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229A -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 Google Patents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229A
KR20170001229A KR1020150090919A KR20150090919A KR20170001229A KR 20170001229 A KR20170001229 A KR 20170001229A KR 1020150090919 A KR1020150090919 A KR 1020150090919A KR 20150090919 A KR20150090919 A KR 20150090919A KR 20170001229 A KR20170001229 A KR 20170001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ub
water
shaf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440B1 (ko
Inventor
현기환
Original Assignee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이크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4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8Roof or double shutte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수문을 하나의 권양기로 조절하여 수위면 근처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에 대한 것으로, 사통파이프를 제방 상면에 노출형으로 구성하여 사통파이프 매립에 소요되는 공정을 생략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 하부에 배치되어 제방 내부에 구비되는 복통과 연통되는 메인취수구를 통해 취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방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메인취수구와 연통되고, 상면에 복수의 서브취수구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사통파이프; 상기 각 서브취수구의 상부에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서브취수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수문; 최상부의 수문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최상부의 수문을 개폐하는 메인샤프트; 및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을 상호 연결하는 서브샤프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Multiple Sluice Gate}
본 발명은 복수의 수문을 하나의 권양기로 조절하여 수위면 근처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에 대한 것으로, 사통파이프를 제방 상면에 노출형으로 구성하여 사통파이프 매립에 소요되는 공정을 생략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에 대한 것이다.
강이나 하천, 저수지 등에서는 제방에 복수의 수문을 구비하여 저수된 물을 취수원으로 활용하는데, 종래에는 수위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취수가 용이하도록 제방 하부에 수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면 근처의 온도는 따뜻하나 수심이 깊어질수록 온도가 내려가는 등 물의 높이에 따른 수온차가 있다.
이에 따라 계절별·기후별 변화 등에 따라 수위면이 높아지는 경우, 제방 하부에 설치된 수문을 통하여 온도가 낮은 깊은 수심의 물이 취수되므로 농작물의 냉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수위면의 높이에 따라 복수의 수문(1)을 상하로 위치시키고, 권양기(10)에 연결된 구동로드(2)의 구동에 의하여 이들 수문(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면 근처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복수의 권양기(10)를 각 수문(1)마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가 많이 들고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각 수문(1) 사이의 간격 또는 수문(1)을 개폐하는 권양기(10)의 설치 간격이 증가할수록 설치에 필요한 콘크리트 등의 자재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위치되는 복수의 수문(3)을 하나의 권양기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수위면 근처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다중 슬루스 게이트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복통(11)과 연결되는 메인취수구(12)가 하부에 단일 형성되는 경우, 취수 장치를 개량하여 다중 취수구(14)를 형성하고자 할 때, 제방(1) 상부에 사통(13)을 매립하고 사통(13) 상부의 다중취수구(14)가 제방(1)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기초 콘크리트를 사통(13) 상부에 타설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초 콘크리트 타설 후 각 취수구(14)를 개폐하도록 기초 콘크리트 상에 수문(3)을 결합한다.
뿐만 아니라 수문(3) 설치를 위한 가이드레일 등을 기초 콘크리트에 앵커링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통(13) 매립을 위한 지반 굴착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정 등이 필요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KR 20-0408840 Y1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통 매립을 위한 지반 굴착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정 등이 불필요하여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방 하부에 배치되어 제방 내부에 구비되는 복통과 연통되는 메인취수구를 통해 취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방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메인취수구와 연통되고, 상면에 복수의 서브취수구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사통파이프; 상기 각 서브취수구의 상부에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서브취수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수문; 최상부의 수문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최상부의 수문을 개폐하는 메인샤프트; 및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을 상호 연결하는 서브샤프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문은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서브취수구 부근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문은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일부를 밀착하여 덮도록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문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홈부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서브취수구 양측에는 노출형 사통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단에 서브취수구의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고정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문은 양측이 상기 고정부의 걸림부 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문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문 하면에는 지수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서브샤프트는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수문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와 타측 수문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가 서로 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샤프트의 단부에는 핀이 양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각 수문의 일측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홈부가 수문의 수와 같거나 수문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는 지지구가 결합되고, 상기 서브샤프트는 각 지지구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지지구의 하측의 위치에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구의 홈부 중 어느 하나는 폐쇄되어 상기 걸림돌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다른 지지구의 걸림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슬루스 게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통파이프를 제방 상면에 노출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통파이프의 매립에 따른 지반 굴착 및 기초 콘크리트 타설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이 가능하다.
