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295U - 졸음 퇴치기 - Google Patents

졸음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295U
KR20170001295U KR2020150006557U KR20150006557U KR20170001295U KR 20170001295 U KR20170001295 U KR 20170001295U KR 2020150006557 U KR2020150006557 U KR 2020150006557U KR 20150006557 U KR20150006557 U KR 20150006557U KR 20170001295 U KR20170001295 U KR 201700012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magnetic body
drowsiness
base b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복
Original Assignee
주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복 filed Critical 주경복
Priority to KR2020150006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295U/ko
Publication of KR20170001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하단에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수직봉;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 중 상기 인입홈과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 상기 인입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봉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제1 자성체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수직봉이 베이스블록 상에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호 접촉되고, 상기 수직봉이 기울어졌을 때 상호 이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이나 상해를 주지 아니하면서 졸음을 효과적으로 쫓을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아니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졸음 퇴치기 {Device to subdue drowsiness}
본 고안은 졸음을 쫓기 위한 졸음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정기관의 평형신경을 자극하여 졸음을 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졸음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점차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주간은 물론이고 야간에도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분야에서는 야간에 잠을 자지 않고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거나 또는 감시근무 등을 필연적으로 행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졸음을 퇴치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야간에 장시간 동안 운전하는 경우에는 순간적인 졸음현장이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학생이나 수험생의 경우에도 졸음현상의 퇴치는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졸음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를 환기시키거나 또는 간단한 체조 및 운동을 행하는 등의 방법과 더불어 음악을 듣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그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졸음방지용 껌이나 음료수 등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일시적인 효과에 거칠 뿐 졸음현상을 장시간동안 퇴치하기에는 역부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서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스탠딩 책상이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스탠딩 책상은 장시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 운전 등과 같이 반드시 앉아서 일을 해야 하는 사람에게는 유용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졸음에 의해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내부의 진동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졸음을 퇴치하는 '졸음방지용 모자(대한민국등록실용 20-0121849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졸음방지용 모자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여 유지비가 많이 들며, 졸음현상이 아니고 다른 목적으로 머리를 숙이는 경우에도 진동장치가 작동되므로 심리적인 부담감은 물론이고 전자파 등에 의한 두통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내부에 구비된 아이스팩이 머리를 차갑게 하여 졸음을 퇴치하는 '아이스팩 모자(대한민국등록실용 20-0278992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아이스팩 모자는, 아이스팩을 별도의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수시로 차갑게 냉각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고, 아이스팩이 차가운 동안에만 효과가 있어 사용 가능 시간이 매우 짧으며, 상기 아이스팩이 접촉되는 부위의 피부 조직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21849 Y1 KR 20-0278992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이나 상해를 주지 아니하면서 졸음을 효과적으로 쫓을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아니하므로 활용성이 높은 졸음 퇴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하단에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수직봉;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 중 상기 인입홈과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
상기 인입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봉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제1 자성체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수직봉이 베이스블록 상에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호 접촉되고, 상기 수직봉이 기울어졌을 때 상호 이격된다.
상기 인입홈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봉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하되, 상기 수직봉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봉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상호 이격되었을 때 음향 또는 빛으로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봉 하단이 인입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봉은, 하단이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된다.
상기 수직봉의 중단을 감싸는 구속링;
일측이 상기 구속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블록 가장자리에 결합되되, 상기 구속링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셋 이상의 지지링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이나 상해를 주지 아니하면서 졸음을 효과적으로 쫓을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아니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사용자가 서 있지 아니하고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 전정기관의 평형신경을 자극하여 졸음을 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100)과, 상기 베이스블록(100)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200)과, 상기 수직봉(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300)과, 상기 수직봉(200)을 상기 베이스블록(100)에 연결하되 상기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봉(2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00)은 일정 크기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밀리거나 이동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봉(200)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며, 상기 발판(300)은 사용자의 발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발판(300) 위에 한쪽 발을 올려두는데, 상기 수직봉(200)은 베이스블록(100)에 고정 결합된 것이 아니라 일측으로 쓰러질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베이스블록(10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무의식적으로 발판(300) 위에 올려진 발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의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전정기관의 평형신경이 자극되므로, 사용자는 졸음을 느끼지 아니하게 된다.
