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58U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58U
KR20170001958U KR2020150007738U KR20150007738U KR20170001958U KR 20170001958 U KR20170001958 U KR 20170001958U KR 2020150007738 U KR2020150007738 U KR 2020150007738U KR 20150007738 U KR20150007738 U KR 20150007738U KR 20170001958 U KR20170001958 U KR 201700019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body
container
lid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50007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58U/ko
Publication of KR20170001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며 출입구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에 연결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솔대에 부착된 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상기 솔대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립글로즈와 같은 화장품을 묻히기 위한 솔대의 팁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이라 함은 인체에 화장품을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 행위로서, 이러한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ㆍ눈썹ㆍ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특히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粉)과 파운데이션ㆍ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ㆍ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ㆍ마스카라ㆍ인조속눈썹ㆍ눈썹먹ㆍ아이라인ㆍ립스틱 등으로 그 인상으로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별도의 화장품 수용도구가 필요 없도록 그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직접적으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는 화장도구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도구 중에서, 여성이 입술을 보호하거나 입술을 건강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고형의 립스틱을 사용하거나 겔 상의 립글로즈를 사용하고 있다.
고형의 립스틱은 널리 알려진 형태로서 소비자의 편리를 고려해 여러가지 구조의 립스틱 용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립글로즈는 겔 상의 립스틱으로서 용기에 수용된 립글로즈를 입술에 도포하는 데 이용된다.
립글로즈와 유사하게 속 눈썹 등과 같이 눈을 도드라지게 표현하기 위해 마스카라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립글로즈와 마스카라는 한 손에 수용되는 10ml 내지 20ml 내외의 화장품 용기로 이루어지고, 화장품을 손에 묻히지 않고 화장 도구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용기는 화장 도구와 일체로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화장 도구에 묻어나는 화장품은 발림성 및 사용성 등에 의해 일정한 점성을 이룬다. 그런데 사용자가 요구하는 용량 이상으로 화장품이 배출되면, 입술에 화장품이 과도하게 묻어져 흘러내리지 않도록, 화장 도구에 묻어난 화장품을 다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과도하게 화장품이 묻어나온 화장 도구를 다시 화장품 용기에 넣는 경우, 화장품의 외부 노출 방지를 위해 협소하게 마련되는 출입구 주변에 화장 도구의 화장품이 묻어나 지저분해질 우려가 있다.
게다가, 화장 도구인 솔대에 마련되는 팁을 입술 등에 문지를 경우, 입술에 묻은 먼지가 달라붙을 수 있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외부로 노출된 팁에 묻게 되어, 팁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를 위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솔대의 팁에 묻은 이물질이나 과도하게 묻은 화장품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며 출입구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에 연결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솔대에 부착된 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상기 솔대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출입구의 반대편에 상기 마찰면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결합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며 상기 리브에 끼움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마찰면이 상기 수용홈에 대향하도록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상기 솔대에 마련되는 팁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일측과 타측 또는 중심과 외곽의 높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입술에 묻은 먼지나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팁에 묻을 경우, 용기 본체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에 팁을 문질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티슈 등을 준비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외부 노출로 인한 오염 발생이나 이물질이 묻은 화장품을 용기 본체에 넣지 않으므로 화장품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화장 도구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묻어나온 화장품을 사용자의 손에 묻히거나 티슈를 준비하여 닦아낼 필요없이, 화장품 용기에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에 문질러 필요이상의 화장품을 제거할 수 있어, 번거로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과도하게 배출된 화장품을 다시 화장품 용기 내부에 덜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화장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소하게 마련된 용기 본체의 출입구에 화장품이 묻은 팁을 다시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팁에 묻은 화장품으로 