둘째, 상하로 위치되는 복수의 수문을 하나의 권양기로 조절하여 수위면 근처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온도가 낮은 깊은 수심의 물을 취수함에 따른 농작물의 냉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제작 및 유지·관리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 복수의 취수구가 구비된 슬루스 게이트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다중 슬루스 게이트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의 측단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평판 형상의 수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형상의 수문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형상의 수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수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가압부재가 구비된 경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수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가압부재가 구비된 경우 걸림부와 수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지수판이 결합된 수문의 단면도.
도 12는 일실시예에 의한 서브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서브샤프트에 의한 수문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브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서브샤프트에 의한 수문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는 제방(1) 하부에 배치되어 제방(1) 내부에 구비되는 복통(11)과 연통되는 메인취수구(12)를 통해 취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방(1)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메인취수구(12)와 연통되고, 상면에 복수의 서브취수구(21)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 상기 각 서브취수구(21)의 상부에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서브취수구(21)를 개폐하는 복수의 수문(3); 최상부의 수문(3)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최상부의 수문(3)을 개폐하는 메인샤프트(4); 및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3)을 상호 연결하는 서브샤프트(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는 제방(1)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메인취수구(12)와 연통되고, 상면에 복수의 서브취수구(21)가 상호 이격 형성된다.
상기 메인취수구(12)는 복통(11)과 연통되는데, 복통(11)은 제방(1)의 저면을 관통하여 강이나 하천, 저수지 등에 저수된 물을 취수측까지 연결한다.
본 발명은 사통을 파이프재로 하여 제방(1) 상면에 노출형으로 구성하고, 사통파이프(2) 상면에 형성된 서브취수구(21)를 개폐하는 수문(3)을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사통파이프(2)를 제방(1) 내에 매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통파이프(2) 매립에 필요한 별도의 지반 굴착 및 콘크리트 공사를 생략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다.
상기 수문(3)은 각 서브취수구(21)의 상부에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서브취수구(21)를 개폐한다.
상기 수문(3)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도 4 내지 도 7, 도 9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샤프트(4)와 서브샤프트(5)와 관련해서는 도 12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평판 형상의 수문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 주위 상부에 내부가 빈 브래킷(24)이 상기 서브취수구(21)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24) 상부에 개구부(251)가 형성된 플레이트(25)가 결합되며, 상기 수문(3)은 상기 플레이트(25) 상면에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와 수문(3)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제1실시예로, 브래킷(24) 상부에 평면형의 플레이트(25)를 결합함으로써 종래 일반적인 수문(3)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4에서와 같이 수문(3)을 평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5,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3)을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외부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 형성하여 사통파이프(2)에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문(3)은 노출형 사통파이프(2)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형상의 수문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형상의 수문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은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와 수문(3)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로, 수문(3)의 내경이 사통파이프(2)의 외경과 같거나 크도록 제작하여 수문(3)이 사통파이프(2)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한다.
파이프 형상의 수문(3)은 수문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 장치가 불필요하여 구성이 간단하다.
상기 수문(3)과 사통파이프(2) 사이의 공간에는 수밀성 확보를 위하여 패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문(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취수구(21)를 덮을 수 있는 길이의 단일 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문(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원(3a, 3b) 양단에 각각 돌출된 플랜지를 상호 볼트 결합 등으로 연결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수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 부근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2)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문(3)은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일부를 밀착하여 덮도록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22)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레일(22)에 삽입되는 가이드홈부(3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문(3)이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노출형 사통파이프(2)와 수문(3)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제3실시예로, 수문(3)의 가이드홈부(31)가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수문(3)이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를 개폐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은 수문(3)의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구성하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은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 양측에 구비되므로, 수문(3)의 폭은 가이드레일(22) 하부로 연장되도록 하며, 수문(3)은 단면상 호 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2)과 가이드홈부(31)의 접합면에는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수문(3)이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수문(3)은 가이드레일(22)이 없는 사통파이프(2)의 중간에서 사통파이프(2) 외측면에 밀착시킨 후, 가이드레일(22)에 수문(3)의 가이드홈부(31)가 삽입되도록 수문(3)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사통파이프(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문(3)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8은 가압부재가 구비된 경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부(31)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22)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2)는 가이드레일(22)의 일면을 가압하여 수문(3)을 노출형 사통파이프(2)에 밀착시킴으로써 수문(3)의 수밀성을 확보한다.
