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186A -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186A
KR20240048186A KR1020220127663A KR20220127663A KR20240048186A KR 20240048186 A KR20240048186 A KR 20240048186A KR 1020220127663 A KR1020220127663 A KR 1020220127663A KR 20220127663 A KR20220127663 A KR 20220127663A KR 20240048186 A KR20240048186 A KR 2024004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isure
reservation information
user
reserva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사하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186A/ko
Publication of KR2024004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1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시간을 포함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 상기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를 포함한 상기 예약스케줄을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데이터관제모듈을 포함한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A LEISURE SERVICE PROVIDING SYSTEM HAVING BIG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촉발된 레저산업이나 관광산업의 변화는 그 전에 침체기에 있었던 시장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레저산업이나 관광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각종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레저예약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가 레저시설이나 문화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이용 예약을 하고 있는 실정이나, 레저시설이나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산재하여 있어, 사용자가 레저시설이나 문화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예약 편의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특히 운영기관에 따라 공공 서비스와 민간 서비스는 구분되어 있어 사용자의 예약 편의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또 예약시스템을 갖추기 어려운 운영기관은 인터넷을 통한 이용 예약을 받을 수 없어 사용자 이용을 활성화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10-2020-0141891 A KR 10-2019-0018290 A KR 10-1709401 B1 KR 10-1895544 B1 KR 10-2390895 B1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험을 평가정보와 함께 타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할 때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의 시설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운영자에게는 운영시설에 대한 운영 관리를 독려할 수 있는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시간을 포함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 상기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를 포함한 상기 예약스케줄을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데이터관제모듈을 포함한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후기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예약정보 및 상기 이용후기를 또 다른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비정형적인 상기 이용후기를 파싱(parsing)하여 추출된 단어를 이용하여 정형화하고, 상기 예약정보와 조합하여, 상기 예약정보에 대한 추이를 예측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상기 예약정보는, 시설장소, 시설종류, 이용인원, 이용시간 및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상기 중개서버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시간을 포함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중개서버가, 상기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서버가, 매칭된 결과를 포함한 상기 예약스케줄을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데이터관제모듈이, 상기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경험을 평가정보와 함께 타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할 때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의 시설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운영자에게는 운영시설에 대한 운영 관리를 독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예약관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스케줄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자단말기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접속자트래픽분산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분산모듈의 기능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제모듈의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제모듈의 사용자시설이용시나리오를 공유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부킹엔진을 탑재한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예약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시간을 포함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110)와,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120)와, 운영자단말기(120)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를 포함한 예약스케줄을 사용자단말기(110) 및 운영자단말기(120)에 제공하는 중개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산재되어 있는 레저시설이나 문화시설에 대한 사용자 이용 예약 시스템을 통합하고, 실시간으로 예약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및 운영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단말기(110)는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 따위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 또는 운영하는 단말기이고, 운영자단말기(120)는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 또는 운영하는 단말기를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10)와 운영자단말기(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에 최적화된 새로운 형태의 단말기는 물론, 이 이외에 일반적으로 많이 통용되고 있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때 이 단말기에는 사용자와 운영자 각각의 용도에 맞게 각각 사용자용 소프트웨어와 운영자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동작하거나, 또는 통합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인증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사용자용 또는 운영자용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10)와 운영자단말기(120), 그리고 중개서버(130)는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네트워크(N)에 접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에 연결된 노드 간에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 것이면, 유선통신망인지 무선통신망인지, 또는 개방형 네트워크인지 폐쇄형 네트워크인지 등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중개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110)와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단말기(110)와 운영자단말기(120) 중 어느 한 노드에서 또 다른 노드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서버로서, 운영자단말기(120)를 통해 운영자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사용자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예약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가 운영자가 운영하는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이용 예약을 중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예약관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영자단말기(120)는 운영자로부터 시설장소, 시설종류, 이용시간 및 이용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중개서버(130)에 전달하여, 중개서버(130)는 이용시간이 나열된 예약스케줄을 마련할 수 있다(S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스케줄의 일 예시도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시간과 예약장소, 예약완료 여부 등을 포함한 예약스케줄은 운영자단말기(120)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단말기(110)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 예약을 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입력받고 중개서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S20).
여기서, 예약 정보는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용을 하기 위해 인원, 시간, 장소 등을 맡거나 미리 차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의 장소나 종류, 해당 시설등을 이용하기 위한 인원이나 이용 시간, 그리고 결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결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레저시설이나 문화시설은,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시설로서, 운영기관이 공공기관이나 민간기관은 무관하고, 그 시설의 종류 역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은 공공과 민간을 포함한 운영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시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은 일 예로 춘천시, 대천시 등과 같은 어느 일 행정구역 내에 속한 집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일 행정구역으로 여행을 갔을 때, 해당 행정구역 내 시설 이용시 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어느 일 행정구역의 관리기관에서 관광객에 대한 홍보나 관리 등의 목적으로 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10)는 중개서버(130)로부터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을 전달받고, 해당 예약스케줄을 근거로 사용자는 해당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예약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중개서버(130)가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예약정보를 입력받은 후, 중개서버(130)는 사용자단말기(110)에 해당 시설의 이용요금에 대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30).
