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86U - 전지 팩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지 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86U
KR20170000586U KR2020177000006U KR20177000006U KR20170000586U KR 20170000586 U KR20170000586 U KR 20170000586U KR 2020177000006 U KR2020177000006 U KR 2020177000006U KR 20177000006 U KR20177000006 U KR 20177000006U KR 20170000586 U KR20170000586 U KR 201700005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sheet
battery pack
heat
therm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700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795Y1 (ko
Inventor
라이언 제이 웨인
조너썬 앤드류 테일러
마틴 데이빗 스멀크
Original Assignee
그라프텍 인터내셔널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프텍 인터내셔널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그라프텍 인터내셔널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0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90/3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는 대향하는 양 주면을 가지고 하우징 내부에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각기둥형 전지로부터 열을 끌어낸다. 열 관리 조립체는 압축된 박리 흑연 입자 덩어리의 시트로 제조되는 복수의 열전달 시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전달 시트는 각기둥형 전지 중 적어도 하나의 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판은 상면과 저면을 가지며 복수의 열전달 시트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측벽을 포함하며 열전달 시트는 만곡형 측벽 위로 절곡된다. 열전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히트 싱크와 상면 사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전지 팩 조립체{BATTERY PACK ASSEMBLY}
전지와 셀은 당 업계에 잘 알려진 중요한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 전지와 셀은 통상적으로 전극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을 포함한다. 리튬 이온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팩은 충전이 가능하고 기억 효과(memory effect)를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 용례 및 다양한 전자장치용으로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전지가 장기간 동안 전하를 유지하도록 하려면 최적 작동 온도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저장하고 작동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작동 온도를 개선하여 최장 가능 수명 주기, 정격용량, 공칭 충방전율을 보장하기 위해 종래의 전지 팩 조립체에 개선을 가할 여지가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대향하는 양 주면(main surface)을 가지고 하우징 내부에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복수의 각기둥형(prismatic) 전지로부터 열을 끌어내기 위한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가 제공된다. 열 관리 조립체는 압축된 팽창 천연 흑연 시트로 제조되는 복수의 열전달 시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전달 시트는 각기둥형 전지 중 적어도 하나의 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판은 상면과 저면을 가지며 복수의 열전달 시트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측벽을 가지며, 열전달 시트는 만곡형 측벽 위로 절곡된다. 각각의 열전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히트 싱크(heat sink)와 상면 사이에 고정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대향하는 양 주면을 가지고 하우징 내부에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복수의 각기둥형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팩 열 관리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각기둥형 전지 중 적어도 하나의 주면과 접촉하도록 열전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전달 시트는 압축된 팽창 천연 흑연 시트로 제조된다. 커버 판은 하우징 위에 배치된다. 커버 판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열전달 시트는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개구는 만곡형 측벽을 포함한다. 열전달 시트는 만곡형 측벽 위로 절곡되며 히트 싱크는 커버 판에 고정되어 열전달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히트 싱크와 커버 판 사이에 유지한다.
도 1은 전지 팩 조립체의 등측도이다.
도 2는 전지 팩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과 보호 커버가 제거된 전지 팩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과 보호 커버가 제거된 전지 팩의 등측도이다.
도 5는 커버 판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커버 판, 히트 싱크 및 열전달 시트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대형의 각기둥형 리튬-이온 셀은 종래의 각기둥형 또는 원통형 셀에 비해 어느 정도의 장점을 가진다. 크고 평평한 형상으로 인해 에너지 밀도가 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다중 셀 팩의 설계, 구성 및 열 관리가 실질적으로 간단해진다. 전기적으로, 전지 팩 조립체는 전압을 합산하기 위해 복수의 각기둥형 리튬-이온 셀을 직렬로 조립하거나 용량을 늘리는 병렬로 조립함으로써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기둥형 리튬-이온 셀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기둥형 형상이고 약 1 mm 내지 약 10 mm의 두께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셀은 약 3 mm 내지 약 6 mm의 두께를 가진다. 전지 팩의 일 실시예에서, 각기둥형 리튬-이온 전지는 대향하는 양 주면을 가지며, 각각의 주면의 점유 면적은 적어도 8 제곱인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 제곱인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점유 면적은 약 49 제곱인치 내지 약 400 제곱인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점유 면적은 약 16 제곱인치 내지 약 2500 제곱인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0 제곱인치 내지 약 1600 제곱인치이다.
