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00A -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400A KR20170001400A KR1020150091333A KR20150091333A KR20170001400A KR 20170001400 A KR20170001400 A KR 20170001400A KR 1020150091333 A KR1020150091333 A KR 1020150091333A KR 20150091333 A KR20150091333 A KR 20150091333A KR 20170001400 A KR20170001400 A KR 20170001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tered
- raw material
- bogie
- sintering
- electromag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3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magnet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차에 자성체를 포함하는 원료를 장입하고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조업의 중단 없이 대차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차 내의 잔류광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업을 중단하지 않고 대차 내 잔류물의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결광 제조 공정은 미립의 분철광석을 소결하여 고로 사용에 적합한 크기로 제조한다. 이러한 소결 공정에서는 분철광석, 부원료 및 연료(분코크스, 무연탄) 등을 드럼 믹서에 넣어 혼합 및 조습(원료중량비 약 7∼8%)을 실시하여 소결 배합 원료를 의사 입자화시켜 소결대차 상에 일정 높이로 장입하고, 점화로에 의해 표면 점화 후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인하면서 소결 배합 원료의 소성이 진행되고 소결광이 제조된다.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은 배광부의 크러셔(crusher)를 거쳐 냉각기(cooler)에서 냉각되고, 고로 내 장입 및 반응에 용이한 5∼50㎜의 입도로 분급되어 고로로 이송된다.
그런데 배광부에서 소결대차 내의 소결광이 배광된 후 소결대차에는 미처 배출되지 못한 소결광(이하, "잔류광"이라 함)이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광은 소결대차의 측벽이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소결대차가 소결 배합 원료의 장입을 위해 회차하게 되면, 소결대차의 바닥면이 하부를 향하게 되면서 소결대차 내의 잔류광이 소결대차로부터 떨어져 소결대차의 이동 경로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호퍼로 장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결대차에는 소결 시 소결대차에 융착되는 잔류광이 여전히 잔류하여 후속 소결 배합 원료 장입 시 소결대차 내에 원료를 균일하게 장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업의 중단 없이 대차 내의 잔류광을 제거할 수 있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차 내에 원료를 균일하게 장입하여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는, 대차에 자성체를 포함하는 원료를 장입하고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에서 상기 대차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대차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료는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한 배합 원료이고, 상기 대차는 소결대차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에서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구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처리 방법은, 소결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소결 원료를 이동하는 소결대차에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원료층을 점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점화된 원료층을 소결시켜 소결광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과정과; 상기 소결광 내에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 및 상기 소결광을 배광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에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소결광을 자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소결광에 인가되는 자력을 차단하여 자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을 상기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이 냉각되는 냉각구간의 전구간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이 냉각되는 냉각구간에서 단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은, 조업의 중단 없이 대차 내의 잔류광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대차가 이동하는 경로에 자화장치를 구비하여 대차 내 소결광을 단속적으로 자화시킴으로써 대차 내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차와 부착된 소결광이 대차 내벽으로부터 분리되어 배광 시 대차 내에 잔류광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차 내에 원료를 균일하게 장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료의 처리, 예컨대 소결을 균일하게 실시할 수 있어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배광부에서 소결광이 배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냉각영역에 설치되는 전자석의 배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 인가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배광부에서 소결광이 배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냉각영역에 설치되는 전자석의 배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 인가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대차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료의 처리 과정에서 대차 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원료는 자화 가능한 자성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결광을 배광시키기 전 소결대차 내에 진동을 발생시켜 소결광을 소결대차의 내벽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배광시 소결대차 내 잔류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동 가능한 대차는 소결대차일 수 있고, 원료는 소결광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배광부에서 소결광이 배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냉각영역에 설치되는 전자석의 배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전원 인가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결광 제조 설비에서 소결대차(40)는 무한궤도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는 소결광이 제조되는 상부 영역과, 소결광을 배광하고 후속 공정을 위해 회차하는 경로로 사용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한다.
소결광 제조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원료저장기(미도시)에 저장된 다량의 각종 원료와 부원료인 코크스는 평량 벨트(미도시)에 의해 적정량이 적출된 뒤, 믹서기(미도시)에서 수분과 함께 배합이 이루어진 후 벨트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하여 써지 호퍼(미도시)에 운송되어 일시 저장된다.
