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83U - 유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83U
KR20170001083U KR2020150006145U KR20150006145U KR20170001083U KR 20170001083 U KR20170001083 U KR 20170001083U KR 2020150006145 U KR2020150006145 U KR 2020150006145U KR 20150006145 U KR20150006145 U KR 20150006145U KR 20170001083 U KR20170001083 U KR 201700010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uid
inlet port
hollow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83U/ko
Publication of KR20170001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는,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는 유체 유입 포트,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급 호스, 상기 공급 호스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유체 유입 포트 및 상기 제1 커넥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fluid}
본 고안은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구비하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차량 내부에는 도어의 개방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룸 램프 및 지도나 책을 볼 때 이용할 수 있는 맵 램프 등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는 조명이나 신호를 위한 기능 외에도 차량의 외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더욱이, 야간에는 차량용 램프의 모양이 어떠한가에 따라 차량의 외관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성능뿐만 아니라, 차량용 램프의 외관 디자인이 점점 중요해짐에 따라 조명 기능 및 신호 기능을 요건을 만족시키면서 다양한 외관 디자인의 차량용 램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야간 운행시에 반드시 필요한 조명 장치로서 차종에 따라 조도, 조사 각도 및 조사 거리 등이 법규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차량 출고시에는 법규에 적합하도록 조절된 상태로 출하된다.
이때, 헤드 램프에 먼지나 이물질을 묻어있는 경우 원하는 만큼의 조도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외관 디자인의 구현이 어렵게 된다. 특히,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충분한 전방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방 도로의 상태나 장애물의 확인이 어렵게 되어 차량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최근에는 충분한 전방 시야의 확보와 만족스러운 외관 디자인의 구현 등을 위하여 차량용 램프의 일측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세척 장치는 세척액을 공급하는 장치와 결합되어 공급되는 세척액을 차량용 램프를 항하여 분사하게 된다.
또한, 세척 장치 또는 세척액을 공급하는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서는 용이한 분리가 가능해야 하므로 세척 장치와 세척액을 공급하는 장치 간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73900호(2006.04.26. 공고)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 사이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는,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는 유체 유입 포트,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급 호스, 상기 공급 호스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유체 유입 포트 및 상기 제1 커넥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유체 공급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는 유체 유입 포트와 유체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급 호스 사이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공급되는 유체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한 교체 또는 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입 포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 호스 및 제1 커넥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입 포트 및 제2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유체 공급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입 포트 및 제2 커넥터가 분리 가능한 상태의 유체 공급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결합된 세척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 및 세척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유체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100)는 유체 유입 포트(110), 공급 호스(120), 제1 커넥터(130) 및 제2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유체 공급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된 램프 등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 공급 장치(100)는 세척액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액체나 기체를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유체 유입 포트(110)는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며, 도 3과 같이 유체가 통과하여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유체 공급 장치(100)가 유체 유입 포트(11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 유입 포트(110)가 사전에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결합된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공급 호스(120)는 유체를 저장하는 장치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공급 호스(120)는 제1 커넥터(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30)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중공(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의 일측에는 공급 호스(120)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2)가 공급 호스(120)의 결합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2)의 개수나 형성 간격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2)가 제1 커넥터(130)의 외측면 일측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2)는 제1 커넥터(130)의 외측면 일측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2)는 도 4와 같이 첨단부(132a)가 제1 커넥터(130)의 외측면 타측을 향하도록 첨단부(132a)를 기준으로 양측 경사면이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공급 호스(120)가 제1 커넥터(130)에 결합될 때 공급 호스(120)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 공급 호스(120)가 제1 커넥터(130)로 분리되는 것은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1 커넥터(130)의 외측면 타측에는 제1 커넥터(130) 및 제2 커넥터(140)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33)은 제1 커넥터(13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34)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34)가 제1 중공(1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34)의 개수나 형성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130)는 전술한 도 4와 같이 제1 중공(131)의 일부의 단면적이 다른 일부의 단면적과 다르도록 단차를 가지는 단차부(13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차부(135)는 유체 유입 포트(100)의 일측이 제2 커넥터(140)를 통과하여 제1 커넥터(130)의 제1 중공(131)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커넥터(130)는 외측면의 가운데 부분에 격벽(1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격벽(136)은 제1 커넥터(130)의 일측이 공급 호스(120)에 삽입될 때 공급 호스(120)로 삽입되는 제1 커넥터(130)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2 커넥터(140)는 유체 공급 포트(110) 및 제1 커넥터(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급되는 유체가 변경되는 경우 제2 커넥터(140)를 유체 유입 포트(110)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제2 커넥터(140)는 제1 커넥터(130)와 유사하게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2 중공(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 유입 포트(110)의 일측은 제2 중공(141)을 통과하여 제1 중공(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유체 유입 포트(110)의 일측은 제1 커넥터(130)에 형성된 단차부(135)에 의해 삽입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커넥터의 제1 중공(131)의 일부는 도 5와 같이 유체 유입 포트(11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단차부(135)를 지나면서 단면적이 감소하여 유체 유입 포트(110)의 일측보다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유체 유입 포트(110)는 단차부(135)가 형성된 위치까지 삽입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체 유입 포트(110)의 일측 외측 둘레에는 유체 유입 포트(110)의 일측이 제1 커넥터(130)의 제1 중공(131)에 삽입되었을 때 유체 유입 포트(110)의 외측면과 제1 중공(131)의 내측면 사이의 빈 공간을 막아 유체가 외부로 새어 나가는 누수 현상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패킹 부재(112)로서 유체 유입 포트(110)에 형성된 삽입 홈(113)에 삽입되는 오-링(O-ring)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킹 부재(112)는 유체 유입 포트(110)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되거나 제1 커넥터(130)의 내측면에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커넥터(140)는 도 6과 같이 제1 커넥터(1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33)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42)는 전술한 제1 커넥터(1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34)에 대응되도록 제2 중공(141)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43)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넥터(14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42)가 제1 커넥터(1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33)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30)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33)이 형성되고, 제2 커넥터(140)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42)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커넥터(140)는 전술한 도 6과 같이 제1 커넥터(130)와 마주보는 제2 중공(141)의 외주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44)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44)는 제2 커넥터(140)와 마주보는 제1 중공(131)의 외주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137)에 삽입되어 제1 커넥터(130) 및 제2 커넥터(140)가 결합될 때 결합 위치를 가이드 하며, 제1 커넥터(130) 및 제2 커넥터(140)가 서로 고정되지 않아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2 커넥터(140)는 일측이 유체 유입 포트(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114)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는 제2 커넥터(14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46)에 의해 제2 커넥터(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걸림 홈(114)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유체 유입 포트(110)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걸림 홈(114)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의 일단은 걸림 홈(114)의 둘레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가 걸림 홈(114)에 걸릴 때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140)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의 일측이 걸림 홈(114)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147)는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도 7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가 걸림 홈(114)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체 유입 포트(110) 및 제2 커넥터(14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147)가 연결부(146)를 탄성 변형시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를 유체 유입 포트(110)의 삽입 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147)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45)를 탄성 변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공급 호스(120)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130), 유체 유입 포트(110) 및 제1 커넥터(130)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140)를 통해 유체 유입 포트(110)와 공급 호스(120) 간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교체 수리시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세척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세척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된 램프를 세척하는 세척 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다.
세척 장치(200)는 유체 유입 포트(110)와 결합되는 하우징(210) 내부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220)의 일단에 형성되는 노즐(230)로부터 본 고안의 유체 공급 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액이 분사되어 차량에 설치된 램프의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스톤(220)은 유체 공급 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액에 의한 유압에 의해 밀려나게 되어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노즐(230)이 차체 외부로 노출될 때 세척액을 분사하여 램프의 세척을 수행하게 되고, 램프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세척액의 공급이 중단으로 인한 유압이 제거되어 피스톤(22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노즐(230)이 차체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노즐(230)이 차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가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나 파손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노즐 커버(240)를 통해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시키게 된다.
즉, 노즐 커버(240)는 노즐(230)과 결합되어 피스톤(220)의 이동에 따라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유체 유입 포트
120: 공급 호스
130: 제1 커넥터
140: 제2 커넥터
200: 세척 장치