각각의 전지 셀의 케이스는 경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케이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케이스는 알루미늄 포일 적층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전지 셀 케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 내지 약 200 ㎛의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 포일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포일 적층 플라스틱 필름은 약 30 ㎛ 내지 약 100 ㎛의 두께를 가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포일 적층 플라스틱 필름은 약 40 ㎛ 내지 약 50 ㎛의 두께를 가진다. 양극 전극은 리튬-이온 양극 전극일 수 있고 음극 전극은 리튬-이온 음극 전극일 수 있으며 전해질은 리튬-이온 전해질일 수 있다. 또한 전해질은 액체 리튬-이온 전해질이거나 폴리머 리튬-이온 전해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튬-이온 셀은 200 wh/kg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wh/kg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20 wh/kg보다 큰 비에너지 밀도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형 리튬-이온 셀은 적어도 450 wh/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wh/L,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10 wh/L,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20 wh/L의 에너지 밀도를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형 리튬-이온 전지 팩은 적어도 0.5 kWh, 보다 바람직하게는 4 kWh,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6 kWh,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4 kWh,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3 kWh,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kWh의 에너지 저장 용량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셀" 또는 "전지 셀"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음극 전극과, 전해질과, 분리막으로 구성되는 전기화학 셀을 의미한다. 용어 "셀"과 "전지 셀"은 호환 사용된다. "전지" 또는 "전지 팩"은 세 개 이상의 셀로 제조되는 전기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 용어 "전지"와 "전지 팩"은 호환 사용된다.
대형 각기둥형 셀은 유리하게는 적층 구성의 전지 팩으로 조립되며, 각각의 셀의 주면은 인접한 셀의 주면에 대면한다. 이 적층 배열은 에너지 밀도를 최대화하지만, 열을 셀로부터 멀리 전달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는 전지 팩의 외면 중 하나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전지 팩의 내부 셀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열 전도성 시트 또는 판, 즉 "열전달 시트"가 적층된 각기둥형 전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열전달 시트는 시트의 면내 열 구배를 저감하고 팩의 주변이나 히트 싱크로 직접 열을 수송함으로써 셀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 팩 조립체가 참조번호 10으로 일괄 표기되어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10)는 상부 개구(14)를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주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셀(16)이 하우징(12)의 내부 체적 내에 배치된다. 커버 판(18)이 상부 개구(14)에 배치되어 주 하우징(12)의 내부 체적을 실질적으로 밀봉한다. 커버 판(18)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2)과 커버 판(18)은 모두 유리하게는 차량 내에서 통상적으로 직면하는 진동과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히트 싱크(20)가 커버 판(18)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는 핀(fin)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20)는 예컨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열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20)는 흑연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는 압축된 팽창 천연 흑연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된 팽창 천연 흑연은 수지 함침될 수 있다. 이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20)는 그 내부에 캡슐화된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20)는 열전달 유체가 통과하여 유동하는 냉각판 또는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20)는 장치의 외면 또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커버(22)는 주 하우징(12)의 상부(14)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버(22)는 단면이 일반적으로 반원형일 수 있고 종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채널(24)이 보호 커버(22)와 커버 판(18) 사이에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공기나 다른 가스가 채널(24)을 통해 전달되어 히트 싱크(20)로부터 열 에너지를 끌어낼 수 있다.
이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2)의 내부를 보다 분명히 보여주기 위해 하우징(12)과 보호 커버(22)가 제거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셀(16)이 하우징(12) 내부에 적층 구성으로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지 셀 적층체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적층체 배열도 물론 가능하다. 예컨대 전지 팩 조립체(10)는 단 하나의 적층체나 셋 이상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지 셀 적층체는 해당 적층체와 유효하게 열 접촉하는 관련 히트 싱크(2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일 히트 싱크(20)가 둘 이상의 전지 셀 적층체와 유효하게 열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흑연계 열전달 시트(26)가 각각의 적층체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전지 셀(16)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 시트(26)는 적층체의 각각의 전지 셀(16) 사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각각의 적층체의 전지 셀(16) 사이에 하나씩 걸러 배치된다. 이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열전달 시트(26)에 대면하는 전지 셀(16)의 주면의 적어도 70%와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열전달 시트(26)에 대면하는 전지 셀(16)의 주면의 적어도 90%와 접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열전달 시트(26)에 대면하는 전지 셀(16)의 실질적으로 전체 주면과 접촉한다.