종래의 졸음 퇴치기는, 사용자가 졸았을 때 물리적 자극을 주어 깨우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냉기를 전달하여 졸음을 예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용자가 졸았을 때 물리적 자극을 주어 깨우는 방식은 사용자가 졸리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일정수준 졸았을 때 깨우는 것이므로 졸음을 예방하는 효과가 없고, 사용자의 신체에 냉기를 전달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고통을 느끼게 되어 업무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발판(300)에 올려둔 발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무의식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전정기관 평형신경이 자극을 받는 현상을 이용하여 졸음을 예방하는 구조이므로, 졸음을 미리 예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고통을 주지 아니하므로 활용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발판(300) 위에 올려둔 발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신경이 쓰이지만, 이 정도의 신경은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므로 업무에 크게 방해를 주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봉(200)이 단순히 복원스프링(400)에 의해서만 베이스블록(100)에 연결되면 사용자가 발판(300)에 발을 올려 두었을 때 수직봉(200)이 너무 쉽게 쓰러지므로, 수직봉(200)이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발의 평형을 유지시키는데 과도한 신경이 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서 있을 때 복원스프링(400)의 탄성뿐만 아니라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상기 수직봉(200)의 하단에 인입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 중 상기 인입홈(210)과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510)와, 상기 인입홈(2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제1 자성체(510)에 자력으로 밀착되는 제2 자성체(52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는 극이 다른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는 상호 간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자성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가 구비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가 상호 접촉되는바, 수직봉(200)이 쉽게 쓰러지지 아니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발판(300)에 발을 올려 둔 상태에서 깜박 졸아 발의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200)이 쓰러지면서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가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300)으로부터 발을 떼면, 상기 수직봉(200)은 복원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원스프링(400)이 인입홈(210)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형 스프링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복원스프링(400)은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봉(20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스프링이나 탄성수단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졸음으로 인하여 발의 평형을 유지시키지 못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200)이 일측으로 쓰러지면서 발이 발판(300)으로부터 떨어지는바,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놀라 잠을 깨게 되는데, 사용자가 매우 깊게 잠이 드는 경우에는 수직봉(200)이 일측으로 쓰러지더라도 잠을 깨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수직봉(200)이 일측으로 쓰러졌을 때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봉(200)이 기울어져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가 상호 이격되었을 때,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의 분리를 감지하여 음향 또는 빛으로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6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부(6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졸았을 때 경고를 알리는 음향이나 빛을 전달받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잠을 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력부(600)가 음향이나 빛을 출력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출력부(600)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면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냄새를 발산시키는 구조로도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앉아서 업무를 보는 근로자 및 학생뿐만 아니라,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운전자가 운전 중 졸게 되면 큰 사고가 발생되므로, 상기 졸음 퇴치기는 차량 운전자에게 더욱 필요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오토미션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오른발로 브레이크와 가속페달을 조작해야 하는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를 사용할 때에는 왼발을 발판(300) 위에 올려 두도록 사용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졸음 퇴치기는 수직봉(200)이 전후 및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질 수 있는데, 상기 수직봉(200)이 오른발 측으로 넘어지면 브레이크와 가속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상기 수직봉(200)이 사전에 설정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0)의 상면에 수직봉(200) 하단이 인입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0)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200)은 하단이 한 쌍의 돌출부(110) 사이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회전축(2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봉(200)의 회전축(220)이 돌출부(110)의 삽입홈(120)에 삽입되면, 상기 수직봉(200)은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만 가능하므로, 전방 및 후방으로만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졸음 퇴치기는, 차량 운전자의 왼발이 발판(300)에 안착되었을 때 수직봉(200)이 전방 및 후방으로만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봉(200)이 브레이크나 가속페달 조작에 방해를 주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봉(200)이 어느 일방향으로만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수직봉(200)에는 복원스프링(400)과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복원스프링(400)과 제1 자성체(510)와 제2 자성체(520)의 결합구조 및 기능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별도의 복원스프링(400) 없이도 수직봉(200)이 완전히 쓰러지지 아니하고 약 30도 가량만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졸음 퇴치기는, 상기 수직봉(200)의 중단을 감싸는 구속링(710)과, 일측이 상기 구속링(7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블록(100)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링크(7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링크(720)가 구속링(7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4개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수직봉(200)이 전후 및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완전히 넘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수직봉(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지지링크(720)의 개수는 세개 또는 다섯개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봉(200)이 구속링(710)과 지지링크(72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2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링크(720)가 팽팽하게 긴장되는바, 상기 수직봉(200)은 완전히 넘어지지 아니하고 약 30도 내외로만 기울어지게 된다. 물론,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300)으로부터 발을 떼면, 베이스블록(100) 상면 가운데에 구비된 제1 자성체(510)와 수직봉(200)의 하측 내부에 구비된 제2 자성체 간의 인력에 의해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수직봉(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봉(200)은 베이스블록(100) 상에 세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제1 수직봉(200a)과, 하단이 상기 제1 수직봉(200a)에 삽입되는 제2 수직봉(2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직봉(200a)과 제2 수직봉(200b)은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블록 110 : 돌출부
120 : 삽입홈 200 : 수직봉
210 : 인입홈 220 : 회전축
300 : 발판 400 : 복원스프링
510 : 제1 자성체 520 : 제2 자성체
600 : 출력부 710 : 구속링
720 : 지지링크

