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92Y1 -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92Y1
KR200270392Y1 KR2020010034737U KR20010034737U KR200270392Y1 KR 200270392 Y1 KR200270392 Y1 KR 200270392Y1 KR 2020010034737 U KR2020010034737 U KR 2020010034737U KR 20010034737 U KR20010034737 U KR 20010034737U KR 200270392 Y1 KR200270392 Y1 KR 200270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lance
holder
molten steel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동
심영균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92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강의 온도를 측정할 때 프로브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완충작용을 갖는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승강되도록 구비된 랜스(110)와, 용강에 침적되어 용강의 온도를 측정토록 구비된 프로브(120)를 지지하는 홀더(13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스(110)의 하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스토퍼(14)가 형성되며 하단부 외부에 돌기(16)가 형성된 니플(10); 상기 홀더(1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돌기(16)를 상하로 이동되게 수용시키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내홈(22)을 갖는 커플링(20); 및, 상기 니플(10)과 상기 커플링(20) 사이에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탄성스프링(4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obe and a lance holder in the molten iron temperature measuring utility}
본 고안은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의 온도를 측정할 때 프로브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완충작용을 갖는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설비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승강토록 구비된 랜스(110)와, 용강에 침적되어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120) 및, 상기 랜스(110)와 프로브(120)를 연결시키는 홀더(130)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브(120)는 실린더(140)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장착된 클램프(13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실린더(140)의 구동에 의해 상승하여 홀더(130)에 장착된다.
즉, 실린더(140)의 구동에 의해 프로브(120)를 상승시켜 그 프로브(120)를 홀더(130)에 장착시킨 후 클램프(142)를 개방시킴에 의해 프로브(120)의 상, 하 승강이 자유롭게 하며, 이 상태로 랜스(110)의 상, 하 승강에 의해 프로브(120)를 용강에 침적시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랜스(110)와 홀더(130)의 종래 기술에 의한 연결구조가 도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는바, 이는 랜스(110)의 하단과 니플(150)의 상단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고, 상기 니플(150)의 하단에 커플링(160)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플링(160)을 관통하도록 장착된 전원연결용 커넥트(170)의 하단이 홀더(130)의 상단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랜스(110)와 홀더(130)의 연결구조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충격 흡수 기능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인바, 프로브(120)가 용강 와류에 의해 외력을 받거나 용강에 침적될 때 슬래그에 의해 외력을 받는 경우 홀더(130)나 그 이외의 부분이 굽혀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 경우 용강 온도 측정 작업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홀더(130)나 그 이외의 손상된 부품들을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직접 교환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랜스와 프로브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갖도록 연결된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설비의 개략 구성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브와 랜스의 연결 구성에 대한 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니플 52 : 안착대
112 : 스프링지지턱 12 : 수나사부
130 : 홀더 14 : 스토퍼
16 : 돌기 20 : 커플링
22 : 안내홈 24 : 돌기끼움홈
26 : 절곡부 30 : 전선연결용 커넥터
32 : 수나사부 34 : 돌턱
41 : 제1탄성스프링 42 : 제2탄성스프링
50, 60 : 전원연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상하 승강되도록 구비된 랜스와, 용강에 침적되어 용강의 온도를 측정토록 구비된 프로브를 지지하는 홀더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스의 하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며 하단부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니플; 상기 홀더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돌기를 상하로 이동되게 수용시키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내홈을 갖는 커플링; 및, 상기 니플과 상기 커플링 사이에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탄성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로서, 랜스(110)와 홀더(130)가 니플, 전선연결용 커넥터 및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되는 대략의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다.
상기 랜스(110)의 하단부 내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스프링지지턱(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대략의 중공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니플(10)은, 상단부 외주면에 상기 랜스(110)의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4)가 형성되며, 하단부 외표면의 양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핀 형상의 돌기(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니플(1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끼워지는 커플링(20)은 대략의 중공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커플링(20)에는 상기 돌기(16)를 수용하여 그 돌기(16)가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안내시키도록 상하로 길게 된 슬롯형 안내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20)에는 상기 안내홈(22)의 중앙부분부터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상부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커플링(20)의 상단까지 연속된 돌기 끼움홈(24)이 구비되며, 이 커플링(20)의 하단은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6)로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2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대략의 중공원통형 부재로 형성된 전선연결용 커넥터(30)는,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홀더(130)의 상단부 내주면에 끼워 결합되는 수나사부(32)가 형성되며, 중앙부 외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플링(20)의 절곡부(26) 상측에 얹혀지는 돌턱(34)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커플링(20)의 상단부는 상기 니플(10)의 하단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적절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지지턱(112)과 상기 니플(10)의 스토퍼(14) 사이에 장착된 제1탄성스프링(41)과, 상기 니플(10)의 스토퍼(14)와 상기 전선연결용 커넥터(30) 사이에 장착된 제2탄성스프링(42)이 구비된다.
또한, 전원을 랜스(110)쪽에서 공급받아 프로브쪽으로 제공하도록 된 전원연결구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니플(10)의 상부쪽으로 끼워 장착되는 상부 전원연결구(50)와, 상기 니플(10)의 하부쪽으로 끼워 장착되는 하부 전원연결구(6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전원연결구(50)는, 중앙부 외표면에 상기 니플(10)의 스토퍼(14) 상단에 얹혀지도록 된 안착대(5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암형 커넥터(5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전원연결구(50)의 안착대(52)의 상부면에 의해 상기 제1탄성스프링(41)의 하단이 지지되고, 이 안착대(52)의 하부면이 상기 니플(10)의 스토퍼(14) 상부면에 얹히게 된다.
