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11U - 하중인가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인가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11U
KR20170001511U KR2020150006833U KR20150006833U KR20170001511U KR 20170001511 U KR20170001511 U KR 20170001511U KR 2020150006833 U KR2020150006833 U KR 2020150006833U KR 20150006833 U KR20150006833 U KR 20150006833U KR 20170001511 U KR20170001511 U KR 201700015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ug
load
connecting member
load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103Y1 (ko
Inventor
박종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0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66Cylindrical specim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체에 설치된 러그에 하중을 인가하여 내구성을 시험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러그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대상물체에 일단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물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밀어낼 수 있는 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러그로 전달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인가 시험장치{LOAD TESTER}
본 고안은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장치나 블록 등을 리프팅하기 위하여 리프팅 설비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리프팅 설비는 장치나 블록을 리프팅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리프팅 대상물체에는 선박의 리프팅 설비의 케이블이나 조인트부재와 연결되기 위하여 러그가 구비된다. 리프팅 대상물체의 러그가 파손되거나 이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리프팅 대상물체의 러그가 하중을 견디어 내는데 충분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리프팅 대상물체의 러그가 설계 하중을 견디도록 제작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중인가 시험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중인가 시험은 크레인과 같은 리프팅 설비를 리프팅 대상물체를 리프팅시킴으로써 시험된다.
그러나, 선박 블록이 조립 공정이 진행되고 있을 때 설계조건의 변경이 있거나, 좁은 장소에서 하중인가 시험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리프팅 설비를 이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 하중인가 시험을 실시하여 내구성을 테스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서도 하중인가 시험이 가능한 하중인가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체에 설치된 러그에 하중을 인가하여 내구성을 시험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러그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대상물체에 일단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물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밀어낼 수 있는 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러그로 전달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부가 삽입될 수 있는 몸체부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삽입구는 상기 몸체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재 간을 고정시키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는, 상기 홀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조절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요입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었을 때, 몸체부가 통과할 수 있는 몸체부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압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가압장치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러그에 대한 하중인가 시험이 좁은 공간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러그 지지부 간의 폭과 러그 지지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여 러그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하중인가 시험이 수행되는 러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러그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하중인가 시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3의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지지부재를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러그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하중인가 시험이 수행되는 러그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러그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의 하중인가 시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3의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지지부재를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하중인가 시험장치는 리프팅 대상물체의 러그에 설치되며, 몸체부(100), 가압장치(200), 지지부재(300) 및 연결부재(4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하중시험시 가해지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가압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노끈 등(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장치(20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고, 몸체부(100)와 리프팅 대상물체 사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가압장치(200)는 일단이 대상물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몸체부(100)와 연결되며, 몸체부(100)를 가압하여 대상물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몸체부(100)를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가압장치(200)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은 몸체부(100), 지지부재(300)와 연결부재(400)를 통하여 러그(2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장치(200)는 유압실린더와, 이러한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 유압실린더에 가해지는 유압을 측정하여 유압실린더가 가하는 힘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장치(200)는 하중인가 시험의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로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 및 이에 따른 도면에서는 가압장치(200)가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 실시 가능하다.
지지부재(300)는 러그의 양측에서 연결부재(4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재(300)에는 몸체부(100)가 삽입될 수 있는 몸체부 삽입구(301); 및 연결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부재 삽입구(302)가 구비된다. 지지부재(300)의 몸체부 삽입구(301)는 몸체부(100)가 삽입, 관통되고,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10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지지부재(30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 바디(310) 및 제2 지지부재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 바디(310)에는 몸체부 삽입구(301)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재 바디(320)에는 연결부재 삽입구(3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 바디(310) 및 제2 지지부재 바디(320)는 상호 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지지부재(3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지지부재 바디(310)에 요입된 홈이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 바디(320)가 제1 지지부재 바디(310)의 요입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 바디(320)가 제1 지지부재 바디(310)의 홈에 보다 깊이 삽입되면 지지부재(300)의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제2 지지부재 바디(320)가 제1 지지부재 바디(310)에 보다 깊이 삽입되었을 때, 제2 지지부재 바디(320)와 몸체부(100) 사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지지부재 바디(320)의 단부에는 몸체부 관통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지지부재(30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가압장치(200)가 교체되었을 때, 가압장치(200)의 크기에 맞도록 지지부재(300)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재 바디가 제2 지지부재 바디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반대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100)는 그 위치 및 길이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나사(330) 및 고정핀(3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나사(330)는 숫나사부(331)와 해드부(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숫나사부(331)는 제1 지지부재 바디(310)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계합될 수 있다. 고정나사가(330)가 제1 지지부재 바디(3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제1 지지부재 바디(310)에 계합된 고정나사(330)의 단부는 몸체부 삽입구(301)에 삽입된 몸체부(100)에 밀착되고, 고정나사(330)의 단부가 몸체부(100) 간의 면압에 의해, 몸체부(100)와 지지부재(300)가 체결될 수 있다.