상기 가압부재(32)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재(32)는 가이드홈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었다. 그리고 가압부재(32)의 양단은 가이드홈부(3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가이드홈부(31) 저면에 결합할 수 있다.
도 9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수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 양측에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231) 및 상기 지지부(231) 상단에 서브취수구(21)의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는 걸림부(232)로 구성되는 고정부(2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문(3)은 양측이 상기 고정부(23)의 걸림부(232) 하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와 수문(3)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제4실시예로, 수문(3)의 양측이 고정부(23)의 걸림부(232) 하부에 삽입되어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를 개폐한다.
이 경우 고정부(23)가 서브취수구(21)의 바로 양측에 구비되므로, 수문(3)의 폭을 서브취수구(21)를 폐쇄할 수 있을 정도로만 구성하면 된다. 따라서 수문(3) 제작에 소요되는 강재량 등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는 수문(3)의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구성하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상기 수문(3)과 걸림부(232)의 접합면에는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수문(3)이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문(3)은 고정부(23)가 없는 사통파이프(2)의 중간에서 사통파이프(2) 외측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부(23)의 걸림부(232) 하부에 수문(3)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수문(3)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사통파이프(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가압부재가 구비된 경우 걸림부와 수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걸림부(232)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2)는 고정부(23)의 걸림부(232) 하부를 가압하여 수문(3)을 노출형 사통파이프(2)에 밀착시킴으로써 수문(3)의 수밀성을 확보한다.
상기 가압부재(32)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재(32)는 수문(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었다. 그리고 가압부재(32)의 양단은 걸림부(232)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11은 지수판이 결합된 수문의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하면에는 지수판(3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수판(33)은 수문(3) 하면에 결합하여 수문(3)과 사통파이프(2) 사이의 공간을 수밀하게 밀착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를 비롯하여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고정부(23)에 결합되는 수문(3) 하면에 지수판(33)이 결합된 경우의 실시예이나, 앞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파이프 형상의 수문(3)이나 도 7에 도시된 가이드레일(22)에 결합되는 수문(3)의 하면에도 지수판(33)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의한 서브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서브샤프트에 의한 수문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메인샤프트(4)는 최상부의 수문(3)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최상부의 수문(3)을 개폐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샤프트(5)는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3)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수문(3)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51)와 타측 수문(3)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52)가 서로 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샤프트(51)의 단부에는 핀(511)이 양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샤프트(52)의 단부에는 상기 핀(5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샤프트(51) 일측에 핀(511)을 결합하고 제2샤프트(52)에 장공(521)을 관통 형성하여, 핀(511)을 제2샤프트(52)의 장공(521)에 끼워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51)에는 핀 결합용 결합공을 형성한다.
도 12와 같이 제2샤프트(52)의 단부를 파이프 형상으로 하고 파이프의 양측에 장공(521)을 형성할 경우, 상기 제2샤프트(52)의 파이프가 제1샤프트(51)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여 수문(3)을 안정적으로 개폐한다.
이 경우 서브샤프트(5)가 1축으로 구성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방(1) 상부에는 권양기가 위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복수의 수문(3)을 개폐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권양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수문(3)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제방(1) 상면에 상하로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수문(3)을 상부 수문부터 하부 수문까지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다시 하부 수문부터 상부 수문까지 순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4) 및 서브샤프트(5)를 지지하고 이들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메인샤프트(4) 및 서브샤프트(5)의 하부에는 롤러부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재는 공장에서 사통파이프(2) 상부에 미리 부착 가능하다.
상기 수문(3)과 서브샤프트(5)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제방(1) 높이에 제한 없이 복수 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부분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반입하므로, 현장 공정을 대폭 감소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아울러 부재를 규격화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제작 및 유지 관리, 증설이 매우 편리하다.