이후, 써지 호퍼, 상부광 호퍼(미도시), 장입슈트(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료공급부(20)에서 소결대차(40) 상에 상부광과 소결배합원료를 장입한다. 이 소결배합원료를 실은 소결대차(40)는 점화로(30) 하부를 통과하면서 부원료인 코크스로 인하여 소결배합원료의 상부에 착화가 된다. 착화된 소결배합원료를 실은 소결대차(40)는 크러셔(60) 측, 즉 배광부측으로 진행을 하게 되며, 이때 메인 블로워(미도시)의 흡인 풍량은 소결대차(40)기 하부에 설치된 윈드박스(10)를 통해 소결대차(40) 상의 착화된 소결배합원료를 흡인하게 된다. 이 메인 블로워의 흡인 풍량으로 인하여 소결대차(40)가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배광부 측에 도달할 때쯤이면 소결대차(40) 상의 배합원료가 하부까지 소결이 완료되어 소결광(S)이 제조된다. 여기까지의 공정은 이동 경로(55)의 상부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다음, 소결대차(40) 내의 소결광(S)은 상부영역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광부에서 배광되어 크러셔(60)로 투입되고, 크러셔(60)에서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된 후 냉각장치(70)에 적재되어 소정 온도로 냉각된다. 그리고 소결대차(40)는 소결광(S)을 배광시킨 후 이동 경로(55)의 하부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소결광 제조를 위해 상부 영역으로 복귀한다.
그런데 배광부에서 소결대차(40) 내에 수용된 소결광(S)을 배광시키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대차(40) 내부에는 미처 배출되지 못한 소결광이 잔류한다(이하, "잔류광(S1)"이라 함). 이러한 잔류광(S1)은 소결대차(40)의 측벽이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소결대차(40)가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여 소결대차(40)의 바닥면이 하부를 향하게 되면, 소결대차(40) 내의 잔류광(S1)이 하부 영역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호퍼(80)로 장입된다. 그러나 소결 시 열량 과잉 등으로 인해 소결배합원료가 소결대차(40)에 융착되는 경우 소결대차(40)가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소결대차(40)에 그대로 융착되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광 시 소결대차(40) 내에 잔류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결대차(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결대차(40) 내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소결대차(40)의 내벽에 융착된 소결광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광 시 소결광이 전량 배광되어 배광 후 소결대차(40)에 잔류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속 공정을 위한 소결배합원료 장입 시 잔류광(S1)에 의해 소결대차(40) 내 소결배합원료가 불균일하게 장입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는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에 구비되는 자화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화장치(100)는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전자석(110)과, 전자석(1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20) 및 전원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소결대차(40)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쪽에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여, 바닥면과 양 측벽에 의해 소결배합원료가 장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소결대차(40)는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경로(55)를 따라 순환하도록 구비되며, 소결대차(4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소결대차(40) 내의 공간이 개방되어 서로 연통되는 하나의 커다란 링형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소결대차(40)는 바닥면 하부에 휠이 구비되어 이동 경로(55)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 경로(55) 중 상부 영역을 통과할 때에는 바닥면이 하부에 구비되고, 하부 영역을 통과할 때는 바닥면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 중 상부 영역에서는 실질적으로 소결광이 제조되는 영역으로 소결대차(40) 내 원료의 장입과, 점화, 소결 및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 경로(55) 중 하부 영역은 상부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회차 구간이다. 그리고 상부영역에서 하부영역으로 변경되는 영역은 상부영역에서 제조된 소결광이 배광되는 배광부이다.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 중 상부 영역은 일측에 원료를 소결대차(40)에 장입하는 원료장입구간이 구비되고, 소결대차(40)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화구간, 소결구간 및 냉각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점화구간은 점화로(30)가 구비되어 소결대차(40)의 원료층 표층부를 점화시킨다. 소결구간은 소결대차(40) 하부의 윈드박스(10)에서 원료층을 흡인하여 점화된 원료층의 표층부로부터 하층부까지 소결이 되어 소결광이 제조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냉각구간은 소결구간에서 제조된 소결광을 윈드박스(10)를 통해 흡인하여 냉각시키는 영역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화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석(110)은 소결대차(4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55)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잔류광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이동 경로(55)의 양쪽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에 전자석(110)은 소결대차(40)의 외측, 예컨대 양쪽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석(110)은 소결대차(40)의 높이 방향,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소결대차(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석(110)은 소결대차(40)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소결대차(40)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소결대차(40)의 높이 방향에서 하부로부터 1/2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소결광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소결대차(40)의 하부측이 상부측보다 열량이 많이 때문에 소결광이 소결대차(40)의 하부 측에서 융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석(11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에서 냉각구간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구간 전체에 걸쳐 복수의 전자석(110)이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전자석(110)이 냉각구간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냉각구간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부(120)는 전자석(11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전원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자석(110)에 제공되는 전원의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전원부(120)가 일정한 