각각의 열전달 시트(26)는 선택적으로 얇은 시트형일 수 있고 대향하는 두 주면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약 2 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약 1 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는 약 0.5 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달 시트(26)는 압축된 박리 흑연(exfoliated graphite) 입자 덩어리의 시트, 흑연화 폴리이미드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각각의 열전달 시트(26)는 (대략 25℃의 실온에서의 시험을 위한 옹스트롬 방법을 사용하여) 약 실온에서 약 250 W/mK보다 큰 면내 열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의 면내 열 전도도는 적어도 약 400 W/mK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의 면내 열 전도도는 적어도 약 550 W/mK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면내 열 전도도는 적어도 250 W/mK 내지 적어도 약 1500 W/mK일 수 있다. 열전달 시트 중 적어도 하나는 알루미늄의 면내 열 전도도의 적어도 약 두 배인 면내 열 전도도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열전달 시트(26)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면내 열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면내 열 전도도의 임의의 조합이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흑연 시트재는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15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흑연 시트재는 20 마이크로미터 내지 4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흑연 시트 및 시트 제조 방법은 예컨대 그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특허 제5,091,025호와 제 3,404,0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열전달 시트(26)가 수지 보강될 수 있다. 수지는 예컨대 열전달 시트(26)의 강성 및/또는 열전달 시트(26)의 불투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지 보강과 조합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하나 이상의 열전달 시트(26)는 탄소 및/또는 흑연 섬유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전달 시트(26)는 열전달 시트(26)를 보조하거나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시트(26)는 열 확산을 위해 팩에 사용되는 종래의 재료(예컨대 알루미늄)보다 정합성이 높은 재료이다. 열전달 시트(26)의 사용은 종래의 열전달 시트용 재료와 셀(16)에 비해 열전달 시트(26)와 셀(16) 사이의 경계면 열의 열전달 저항을 저감한다. 열전달 시트(26)가 정합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편평하지 않은 주면을 갖는 셀(16) 사이의 경계면 열의 열전달은 종래의 재료보다 양호하다. 정합성과 이를 통한 경계면 열의 열전달의 저감으로 인해, 종래의 재료의 경계면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바와 달리 열전달 시트(26)의 표면에 열 전도성 그리스 또는 페이스트를 도포할 필요성을 저감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셀 사이의 전기적 격리가 바람직한 경우에는, 열전달 시트(26)는 선택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 주면이 전기 절연 필름으로 코팅될 수 있되, 필름은 열전달 시트(26)에 대한 열전달을 현저히 방해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실질적으로 얇다. 이런 필름의 예로는 PET 및 폴리이미드 필름이 있다. 열전달 시트는 열 전도도를 실질적으로 저감하지 않고서 최소 가능 절곡 반경을 저감하는 것을 돕기 위해 파형 형성이나 널링과 같은 표면 처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시트(26)는 선택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 주면이 필름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되, 접착제층은 열전달 시트에 대한 열전달을 현저히 방해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얇다.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박리 라이너 상에 공급되는 열전달 시트(26)의 사용은 개개의 전지 셀에 대한 "박리 부착식(peel and stick)" 도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지 팩의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또한 필름 접착제를 포함하는 열전달 시트(26)와 조립되는 전지 팩은 종래의 열전달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팩 구성에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바와는 달리, 관성력과 진동 하에서 셀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합물(예컨대,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팅할 필요성을 저감하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 열전달 시트(26) 사이 또는 열전달 시트(26)와 인접 셀(16)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변화 물질층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 열전달 시트(26) 사이 또는 열전달 시트(26)와 인접 셀(16)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변화 물질층으로 완전히 충전된다. 