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23U -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823U
KR20170001823U KR2020150007449U KR20150007449U KR20170001823U KR 20170001823 U KR20170001823 U KR 20170001823U KR 2020150007449 U KR2020150007449 U KR 2020150007449U KR 20150007449 U KR20150007449 U KR 20150007449U KR 20170001823 U KR20170001823 U KR 20170001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blade
fixed blade
fixed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문
Original Assignee
(유)신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진공업 filed Critical (유)신진공업
Priority to KR2020150007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823U/ko
Publication of KR20170001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제진 작업 중에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협잡물에 의하여 레이크에 과부하가 걸려 제진기의 망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갈퀴부재가 일체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롤러체인에 결합된 레이크를 스크린을 따라 회동시키는 로터리 방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의 갈퀴부재는 지지블록 위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힌지 결합된 회동날과, 상기 고정날 단부로부터 일정 탄성력으로 회동날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결합되어 회동날에 일정 중량 이상의 협잡물이 걸렸을 때에 회동날이 고정날로부터 회동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진기의 레이크가 스크린을 따라 작동 중에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중량이 큰 돌이나 나뭇가지 등이 걸렸을 때에 갈퀴부재의 회동날이 꺾어지도록 하여 레이크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제진기의 구성요소의 망실을 최소화하여 제진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수명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Rake Overload of Rotary Type Dusting Machines}
본 고안은 로터리 방식의 제진기에서 레이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진기의 제진 작업 중에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협잡물에 의하여 레이크에 과부하가 걸려 제진기의 망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동력을 이용하여 양수장이나 배수장 입구 수로 등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이 들어오는 장소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걸린 부유 협잡물을 제거하여 펌프를 보호하는 기계장치이다. 제진기는 유압식이나 개폐식 또는 로터리식 등이 주로 적용된다. 로터리식 제진기 전단에는 메인스크린과 전위스크린이 설치되어 협잡물을 포획하는 것으로 전위스크린은 레이크가 통과할 때에 개방되었다가 통과 후에는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레이크는 포집된 협잡물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레이크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롤러 체인을 통해 이송된다.
종래에 농업용이나 배수펌프장에 설치된 로터리식 제진기의 레이크는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돌멩이나 나무토막 등 중량이나 부피가 큰 협잡물이 걸리면 롤러 체인이 이탈하거나 구동모터의 감속기에 과부하 발생하여 커플링이 파손되는 등 제진기의 각종 부품이 망실되는 문제로 인하여 제진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제진기능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893호(2011.01.06. 공고)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크 단부를 탄성에 의하여 꺾이도록 설계하여 레이크가 스크린 표면을 따라 상승할 때에 중량이 큰 물체에 의하여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를 포함한 제진기의 구성요소의 망실을 최소화하여 제진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갈퀴부재가 일체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롤러체인에 결합된 레이크를 스크린을 따라 회동시키는 로터리 방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의 갈퀴부재는 지지블록 위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힌지 결합된 회동날과, 상기 고정날 단부로부터 일정 탄성력으로 회동날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결합되어 회동날에 일정 중량 이상의 협잡물이 걸렸을 때에 회동날이 고정날로부터 회동하는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날 단부에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는 제1힌지공이 형성된 복수의 암 하우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날 단부에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는 제2힌지공이 형성된 수 하우징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 하우징이 암 하우징 사이에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힌지핀에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고정날과 회동날 배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은 각각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진기의 레이크가 스크린을 따라 작동 중에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중량이 큰 돌이나 나뭇가지 등이 걸렸을 때에 갈퀴부재의 회동날이 꺾어지도록 하여 레이크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제진기의 구성요소의 망실을 최소화하여 제진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수명을 늘린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로터리 방식 제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방식 제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크의 갈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크의 갈퀴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로터리 방식의 제진기(1)는 농업용이나 배수펌프장의 수로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각종 협잡물을 걸러내는 것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10) 사이에 설치된다. 제진기(1)는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이나 각종 이물질을 걸려내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스크린(8)이 구비된다.
도 2에서, 스크린(8) 양측에는 구동모터(2)에서 체인(3)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롤러체인(6)에 결합된 레이크(20)를 승강시키는 구동축(5)에 결합된 한 쌍의 구동스프로킷(4)과 더불어 종동축에 결합된 한 쌍의 종동스프로킷(7)이 설치된다. 레이크(20)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롤러체인(6)에 결합된다. 스크린(8)을 따라 상승하는 레이크(20)에 의하여 걸러진 협잡물은 제진기(1) 상단에서 낙하되어 제진기(1) 아래에 설치된 배출컨베이어(9)에 투입된 후 이송 처리된다. 제진기(1)는 제어반(11)의 제어로 작동되고 제어반(11)은 제진기(1)로부터 원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레이크(20)는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몸체 전방으로 복수의 갈퀴부재(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갈퀴부재(21)는 레이크(20) 몸체 전방에 고정된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지지블록(22)위에 고정날(23)이 고정된다. 고정날(23) 전방으로 회동날(27)이 힌지 결합된다. 더욱이 고정날(23) 단부로부터 일정 탄성력으로 회동날(27)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31, 32)이 결합된다. 즉 회동날(27)은 힌지 결합된 고정날(23)로부터 상향되는 각도를 이룬다. 이는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을 포함하는 협잡물을 보다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고정날(23) 단부에는 힌지핀(30)이 관통 결합되는 제1힌지공(25)이 형성된 복수의 암 하우징(24)이 돌출 형성된다. 암 하우징(24)은 고정날(23)에서 대략 좌우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암 하우징(24) 사이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날(27) 단부에 힌지핀(30)이 관통 결합되는 제2힌지공(29)이 형성된 수 하우징(28)이 돌출 형성된다. 수 하우징(28)은 회동날(27)의 대략 중심에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날(27)의 수 하우징(28)은 고정날(23)의 암 하우징(24) 사이의 결합홈(26)에 삽입된 후에 제1힌지공(25) 및 제2힌지공(29)이 관통 일치하는 위치에서 힌지핀(30)이 결합된다. 이때, 수 하우징(28)이 암 하우징(24) 사이에 힌지핀(30)으로 힌지 결합되되, 힌지핀(30)에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이 고정날(23)과 회동날(27) 배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즉 수 하우징(28)과 암 하우징(24) 사이에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이 각각 결합된다.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 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고정날(23)과 회동날(27) 배면에 접촉 및 지지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은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더욱이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은 강성과 탄성 및 복원력이 큰 금속이 적용되는 것이 좋고, 고정날(23)로부터 회동날(27)이 일정 각도로 상향되는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는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체인(3)을 거쳐 구동축(5)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4)에 전달되고, 구동스프로킷(4)과 종동스프로킷(7)에 결합된 롤러체인(6)이 회전하면서 롤러체인(6)에 결합된 레이크(20)가 스크린(8)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한다.
따라서 수로를 따라 흐르는 유수는 스크린(8)을 관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 특히 부유물이 스크린(8) 사이에 걸리게 되면 복수의 갈퀴부재(21)가 돌출된 레이크(20)가 스크린(8)을 따라 상승하면서 부유물을 걸러내어 배출컨베이어(9)로 투입한다.
한편, 유수와 함께 유입된 돌멩이나 나뭇가지 등 다소 중량을 갖는 협잡물이 스크린(8)에 걸러진 상태에서 레이크(20)가 상승하면 레이크(20)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레이크(20)에 구성된 갈퀴부재(21)의 회동날(27)은 고정날(23)로부터 복수의 스프링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어 중량이 큰 물체는 회동날(27)의 회동에 의하여 낙하되거나 미끄러지게 된다. 즉 고정날(23)에 힌지 결합된 회동날(27)은 중량이 큰 물체가 걸리면 고정날(23)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동되어 꺾어져 물체를 상부로 이송시키지 않고 이탈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갈퀴부재(21)의 회동날(27)의 탄성 작동에 의하여 레이크(20)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제진기(1)의 작동 중에 각 구성요소에 과부하게 전달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제진기(1)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진기(1)의 사용수명을 연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제진기 2: 구동모터 3: 구동축 체인 4: 구동스프로킷 5: 구동축 6: 롤러체인 7: 종동스프로킷 8: 스크린 9: 배출컨베이어 10: 구조물 11: 제어반 20: 레이크 21: 갈퀴부재 22: 지지블록 23: 고정날 24: 암 하우징 25: 제1힌지공 26: 결합홈 27: 회동날 28: 수 하우징 29: 제2힌지공 30: 힌지핀 31: 제1스프링 32: 제2스프링

