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70U - 자전거용 벨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70U
KR20170001070U KR2020150006135U KR20150006135U KR20170001070U KR 20170001070 U KR20170001070 U KR 20170001070U KR 2020150006135 U KR2020150006135 U KR 2020150006135U KR 20150006135 U KR20150006135 U KR 20150006135U KR 20170001070 U KR20170001070 U KR 201700010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ell
bicycle
strik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797Y1 (ko
Inventor
윤세형
Original Assignee
윤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세형 filed Critical 윤세형
Priority to KR2020150006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9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띠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로 나사결합시키되,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제조공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타종부재의 측부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종의 소리를 현저히 개선해 맑고 더 큰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자전거에 체결 및 사용이 편리한 자전거용 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자전거용 벨은 타종부재; 상기 타종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며, 측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종부재를 측면에서 타격시키는 타격돌기 및 상기 타격돌기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을 일체로 포함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는 상기 타종부재 및 타격부를 고정하며, 하부 일측에는 자전거의 핸들에 고정시키는 고정띠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타종부재는 측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단보다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하단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형성된 일직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5 ~ 10°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띠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로 나사결합시키되, 상기 너트는 상기 고정부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벨 {Bell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용 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띠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로 나사결합시키되,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제조공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타종부재의 측부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종의 소리를 현저히 개선해 맑고 더 큰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자전거에 체결 및 사용이 편리한 자전거용 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벨은 자전거 핸들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 주변에 장착 고정되며, 자전거 운행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자전거 사용자가 자전거 벨의 작동 레버 또는 스위치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눌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자전거 안전장치에 속한다.
자전거 벨의 경보음은 자전거 사용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주변에서 보행하는 사람들과 다른 자전거 사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 사용자와 자전거 주변의 보행자 모두가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용 벨은 자전거 탑승자가 길거리를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자전거 탑승자에게 피하라고 하거나 지나감을 알리는 소리로, 소리가 작으면 상대방이 듣지 못해 사고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맑고 큰 소리의 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존의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종은 탁하고 작은 소리가 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일반적인 벨은 고정부를 사출한 뒤,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기도 하는데, 이는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며, 너트가 외부로 보이게 되어 심미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전거를 운행하다 보면 자전거의 운행 속도 및 보행자와 자전거의 거리, 그리고 자전거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개인별로 다소 차이가 있어 자전거와 보행자 또는 자전거들끼리 서로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나 여성 등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위급한 상황에 대처 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사용자들은 자전거 벨을 작동시키지 못하고, 브레이크 레버만을 조작하다가 자전거가 다가오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 보행자들과 그대로 충돌하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자전거가 자신이 위치한 쪽으로 오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보행자들이 그대로 자전거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큰 상해를 입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위급한 상황에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까지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소리가 큰 자전거 벨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0552호(2010.06.0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고정띠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로 나사결합시키되,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제조공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타종부재의 측부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종의 소리를 현저히 개선해 맑고 더 큰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자전거에 체결 및 사용이 편리한 자전거용 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자전거용 벨은 타종부재; 상기 타종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며, 측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종부재를 측면에서 타격시키는 타격돌기 및 상기 타격돌기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을 일체로 포함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는 상기 타종부재 및 타격부를 