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024A -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024A
KR20160133024A KR1020150065125A KR20150065125A KR20160133024A KR 20160133024 A KR20160133024 A KR 20160133024A KR 1020150065125 A KR1020150065125 A KR 1020150065125A KR 20150065125 A KR20150065125 A KR 20150065125A KR 20160133024 A KR20160133024 A KR 2016013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device
unit
input
emergency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600B1 (ko
Inventor
여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5006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6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 조건 또는 실행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조건을 참조하여 조건 만족시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위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행하는 수행부; 위급상황알림서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설정부, 입력부, 수행부 및 통신부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단말장치 사용자가 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상기 단말장치 배터리의 용량이 기 지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의 전원을 임의로 끄는 경우 기 지정된 다른 단말장치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Description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ERMINA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FORMING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단말장치 사용자가 기 지정된 시간 동안 단말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상기 단말장치 배터리의 용량이 기 지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되거나 단말장치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게 되면 기 지정된 다른 단말장치나 행정기관으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 시 단말장치에서 싸이렌 소리와 같은 알람이 울리거나, 구조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며, 경찰서, 소방서, 다산콜센터 등과 같은 행정기관에 긴급 통화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 위치 주변의 안전시설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단말장치의 제조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무선 단말장치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무선 단말장치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률이나 보급 속도는 어떤 가전 기기와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로 높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라 함은 휴대폰에 컴퓨터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또는 리모콘 기능 등을 장착하며, 사양에 따라서는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 등, 사용에 편리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LTE, 와이파이 등의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온라인뱅킹 또는 게임 등을 실행하는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아울러,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해 표준화된 형식 또는 전용 운영 체제(OS)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특성상 인터넷과 연동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41821호는 위급상황발생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GPS를 이용해 사용자의 현 위치정보를 위급상황 현장에 근접한 다수의 회원, 보호자,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비상신호조차 보낼 수 없는 긴박한 상황 발생시 아무런 구조요청 신호를 보낼 수 없게 되므로 아무리 뛰어난 구조 서비스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공개특허 10-2015-0041821 (2015.4.20. 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장치 사용자가 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상기 단말장치 배터리의 용량이 기 지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하게 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의 전원을 임의로 끄는 경우 기 지정된 다른 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긴급상황 발생 시 단말장치에서 알람이 울리거나, 구조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찰서, 소방서, 다산콜센터 등과 같은 행정기관에 긴급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 위치 주변의 안전시설물을 검색할 수 있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 조건 또는 실행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조건을 참조하여 조건 만족시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위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행하는 수행부; 위급상황알림서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설정부, 입력부, 수행부 및 통신부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행부는, 상기 전화번호 외에 상기 단말장치 주변의 행정기관으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가 상기 단말장치의 전원 입력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긴급상황 알림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명령은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세게 흔드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상기 단말장치에서 싸이렌 소리가 울리거나 조명이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행부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자동으로 행정기관에 전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주변 안전시설물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설정부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 조건 또는 실행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 (B) 입력부에서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조건을 참조하여 조건 만족시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단계; (C) 수행부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위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통신부에서 위급상황알림서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 외에 상기 단말장치 주변의 행정기관으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에서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긴급상황 알림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행부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상기 단말장치에서 싸이렌 소리가 울리거나 조명이 발광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행부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자동으로 행정기관에 전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주변 안전시설물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단말장치 사용자가 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상기 단말장치 배터리의 용량이 기 지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의 전원을 임의로 끄는 경우 기 지정된 다른 단말장치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긴급상황 발생 시 단말장치에서 알람이 울리거나, 구조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며, 경찰서, 소방서, 다산콜센터 등과 같은 행정기관에 긴급 통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 위치 주변의 안전시설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알림서버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상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실행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상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실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단말장치(200), 위급상황알림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100)은 무선 통신의 양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 인공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WLAN(Wireless LA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200)는 통신망(1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폭넓게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200)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상기 단말장치(200) 배터리의 용량이 기 지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이를 위급상황(이하, 위급상황과 긴급상황을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겠다.)