패턴으로 전자석(11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불규칙한 패턴으로 전자석(11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자화장치(100)는 반복적 또는 단속적으로 소결광을 자화 및 자화를 해제시킴으로써 소결광 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석(110)은 소결대차(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되면서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을 반복적으로 자화 및 자화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전자석(110)이 온되는 경우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은 자화되어 전자석(110)과 소결광 간에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석(110)이 오프되는 경우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의 자화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 또는 단속적으로 소결광의 자화 및 자화를 해제시킴으로써 소결광 내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소결광 내에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소결광 내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소결대차(40)의 내벽에 부착된 소결광을 소결대차(40)의 내벽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원료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를 처리하는 방법, 예컨대 소결광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방법은, 소결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S110)과, 소결 원료를 소결대차(40)에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하는 과정(S112)과, 원료층의 표층을 점화시키는 과정(S114)과, 소결대차(40) 내 원료층을 소결시켜 소결광을 제조하는 과정과, 제조된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과정 및 소결광을 배광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소결광을 반복적으로 자화 및 자화를 해제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부광을 마련하여 상부광 호퍼(10)에 공급하고 철광석 및 고체 원료를 포함하는 소결 원료를 마련하여 써지 호퍼(20)에 공급하여 소결광 제조를 위한 원료를 마련한다.
이후 복수의 소결대차(40)를 상부광 호퍼(10) 및 써지 호퍼(20)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복수의 소결대차(40) 각각에 상부광과 소결 원료를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한다. 복수의 소결대차(40) 각각은 점화로(30) 하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원료층의 표층에 화염이 착화되고 각 소결대차(40)는 이송장치(40)에 의해 배광부(60)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각 소결대차(40)가 소결 구간에 나열 배치된 복수의 윈드 박스(70)의 상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원료층은 소결 구간에서 상층부에서 하층부 방향으로 소결되며, 상층부의 열량이 하층부로 전달되면서 하층부에서 열량 과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소결대차(40)의 하부측에서 소결광이 소결대차(40)의 내벽에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결대차(40)의 내벽에 융착된 소결광을 소결대차(40)의 내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소결광의 냉각구간에서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소결대차(40)가 소결구간에서 소결광이 제조되면, 냉각구간에서는 자화장치(100)를 이용하여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의 발생은 소결대차(40)의 이동 경로(55)에 구비되는 전자석(110)에 전원의 인가와 차단을 반복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소결광 내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전자석(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체인 소결광이 자화되면서 전자석(110)과 소결광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석(110)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소결광과 전자석(110) 간에 발생하고 있던 인력이 제거된다.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구간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가 냉각구간 전구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구간 전구간에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일정 기간동안 짧은 간격으로 반복하다가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비교적 긴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을 냉각구간 전구간에서 1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구간 초기에는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비교적 긴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다가 냉각구간 후기로 갈수록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짧은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그 반대의 패턴으로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자석(110)이 도 5의 (b)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자석(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원을 인가하더라도 냉각구간에서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가 단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결광을 자화시켰다가 자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소결광 내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소결광 내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소결광 내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소결대차(40)에 융착되어 있던 소결광도 소결대차(40)의 내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광을 위해 소결대차(40)의 이동 방향이 전환, 즉 이동 경로(55)의 상부영역에서 하부영으로 이동하게 되면,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이 배광부로 배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결대차(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결대차(40) 내 소결광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소결광의 배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광 후 소결대차(40) 내에 잔류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잔류광을 제거하기 위해 조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소결대차(40) 내의 잔류광을 직접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잔류광 제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윈드박스 20: 원료공급부
30: 점화로 40: 소결대차
55: 이동 경로 60: 크러셔
70: 냉각장치 100: 자화장치
110: 전자석 120: 전원부
130: 제어부
30: 점화로 40: 소결대차
55: 이동 경로 60: 크러셔
70: 냉각장치 100: 자화장치
110: 전자석 120: 전원부
130: 제어부