고정하며, 하부 일측에는 자전거의 핸들에 고정시키는 고정띠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타종부재는 측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단보다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하단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형성된 일직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5 ~ 10°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띠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로 나사결합시키되, 상기 너트는 상기 고정부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벨은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 사출 시 미리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위치시켜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사출한 뒤, 상기 너트를 고정부 내부에 삽입시키는 공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미관상 너트가 고정부 외부로 보이지 않으므로, 심미감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종부재의 하단을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종을 치게 되면 종 안에서 공명을 통해 소리가 울리게 되는데,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종에 비해 소리가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므로, 맑고 더 큰 소리가 난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타격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자전거의 원하는 위치 어느 곳에나 자전거용 벨을 고정시켜도 상기 타격부를 회전시켜 타격돌기의 손잡이를 사용하기 편한 곳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자전거용 벨을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하우스의 중앙에 구비된 중심돌기축의 하부에 스프링 고정볼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중심돌기축의 부피가 외측으로 미세하게 증가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볼트가 기둥역할을 하므로, 중심돌기축에 단지 코일스프링만을 압입하여 고정시켰을 때 사용 시 외력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중심이 변형되어 타종부재의 타격되는 부분이 달라져 자전거용 벨의 소리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전거 용 벨 사용 시 항상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띠는 말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구 사이는 폭이 상기 고정구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구를 관통하며 직선 형태로 형성된 연결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띠를 고정하는 볼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고정띠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인 복수개의 고정구의 사이를 잇는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고정띠에서 볼트를 다른 고정구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 볼트 전체를 탈거하지 않아도 상기 연결구를 통해 다른 고정구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볼트를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종부재 체결볼트는 타종부재, 타격부 및 고정부를 관통하며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에 형성된 회전방지구 및 이에 대응하도록 고정부에 형성된 걸림구에 의해,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가 체결된 후 상기 회전방지구 및 걸림구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시 상기 자전거용 벨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벨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벨을 자전거에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벨(1)은 타종부재(10); 상기 타종부재(10)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며, 측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종부재(10)를 측면에서 타격시키는 타격돌기(21) 및 상기 타격돌기(21)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22)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코일스프링(2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하우스(23) 및 상기 스프링하우스(23)의 중앙에 구비된 중심돌기축(23a)의 하부에 체결되는 스프링 고정볼트(24)를 더 포함하는 타격부(20); 상기 타격부(20)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는 상기 타종부재(10) 및 타격부(20)를 고정하며, 하부 일측에는 자전거의 핸들에 고정시키는 고정띠(31)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타종부재(10)를 상기 타격부(20) 및 고정부(30)에 체결하는 타종부재 체결볼트(11)와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를 하부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부(30)의 하부에서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의 하부 일측에는 기설정된 간격만큼 절단된 회전방지구(11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에서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가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회전방지구(11a)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걸림구(11b)가 형성되어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의 체결 후 회전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타종부재(10)는 측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단보다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하단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형성된 일직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5 ~ 10°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단의 말단은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단을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종을 치게 되면 종 안에서 공명을 통해 소리가 울리게 되는데,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종에 비해 소리가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므로, 맑고 더 큰 소리가 난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 자전거용 벨의 소리 크기 비교를 위하여, 본원고안의 자전거용 벨인 실시예 1과 일반 자전거용 벨인 비교예 1을 각각 소리가 나도록 한 뒤, 데시벨측정기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자전거용 벨의 소리 크기 비교