고정핀(340)은 핀부(341), 해드부(342) 및 클램프(34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340)은 제1 지지부재 바디(310)와 제2 지지부재 바디(320)에 형성된 고정핀 관통홀(314, 324)을 통과한다. 즉, 고정핀(340)의 핀부(341)가, 제1 지지부재 바디(310)와 제2 지지부재 바디(32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지지부재 바디(310)의 고정핀 관통홀(314)과 제2 지지부재 바디(320)의 고정핀 관통홀(324)에 삽입, 관통된다. 이때, 클램프(343)가 해드부(342)의 반대측 타단부에 체결되어, 고정핀(3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400)는 제1 연결부재 바디(410) 및 제2 연결부재 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 바디(410)에는 홀(411)이 구비되고, 제2 연결부재 바디(420)는 제1 기동부재 바디(410)의 홀(411)에 삽입되는 삽입부(421)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00)의 길이는, 삽입부(421)가 홀(411)에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 바디(410) 및 제2 연결부재 바디(420)는 홀(411)과 삽입부(421) 간의 체결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홀(41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421)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는 지지부재(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부에 고정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30)는 연결부재(4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과, 이러한 링을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결부재(400)가 대상물체의 러그(10)와 연결되도록 하중인가 시험장치(20)가 러그(10)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재(300) 사이의 간격과 연결부재(400)의 길이가 러그(10)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고, 몸체부(100)에는 가압장치(200)가 안착된다. 이때, 가압장치(200)의 일측이 몸체부(100)에 맞닿고, 가압장치(200)의 타측이 대상물체와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후, 가압장치(200)가 몸체부(100)를 대상물체로부터 밀어내는 방향(도 2를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가압장치(200)에 의해 몸체부(100)에 하중이 가해지며, 이러한 몸체부(100)의 하중은 지지부재(300) 및 연결부재(400)를 통하여 러그에 전달된다. 균일한 하중인가를 위하여 가압장치(200)는 2개가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중인가 시험장치(20)가 러그(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압장치(200)가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가압장치(200)의 압력을 하중(힘)으로 환산하여 러그(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계산한다. 이로써, 러그가 요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압장치(200)가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되어 인가하는 압력을 점차 증가시키고, 해당 유압실린더에 따른 압력, 하중 등의 세부사양이 이용하여, 유압실린더가 가하는 압력을 하중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 크레인 등의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러그의 하중인가 시험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300)가 러그의 크기에 맞도록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지지부재(300)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지지부재(300)가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재(30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가압장치(200)의 위치도 조절되어야 한다. 이때, 가압장치(200)가 균일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가압장치(200)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게 되는데, 지지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할 때마다, 가압장치(200)의 위치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기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서 서술하는 다른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인가 시험장치가 러그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가압장치가 지지부재에 안착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일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일 실시예를 원용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300)에 가압장치(200)가 안착될 수 있는 가압장치 지지부(350)이 구비된다.