도 13를 참조하여 서브샤프트(5)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권양기의 구동에 따라 상부의 수문(3)이 이동한다(도 13의 (a)). 그리고 서브샤프트(5)의 제1샤프트(51) 또는 제2샤프트(52) 중 어느 한쪽이 장공(521) 길이만큼 무부하 이동하다 제1샤프트(51) 또는 제2샤프트(52) 중 어느 한쪽이 장공(521)의 길이 이상으로 이동하여 핀(511)이 장공(521) 단부에 걸리게 된다(도 13의 (b)). 이후 제1샤프트(51)와 제2샤프트(52)가 같이 이동하면서 하부의 수문(3)이 개방된다(도 13의 (c)).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브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서브샤프트에 의한 수문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수문(3)을 순차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14 및 도 15는 수문(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문(3)의 일측에는 중앙에 관통공(61)이 형성되고, 관통공(61)의 내주면을 따라 홈부(62)가 수문(3)의 수와 같거나 수문(3)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는 지지구(6)가 결합되고, 상기 서브샤프트(5)는 각 지지구(6)의 관통공(61)을 관통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지지구(6)의 하측의 위치에 걸림돌부(53)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구(6)의 홈부(62) 중 어느 하나는 폐쇄되어 상기 걸림돌부(53)가 걸리는 걸림부(6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3)는 다른 지지구(6)의 걸림부(63)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구(6)는 각 수문(3)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공(61)이 형성되고, 관통공(61) 내주면에 홈부(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62) 중 어느 하나는 폐쇄되어 서프샤프트(5)의 걸림돌부(53)가 걸리는 걸림부(6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6)는 서브샤프트(5)와 같이 원형 단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지지구(6) 외측에 브래킷을 덧대고 지지구(6)를 수문(3)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서브샤프트(5)는 지지구(6)의 관통공(61)을 관통하여 인접하는 수문(3)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서브샤프트(5)를 회전시켜 서브샤프트(5)의 걸림돌부(53)를 원하는 수문(3)에 결합된 지지구(6)의 걸림부(63)에 걸리도록 한 후, 서브샤프트(5)를 인양하여 해당 수문(3)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의 (a)에서와 같이, 서브샤프트(5)의 걸림돌부(53)가 지지구(6)의 걸림부(63)에 걸려 해당 수문(3)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4의 (b)는 서브샤프트(5)의 걸림돌부(53)가 지지구(6)의 홈부(62)에 걸려 서브샤프트(5)는 상부로 이동하되, 해당 수문(3)이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다른 수문(3)은 개방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 상면의 복수의 서브취수구(21) 각 상면에 수문(3)이 위치되는 경우,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문(3)만 개방하였을 때, 각 수문(3, 3', 3")의 단면이 도 15의 (a) 내지 (c)에 도시된다.
도 15의 (a)는 최하단 수문(1) 부분의 단면으로, 서브샤프트(5)의 걸림돌부(53)가 지지구(6)의 걸림부(63)에 걸린다. 따라서 수문(1)이 서브샤프트(5)의 상부 이동에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개방된다.
도 15의 (b) 및 (c)는 가운데 및 최상단 수문(3', 3") 부분의 단면으로, 서브샤프트(5)의 걸림돌부(53)가 지지구(6)의 홈부(62)를 통과한다. 이 경우 해당 수문(3', 3")은 서브샤프트(5)의 상부 이동과 무관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서브샤프트(5)를 메인샤프트(4)와 일체로 고정되게 구성하면 복수의 수문(3)을 동시에 개폐 가능하다.