Figure utm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6 dB이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된 바, 본원고안의 자전거용 벨이 일반 자전거용 벨에 비해 더 큰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전거용 벨(1)은 자전거 탑승자가 길거리를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자전거 탑승자에게 피하라고 하거나 지나감을 알리는 소리로, 소리가 작으면 상대방이 듣지 못해 사고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맑고 큰 소리의 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전거용 벨(1)이 맑고 큰 소리가 나므로 자전거용 벨(1)에 적합하도록 고안되었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하단이 외측으로 5 ~ 10°기울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10°를 초과할 경우 종을 치게 되었을 때 소리가 너무 커져 상대방의 불쾌감 및 오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5°미만일 경우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종과 큰 차이가 없어 탁하고 작은 소리가 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타종부재(10)와 타종부재 체결볼트(11) 체결 시 접촉되는 부분 즉, 상기 타종부재(10)의 상측 및 하측에 고무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가 상기 타종부재(1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의 소리를 더욱 좋게 하여 맑고 큰 소리를 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타격돌기(21)는 손잡이(21a)와 충돌돌기(21b)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타격돌기(21)와 타종부재(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자전거용 벨(1)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1a)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타격돌기(21)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22)에 의해 상기 충돌돌기(21b)가 상기 타종부재(10)를 타격시켜 소리가 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2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하우스(23)의 중앙에 구비된 중심돌기축(23a)에 단지 코일스프링(22)만을 압입하여 고정시킨 후 자전거용 벨을 반복 사용하게 되면 상기 타격돌기(21)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22)의 중심이 변형되어 상기 타종부재(10)의 타격되는 부분이 달라져 자전거용 벨의 소리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원고안은 스프링 고정볼트(2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중심돌기축(23a)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 고정볼트(24)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중심돌기축(23a)의 부피가 외측으로 미세하게 증가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볼트(24)가 기둥역할을 하므로, 상기에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전거용 벨(1) 사용 시 항상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20)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자전거의 원하는 위치 어느 곳에나 자전거용 벨(1)을 고정시켜도 상기 타격부(20)를 회전시켜 상기 타격돌기(21)의 손잡이(21a)를 사용하기 편한 곳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자전거용 벨(1)을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고정띠(31)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32)와 너트(33)로 나사결합시키되, 상기 너트(33)는 상기 고정부(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타종부재(10) 및 타격부(20)를 고정하는 상부는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띠(31)는 사용자가 자전거의 핸들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유연한 상기 상부보다 강도가 낮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32)와 너트(33)는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쇠를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너트(33)를 상기 고정부(30) 내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30) 사출 시 미리 너트(33)를 고정부(30) 내부에 위치시켜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상기 고정부(30)를 사출한 뒤, 상기 너트(33)를 고정부(30) 내부에 삽입시키는 공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미관상 너트(33)가 고정부(30) 외부로 보이지 않으므로, 심미감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띠(31)는 말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31a)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구(31a) 사이는 폭이 상기 고정구(31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구(31a)를 관통하며 직선 형태로 형성된 연결구(31b)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띠(31)를 고정하는 볼트(3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고정띠(31)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32)가 삽입되는 구멍인 복수개의 고정구(31a)의 사이를 잇는 연결구(31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고정띠(31)에서 볼트(32)를 다른 고정구(31a)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 볼트(32) 전체를 탈거하지 않아도 상기 연결구(31b)를 통해 다른 고정구(31a)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볼트(32)를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31a)의 기설정된 간격은 0.2 ~ 0.5 ㎜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고정구(31a)의 사이 간격이 0.5 ㎜를 초과하는 경우는 자전거용 벨을 자전거에 고정 시 세밀한 간격조절이 어려워 밀착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0.2 ㎜ 미만인 경우 각각의 고정구(31a) 사이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며 제조 공정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는 상기 타종부재(10), 타격부(20) 및 고정부(30)를 관통하며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에 형성된 회전방지구(11a) 및 이에 대응하도록 고정부(30)에 형성된 걸림구(11b)에 의해,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가 체결된 후 상기 회전방지구(11a) 및 걸림구(11b)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시 상기 자전거용 벨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에서 회전방지구(11a)가 형성되는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회전방지구(11a)와 대응되는 고정부(30)에 형성된 걸림구(11b)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자전거용 벨(1)은 사용자가 자전거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띠(31)를 위치시키고, 볼트(32)를 고정구(31a)에 삽입한 뒤 고정부(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너트(33)에 나사결합시킨다. 이후 타격부(2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타격돌기(21)의 손잡이(21a)를 사용하기 편리한 곳으로 이동시켜 손잡이(21a)의 위치를 조절하고, 사용자가 손잡이(21a)에 외력을 가하면 타격돌기(21)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22)에 의해 타격돌기(21)의 충돌돌기(21b)가 타종부재(10)를 타격하며 소리가 울리게 된다.
