용공
300 : 가이드 펜스 301 : 경사부
310 : 음료유도홈

Claims (7)

  1. 음용 컵에 장착한 후 일부를 개방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뚜껑 몸체의 상부 선단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단에 마련된 절첩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 회동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며 결합고정하도록 형성된 결합요홈(115)을 포함하는 일회용 컵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이 밀착되도록 내측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컵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촉하는 양측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컵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은,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는 타측으로 관통형성된 음용공과, 상기 음용공의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 펜스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컵 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펜스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개폐부의 결합요홈이 형성된 양테두리부에서 상기 음용공이 형성된 테두리까지 점점 높아지는 경사부가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일회용 컵 뚜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펜스는,
    상기 음용공이 형성된 부위에 직각방향으로 마련된 음료유도홈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컵 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유도홈은,
    그 단면이 호형 또는 삼각형 이상 다각형중 어느 하나인 일회용 컵 뚜껑.
KR2020150007963U 2015-12-04 2015-12-04 일회용 컵 뚜껑 KR20170002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63U KR20170002094U (ko) 2015-12-04 2015-12-04 일회용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63U KR20170002094U (ko) 2015-12-04 2015-12-04 일회용 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94U true KR20170002094U (ko) 2017-06-14

Family

ID=5909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63U KR20170002094U (ko) 2015-12-04 2015-12-04 일회용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09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54Y1 (ko) * 2019-03-22 2019-05-23 문영찬 착탈식 음료 섭취 보조구
KR20190065508A (ko) 2017-12-02 2019-06-12 조제환 개폐구 조절 가능 일회용 컵 뚜껑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KR102021440B1 (ko) * 2018-10-30 2019-09-18 한국피엘에이 주식회사 합성수지재 일회용 컵 뚜껑
EP4113471A1 (de) 2021-06-30 2023-01-04 Westnetz GmbH Spannungswarnsystem für eine mittelspannungsanlage, mittelspannungsanlage und basiseinhei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508A (ko) 2017-12-02 2019-06-12 조제환 개폐구 조절 가능 일회용 컵 뚜껑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KR102021440B1 (ko) * 2018-10-30 2019-09-18 한국피엘에이 주식회사 합성수지재 일회용 컵 뚜껑
KR200489254Y1 (ko) * 2019-03-22 2019-05-23 문영찬 착탈식 음료 섭취 보조구
EP4113471A1 (de) 2021-06-30 2023-01-04 Westnetz GmbH Spannungswarnsystem für eine mittelspannungsanlage, mittelspannungsanlage und basiseinh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094U (ko) 일회용 컵 뚜껑
KR200461543Y1 (ko) 일회용 컵 뚜껑
CN101128361B (zh) 罐盖及具有该罐盖的罐容器
RU2673763C2 (ru) Кры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KR101518667B1 (ko)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KR200475003Y1 (ko)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BR112019009683A2 (pt) tampa multiuso ecológica.
KR20160138471A (ko)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
US20120217245A1 (en) Cup lid with plug
KR102021440B1 (ko) 합성수지재 일회용 컵 뚜껑
US20120217241A1 (en) Cup lid for additive to be conveniently added therein
US20190337665A1 (en) Container with closure arrangement restricting spillage
PT3003895T (pt) Recipiente e montagem de tampa
JP2018187202A (ja) コップ
JP2007099362A (ja) ホット飲料用密封容器
KR100789491B1 (ko) 음료용기 개방구조
JP2008062952A (ja) 飲料用カップ蓋
JP2017124845A (ja) 飲料容器の蓋体
EP3095357A1 (en) Cup holder
KR200485719Y1 (ko)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JP4644764B2 (ja) ホット飲料用密封容器
CN206345196U (zh) 一种饮料杯的盖体以及饮料杯
CN210708650U (zh) 饮料杯用杯盖
WO2017155383A1 (es) Dispositivo para mezclar y tapar bebidas contenidas en un recipiente tal como un vaso desechable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