으로 인식한 후 GPS 등을 이용하여 기 지정된 다른 단말장치(200)로 상기 단말장치의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물론 상기 알림메시지 및 위치정보를 모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경찰서 또는 소방서와 같은 행정기관에 위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앞에 치한이 나타나는 등 구조요청을 기다릴 여유가 없는 긴급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200)를 세게 흔드는 등의 기 저장된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싸이렌 소리와 같은 알람이 울리거나, 조명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장치(200) 상에 경찰서, 소방서, 다산콜센터 등과 같은 행정기관에 긴급 통화를 걸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은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위에 적시된 행정기관에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200) 위치 주변의 안전시설물을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200)의 자세한 내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급상황알림서버(30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복수의 단말장치(200) 등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의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또는 위치정보를 전화번호가 기 설정된 타 단말장치(200)나 행정기관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단말장치(200)에서 요청하는 지도 정보 등의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장치(200)에서 이를 검색하거나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말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장치(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설정부(210), 입력부(220), 수행부(230), 디스플레이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부(210), 입력부(220), 수행부(230), 디스플레이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단말장치(2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단말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단말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210)는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 조건 또는 실행 내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정부(210)는 아래 도 6에 개시되는 각종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설정부(210)는 사용자로 하여금 도 7에 개시되는 긴급상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220)는 상기 설정부(210)에서 설정된 조건을 참조하여 조건 만족시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장치(200)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로 감소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의 전원을 임의로 차단하였을 경우 이를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위급상황알림서버(300)로 구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왜냐하면 단말장치(200)를 이용해 수많은 업무를 처리하는 현대사회에서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상 단말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지 않았어도 상기 단말장치(200)의 배터리가 모두 방전될 경우 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보낼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로 감소되었을 경우에도 예방적 차원에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단말장치(200)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사용자가 납치 등을 당해 자신의 의지와는 달리 단말장치(200)의 전원이 꺼졌을 가능성이 존재함으로 상기 단말기(200)의 전원 차단 직전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기(200)를 세게 흔드는 동작과 같은 기 설정된 긴급상황 알림명령을 입력받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20)를 통하여 병원, 약국, 경찰서, 소방서 등과 같은 주변 안전시설물에 대한 탐색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행부(230)는 상기 입력부(220)를 통한 위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부(210)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행부(230)는 상기 설정부(210)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또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230)는 상기 전화번호 외에 상기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주변의 행정기관으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230)는 상기 입력부(220)로부터 긴급상황 알림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에서 싸이렌 소리가 울리거나 조명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행정기관에 전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230)는 상기 입력부(220)를 통하여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주변 안전시설물을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스크린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위급상황 설정명령이나 긴급상황 알림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주변 안전시설물에 대한 탐색명령 등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알림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지도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50)는 단말장치(200)가 통신망(100)을 통해 위급상황알림서버(300) 등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상세히, 위급상황알림서버(300)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전송하거나,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급상황알림서버(300)로부터 지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설정부(210), 입력부(220), 수행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60)는 외부로의/외부로부터의 또는 단말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설정부(210), 입력부(220), 수행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위급상황알림서버의 구성
이하에서는, 단말장치(200)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위급상황알림서버(3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알림서버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알림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10), 통신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10), 통신부(320) 및 제어부(33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위급상황알림서버(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위급상황알림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위급상황알림서버(3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10)는 지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200)로부터 주변 안전시설물에 대한 탐색명령이 요청되면 상기 지도 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200) 주변의 안전시설물 위치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로부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320)는 위급상황알림서버(300)가 복수의 단말장치(200)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30)는 데이터베이스(310), 통신부(32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330)는 외부로의/외부로부터의 또는 위급상황알림서버(3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310), 통신부(32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상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실행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위급상황이란 독거자의 신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사용자가 실종, 납치, 또는 조난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장치(200)를 분실할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공통된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단말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단말장치(200)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이를 위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아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로는 