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03A -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03A
KR20170001503A KR1020150091607A KR20150091607A KR20170001503A KR 20170001503 A KR20170001503 A KR 20170001503A KR 1020150091607 A KR1020150091607 A KR 1020150091607A KR 20150091607 A KR20150091607 A KR 20150091607A KR 20170001503 A KR20170001503 A KR 2017000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ticket
user terminal
advance
recep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401B1 (ko
Inventor
신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팩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팩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팩시스
Priority to KR102015009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4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H04W4/00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써, 이용자의 등록이 인증된 임의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용 앱이나 위젯을 통한 티켓의 예약/예매를 위한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 경우,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토대로, 일련의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이용자가 웹 사이트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련의 티켓 예약/예매과정을 손쉽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해당 이용자가 예약/예매가 완료된 가상 이미지 티켓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하여 영화, 공연, 스포츠, 운송시설, 병원, 레저, 숙박 등과 같은 생활문화 전반에서 손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Service method for ticketing online ticket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나 PC 등을 이용하여 전용 앱(app)의 구동이나 위젯(widget)을 통하여 일련의 티켓 예약 및 예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연계시스템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온라인으로 가상 이미지 티켓을 발권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반적인 생활문화 환경이 윤택해지면서, 영화, 공연, 스포츠, 운송시설, 병원, 레저, 숙박, 예식장 등의 이용기회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각종 티켓을 예약/예매하는 방법 또한 급격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티켓 예약/예매 방법으로는 예컨대, 현장 예약/예매, 전화 예약/예매, 인터넷 예약/예매 방법 등이 거론될 수 있다.
이들 중, 현장 예약/예매 방법은 실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티켓의 예약/예매 및 발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에 비해, 결제 및 티켓수령이 좀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 반면에, 서비스 이용자가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응답시스템(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등과 같은 전화 예약/예매 방법은 자동응답 전화 또는 일반 전화를 통해 티켓의 예약/예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상에 제한 없이, 누구나 손쉽게 티켓을 예약/예매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운영상 서비스 시간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현장 티켓 수령시 입금증, 예약코드 등을 지참하여야 하며, 예매사실을 일일이 확인받아야 한다는 점, 현장 티켓 수령이 곤란할 때 우편으로 티켓을 수령하여야 한다는 점 및 사후결제로 인해 전체적인 티켓관리가 어려워진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 예약/예매 방법은 웹 사이트를 통해 티켓의 예약/예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서비스 이용자가 실제 좌석표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좌석지정이 가능하며, 실시간 결제로 인해 전체적인 티켓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 등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 반면에, 서비스 이용 대상이 인터넷 활용 가능자로 제한된다는 점, 서비스 이용장소가 인터넷 가능 지역으로 제한된다는 점, 현장 티켓 수령시 입금증, 예약코드, 신분증 등을 지참하여, 예매사실을 일일이 확인받아야 한다는 점, 및 현장 티켓 수령이 곤란할 때, 우편으로 티켓을 수령하여야 한다는 점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나 PC 등을 이용하여 전용 앱(app)의 구동이나 위젯(widget)을 통하여 일련의 티켓 예약 및 예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연계시스템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온라인으로 가상 이미지 티켓을 발권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은, 이용자의 등록이 인증된 임의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용 앱이나 위젯을 통한 티켓의 예약/예매를 위한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 경우,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토대로, 일련의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 패턴화한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창을 화면에 팝업(pop-up)하거나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페이지로 전환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 완료 확인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 완료 확인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에 따라,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을 결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티켓 수령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이용자 단말기로 티켓 수령방식 선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이 아닌 경우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에는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온라인 접속을 통한 발권 요구시에 저장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현장 발권으로 판단하여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 과정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전용 앱이 아닌 위젯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예약/예매 정보 및 특정 목적지의 티켓에 관한 일련의 정보를 전송하여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은,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에 따른 QR 코드 또는 바(bar) 코드를 포함하고, 타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용자의 등록이 인증된 임의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용 앱이나 위젯을 통한 티켓의 예약/예매를 위한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 경우,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토대로, 일련의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을 서비스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이 아닌 경우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에는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온라인 접속을 통한 발권 요구시에 저장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현장 발권으로 판단하여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 과정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전용 앱이 아닌 위젯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예약/예매 정보 및 특정 목적지의 티켓에 관한 일련의 정보를 전송하여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임의의 이용자가 웹 사이트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련의 티켓 예약/예매과정을 손쉽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해당 