Claims (4)

  1.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100);
    상기 베이스블록(100)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하단에는 인입홈(210)이 형성되는 수직봉(200);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 중 상기 인입홈(210)과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510);
    상기 인입홈(2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제1 자성체(5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510)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성체(5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체(510)와 상기 제2 자성체(520)는, 상기 수직봉(200)이 베이스블록(100) 상에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호 접촉되고, 상기 수직봉(200)이 기울어졌을 때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퇴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21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봉(200)을 상기 베이스블록(100)에 연결하되, 상기 수직봉(200)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봉(2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400);
    상기 제1 자성체(510)와 상기 제2 자성체(520)가 상호 이격되었을 때 음향 또는 빛으로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6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퇴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봉(200) 하단이 인입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0)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봉(200)은, 하단이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0) 사이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회전축(220)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퇴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의 중단을 감싸는 구속링(710);
    일측이 상기 구속링(7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블록(100) 가장자리에 결합되되, 상기 구속링(7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셋 이상의 지지링크(7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퇴치기.
KR2020150006557U 2015-10-06 2015-10-06 졸음 퇴치기 KR201700012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57U KR20170001295U (ko) 2015-10-06 2015-10-06 졸음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57U KR20170001295U (ko) 2015-10-06 2015-10-06 졸음 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95U true KR20170001295U (ko) 2017-04-14

Family

ID=5860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57U KR20170001295U (ko) 2015-10-06 2015-10-06 졸음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29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49Y1 (ko) 1996-02-09 1998-08-01 김동주 졸음방지용 모자
KR200278992Y1 (ko) 2002-04-03 2002-06-20 최병모 아이스팩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49Y1 (ko) 1996-02-09 1998-08-01 김동주 졸음방지용 모자
KR200278992Y1 (ko) 2002-04-03 2002-06-20 최병모 아이스팩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penter Acoustic space
Hettinger Illusory self-motion in virtual environments
CN110381912B (zh) 减少前庭系统的疾病的症状的设备和方法
US8926330B2 (en) Tactile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neck
Wall III Application of vibrotactile feedback of body motion to improve rehabilitation in individuals with imbalance
Shin et al. Effects of conventional neurological treatment and a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 on eye-hand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20220206585A1 (en) Motion sickness reduction, directional indication, and neural rehabilitation device
Griffiths Can videogames be good for your health?
Chen et al. Control of a virtual avatar influences postural activity and motion sickness
US20050213034A1 (en) Eye training equipment
Grussenmeyer et al. Feasibility of using haptic directions through maps with a tablet and smart watch for people who ar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RU24256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дезориентации у человека
US9675776B2 (en) Multi-sensory therapeutic system
JP2004209036A (ja) 眼のトレーニング装置
KR20170001295U (ko) 졸음 퇴치기
ES2630060T3 (es) Dispositivo para presentar estímulos visuales para su uso en tratamientos terapéuticos
Kefaliakos et al. Virtual reality i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JP2005319285A (ja) 首掛け式顎支持装置
Lancioni et al. Orientation systems to support indoor travel by persons with multiple disabilities: Technical aspects and applicability issues
KR101483888B1 (ko) 운전자 졸음 방지장치
US10758055B2 (en) Foot swing
Cha et al. Long-term effects of robotic hippotherapy on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 cerebral palsy
US20020173823A1 (en) Sense organs synthesizer
BR202016023783U2 (pt) Stabilizer for static posture with capability to vibrate by meaning of sound waves
Amemiya et al. Concave-convex surface perception by visuo-vestibular stimuli for five-senses t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