즉, 중개서버(130)는 사용자단말기(110)의 예약정보에 따른 예약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단말기(110)에 결제요청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사용자의 이용예약요청에 대하여 이용결제를 운영자단말기(120)가 아닌 중개서버(130)가 사용자단말기(110)에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는 중개서버(130)의 결제요청에 대하여 결제를 하고, 이에 따라, 중개서버(130)는 결제서버(미도시)와 상호 연동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10)가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운영자단말기(120)가 아닌 중개서버(130)가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된 이후 중개서버(130)는 사용자단말기(110)에 의해 결제된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운영자단말기(120) 또는 운영자에게 지급하여 비용을 정산하는 정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40).
이렇게 중개서버(130)는 결제 완료가 되면, 중개서버(130)는 예약스케줄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예약정보를 매칭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단말기(110)과 운영자단말기(120)에 공유(S51, S52)함으로써, 또 다른 사용자의 중복 예약 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예약스케줄에 사용자의 예약정보가 매칭되었을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자단말기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운영자는 스케줄에 따른 예약현황이나 운영시설의 사용현황이나 결제로 인한 비용정산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 접속자트래픽분산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접속자트래픽분산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분산모듈의 기능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중개서버(130)에 대한 사용자단말기(110) 및/또는 운영자단말기(120)에 대한 다중 접속으로 인해 발생한 트래픽을 분산하여 중개서버(130)에 가해지는 로드(load)를 저감시키기 위한 트래픽분산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분산모듈(14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N)와 중개서버(130) 사이, 또는 중개서버(130)의 전단에 위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개할 수 있고, 트래픽분산모듈(140)의 위치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분산모듈(140)은 중개서버(130)에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래픽분산모듈(140)는 사용자단말기(110) 및/또는 운영자단말기(120)에서 중개서버(130)를 향하거나, 또는 중개서버(130)에서 사용자단말기(110) 및/또는 운영자단말기(120)를 향하는 데이터를 시간, 데이터양, 및/또는 접속우선순위 등과 같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산하여, 중개서버(130)에 가해지는 로드를 저감케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클라이언트는 중개서버(130)에 상대적인 노드(node)로서 사용자단말기(110)와 운영자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분산모듈(140)은 클라이언트와 중개서버(130) 사이의 트래픽(traffic)을 분산하기 위한 것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분산모듈(140)은,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복수의 중개서버(130)에 대하여 처리능력에 따라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개서버(130)는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중개서버(130)의 집합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분산모듈(140)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순서대로 각 중개서버(130)에 분배하여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즉, 트래픽분산모듈(140)은 트래픽을 순차대로 중개서버#1(131)과 중개서버#n(132) 각각에 대하여 교번하여 분배할 수 있다(도 7 참조).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중개서버(130) 각각은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처리능력이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분산모듈(140)은 중개서버(130) 각각의 처리능력에 따라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개서버#1(131)의 처리능력이 5이고, 또 다른 중개서버#n(132)의 처리능력이 2인경우 트래픽분산모듈(140)은 클라이언트의 요청 순서에 따라 5개의 트래픽을 중개서버#1(131)에 전달하고, 2개의 트래픽을 중개서버#2(13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분산모듈(140)은 복수의 중개서버(130)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속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트래픽분산모듈(140)이 복수의 중개서버(130)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중개서버(130)의 관리자입력에 의해 임의로 정하여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분산모듈(140)은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이 들어온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가장 적은 연결상태를 가진 중개서버(130)에 최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해당 중개서버(130)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연결하여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분산모듈(140)은, 중개서버(130)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110) 및 운영자단말기(120)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집합별로 복수의 중개서버(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배분함으로써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그룹화하기 위한 기준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복수의 사용자단말기(110) 및/또는 운영자단말기(120)는 어느 일 행정구역 내에 속한 집단이거나, 복수의 중개서버(130) 중 어느 하나는 어느 일 행정구역 내에 속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정구역 중 많은 운영자 또는 운영자단말기(120)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그룹화하고 해당 그룹 내 