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778A -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778A
KR20170001778A KR1020150090336A KR20150090336A KR20170001778A KR 20170001778 A KR20170001778 A KR 20170001778A KR 1020150090336 A KR1020150090336 A KR 1020150090336A KR 20150090336 A KR20150090336 A KR 20150090336A KR 20170001778 A KR20170001778 A KR 20170001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993B1 (ko
Inventor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9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판단 시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특정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의 음영 지역에서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a)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알림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 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 기능성의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여러 기능들 중에는 긴급 상황 발생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에게 납치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경보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범죄자는 경보가 울리자마자 그 단말기를 빼앗고 파손시킬 것이므로 구조 요청을 위한 경보 기능은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상황을 알려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키를 조작하게 된다. 비상키가 조작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통신사에서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사는 추적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경찰서 등의 해당 기관에 통보한다. 그러면 경찰서 등의 해당 기관에서는 발생된 사건에 대해 신속히 착수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비상키를 사용하여 긴급 상황을 통보함으로써 불안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사용자가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긴급 상황 통보 기능이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육체적인 충격 등으로 의식을 잃거나 혼미해져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더라도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발생된 긴급 상황을 정상적으로 통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331호(2010.08.1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긴급 상황 통지를 위한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특정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의 음영 지역에서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은,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긴급상황 판단부;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긴급상황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 통지부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긴급상황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고,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a)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계 (d)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고,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특정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의 음영 지역에서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의 조작 없이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므로,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과 같은 단말 내 다수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음영 지역에 속하더라도 다른 위치 정보 획득 수단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긴급 상황 시 기존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통신망(1) 및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1)이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사용자 단말(2)은 긴급 상황을 설정 및 판단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1)을 통해 타인의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사용자 단말(2)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 설정부(21), 긴급상황 판단부(23), 위치정보 획득부(25), 및 긴급상황 통지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상황 설정부(21)는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 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설정 화면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설정부(21)의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긴급상황 자동 알림 기능을 켜고 끄거나, 긴급상황 판단 시간 정보를 시간 단위로 입력 또는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긴급 연락처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구글 맵이나 네이버 맵 또는 애플 맵 등이 탑재되어 있을 경우 사용할 지도 앱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긴급 상황 시 위치 정보와 함께 통지할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긴급상황 판단부(23)는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즉,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입력이 없는 기간)이 긴급상황 설정부(21)를 통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입력(예컨대, 물리적 버튼 누름에 의한 입력, 화면 터치에 의한 입력 등)이 없을 시 긴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25)는 긴급상황 판단부(23)를 통해 현재 상황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 내에 탑재된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ON)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대표적으로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 내에 탑재되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장치나 어플리케이션 등)이면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다.
위치정보 획득부(25)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 내 모든 위치정보 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해당 상황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를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25)는 긴급상황 설정부(21)로부터 선택된 지도 맵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최적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대입하여 해당 최적 위치 정보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캡처하고 그 캡처된 해당 지도 화면을 현재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긴급상황 통지부(27)는 적어도 위치정보 획득부(2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위치정보 획득부(2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긴급상황 설정부(21)를 통해 설정된 각종 정보(긴급 연락처 정보, 긴급상황 메시지 정보 등)를 조합하여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사용자 단말(2)과 같은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긴급상황 설정부(21)는 긴급 상황 관련 각종 정보를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긴급상황 설정부(21)의 UI(User Interface) 화면에 표시된 긴급상황 자동 알림 기능 메뉴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단말의 긴급 상황 자동 알람 기능을 온(또는 오프) 상태로 상태로 설정하고(S301), 긴급상황판단시간 메뉴의 선택을 통해 하위 메뉴 항목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긴급 상황 판단의 기준이 되는 해당 긴급상황판단시간 데이터를 설정하고(S303), 긴급 연락처 설정 메뉴의 선택을 통해 하위 메뉴 항목에서 긴급 상황 시 통보할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긴급 연락처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설정하고(S305), 지도 앱 선택 메뉴의 선택을 통해 구글 맵이나 네이버 맵 또는 애플 맵 등과 같은 각종 맵 어플리케이션 중 긴급 상황 통지 시 사용할 지도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칭함)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하고(S307), 긴급상황 매시지 내용 메뉴를 통해 긴급 상황 시 위치 정보와 함께 통지할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S309).
전술한 단계 S301~S309와 같이 긴급상황 설정부(21)에 긴급 상황 관련 각종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긴급상황 판단부(23)는 단말의 입력이 없는 비활성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컨대 단계 S303에서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입력(예컨대, 물리적 버튼 누름에 의한 입력, 화면 터치에 의한 입력 등)이 없는 비활성화 상태가 계속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S311).
이어 단계 S311에서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위치정보 획득부(25)는 단말 내에 탑재된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ON)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데, 일 예로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 내 모든 위치정보 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해당 상황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를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단계 S307에서 선택된 지도 맵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최적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대입하여 해당 최적 위치 정보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캡처하고 그 캡처된 해당 지도 화면을 현재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S313~S315).
마지막으로, 긴급상황 통지부(27)는 위치정보 획득부(2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긴급상황 설정부(21)를 통해 설정된 각종 정보(긴급 연락처 정보, 긴급상황 메시지 정보 등)를 조합하여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데, 예를 들어, 단계 S315에서 획득된 해당 지도 화면과 단계 S309에서 설정된 긴급상황 메시지를 MMS 메시지에 실어 단계 S305에서 설정된 긴급 연락처로 긴급 전송하여 통지할 수 있다(S317).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또는 애플리케이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21: 긴급상황 설정부
23: 긴급상황 판단부
25: 위치정보 획득부
27: 긴급상황 통지부