인해 용기 본체의 출입구가 지저분해질 염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본체에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가 그 일면에 마찰면이 함께 이루어져 하나의 금형에 사출이 가능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고, 용기 본체에 이물질 제거부를 끼우는 단순 동작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용이하며, 이물질 제거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용기 본체와 이물질 제거부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균 번식의 우려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이물질 제거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이물질 제거부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이물질 제거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이물질 제거부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 뚜껑부(20) 및 이물질 제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물은, 립제품으로서 겔 또는 젤 상의 립글로즈와 같이 얼굴, 손 이외에 입술을 위한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물은 눈을 강조하기 위해 수용되는 겔 상의 마스카라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점, 흉터, 여드름 등과 같이 좁은 면적을 커버하는 컨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용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이루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출입구(12)와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또는 다각면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통부재(11)에는 일정한 색상을 갖는 립글로즈 또는 마스카라 등의 화장품이 담기며, 통부재(11)는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화장품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화장품의 고형화 또는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투명한 재질에 스티커 등이 감싸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0)의 출입구(12)가 형성되는 상단부는 주둥이(13)를 이룰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의 주둥이(13)는 화장품이 수용되기 위한 입구의 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되, 화장품이 수용된 이후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좁게 이루어지도록 캡(14)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는 통부재(11)의 출입구(12)를 통해 화장품이 수용된 이후, 캡(14)이 통부재(11)의 주둥이(13)에 융착되거나 접착제로 결합되는 바와 같이, 좁은 홀을 가지는 캡(14)이 설치되어 화장품 배출구인 출입구(12)가 좁게 마련되도록 하여, 화장품이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장품의 변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이 립글로즈나 마스카라와 같이 색을 포함하며 입술이나 속눈썹 이외의 피부에 사용하지 않는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얼굴, 손 등 이외의 곳에 묻어나면, 입술 또는 눈썹에 바르는 립글로즈나 마스카라 등의 특성상 손 등에 묻은 내용물을 닦아내야 하므로, 화장품을 손으로 묻힐 필요 없이 화장품 용기(1)를 입술, 속 눈썹, 여드름 자국 등과 같은 국소 부위에 묻히는 동작만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 본체(10)의 출입구(12)가 형성되는 주둥이(13)의 외측에 뚜껑부(20)가 결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용기 본체(10)에 이물질 제거부(30)가 보관될 수 있도록, 용기 본체(10)에는 출입구(12)의 반대편에 후술되는 마찰면(31)이 수용되는 수용홈(15)이 형성될 수 있고, 용기 본체(10)에 수용홈(15)이 이루어지도록 통부재(11)의 하단으로 리브(16)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리브(16)는 통부재(11)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수용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이물질 제거부(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리브(16)는 이물질 제거부(30)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부(20)는 용기 본체(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화장품을 묻혀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도구로서, 용기 본체(10)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펌핑 작용을 하는 별도의 펌프를 구비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뚜껑부(2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화장품을 묻혀서 사용자의 입술, 속눈썹 등과 같은 국소 부위에 바를 수 있다. 여기서, 뚜껑부(20)는 뚜껑본체(21)와 솔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본체(21)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통부재(11)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본체(21)는 용기 본체(10)에 솔대(22)가 간섭되지 않도록 용기 본체(10)의 출입구(12)에 대향하여 솔대(22)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솔대(22)는 뚜껑본체(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솔대(22)는 용기 본체(10)의 출입구(12)를 밀폐시키도록 캡(14)에 의해 노출되는 출입구(1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솔대(22)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면체 등 그 형상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솔대(22)는 그 하단부에 팁(221)이 마련될 수 있어, 팁(221)에 화장품이 묻어나 립글로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팁(221)은 사용자의 입술 등에 직접 맞닿는 구성으로서, 화장품을 사용자의 입술에 묻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술에 묻은 먼지, 각질 등의 이물질이 묻어날 수 있다.