이들 실시예나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 사이 또는 열전달 시트(26)와 인접 셀(16) 사이의 공간의 실질적으로 전부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상변화 물질은 자유 유동성일 수 있고 열전달 시트(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변화 물질은 담지 매트릭스에 물리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변화 물질은 압축된 박리 흑연 매트 또는 탄소 발포체에 흡수되어 담지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전지 팩의 온도 변화의 규모와 속도를 저감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변화 물질의 융점 범위는 유리하게는 전지 팩 내부의 전지 셀의 권장 작동 온도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적절한 상변화 물질의 예로는 파라핀 왁스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 중 하나 이상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추가로 복합재일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열전달 시트는 상변화 물질이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흑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자유 유동성일 수 있고 흑연 시트에 포함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변화 물질은 대향하는 양측 흑연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담지 매트릭스에 물리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변화 물질은 압축된 박리 흑연 매트 또는 탄소 발포체에 흡수되고 담지될 수 있다. 대안예에서, 복합재는 상변화 물질이 흡수된 단일 담지 매트릭스층에 고정되는 단일 흑연 시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상변화 물질이 흡수된 단일 흑연 시트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열전달 시트(26)는 셀(16) 적층체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갭이 셀 적층체와 커버 판(18)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에어 갭은 절연재 또는 여타의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과 커버 판(18)은 에어 갭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열전달 시트(26)는 하나 이상의 열전달 시트(26)가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크기가 설정되는 안내 개구(30)를 통해 셀 적층체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열전달 시트(26)마다 단 하나의 안내 개구(30)가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안내 개구(30)가 두 개 이상의 열전달 시트(26)를 수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안내 개구(30)가 만곡형 측벽(32)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만곡형 측벽(32)은 커버 판(18)의 저면(34)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다가 커버 판(18)의 상면(36)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만곡형 측벽(32)의 반경은 약 1 mm 내지 약 10 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경은 약 1 mm 내지 약 5 mm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나 다른 실시예에서, 반경은 약 10 mm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경은 약 5 mm 미만이다. 열전달 시트의 균열을 방지하려면 만곡형 측벽(32)의 반경은 열전달 시트(26)의 최소 절곡 반경보다 커야 한다. 열 전도도는 구조의 균열이나 여타의 와해 없이 흑연 시트를 연속적인 형태로 유리하게 유지함으로써 향상된다.
안내 개구(30) 내부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커버 판(18)의 저면(34)에 대체로 수직인 구성으로부터 커버 판(18)의 상면(36)에 대체로 평행하고 수평을 이루는 구성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로써 열전달 시트(26)는 히트 싱크(20)의 저면(38)과 커버 판(18)의 상면(3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열전달 시트(26)는 전지 셀(16)의 적어도 하나의 주면 및 히트 싱크(20)의 저면(38)과 유효하게 열 접촉한다. 이런 식으로, 열전달 시트(26)는 전지 셀(16)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히트 싱크(20)로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고 전도할 수 있는데, 그 후 열 에너지는 주위 공기로 전달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상의 전지 팩 조립체(10)는 유리하게는 하기 방법에 따라 조립될 수 있다. 셀(16)과 열전달 시트(26)는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열전달 시트(26)는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판(18)은 상향 연장되는 열전달 시트(26)가 안내 개구(30)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판(18)은 열전달 시트(26)가 커버 판(18)의 저면(34)과 상면(36) 모두에 수직하게 안내 개구(30)를 통해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2) 상으로 하강된다. 열전달 시트(26)는 비교적 가요성이기 때문에 원위치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는 커버 판(18)에 히트 싱크(20)를 설치함과 동시에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커버 판(18)의 상면(36)에 근접하게 히트 싱크를 먼저 배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히트 싱크(20)는 "D"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열전달 시트(26)와 접촉하여 열전달 시트를 커버 판(20)의 상면(36)에 대고 편평하게 절곡한다. 일단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히트 싱크(20)는 커버 판(18)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26)의 일면은 접착성 코팅(40)을 포함한다. 히트 싱크(20)의 설치 중에 열전달 시트(26)를 절곡하는 대신에, 열전달 시트(26)는 맨드릴이나 다른 물체에 의해 만곡형 측벽(32) 위로 절곡될 수 있고 접착성 코팅(40)이 만곡형 측벽(32) 및 상면(36)과 접촉할 때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히트 싱크(20)가 절곡된 열전달 시트(26)에 바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개시가 전부 전지 팩 조립체의 한 면에 히트 싱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긴 하지만, 히트 싱크는 한 면보다 많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열전달 시트는 각각의 히트 싱크가 어떤 면에 배치되든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크기가 설정된다.