상기 하부 전원연결구(60)는, 상기 암형 커넥터(54)에 대응되는 수형 커넥터(64)를 갖는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4는 프로브와 홀더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일 때의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결합 상태가 도시되며, 니플(10)과 커플링(20)이 제1탄성스프링(41)에 의한 탄성반발력에 의해 서로 멀어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물론, 상기 니플(10)과 커플링(20)의 결합은 니플(10)에 형성된 돌기(16)가 커플링(20)에 형성된 돌기끼움홈(24)을 통해 안내홈(22)에 끼워짐으로서 가능하다.
외력에 의해 홀더(130)가 상승되면, 이에 연결된 전선연결용 커넥터(30)도 함께 상승되고, 이 커넥터(30)의 상승은 제2탄성스프링(42)을 수축시키면서 흡수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커플링(20)과 니플(10)의 상대 거리가 더 가까워지며, 이는 니플(10)에 형성된 돌기(16)가 커플링(20)의 안내홈(22)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구성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상기 전선연결용 커넥터(30)에 장착된 하부 전원연결구(60)와 이 하부 전원연결구(60)에 연결된 상부 전원연결구(50)도 상승되는바, 상기 상부 전원연결구(50)의 상승은 제1탄성스프링(41)을 수축시키면서 흡수된다(도5 참조).
즉, 홀더(130)가 외력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제1탄성스프링(41)과 제2탄성스프링(42)에 의해 외력이 흡수되면서 구성요소들 상호간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물론, 홀더(13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본 장치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프로브와 홀더가 외력에 의해 상승하면 제1탄성스프링과 제2탄성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외력을 흡수하여 구성요소들이 변형 등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상하 승강되도록 구비된 랜스(110)와, 용강에 침적되어 용강의 온도를 측정토록 구비된 프로브(120)를 지지하는 홀더(13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스(110)의 하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스토퍼(14)가 형성되며 하단부 외부에 돌기(16)가 형성된 니플(10);
    상기 홀더(1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돌기(16)를 상하로 이동되게 수용시키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내홈(22)을 갖는 커플링(20); 및,
    상기 니플(10)과 상기 커플링(20) 사이에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탄성스프링(4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0)의 내부에 장착된 전원연결구(50)의 상단과 상기 랜스(110) 사이에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탄성스프링(4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KR2020010034737U 2001-11-12 2001-11-12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KR200270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37U KR200270392Y1 (ko) 2001-11-12 2001-11-12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37U KR200270392Y1 (ko) 2001-11-12 2001-11-12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92Y1 true KR200270392Y1 (ko) 2002-04-03

Family

ID=7311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37U KR200270392Y1 (ko) 2001-11-12 2001-11-12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26B1 (ko) * 2002-09-24 2005-03-08 주식회사 우진 프로브와 홀더의 접속용 커넥터
KR101277773B1 (ko) 2012-12-28 2013-06-24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홀더 교체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KR20160133675A (ko)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포스코 서브랜스
KR20160141438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포스코 서브랜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26B1 (ko) * 2002-09-24 2005-03-08 주식회사 우진 프로브와 홀더의 접속용 커넥터
KR101277773B1 (ko) 2012-12-28 2013-06-24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홀더 교체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US9476776B2 (en) 2012-12-28 2016-10-25 Woojin Electro-Nite Inc. Holder replacing member and hold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60133675A (ko)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포스코 서브랜스
KR20160141438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포스코 서브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0392Y1 (ko) 용강 온도측정용 프로브와 랜스홀더의 연결장치
CN210634985U (zh) 一种新型多腔检测试剂盒
KR20210100062A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CN210731042U (zh) 自断螺塞生产用固定装置
CN110153524B (zh) 一种电子焊接设备
CN217558881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数控机床底座
DE602004030191D1 (de) Verbindungselement zwischen einer Rundprofil-Fahrzeugachse und einem Aufhängungslenker
CN213205299U (zh) 发动机盖开启手柄底座
KR101531333B1 (ko) 선체블록용 전도방지장치
KR101481958B1 (ko) 선반작업용 척
CN210003597U (zh) 一种炉衬快速推出装置
CN216746111U (zh) 一种全站仪脚架镜头对中杆
CN117381499B (zh) 一种转位气缸夹具
CN210387096U (zh) 一种双轴弯管机
EP2097671B1 (en) Device for quickly fixing an armor to a rod of a street lighting pole
CN211577487U (zh) 一种带压力调节机构的单芯光纤对准器
CN219884617U (zh) 一种光学玻璃用运载箱
CN217824109U (zh) 一种桥架快速衔接装置
KR20200060099A (ko) 스마트 스틱 거치장치
CN213446130U (zh) 一种电力井盖开启工具
CN216377188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机转子吊装装置
CN211556247U (zh) 一种pin针用连接器
CN218844980U (zh) 缓冲型对中杆
CN212123196U (zh) 制证装置的夹具及制证装置
CN218946338U (zh) 一种出铝包立杆安全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