단말장치(200) 상의 어플리케이션 등 기 공지된 다양한 접근 수단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위급상황알림서버(300)에 직접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상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실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200) 상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경우 단말장치(200)의 창 상단에는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개략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소개버튼(2001),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되는 조건이나 실행 내용 등을 입력하는 설정버튼(2002), 긴급상황 발생 시 단말장치(200)를 이용해 긴급상황 발생 사실을 외부로 알릴 수 있는 신호 등을 설정할 수 있는 긴급상황 알림버튼(2003), 긴급상황 발생시 사용자 주변 안전시설물을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버튼(2004), 응급환자 발생시 대처법을 안내해주는 응급환자 대처법 안내 버튼(2005)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위급상황이라 함은 사용자가 심장마비 등으로 쓰러지거나, 사용자가 유괴나 납치되어 어떠한 구조신호도 보낼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고, 긴급상황이라 함은 사용자가 외진 곳에 고립되거나, 치한이 나타나는 등 처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긴급상황은 광의의 위급상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장치(200) 상에서 소개버튼(2001)을 클릭하는 경우 "나를 찾아줘 위급상황 알리미는 지정한 시간동안 스마트폰을 작동하지 않을 시에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지정해 놓은 가족 및 지인에게 나를 찾아줘라는 문자와 위치를 전송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나를 찾아줘는 이런 경우에 꼭 필요합니다. 1 혼자 사는 사람의 위급상황 -심장마비, 화장실 실족 등으로 인한 의식불명, 2 유괴/납치에 의한 실종상황 -유괴, 납치, 성폭행을 목적으로 한 실종, 3 등산/여행 중 조난상황 -혼자 여행 중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조난 상황, 4 스마트폰 분실상황 -스마트폰 분실 후 위치 확인" 등과 같이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개략적인 설명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 상에서 설정버튼(2002)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의 소정부에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작동 유무를 선택하는 블럭(20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블럭(2010) 상의 온/오프 버튼(2011)을 직관적으로 터치하여 상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200)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제 3자에게 전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블럭(20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말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몇% 남았을 때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제 3자에게 전달할 것인지 결정하는 블럭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위급상황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제 3자의 연락처를 입력할 블럭(20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3자의 연락처를 입력창(2031)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연락처 선택 버튼(2032)을 클릭하여 상기 단말장치(200) 상에 기 저장된 연락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 3자는 두 명 이상의 복수로 선택될 수 있고, 경찰서나 소방서 등과 같은 행정기관을 위 제 3자로 등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블럭(20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에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GPS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 외에 "나를 찾아줘 앱에서 전송된 메시지 입니다. 저에게 연락 주세요" 등과 같은 구조요청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의 내용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위급상황 알림메시지와 함께 상기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제 3자에게 전달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블럭(20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전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2051)은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작동 유무 선택 온/오프 버튼(201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터치하여 상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단말장치(200)를 켤 때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블럭(206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 시작 온/오프 버튼(2061)을 클릭하여 단말장치(200)의 전원이 켜질 때 상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 상에서 긴급상황 알림버튼(2003)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의 소정부에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 알림신호 발생 유무를 선택하는 블럭(20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블럭(2010) 상의 온/오프 버튼(2011)을 터치하여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 발생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블럭(208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장치(200)를 세게 흔들면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상기 단말장치(2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상에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의 작동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블럭(209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는 상기 단말장치(200)에서 싸이렌이 울리거나 구조 조명 신호가 발광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양자가 모두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 작동시 상기 싸이렌이나 조명 신호 외에도 경찰서나 소방서와 같은 행정기관에 전화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200)를 흔드는 등의 기 설정된 명령을 입력하여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외에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싸이렌 소리 즉시 작동 버튼(2100), 구조 조명 즉시 작동 버튼(2110), 긴급 연락처 연결 버튼(2120) 등을 클릭하여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긴급 연락처 연결 버튼(2120)으로는 112 경찰청 바로걸기 버튼(2121), 119 소방방재청 바로걸기 버튼(2122), 120 다산콜 바로걸기 버튼(2123)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도 8 참조하면, 단말장치(200) 상에서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버튼(2004)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의 소정부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되는 주변 안전시설물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상기 단말기(200) 상의 GPS 정보 등을 이용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시설물로는 병원, 약국,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안전시설물 중 검색하고자 하는 안전시설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블럭(21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200) 디스플레이부 소정 위치에 지도(21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검색된 안전시설물의 정확한 위치가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지도는 위급상황알림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전송받은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위급상황 알림서비스를 작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S100)에서 서비스 작동을 선택하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가 실행된다(S110). 이후 입력부(220)를 통해 기 지정된 위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S120), 상기 수행부(230)를 통하여 위급상황 알림명령이 수행된다(S1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지정된 상황이란 상기 설정부를 통해 입력된 기 지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200)가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기 지정 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이란 기 지정 번호로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 및/또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 등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위급상황 알림메시지가 기 지정된 제 3자에 전송되었을 경우 제 3자는 사용자에게 확인 전화 등을 통해 위급상황이 실제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S140), 실제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필요한 조치가 실행될 것이나(S150), 그렇지 않은 경우는 계속해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가 작동할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통신망 (200) : 단말장치