이상의 개시가 전지 셀 적층체에서 과잉 열을 제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긴 하지만, 열 관리는 적층체에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예컨대 지나치게 차가운 셀은 방전률이 낮으므로 충전 전에 데워져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셀이 손상될 수 있다. 예컨대 히트 싱크와 열 접촉하는 열원이 열류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역전시킨다면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이런 가열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열원은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열전달 시트의 열 확산 기능이 가열의 균일성 및 이에 따른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인용한 모든 특허 및 공개의 개시는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임의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본 고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설명을 정독하는 중에 숙련된 기술자가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변형 및 변경을 상세히 열거하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일체의 변경 및 변형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데 효과적인 임의의 배열과 순서로 표시된 요소와 단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 전지 팩 조립체 12: 하우징
14: 상부 개구 16: 전지 셀
18: 커버 판 20: 히트 싱크
22: 보호 커버 24: 공기 채널
26: 열전달 시트 30: 안내 개구
32: 만곡형 측벽

Claims (7)

  1. 대향하는 주면을 가지고 하우징 내부에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복수의 전지로부터 열을 끌어내기 위한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로서,
    압축된 박리 흑연(exfoliated graphite) 입자 덩어리의 시트 또는 흑연화 폴리이미드 시트로 제조되고 각각 각기둥형 전지의 적어도 하나의 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열전달 시트;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시트의 일부가 상기 만곡형 측벽 위로 절곡되는 커버 판; 및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열전달 시트의 일부는 상기 히트 싱크의 제1 표면과 상기 커버 판의 만곡된 부분 사이에 고정되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형 측벽은 약 1 mm 내지 약 10 mm의 반경을 갖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적어도 약 250 W/mK의 면내 열 전도도를 갖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적어도 약 400 W/mK의 면내 열 전도도를 갖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 중 하나는 적층체 내의 각각의 인접 전지 쌍 사이에 배치되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열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고 핀(fin)을 포함하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열전달 매체가 통과하여 유동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전지 팩 열 관리 조립체.
KR2020177000006U 2011-08-14 2012-08-13 전지 팩 조립체 KR2004857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3365P 2011-08-14 2011-08-14
US61/523,365 2011-08-14
PCT/US2012/050551 WO2013025595A1 (en) 2011-08-14 2012-08-13 Battery pack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7000016U Division KR200482882Y1 (ko) 2011-08-14 2012-08-13 전지 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86U true KR20170000586U (ko) 2017-02-14
KR200485795Y1 KR200485795Y1 (ko) 2018-02-22

Family

ID=477154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7000016U KR200482882Y1 (ko) 2011-08-14 2012-08-13 전지 팩 조립체
KR2020177000006U KR200485795Y1 (ko) 2011-08-14 2012-08-13 전지 팩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7000016U KR200482882Y1 (ko) 2011-08-14 2012-08-13 전지 팩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3784B2 (ko)
KR (2) KR200482882Y1 (ko)
CN (1) CN203950846U (ko)
DE (1) DE212012000139U1 (ko)
WO (1) WO2013025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6588B2 (en) 2013-07-30 2016-11-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with cooling features
US9312580B2 (en) * 2013-07-30 2016-04-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US11128005B2 (en) * 2013-07-30 2021-09-2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Lithium ion battery with lead acid form factor
WO2015031061A1 (en) * 2013-08-26 2015-03-05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Electronic device thermal management system
US9780418B2 (en) 2013-10-28 2017-10-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ell thermal management using carbon-based thermal films
KR101690573B1 (ko) 2014-08-29 2016-12-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의 가요성 케이스에 부착되기 위한 라벨, 이 라벨이 부착된 리튬 이차전지 및 이 리튬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DE102014016623B4 (de) * 2014-10-24 2023-10-05 Audi Ag Energiespeicher,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nergiespeichers
FR3030125B1 (fr) * 2014-12-12 2016-12-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de batterie et antenne de vehicule associee
KR101780037B1 (ko) 2015-04-22 2017-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7044712A1 (en) 2015-09-11 2017-03-16 Laird Technologies, Inc. Devices for absorbing energy from electronic components
CN105449308A (zh) * 2015-12-10 2016-03-30 华南理工大学 一种应用高导热泡沫碳材料的三明治动力电池布置装置
EP3446347A4 (en) * 2016-04-20 2019-12-25 Corvus Energy Inc. BATTERY CELL CARRIERS AND HOUSING FOR STACKED ARRANGEMENT WITH SEVERAL BATTERY CELL CARRIERS
US10985416B2 (en) * 2016-07-01 2021-04-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hermal conduction sheet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same