Claims (14)
- 대차에 자성체를 포함하는 원료를 장입하고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료 처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에서 상기 대차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대차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원료 처리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원료 처리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원료 처리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원료 처리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한 배합 원료이고, 상기 대차는 소결대차인 원료 처리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이동 경로에서 상기 원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구간에 구비되는 원료 처리 장치. - 소결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소결 원료를 이동하는 소결대차에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원료층을 점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점화된 원료층을 소결시켜 소결광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과정과;
상기 소결광 내에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 및
상기 소결광을 배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원료 처리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원료 처리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에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소결광을 자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소결광에 인가되는 자력을 차단하여 자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원료 처리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원료 처리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을 상기 소결광의 자화와 자화의 해제를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행하는 원료 처리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이 냉각되는 냉각구간의 전구간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원료 처리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소결광이 냉각되는 냉각구간에서 단속적으로 수행하는 원료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1333A KR101708197B1 (ko) | 2015-06-26 | 2015-06-26 |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1333A KR101708197B1 (ko) | 2015-06-26 | 2015-06-26 |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400A true KR20170001400A (ko) | 2017-01-04 |
KR101708197B1 KR101708197B1 (ko) | 2017-02-20 |
Family
ID=578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1333A KR101708197B1 (ko) | 2015-06-26 | 2015-06-26 |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819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032Y2 (ja) * | 1988-03-31 | 1995-03-06 | 日立造船株式会社 | 焼結機の排鉱装置 |
JPH0961060A (ja) * | 1995-08-21 | 1997-03-07 | Shinko Electric Co Ltd | 燒結鉱の製造装置 |
KR19980068602A (ko) * | 1997-02-21 | 1998-10-26 | 박원훈 | 연속주조용 주형의 전자기 진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010000501U (ko) | 1999-06-11 | 2001-01-05 | 이구택 | 소결기 대차의 융착광 제거장치 |
KR20040105390A (ko) | 2003-06-09 | 2004-12-16 | 주식회사 포스코 | 소결대차의 누풍방지용 실바 정렬장치 |
KR20100035833A (ko) * | 2008-09-29 | 2010-04-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및 그 방법 |
-
2015
- 2015-06-26 KR KR1020150091333A patent/KR1017081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032Y2 (ja) * | 1988-03-31 | 1995-03-06 | 日立造船株式会社 | 焼結機の排鉱装置 |
JPH0961060A (ja) * | 1995-08-21 | 1997-03-07 | Shinko Electric Co Ltd | 燒結鉱の製造装置 |
KR19980068602A (ko) * | 1997-02-21 | 1998-10-26 | 박원훈 | 연속주조용 주형의 전자기 진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010000501U (ko) | 1999-06-11 | 2001-01-05 | 이구택 | 소결기 대차의 융착광 제거장치 |
KR20040105390A (ko) | 2003-06-09 | 2004-12-16 | 주식회사 포스코 | 소결대차의 누풍방지용 실바 정렬장치 |
KR20100035833A (ko) * | 2008-09-29 | 2010-04-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8197B1 (ko) | 2017-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2549B1 (ko) | 원료 장입 장치,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 |
KR101824111B1 (ko) | 원료 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원료 처리 방법 | |
KR101378078B1 (ko) | 소결 장치 | |
JP6744495B2 (ja) | 通気性の測定機及び焼結装置 | |
EP2845914A1 (en) | Sintering device and sintering method using induction heating | |
KR101708197B1 (ko) |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 |
KR101751286B1 (ko) | 원료 장입장치 | |
KR101359235B1 (ko) | 소결 장치 | |
CN108713062A (zh) | 装载用于散装物料热处理的移动炉排的托盘车的方法和设备 | |
KR102065065B1 (ko) |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결 장치 | |
KR101735002B1 (ko) | 운송물 장입장치 | |
EP1092470A1 (en) | Sintering of powder particles into granules | |
JP6342472B2 (ja) | 原料処理方法 | |
KR20170091212A (ko) | 가스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광 제조 장치 | |
KR101622286B1 (ko) |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 |
KR101703042B1 (ko) | 원료처리장치 | |
KR101962383B1 (ko) |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 |
KR101723447B1 (ko) |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처리설비 | |
KR101767937B1 (ko) | 원료 장입 장치 | |
KR101369233B1 (ko) | 소결기 장입용 배합원료의 표면처리장치 | |
KR20140042038A (ko) | 소결광 제조용 원료 장입 장치 | |
KR101707611B1 (ko) |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 |
KR101862150B1 (ko) |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 |
KR20160038149A (ko) | 원료 장입 장치 및 방법 | |
KR101204827B1 (ko) | 소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