(210) : 설정부 (220) : 입력부
(230) : 수행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통신부 (260) : 제어부
(300) : 위급상황알림서버 (310) : 데이터베이스
(320) : 통신부 (330) : 제어부

Claims (23)

  1.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 조건 또는 실행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조건을 참조하여 조건 만족시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위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행하는 수행부;
    위급상황알림서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설정부, 입력부, 수행부 및 통신부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전화번호 외에 상기 단말장치 주변의 행정기관으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위급상황 알림서비스가 상기 단말장치의 전원 입력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긴급상황 알림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명령은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세게 흔드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상기 단말장치에서 싸이렌 소리가 울리거나 조명이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자동으로 행정기관에 전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주변 안전시설물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13. (A) 설정부에서 위급상황 알림서비스의 작동 여부, 실행 조건 또는 실행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
    (B) 입력부에서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조건을 참조하여 조건 만족시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단계;
    (C) 수행부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위급상황 알림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통신부에서 위급상황알림서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원이 임의로 꺼지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설정부에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 외에 상기 단말장치 주변의 행정기관으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메시지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입력부에서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긴급상황 알림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상기 단말장치에서 싸이렌 소리가 울리거나 조명이 발광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명령 입력 시 자동으로 행정기관에 전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주변 안전시설물 탐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주변 안전시설물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알림 방법.
  23. 제 13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65125A 2015-05-11 2015-05-11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1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25A KR101715600B1 (ko) 2015-05-11 2015-05-11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25A KR101715600B1 (ko) 2015-05-11 2015-05-11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24A true KR20160133024A (ko) 2016-11-22
KR101715600B1 KR101715600B1 (ko) 2017-03-14

Family

ID=5754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25A KR101715600B1 (ko) 2015-05-11 2015-05-11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31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인싸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708B1 (ko) * 2018-03-05 2019-04-10 (주)아성정보 위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695A (ko) * 2006-01-24 2007-07-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20715A (ko) * 2006-06-20 2007-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작동 상태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80056414A (ko) *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비상모드 운영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140052316A (ko) * 2012-10-24 2014-05-07 추지현 휴대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호출장치 및 긴급 호출방법
KR20150041821A (ko) 2013-10-10 2015-04-20 권형석 위급상황에서 음성에 의한 스마트폰 제어 및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695A (ko) * 2006-01-24 2007-07-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20715A (ko) * 2006-06-20 2007-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작동 상태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80056414A (ko) *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비상모드 운영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140052316A (ko) * 2012-10-24 2014-05-07 추지현 휴대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호출장치 및 긴급 호출방법
KR20150041821A (ko) 2013-10-10 2015-04-20 권형석 위급상황에서 음성에 의한 스마트폰 제어 및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31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인싸 단말기 위치 정보에 근거한 위치 범위와 약속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600B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US9374698B2 (en) Personalize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US10194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ispatch of mobile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AU2009100650A4 (en) A personal safety device, system and process
KR102156902B1 (ko)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40031000A1 (en) Method for emergency signaling vi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9911315B2 (en) Personalized real time outdoor guidance application for mass evacuation
US9706380B1 (en)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and tracking data from a mobile device
KR20140052780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위급상황 발생 위치 정보 처리 및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2007087139A (ja) 災害時安否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方法,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9178978B2 (en) Method of self-calling by setting time of mobile terminal, system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US117490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arm and sensor data to emergency networks
US20150031325A1 (en) Emergency call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160035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outdoor safety
KR101715600B1 (ko)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54122A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8234488A (ja) 安否確認システム
JP6088223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6235894A (ja) 安否確認サーバ及び安否確認用端末
CN106817477A (zh) 无线通信装置及基于无线通信装置的求救系统
JP2014225191A (ja) 災害速報連動救援システ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10087683A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監視センタ装置
JP2005011363A (ja) 監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07025758A (zh) 一种儿童安全监护系统及使用方法
US20210074141A1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