WO2018022907A1 (en) * 2016-07-27 2018-02-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ell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EP3780145A3 (de) 2017-04-03 2021-11-17 hofer powertrain innovation GmbH Traktionsakkumulator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mit benachbart angeordneten lithium-ionen-sekundärze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traktionsakkumulators
DE202017101961U1 (de) 2017-04-03 2018-07-04 Hofer Mechatronik Gmbh Traktionsakkumulator, insbesondere länglicher Bauart mit benachbart angeordneten Lithium-Ionen-Sekundärzellen
KR102258174B1 (ko) 2017-04-26 2021-05-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727550B2 (en) 2017-11-13 2020-07-28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End of train (EOT) system having temperature control for optimized battery charging
DE102017129249B4 (de) * 2017-12-08 2019-11-28 Lisa Dräxlmaier GmbH Kühlvorrichtung, system, fahrzeug
CN108550720A (zh) * 2018-03-16 2018-09-18 深圳市前海星火同为科技有限公司 一种航海用防腐蚀大容量蓄电池及制造方法
KR102591516B1 (ko) * 2018-04-17 2023-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E102018210645A1 (de) * 2018-06-28 2020-01-02 Sgl Carbon Se Batteriemodul und dessen Verwendung
KR20210095206A (ko) 2018-11-30 2021-07-30 젠썸 인코포레이티드 열전 공조 시스템 및 방법
DE102019121964B4 (de) * 2019-08-15 2024-03-2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moduls einer Kraftfahrzeugbatterie,Batteriemodul sowie Kraftfahrzeug
GB2589845A (en) * 2019-11-20 2021-06-16 Hyperdrive Innov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US11909020B2 (en) 2020-05-28 2024-02-20 Cummins Inc. Battery packs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KR102269221B1 (ko) 2021-01-20 2021-06-24 황채익 전기 자동차 배터리 냉각 장치
CN113131065A (zh) * 2021-03-15 2021-07-16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高比能锂电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922A (ja) * 2004-08-27 2006-03-09 Toyo Tanso Kk 膨張黒鉛シート
KR20100109871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00119499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시스템,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을 냉각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581A (en) 1962-03-21 1965-05-12 High Temperature Materials Inc Expanded pyrolytic graphi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976481B2 (ja) 1989-05-10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状グラファイトの製造方法
JP2001196103A (ja) * 2000-01-12 200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の冷却構造
US6528199B1 (en) 2000-04-14 2003-03-04 Graftech Inc. Graphite article useful as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fuel cell
KR20060102851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7531270B2 (en) 2006-10-13 2009-05-12 Enerdel, Inc. Battery pack with integral cooling and bussing devices
US20100314081A1 (en) * 2009-06-12 2010-12-16 Reis Bradley E High Temperature Graphite Heat Exchanger
DE102010002000A1 (de) 2010-02-16 2011-09-08 Sgl Carbon Se Wärmeableiter und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922A (ja) * 2004-08-27 2006-03-09 Toyo Tanso Kk 膨張黒鉛シート
KR20100109871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00119499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시스템,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을 냉각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12012000139U1 (de) 2014-02-28
KR20140002634U (ko) 2014-05-07
KR200485795Y1 (ko) 2018-02-22
WO2013025595A1 (en) 2013-02-21
US9343784B2 (en) 2016-05-17
CN203950846U (zh) 2014-11-19
US20140154549A1 (en) 2014-06-05
KR200482882Y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795Y1 (ko) 전지 팩 조립체
KR200487029Y1 (ko) 전지 팩 조립체
JP3195255U (ja) 熱交換アセンブリ
US9444123B2 (en) Battery pack assembly
US8435668B2 (en) Prismatic battery cell with integrated cooling passages and assembly frame
KR200480140Y1 (ko) 각형 리튬 이온 배터리 팩용 서멀 솔루션
US8828576B2 (en) Prismatic cell with integrated cooling plate
US20130071718A1 (en) Heat dissipation plate for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US8518574B1 (en) Heat control pouch for battery cell module and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JP7354842B2 (ja) 仕切り部材及び組電池
EP3285327B1 (en) Battery module
KR101748645B1 (ko) 배터리 모듈
US20110318613A1 (en) Galvanic cell comprising sheathing ii
KR101449103B1 (ko) 배터리 셀 모듈용 열 제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US20170352935A1 (en) Lithium Accumulator With A Two-Layered Thermally Insulating Package And With A Heat Pipe For Thermal Management
EP3726640A1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comprising same
CN111937222A (zh) 电极组件以及包括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EP4134993A1 (e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electrodes a separartor and terminals with channels for fluid cooling it
JP7285878B2 (ja) 二次電池、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