Claims (9)

  1. 유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결합되는 유체 유입 포트;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급 호스;
    상기 공급 호스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유체 유입 포트 및 상기 제1 커넥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외측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이 상기 공급 호스에 삽입될 때 삽입 거리를 제한하는 유체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제1 중공 및 제2 중공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유체 유입 포트는,
    일측이 상기 제2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유체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은,
    일부의 단면적이 다른 일부의 단면적과 다르도록 단차를 가지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유체 유입 포트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는 유체 공급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및 상기 제2 중공 중 어느 하나의 외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외주단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유체 공급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 포트의 외측면 및 상기 제1 중공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막는 패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는,
    오-링(O-ring)인 유체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유체 유입 포트에 형성된 걸림 홈에 일측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의 일측을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 장치.
KR2020150006145U 2015-09-15 2015-09-15 유체 공급 장치 KR201700010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45U KR20170001083U (ko) 2015-09-15 2015-09-15 유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45U KR20170001083U (ko) 2015-09-15 2015-09-15 유체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83U true KR20170001083U (ko) 2017-03-23

Family

ID=5849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145U KR20170001083U (ko) 2015-09-15 2015-09-15 유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8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00B1 (ko) 1998-05-20 2006-04-26 아. 레이몽 에 씨에 자동적인 조립 표시 장치가 마련된 분리가 가능한 신속커플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00B1 (ko) 1998-05-20 2006-04-26 아. 레이몽 에 씨에 자동적인 조립 표시 장치가 마련된 분리가 가능한 신속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40589A (zh) 方向燈裝置
CN105083106A (zh) 车辆的前部构造
KR20170001083U (ko) 유체 공급 장치
CN1331704C (zh) 灯装置
KR200473716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82129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79960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83958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74684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CN109774580A (zh) 用于车辆前照灯的透镜
JP2011148382A (ja) 車両用灯具の洗浄装置
CN101152862B (zh) 一种车辆前照灯清洗器
CN204236686U (zh) 一种摩托车后视镜灯密封结构
KR102132870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04272U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200494307Y1 (ko) 차량용 램프
JP4731890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CN207955500U (zh) 新能源电动车多功能一体行李架
CN208431707U (zh) 一种电瓶车的转向灯
CN106439727A (zh) 一种汽车尾灯灯罩
JP2011148350A (ja) 車両用灯具
CN210462544U (zh) 一种拼接式灯具
CN208134206U (zh) 高位制动灯总成、制动灯以及车辆
CN202863249U (zh) 车辆后车灯
KR200483557Y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