이러한, 팁(221)에 묻은 이물질이나 사용 후 남은 화장품은 입술에 닿아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거될 필요가 있어, 팁(221)에 묻은 이물질이나 잔여 화장품을 제거하도록 팁(221)은 이물질 제거부(30)에 문질러질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30)는 팁(221)에 묻은 이물질, 화장품 등의 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솔대(22)와 마찰되는 마찰면(31)을 가지고, 용기 본체(10)에 착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제거부(30)는 수용홈(15)을 커버하는 뚜껑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면에 수용홈(15)에 대향하도록 마찰면(31)이 형성될 수 있고, 마찰면(31)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제거부(30)는 리브(16)를 둘러싸도록 리브(16)의 외곽 둘레를 따라 결합홈(32)이 형성되고 결합홈(32)과 동일한 면에 마찰면(31)이 이루어져, 이물질 제거부(30)의 마찰면(31)이 결합홈(32)을 이루는 뚜껑형상과 일체를 이루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이물질 제거부(30)가 용기 본체(10)에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부(3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마찰면(31)이 복수의 돌기 또는 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찰면(31)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마찰면(31)은 팁(221)이 맞닿는 상단부의 높낮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상단의 높낮이가 달리 이루어지는 마찰면(31)은 경사면을 이루는 팁(221)을 눕힐 필요없이, 이물질 제거부(30)에 대향하여 사용자가 뚜껑부(20)를 잡게 되는 방향에 대해 손목을 꺾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게다가, 마찰면(31)의 높낮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져 팁(221)에 대응하여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팁(221)에 묻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부(30)는 수용홈(15)을 커버하면서도 그 일면에 마찰면(31)이 함께 이루어져, 마찰면(31)과 수용홈(15)을 커버하기 위한 구성을 개별로 제조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용기 본체(10)에 이물질 제거부(30)를 끼우는 단순 동작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용이하고, 이물질 제거부(3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용기 본체(10)와 이물질 제거부(3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균 번식의 우려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물질 제거부(30)는, 마찰면(31)이 개별로 마련되어 용기 본체(10)의 수용홈(15)에 마찰면(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이물질 제거부(30)는 결합홈(32)이 용기 본체(10)에 끼움되어 수용홈(15)을 폐쇄하는 뚜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제거부(30)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것과 달리, 뚜껑부(20)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리브가 마련되어 뚜껑부(20)에 이물질 제거부(30)가 착탈될 수도 있다.
또는 이물질 제거부(30)는 마찰면(3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용기 본체(10) 또는 뚜껑부(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물질 제거부(30)는 용기 본체(10) 등에 착탈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입술에 묻은 먼지나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팁에 묻을 경우, 용기 본체(10)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30)에 팁(221)을 문질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티슈 등을 준비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외부 노출로 인한 오염 발생이나 이물질이 묻은 화장품을 용기 본체(10)에 넣지 않으므로 화장품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 본체
11: 통부재 12: 출입구
13: 주둥이 14: 캡
15: 수용홈 16: 리브
20: 뚜껑부 21: 뚜껑본체
22: 솔대 221: 팁
30: 이물질 제거부 31: 마찰면
32: 결합홈

Claims (6)

  1. 화장품이 수용되며 출입구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에 연결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솔대에 부착된 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상기 솔대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출입구의 반대편에 상기 마찰면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결합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며 상기 리브에 끼움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마찰면이 상기 수용홈에 대향하도록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상기 솔대에 마련되는 팁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일측과 타측 또는 중심과 외곽의 높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50007738U 2015-11-26 2015-11-26 화장품 용기 KR201700019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38U KR20170001958U (ko) 2015-11-26 2015-11-26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38U KR20170001958U (ko) 2015-11-26 2015-11-2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58U true KR20170001958U (ko) 2017-06-05

Family

ID=5909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738U KR20170001958U (ko) 2015-11-26 2015-11-2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1207B2 (ja) マスカラおよびマスカラリムーバのためのパッケージ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TWI572300B (zh) Cosmetic coating device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US20150023716A1 (en) Case for cosmetics or other products
KR101796832B1 (ko) 화장품 용기
JP5358154B2 (ja) 化粧料用容器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200436256Y1 (ko) 마스카라 브러쉬 세척용기
KR20200144304A (ko)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01958U (ko) 화장품 용기
KR200438140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89538Y1 (ko) 화장 도구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JP2005029243A (ja) 液体用容器
US20060150998A1 (en) Combination inter-dental brush and container
KR200492025Y1 (ko) 화장품 용기
KR101765714B1 (ko) 세척부재가 구비된 마스카라브러시 세척용기
JP2021531154A (ja) 残量防止と同時にエアタイト機能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20180003265U (ko) 화장 용기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KR101453911B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08682A (ko) 화장품 용기
KR20100006762U (ko) 다수 매니큐어와 제거액이 일체화된 매니큐어 용기
KR20090053334A (ko) 개량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