가압장치 지지부(350)는 몸체부(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압장치 지지부(350)는 지지부재(300)에 몸체부(100)가 삽입되었을 때, 가압장치 지지부(350)가 몸체부(100)에 접할 수 잇도록, 도 9를 기준으로 몸체부 삽입구(301)의 아래쪽에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압장치 지지부(350)에는 가압장치(2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351)이 구비될 수 있고, 가압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노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장치(200)가 지지부재(300)에 구비되는 가압장치 지지부(350)에 안착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300)가 몸체부(100) 상에서 이동하더라도, 지지부재(300)와 가압장치(200)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보다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0) 사이에 개재되어 러그(10)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러그(10)와 가압장치(200)간의 상대적인 위치도 보다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보다 균일하게 하중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러그 20: 하중인가 시험장치
100: 몸체부 200: 가압장치
300: 지지부재 302: 연결부재 삽입구
310: 제1 지지부재 바디 314: 관통홀
320: 제2 지지부재 바디 324: 관통홀
325: 몸체부 관통부 330: 고정나사
331: 숫나사부 332: 해드부
340: 고정핀 341: 핀부
342: 해드부 343: 클램프
350: 가압장치 지지부 351: 안착홈
400: 연결부재 410: 제1 연결부재 바디
420: 제2 연결부재 바디 430: 고정부재

Claims (6)

  1. 대상물체에 설치된 러그에 하중을 인가하여 내구성을 시험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러그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대상물체에 일단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물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밀어낼 수 있는 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러그로 전달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부가 삽입될 수 있는 몸체부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삽입구는 상기 몸체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재 간을 고정시키는 하중인가 시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바디; 및
    상기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는, 상기 홀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조절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요입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바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바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하중인가 시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압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가압장치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중인가 시험장치.
KR2020150006833U 2015-10-21 2015-10-21 하중인가 시험장치 KR200484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33U KR200484103Y1 (ko) 2015-10-21 2015-10-21 하중인가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33U KR200484103Y1 (ko) 2015-10-21 2015-10-21 하중인가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11U true KR20170001511U (ko) 2017-05-02
KR200484103Y1 KR200484103Y1 (ko) 2017-07-31

Family

ID=5871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33U KR200484103Y1 (ko) 2015-10-21 2015-10-21 하중인가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02Y1 (ko) * 2017-08-08 2018-12-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강도시험용 지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565B1 (ko) * 2018-03-22 2019-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형 하중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4447B2 (en) * 2003-02-12 2007-10-23 S & H Fabric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weld integrity
KR20130005467U (ko) * 2012-03-08 2013-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중인가 시험 장치
KR20140003019U (ko) * 2012-11-14 2014-05-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리프팅 러그 로드 테스트장치
KR20150025134A (ko) * 2013-08-28 2015-03-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러그용 하중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4447B2 (en) * 2003-02-12 2007-10-23 S & H Fabric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weld integrity
KR20130005467U (ko) * 2012-03-08 2013-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중인가 시험 장치
KR20140003019U (ko) * 2012-11-14 2014-05-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리프팅 러그 로드 테스트장치
KR20150025134A (ko) * 2013-08-28 2015-03-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러그용 하중 테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02Y1 (ko) * 2017-08-08 2018-12-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강도시험용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03Y1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103Y1 (ko) 하중인가 시험장치
KR101870336B1 (ko) 체인 핀 분해장치
ES2050309T3 (es) Cuerpo de obtencion para guarniciones de cables divididas longitudinalmente.
US20190015952A1 (en) Device for the locking of pieces on machine tools
CN104948839A (zh) 电缆夹持装置
CN103698213A (zh) 钢筋连接试件的拉压试验装置及拉压试验方法
FI96462C (fi) Menetelmä ja laite kovan tuen työntämiseksi sähkökaapelijatkosten muhvin sisään
KR101758508B1 (ko) 이축 인장실험장치
KR101510606B1 (ko) 인장 시험용 지그
KR101916766B1 (ko) 시편 고정 장치
US20160205729A1 (en) Clamping cylinder for an electrode slipping device
ITBO20070279A1 (it) Dispositivo a connettore
KR20150021921A (ko) 유전에 사용되는 다이 홀더 장치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
KR102079997B1 (ko) 측정핀이 구비된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한 차량용 체인의 변위 측정장치
CN207900134U (zh) 热锻螺栓缩径工艺用加工设备
US20150311690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housing with cable strain relief and shield connection
KR200470262Y1 (ko) 하중인가 시험 장치
MX2021005986A (es) Aparato de elevación de maquinaria pesada, conjunto de elevación de maquinaria pesada y método para montar un elevador para maquinaria pesada.
CN203459565U (zh) 一种管材矫直装置
KR200270392Y1 (ko)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CN214040029U (zh) 一种棱镜支架的稳定装置
CN220820081U (zh) 固定夹具
KR102200124B1 (ko) 양방향 락킹 가능한 위치고정 장치
KR200467915Y1 (ko) 갱폼 고정장치
KR20150111703A (ko) 하중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