1: 제방 11: 복통
12: 메인취수구 2: 사통파이프
21: 서브취수구 22: 가이드레일
23: 고정부 231: 지지부
232: 걸림부 24: 브래킷
25: 플레이트 251 : 개구부
3: 수문 31: 가이드홈부
32: 가압부재 33: 지수판
4: 메인샤프트 5: 서브샤프트
51: 제1샤프트 511: 핀
52: 제2샤프트 521: 장공
53: 걸림돌부 6: 지지구
61: 관통공 62: 홈부
63: 걸림부

Claims (9)

  1. 제방(1) 하부에 배치되어 제방(1) 내부에 구비되는 복통(11)과 연통되는 메인취수구(12)를 통해 취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방(1)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메인취수구(12)와 연통되고, 상면에 복수의 서브취수구(21)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
    상기 각 서브취수구(21)의 상부에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서브취수구(21)를 개폐하는 복수의 수문(3);
    최상부의 수문(3)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최상부의 수문(3)을 개폐하는 메인샤프트(4); 및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3)을 상호 연결하는 서브샤프트(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2. 제1항에서,
    상기 수문(3)은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3. 제1항에서,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 부근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2)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문(3)은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일부를 밀착하여 덮도록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22)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레일(22)에 삽입되는 가이드홈부(3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문(3)이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4. 제3항에서,
    상기 가이드홈부(31)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22)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5. 제1항에서,
    상기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서브취수구(21) 양측에는 노출형 사통파이프(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231) 및 상기 지지부(231) 상단에 서브취수구(21)의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는 걸림부(232)로 구성되는 고정부(2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문(3)은 양측이 상기 고정부(23)의 걸림부(232) 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6. 제5항에서,
    상기 수문(3)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걸림부(232)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문(3) 하면에는 지수판(3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8. 제1항에서,
    상기 서브샤프트(5)는 상하로 이웃하는 수문(3)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수문(3)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51)와 타측 수문(3)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52)가 서로 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샤프트(51)의 단부에는 핀(511)이 양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샤프트(52)의 단부에는 상기 핀(5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9. 제1항에서,
    각 수문(3)의 일측에는 중앙에 관통공(61)이 형성되고, 관통공(61)의 내주면을 따라 홈부(62)가 수문(3)의 수와 같거나 수문(3)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는 지지구(6)가 결합되고,
    상기 서브샤프트(5)는 각 지지구(6)의 관통공(61)을 관통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지지구(6)의 하측의 위치에 걸림돌부(53)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구(6)의 홈부(62) 중 어느 하나는 폐쇄되어 상기 걸림돌부(53)가 걸리는 걸림부(6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3)는 다른 지지구(6)의 걸림부(63)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통 노출형 슬루스 게이트.
KR1020150090919A 2015-06-26 2015-06-26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KR10175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19A KR101750440B1 (ko) 2015-06-26 2015-06-26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19A KR101750440B1 (ko) 2015-06-26 2015-06-26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29A true KR20170001229A (ko) 2017-01-04
KR101750440B1 KR101750440B1 (ko) 2017-07-03

Family

ID=5783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919A KR101750440B1 (ko) 2015-06-26 2015-06-26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544A (zh) * 2017-06-01 2017-10-20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河堤闸
KR101973525B1 (ko) 2018-11-21 2019-09-02 윤서진 저수지용 수문 보호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40Y1 (ko) 2005-11-21 2006-02-17 이진수 자동 및 수동 겸용 횡형 권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820B1 (ko) * 2015-02-25 2015-04-17 매이크앤 주식회사 차등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40Y1 (ko) 2005-11-21 2006-02-17 이진수 자동 및 수동 겸용 횡형 권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544A (zh) * 2017-06-01 2017-10-20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河堤闸
CN107268544B (zh) * 2017-06-01 2019-07-12 陈悦雯 一种河堤闸
KR101973525B1 (ko) 2018-11-21 2019-09-02 윤서진 저수지용 수문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440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750440B1 (ko)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CN110004935A (zh) 一种局部深坑导流排水沟系统及施工方法
US20070094952A1 (en) Basement wall water protection system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CN102031768A (zh) 一种新型农田涝渍防治装置及其应用技术
CN111691525B (zh) 一种下沉式广场的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1533377B1 (ko) 다중 슬루스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취수 장치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KR100597464B1 (ko)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CN212248623U (zh) 一种平原地区输水工程装配式排水阀井结构
CN114718169A (zh) 一种房屋建筑地下室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JP2627479B2 (ja) 貯溜量配分ゲート
CN208518126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剪力墙结构
KR100515083B1 (ko)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역류방지구조
CN208250859U (zh) 一种广场排水结构
CN217128279U (zh) 一种用于富水地层深基坑局部精准降水的简易工具
JP3182036U (ja) 浸透側溝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CN221169519U (zh) 一种致密气井有杆泵排水采气井口机构
CN217056584U (zh) 一种燃气短桩过排水沟处的防护结构
CN219794258U (zh) 一种地下室外墙的防水防渗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