이용자가 예약/예매가 완료된 가상 이미지 티켓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하여 영화, 공연, 스포츠, 운송시설, 병원, 레저, 숙박 등과 같은 생활문화 전반에서 손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위젯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위젯 화면상에 티켓 예약/예매 상황이나 공연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손쉽게 정보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이용자는 온라인 티켓을 자기 소비용으로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선물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티켓 예약/예매 서비스의 이용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이용자 단말기(100), 온라인 발권 서비스 서버(200) 및 예약/예매 목적지측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은 통신망(1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터블렛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PDA, 웹 패드, 스마트 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용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1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발권 서비스 서버(200)는 크게, 데이터 베이스(D/B, 210), D/B 관리부(220), 예약/예매 관리부(230) 등을 포함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D/B(210)에는 이용자 정보, 예약/예매 목적지 정보, 예약/예매 내역 정보, 티켓정보, 운영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 인증 아이디, 이용자 인증 비밀번호, 이용자 성명, 이용자 주민등록번호, 이용자 무선 통신기 정보, 이용자 메일계정, 예약/예매 이력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예약/예매 목적지 정보는 "예약/예매가 가능한 영화시설 정보, 공연시설 정보, 스포츠 시설 정보, 운송시설 정보, 병원시설 정보, 레저시설 정보, 숙박시설 정보, 예식장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한다. 예약/예매 내역 정보는 "이용자가 선택한 세부 예약/예매 내역" 을 담은 정보이고, 상기 티켓정보는 "각 영화시설에서 지정한 티켓 유형정보, 각 공연시설에서 지정한 티켓 유형정보, 각 레저시설에서 지정한 티켓 유형정보, 각 스포츠 시설에서 지정한 티켓 유형정보, 각 운송시설에서 지정한 티켓 유형정보‥‥" 등과 같은 정보이고, 상기 운영정보는 "페이지 그래픽 정보, 페이지 설정 정보‥‥" 등과 같은 온라인 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D/B 관리부(220)는 상술한 이용자 정보, 예약/예매 목적지 정보, 예약/예매 내역 정보, 티켓정보, 운영정보 등을 상기 D/B(210)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앞의 이용자 정보, 예약/예매 목적지 정보, 예약/예매 내역 정보, 티켓정보, 운영정보 등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부(220)는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예약/예매 관리부(230)는 예약/예매 가이드 모듈(240), 티켓 관리모듈(250), 운영정보 관리모듈(260) 등을 매개로, 상기 D/B 관리부(220)를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이용자 정보, 예약/예매 목적지 정보, 예약/예매 내역 정보, 티켓정보, 운영정보 등의 저장 및 추출 여부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예약/예매 관리부(230)는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목적지의 티켓을 예약/예매하기 위한 일련의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 , "티켓의 수령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티켓 수령방식 선택 이벤트" 등이 발생하는 경우, 앞서 언급한 예약/예매 가이드모듈(240), 티켓 관리모듈(250), 운영정보 관리모듈(260) 등을 체계적으로 제어하고, 이러한 제어과정을 통해, 각 이벤트 과정을 총괄·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술한 예약/예매 가이드모듈(240)은 이용측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목적지의 티켓을 예약/예매하기 위한 일련의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 가 발생하는 경우, 이용자의 " 예약/예매 아이템 세부 선택과정" 을 예약/예매 관리부(230)의 제어에 따라, 체계적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또한, 티켓 관리모듈(250)은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티켓을 수령하기 위한 일련의 티켓 수령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특정 목적지에 부합되는 티켓을 예약/예매 관리부(230)의 제어에 따라, 체계적으로 생성·관리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이때, 운영정보 관리모듈(260)은 D/B 관리부(220)와의 연계과정을 통해, D/B(210)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 운영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예약/예매 관리부(230)의 세부적인 운영사항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한편, 상기 온라인 발권 서비스 서버(200)는 상술한 예약/예매 가이드모듈(240), 티켓 관리모듈(250), 운영정보 관리모듈(260) 뿐만 아니라, 예약/예매 목적지 정보 업데이트 모듈(미도시), 결제 관리모듈(미도시), 메일 관리 서버(미도시), 티켓정보 통지모듈(미도시)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온라인 발권 서비스 서버(200)는 이용자의 등록이 인증된 임의의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용 앱이나 위젯의 실행을 통한 티켓의 예약/예매를 위한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이때 온라인 발권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용 앱이 아닌 위젯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예약/예매 정보 및 특정 목적지의 티켓에 관한 일련의 정보(예약/예매 목적지측 서버(300)로부터 받은 정보)를 전송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즉 위젯을 이용자 단말기(100)에 실행중일 경우에는 전용 앱처럼 실행을 하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위젯 화면상에 티켓 예약/예매 상황이나 공연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손쉽게 정보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S100 단계의 판단결과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 패턴화한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창(또는 페이지)을 팝업(pop-up)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의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 중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예약/예매 선택 완료 확인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S120),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예약/예매 선택 완료 확인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S130),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40).
이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S150),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에 따라,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을 결제 처리한다(S160).
이어서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이용자 단말기(100)로 티켓 수령방식 선택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170).
상기 S170 단계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S180),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190).
이때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토대로, 일련의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고(S200), 생성이 완료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210). 여기서 상기 생성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은,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에 따른 QR 코드 또는 바(bar) 코드를 포함하고, 타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이 아닌 경우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가를 판단하고(S220),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에는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230).