1 : 자전거용 벨
10 : 타종부재
11 : 타종부재 체결볼트
11a : 회전방지구
11b : 걸림구
12 : 고정볼트
20 : 타격부
21 : 타격돌기
21a : 손잡이
21b : 충돌돌기
22 : 코일스프링
23 : 스프링하우스
23a : 중심돌기축
24 : 스프링 고정볼트
30 : 고정부
31 : 고정띠
31a : 고정구
31b : 연결구
32 : 볼트
33 : 너트

Claims (5)

  1. 타종부재(10);

    상기 타종부재(10)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며, 측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종부재(10)를 측면에서 타격시키는 타격돌기(21) 및 상기 타격돌기(21)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22)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코일스프링(2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하우스(23) 및 상기 스프링하우스(23)의 중앙에 구비된 중심돌기축(23a)의 하부에 체결되는 스프링 고정볼트(24)를 더 포함하는 타격부(20);

    상기 타격부(20)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는 상기 타종부재(10) 및 타격부(20)를 고정하며, 하부 일측에는 자전거의 핸들에 고정시키는 고정띠(31)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타종부재(10)를 상기 타격부(20) 및 고정부(30)에 체결하는 타종부재 체결볼트(11)와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를 하부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부(30)의 하부에서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의 하부 일측에는 기설정된 간격만큼 절단된 회전방지구(11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에서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가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회전방지구(11a)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걸림구(11b)가 형성되어 상기 타종부재 체결볼트(11)의 체결 후 회전을 방지하는 자전거용 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종부재(10)는,
    측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단보다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하단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형성된 일직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5 ~ 10°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고정띠(31)를 자전거의 핸들에 맞도록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32)와 너트(33)로 나사결합시키되, 상기 너트(33)는 상기 고정부(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31)는,
    말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31a)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구(31a) 사이는 폭이 상기 고정구(31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구(31a)를 관통하며 직선 형태로 형성된 연결구(31b)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띠(31)를 고정하는 볼트(3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돌기(21)는,
    손잡이(21a)와 충돌돌기(21b)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타격돌기(21)와 타종부재(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자전거용 벨(1)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1a)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타격돌기(21)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22)에 의해 상기 충돌돌기(21b)가 상기 타종부재(10)를 타격시켜 소리가 울리게 되는 자전거용 벨.
KR2020150006135U 2015-09-14 2015-09-14 자전거용 벨 KR200483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35U KR200483797Y1 (ko) 2015-09-14 2015-09-14 자전거용 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35U KR200483797Y1 (ko) 2015-09-14 2015-09-14 자전거용 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0U true KR20170001070U (ko) 2017-03-22
KR200483797Y1 KR200483797Y1 (ko) 2017-06-26

Family

ID=5849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135U KR200483797Y1 (ko) 2015-09-14 2015-09-14 자전거용 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2174A1 (en) * 2019-04-15 2020-10-22 Royal Danish Vendors A/S Bicycle be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81U (ja) * 1992-06-12 1994-03-01 株式会社東京ベル製作所 ベル装置
JP2001206266A (ja) * 2000-01-28 2001-07-31 Tokyo Bell Seisakusho:Kk ベル装置
KR20100060552A (ko) 2008-11-27 2010-06-07 배주현 방향지시 자전거 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81U (ja) * 1992-06-12 1994-03-01 株式会社東京ベル製作所 ベル装置
JP2001206266A (ja) * 2000-01-28 2001-07-31 Tokyo Bell Seisakusho:Kk ベル装置
KR20100060552A (ko) 2008-11-27 2010-06-07 배주현 방향지시 자전거 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2174A1 (en) * 2019-04-15 2020-10-22 Royal Danish Vendors A/S Bicycle b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97Y1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2429S1 (en) Wheel cap for an automobile
AU2017200615B2 (en) Bell for a bicycle
JP7288706B2 (ja) 車両ブレーキグリップ用ブレーキ警告トリガー装置
KR200483797Y1 (ko) 자전거용 벨
CN108454745A (zh) 用于固定到自行车的车把的击打铃
USD504378S1 (en) Vehicle wheel
KR200483796Y1 (ko) 자전거에 체결이 용이한 자전거용 벨 거치대
EP2230161B1 (en) Bicycle bell in the vicinity of brake lever
CN208585356U (zh) 用于固定到支撑件的击打铃
USD502908S1 (en) Vehicle wheel
US20100236469A1 (en) Bicycle bell in the vicinity of brake lever
DE602007001491D1 (de) Sicherheitsvorrichtung, die einen Überrollbügel umfasst, der mit einem Überhang ausgestattet ist, und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USD521919S1 (en) Vehicle wheel
EP1264972B1 (en) Retractable ornament assembly for an exhaust pipe of a vehicle
EP1939858B1 (en) Bell and brake lever combination for bicycle
KR20120110260A (ko) 자전거 벨
USD460397S1 (en) Vehicle wheel
KR0117790Y1 (ko) 자전차용 벨장치
AU2013213962B2 (en) A bell for a bicycle
KR200403002Y1 (ko) 장갑용 경음기
JP5006985B1 (ja) 自転車警報装置
KR200164449Y1 (ko) 자전차용 경음기
JP3167388U (ja) 耳保護具付きヘルメット
USD471499S1 (en) Vehicle wheel
ATE281256T1 (de) Stanz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