Claims (11)

  1.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긴급상황 판단부;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부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긴급상황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통지부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긴급상황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5.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a)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d)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계 (d)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1.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90336A 2015-06-25 2015-06-25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KR10241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36A KR102415993B1 (ko) 2015-06-25 2015-06-25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36A KR102415993B1 (ko) 2015-06-25 2015-06-25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78A true KR20170001778A (ko) 2017-01-05
KR102415993B1 KR102415993B1 (ko) 2022-07-05

Family

ID=5783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36A KR102415993B1 (ko) 2015-06-25 2015-06-25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31A (ko)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획득한 장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01269B1 (ko) * 2011-06-27 2012-01-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 상황 보고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33227A (ko) * 2013-09-24 2015-04-01 권형석 위급상황에서 외부 단말기 탈·부착 및 비상버튼에 의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31A (ko)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획득한 장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01269B1 (ko) * 2011-06-27 2012-01-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 상황 보고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33227A (ko) * 2013-09-24 2015-04-01 권형석 위급상황에서 외부 단말기 탈·부착 및 비상버튼에 의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993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24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smart scene
CN108712561B (zh) 权限管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US9942520B2 (en) Interactive and targeted monitoring service
KR101158742B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및 그 도난방지방법
CN105245717A (zh) 移动终端防误触装置和方法
US111580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queuin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JP2019512113A (ja) 通知メッセージ処理方法及び装置
EP3242447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6658568B (zh) 一种用于提供可用无线接入点信息的方法与设备
US201800472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arming with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557499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461021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338624B2 (en) Cellular telephone and computer program comprising means for generating and sending an alarm message
KR20110086211A (ko) 비상 전화의 지정 수신자 우선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546642A (zh) 一种智能手势呼救系统及方法
EP2843918B1 (en)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1303718B2 (en) Method and device to manage temporary content on a mobile device
CN109089222A (zh) 移动终端和监护方法、装置
JP2013152502A (ja) 安否情報発信装置及び安否情報発信プログラム
CN103428335A (zh) 保护用户和手机的方法
KR20170001778A (ko)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
JP740841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2017018096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ellular data monitoring
CN107872557B (zh) 一种移动终端的监控方法和装置
KR20160133024A (ko)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