클라이언트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접속을 허락하는 중개서버(13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실시간 예약관리를 할 때 다중 접속으로 인하여 다량의 트래픽이 발생하였을 경우, 중개서버(130)에 가해지는 로드를 분산하여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및 사용자의 예약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데이터관제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관제모듈(150)은, 그 위치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중개서버(130)에 탑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중개서버(130)가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후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는 이용후기를 중개서버(130) 및/또는 데이터관제모듈(1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후기는 5점척도나 10점척도 등과 같은 정량적인 지표이거나, 기 설정된 문장으로 이루어진 정형적인 형태이거나, 또는 임의의 사용자입력에 따른 비정형적인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제모듈(150)은 비정형적인 이용후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비정형적인 이용후기를 파싱(parsing)하여 단어를 분리 추출한 다음, 이를 긍정적인 단어그룹, 부정적인 단어그룹 또는 긍정/부정단어그룹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단어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리할 수 있다.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해당 시설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할 수 있고, 해당 시설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의 예약정보와 조합하여 예약정보에 대한 추이를 예측 분석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된 예약정보에 대한 추이 예측 결과는 사용자단말기(110) 및/또는 운영자단말기(12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운영자에게 운영/관리를 독려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제모듈의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관제모듈(150)은 먼저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어느 한 시설에 대한 점유율(또는 이용율)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관제모듈(150)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정량적이거나 정형화 또는 비정형화된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상기 예약정보 중 어느 한 정보인 점유율과 상기 평가정보를 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시설에 대한 예약정보에 대한 추이를 예측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이러한 예측 추이 분석을 사용자단말기(110) 및/또는 운영자단말기(120)에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 예약시 참고적인 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해당 시설 이용시 만족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제모듈의 사용자시설이용시나리오를 공유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어느 한 사용자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입력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시설이용시나리오를 또 다른 사용자단말기(110) 또는 또는 사용자에 공유할 수 있다.
도 10의 도면부호 151은 예약정보 내 포함된 사용자의 인적정보일 수 있고, 도면부호 152는 정형적 또는 비정형적인 사용자의 이용후기를 파싱한 단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도면부호 153은 예약정보 내 포함된 사용자시설이용시나리오에 따른 전체이용기간일 수 있고, 도면부호 154는 사용자의 이용후기를 정량적인 지표로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도면부호 155는 전체 사용자시설이용시나리오를 시간에 따라 도식화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중개서버(130)는 상기 검색단어를 근거로 쿼리(query)를 작성하여 타 사용자의 시설이용시나리오를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이때 중개서버(130) 및/또는 데이터관제모듈(150)은 상기 파싱되어 기 저장된 이용후기 중에서 검색단어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고, 검색결과에 따른 사용자시설이용시나리오 또는 이를 포함한 평가지표 등을 검색요청한 사용자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경험을 평가정보와 함께 타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할 때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의 시설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운영자에게는 운영시설에 대한 운영 관리를 독려할 수 있다.
다중 부킹엔진을 탑재한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부킹엔진을 탑재한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10)와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자단말기(120)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스케줄을 매칭하는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량의 트래픽이 발생하였을 경우, 중개서버(130)에 가해지는 로드(load)를 저감시키기 위해 트래픽분산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를 네트워크(N)와 중개서버(130) 사이, 또는 중개서버(130)의 전단에 위치하여, 부킹서버(161, 162) 각각이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예약정보를 직접 수신하고, 또 중개서버(130)로부터 상기 예약스케줄을 직접 수신함으로써, 각각의 부킹서버(161, 162)는 상기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러한 부킹서버(161, 162)의 구현 형태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현된 서버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단말기 내 API방식이나 응용프로그램 내 플러그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은, 부킹서버(161, 162)와 중개서버(130)가 계층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부킹서버(161, 162)는 예약정보를 예약스케줄에 매칭하고,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는 매칭결과를 중개서버(130)와 실시간으로 연동함으로써, 중개서버(130)는 최종예약스케줄을 관제할 수 있다.