이후, 인터넷이 가능한 연계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접속하여 발권을 요구시에 기 저장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S240).
그러나, 상기 S220 단계의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현장 발권으로 판단하여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 과정을 생략하고 종료한다(S25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용자 단말기
200 : 온라인 발권 서비스 서버
210 : 데이터 베이스(DB)
220 : D/B 관리부
230 : 예약/예매 관리부
240 : 예약/예매 가이드모듈
250 : 티켓 관리모듈
260 : 운영정보 관리모듈
300 : 예약/예매 목적지측 서버

Claims (10)

  1. 이용자의 등록이 인증된 임의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용 앱이나 위젯을 통한 티켓의 예약/예매를 위한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 경우,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토대로, 일련의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 패턴화한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창을 화면에 팝업(pop-up)하거나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페이지로 전환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 완료 확인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 완료 확인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예약/예매금 결제 정보에 따라,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을 결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수령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이용자 단말기로 티켓 수령방식 선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요구 메시지에 대응되는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이 아닌 경우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에는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온라인 접속을 통한 발권 요구시에 저장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현장 발권으로 판단하여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 과정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전용 앱이 아닌 위젯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예약/예매 정보 및 특정 목적지의 티켓에 관한 일련의 정보를 전송하여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은,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에 따른 QR 코드 또는 바(bar) 코드를 포함하고, 타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8. 이용자의 등록이 인증된 임의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용 앱이나 위젯을 통한 티켓의 예약/예매를 위한 예약/예매 실행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예매 선택 가이드 과정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예매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예매 선택에 따른 예약/예매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이용자의 예약/예매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티켓 수령방식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티켓 수령방식 선택정보에 기재된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인 경우, 상기 예약/예매 선택 내역을 토대로, 일련의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을 서비스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티켓 수령방식이 실시간 수령 방식이 아닌 경우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에는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온라인 접속을 통한 발권 요구시에 저장한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해당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추후 온라인 접속 수령방식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현장 발권으로 판단하여 가상 이미지의 온라인 티켓을 생성 과정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을 서비스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전용 앱이 아닌 위젯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예약/예매 정보 및 특정 목적지의 티켓에 관한 일련의 정보를 전송하여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티켓 발권을 서비스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91607A 2015-06-26 2015-06-26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0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607A KR101709401B1 (ko) 2015-06-26 2015-06-26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607A KR101709401B1 (ko) 2015-06-26 2015-06-26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03A true KR20170001503A (ko) 2017-01-04
KR101709401B1 KR101709401B1 (ko) 2017-02-22

Family

ID=5783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607A KR101709401B1 (ko) 2015-06-26 2015-06-26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0879A (zh) * 2017-05-26 2017-09-29 成都市青柠微影科技有限公司 观影互动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187A (ko) 2022-10-06 2024-04-15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다중 부킹엔진을 탑재한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4A (ko) 2022-10-06 2024-04-15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실시간 예약관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5A (ko) 2022-10-06 2024-04-15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실시간 접속자트래픽분산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6A (ko) 2022-10-06 2024-04-15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272B1 (ko) * 2011-07-28 2012-08-07 에이큐 주식회사 엔에프씨 티켓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8126A (ko) * 2012-11-06 2014-05-14 (주) 아이디어노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티켓리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272B1 (ko) * 2011-07-28 2012-08-07 에이큐 주식회사 엔에프씨 티켓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8126A (ko) * 2012-11-06 2014-05-14 (주) 아이디어노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티켓리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내일로 티켓발권 방법:내일로 모바일 티켓발권(2015.02.22.) <http://blog.naver.com/ml9102/22027943093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0879A (zh) * 2017-05-26 2017-09-29 成都市青柠微影科技有限公司 观影互动方法及装置
CN107220879B (zh) * 2017-05-26 2021-04-20 成都市青柠微影科技有限公司 观影互动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401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025B2 (en) Check-in systems and methods
US9251518B2 (en) Centralized and device-aware ticket-transfer system and methods
KR101709401B1 (ko)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7216770B2 (ja) チケッ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20120232965A1 (en) Interactive valet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05144077A (zh) 云服务平台
US9508103B2 (en) Deferred social network check-in
US20150081346A1 (en) Event ticket sharing via networked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200141891A (ko)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90018290A (ko)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30096963A1 (en) Check-in system and method for lodging establishments
KR101067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311408B2 (ja) 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およびチケットサーバ
JP5068152B2 (ja) 待ち時間に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85276A (ko) 실시간 숙박 시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US20110067028A1 (en) Distributed service point transaction system
JP730677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JP6693598B2 (ja) 宿泊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宿泊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16009A (ko) 객실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체크인 시스템 및 방법
WO2015103091A1 (en) Check-in systems and methods
JP7306771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WO2024096104A1 (ja) Nft発行システム、nft発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92982B1 (ja) 整理券発行サーバ、整理券発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77244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72825B1 (ko) 정보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