Claims (3)

  1. 일정 간격을 두고 갈퀴부재(21)가 일체 결합되고 구동모터(2)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롤러체인(6)에 결합된 레이크(20)를 스크린(8)을 따라 회동시키는 로터리 방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0)의 갈퀴부재(21)는 지지블록(22) 위에 고정된 고정날(23)과,
    상기 고정날(23)과 힌지 결합된 회동날(27)과,
    상기 고정날(23) 단부로부터 일정 탄성력으로 회동날(27)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31, 32)이 결합되어 회동날(27)에 일정 중량 이상의 협잡물이 걸렸을 때에 회동날(27)이 고정날(23)로부터 회동하는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23) 단부에 힌지핀(30)이 관통 결합되는 제1힌지공(25)이 형성된 복수의 암 하우징(2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날(27) 단부에 힌지핀(30)이 관통 결합되는 제2힌지공(29)이 형성된 수 하우징(28)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 하우징(28)이 암 하우징(24) 사이에 힌지핀(30)으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힌지핀(30)에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이 고정날(23)과 회동날(27) 배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된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은 각각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KR2020150007449U 2015-11-17 2015-11-17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KR201700018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49U KR20170001823U (ko) 2015-11-17 2015-11-17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49U KR20170001823U (ko) 2015-11-17 2015-11-17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23U true KR20170001823U (ko) 2017-05-25

Family

ID=5902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449U KR20170001823U (ko) 2015-11-17 2015-11-17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82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93B1 (ko) 2010-09-27 2011-01-06 김상국 개폐식 제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93B1 (ko) 2010-09-27 2011-01-06 김상국 개폐식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1914114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2074817B1 (ko) 힌지점을 구비한 제진기용 레이크
KR101355194B1 (ko) 수력을 이용한 제진기
KR100988240B1 (ko) 협잡물 제거용 미세목 스크린
KR101425778B1 (ko)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1789253B1 (ko) 하폐수 처리용 수직형 스크린 장치
KR102150576B1 (ko) 로터리 제진기의 보조스크린 협잡물 여과시스템
KR20170001823U (ko) 로터리 방식 제진기의 레이크 과부하 방지장치
KR20110092024A (ko)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082310B1 (ko) 부피가 큰 통나무와 같은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제진기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특수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101509642B1 (ko) 잔존 협잡물 제거부재를 구비한 제진기
KR101365038B1 (ko)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101920735B1 (ko) 조목 스크린용 레이크 클리너
KR101877854B1 (ko) 체인 인양식 멀티 레이크 스크린장치
KR20130011254A (ko)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20030091893A (ko) 로타리 제진기
KR200341020Y1 (ko) 로타리 제진기
KR200397900Y1 (ko) 자동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