즉, 중개서버(130)는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가 매칭한 예약스케줄과 최종예약스케줄을 연동함으로써,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에 의한 예약스케줄의 변동에 따라 최종예약스케줄을 일괄 수정하거나 일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각 부킹서버(161, 162)에서 예약스케줄에 변동이 발생하였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중개서버(130)의 최종예약스케줄과 연동하여 수정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연쇄적으로 중개서버(130)는 수정 또는 업데이트된 최종예약스케줄을 하위의 각 부킹서버(161, 162)에 전달하여 연동하여, 각 부킹서버(161, 162)에서 중복 예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중개서버(130)가 최종예약스케줄을 수정 또는 업데이트하거나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에 전달하는 등 최종예약스케줄을 관제하기 위해 부킹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킹서버(161, 162)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중개서버(130) 간에 발생하는 다량의 트래픽에 의해 중개서버(130)에 가해지는 로드(load)를 완충함으로써,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및 사용자의 예약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예약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자단말기(120)는 운영자로부터 예약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S210), 입력된 예약정보를 복수의 부킹서버(161, 162)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단말기(110)가 아닌 운영자단말기(120)가 운영자로부터 예약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약정보를 입력받은 부킹서버(161, 162)는 운영자단말기(120)에 의해 기 설정된 예약스케줄(S100)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후 부킹서버(161, 162)는 예약정보가 매칭된 예약스케줄을 그 상위의 중개서버(130)에 공유하여 중개서버(130)의 최종예약스케줄과 연동할 수 있다(S310). 물론 이때 부킹서버(161, 162)는 상기 최종예약스케줄을 또 다른 운영자단말기(120)에 전달하여 공유할 수 있다(S3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화주단말기
115: 제1 화주단말기
116: 제2 화주단말기
120, 121, 122: 택배기사단말기
130: 중개서버
140: 트래픽분산모듈
150: 데이터관제모듈
161, 162: 부킹서버
N: 네트워크

Claims (8)

  1.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시간을 포함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
    상기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를 포함한 상기 예약스케줄을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데이터관제모듈;
    을 포함한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후기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예약정보 및 상기 이용후기를 또 다른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비정형적인 상기 이용후기를 파싱(parsing)하여 추출된 단어를 이용하여 정형화하고, 상기 예약정보와 조합하여, 상기 예약정보에 대한 추이를 예측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정보는, 시설장소, 시설종류, 이용인원, 이용시간 및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여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관제모듈은, 상기 중개서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8.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단말기,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저시설 또는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시간을 포함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중개서버가, 상기 운영자단말기에 의해 기 마련된 예약스케줄에 상기 예약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서버가, 매칭된 결과를 포함한 상기 예약스케줄을 상기 운영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데이터관제모듈이, 상기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20127663A 2022-10-06 2022-10-06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663A KR20240048186A (ko) 2022-10-06 2022-10-06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663A KR20240048186A (ko) 2022-10-06 2022-10-06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186A true KR20240048186A (ko) 2024-04-15

Family

ID=9071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663A KR20240048186A (ko) 2022-10-06 2022-10-06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18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401B1 (ko) 2015-06-26 2017-02-22 주식회사 임팩시스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95544B1 (ko) 2016-08-29 2018-09-05 주식회사 플렉싱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상품 제공 시스템
KR20190018290A (ko) 2017-08-14 2019-02-22 장현석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141891A (ko)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다이야코퍼레이션코리아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90895B1 (ko) 2021-06-02 2022-04-26 주식회사 러브에그 레저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401B1 (ko) 2015-06-26 2017-02-22 주식회사 임팩시스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95544B1 (ko) 2016-08-29 2018-09-05 주식회사 플렉싱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상품 제공 시스템
KR20190018290A (ko) 2017-08-14 2019-02-22 장현석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141891A (ko)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다이야코퍼레이션코리아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90895B1 (ko) 2021-06-02 2022-04-26 주식회사 러브에그 레저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0025B (zh) 用于处理大数据的属性和区间的系统和方法
CN110555640B (zh) 路由规划的方法和装置
KR20210052499A (ko) e-헤일링(e-hailing) 서비스
KR102207659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물운송 배차 스케쥴링 장치
SG1927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ized reservation context management on multi-server reservation system
KR20220014325A (ko) 사용자에게 운송 관련 서비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을 추천하기 위한 통신 서버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9326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elivery of content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parameters
Chakraborty et al. A review of Ride-Matching strategies for Ridesourcing and other similar services
Narayan et al. Fleet size determination for a mixed private and pooled on-demand system with elastic demand
Yao et al. A new ride‐sharing model incorporating the passengers' efforts
CN111044062B (zh) 路径规划、推荐方法和装置
CN101901421A (zh) 处理委托目的地管理装置、程序以及方法
Marla et al. Managing EMS systems with user abandonment in emerging economies
Lyu et al. Multiobjective stochastic optimization: A case of real-time matching in ride-sourcing markets
KR20240048186A (ko)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5A (ko) 실시간 접속자트래픽분산처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4A (ko) 실시간 예약관리 기능을 가진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48187A (ko) 다중 부킹엔진을 탑재한 레저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Baron et al. Ensuring feasibility in location problems with stochastic demands and congestion
CA2775555C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hospitality facilities
Yang et al. Performance Prediction Based EX-QoS Driven Approach for Adaptive Service Composition.
Cassettari et al. Optimization of gas metering maintenance services: A multiobjective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a set of predefined overlapping time windows
CN111539631A (zh) 知识产权业务综合管理方法、装置、计算机及存储介质
CN112182372A (zh) 一种差旅产品推荐方法及装置
US10616293B1 (en) Multiple account bi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