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25U - 입선 장치 - Google Patents

입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25U
KR20170000525U KR2020150005117U KR20150005117U KR20170000525U KR 20170000525 U KR20170000525 U KR 20170000525U KR 2020150005117 U KR2020150005117 U KR 2020150005117U KR 20150005117 U KR20150005117 U KR 20150005117U KR 20170000525 U KR20170000525 U KR 20170000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mber
wire
frame
rotationa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덕
Original Assignee
이승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덕 filed Critical 이승덕
Priority to KR2020150005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25U/ko
Publication of KR20170000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입선 장치가 개시된다. 입선 장치는, 입선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서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주한 사이 위치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롤러부재와, 롤러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와이어가 롤러부재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롤러부재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선 장치{PENETRATION APPARATUS FOR WIRE}
본 고안은 와이어를 파이프 내부에 삽입하는 입선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입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선 장치는, 광섬유, 구리 철사 또는 동축 케이블 등의 와이어를 파이프, 단자 밀폐부 등과 같은 삽입 대상물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입선 장치는 와이어를 삽입 대상물에 삽입하기 위해, 입선 장치의 본체의 내부에 가압 수단이 설치된다.
가압 수단은 입선 장치를 통과하는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와이어가 파이프 등의 내부로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입선 장치는 와이어 등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용하지 않아 입선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08674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입선 과정에서, 입선 작동의 오류를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입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서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마주한 사이 위치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롤러부재와, 롤러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와이어가 롤러부재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롤러부재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재의 회전수를 센싱하는 회전 센서와, 회전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롤러부재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와이어가 인출되는 길이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의 개구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파이프부재와 연결되는 커넥터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다.
롤러부재는, 적어도 2쌍 이상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간에는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는 롤러부재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롤러부재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는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된 파이프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입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부재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어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는 항상 일정한 속도 및 길이로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 입선 작동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선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선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100)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은 개방된 개구부(10a)가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주한 사이 위치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롤러부재(20)와, 롤러부재(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와이어(11)가 롤러부재(20)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와이어(11)가 이동되며 롤러부재(2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프레임(10)은 설치 장소의 저면에 위치되거나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측면에 편평면이 형성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와이어의 입선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작업 공간에 거치한 상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롤러부재(20)가 설치된다.
롤러부재(20)는 프레임(10)의 내부 설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11)의 입선 작업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부분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러부재(20)는 와이어(1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롤러부재(20)는 와이어(1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위치로 설치되는 바, 와이어(11)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와이어(11)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부재(20)는 어느 하나의 롤러는 구동부(30)의 구동력을 받아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롤러는 와이어(11)를 저면에서 회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부재(20)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와이어(11)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이프(13)의 내부로 삽입하는 입선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롤러부재(20)는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쌍으로 일방향의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와이어(11)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롤러부재(20)는 구동부(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즉, 와이어(11)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쌍을 이루는 롤러부재(20)들에 의해 회전 가압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이프(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부재(20)에는 측면에 기어(22)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부재(20)는 구동부(30)의 구동력이 기어(22)의 구동에 의해 전달되는 바, 구동부(30)의 구동력이 롤러부재(20)에 원활하게 전달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롤러부재(20)의 측면에 설치되어 롤러부재(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30)는 롤러부재(20)의 어느 하나의 롤러에 회전축(31)이 연결된 구동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부(30)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회전축(31)이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돌출된 드릴장치 또는 사용자의 제어 작동에 의해 작동되며 구동모터가 내부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회전축이 돌출된 소정의 구동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30)의 구동 작동이 이루어지면, 롤러부재(20)는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 작동된다. 따라서, 와이어(11)는 롤러부재(2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롤러부재(20)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1)는 프레임(10)의 측면에 위치된 파이프(13)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입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의 측면에는 파이프(13)와 연결을 위한 파이프 커넥터(40)가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 커넥터(40)는 일측은 프레임(10)의 개구부(10a) 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커넥터(4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개구부 및 파이프(13) 부분에 압입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 커넥터(40)는 탄성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10)의 개구부(10a) 또는 파이프(13)의 직경 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설치되어 개구부(10a) 또는 파이프(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테이프(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파이프 커넥터(40)는 프레임(10)과 파이프(13) 사이를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입선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200)는, 롤러부재(20)의 회전수를 센싱하는 회전 센서(110)와, 회전 센서(110)의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롤러부재(20)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와이어(11)가 인출되는 길이를 설정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회전 센서(110)는 롤러부재(20)의 회전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롤러부재(20)가 설정된 회전수로 센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회전 센서(110)에 의해 롤러부재(20)의 회전수가 센싱되면,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120)로 전송된다.
제어부(120)는 회전 센서(1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부재(20)의 회전수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회전 센서(110)의 센싱 신호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구동모터(33)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롤러부재(20)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재(20)는 기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여, 와이어(11)가 파이프(13)의 내부로 입선되는 길이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22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가압 돌기(2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 돌기(221)는 롤러부재(20)의 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해 등간격의 복수개로 설치되는 바, 와이어(11)를 가압 이동시키는 작동 과정에서 가압력의 증대가 가능하여 와이어(11)가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 부재(20)들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쌍의 조를 이루어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간에 구동 벨트(310)와 풀리(320)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30)의 구동력은 구동 벨트(310)와 풀리(320)에 의한 동력 전달에 의해 롤러부재(20)들에 원활하게 전달되는 바, 와이어(11)의 입선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의 롤러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선 장치는, 롤러부재(420)의 외표면에 마찰 패드(421)가 부착된다.
마찰 패드(421)는 와이어(11)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 가압 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와이어(11)에 접촉되는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1)는 롤러부재(420)의 회전 작동시 일방향으로 이동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입선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프레임 11...와이어
13...파이프 20, 220, 420...롤러부재
30...구동부 31...회전축
33...구동모터 40...파이프 커넥터
110..회전 센서 120..제어부
221..가압 돌기 310..구동 벨트
320..풀리 421..마찰 패드

Claims (4)

  1.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주한 사이 위치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롤러부재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입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수를 센싱하는 회전 센서; 및
    상기 회전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롤러부재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길이를 설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입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파이프부재와 연결되는 커넥터 파이프가 연결되는 입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적어도 2쌍 이상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간에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로 연결되고, 표면에는 마찰패드가 부착되는 입선 장치.

KR2020150005117U 2015-07-30 2015-07-30 입선 장치 KR201700005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17U KR20170000525U (ko) 2015-07-30 2015-07-30 입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17U KR20170000525U (ko) 2015-07-30 2015-07-30 입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25U true KR20170000525U (ko) 2017-02-08

Family

ID=5840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17U KR20170000525U (ko) 2015-07-30 2015-07-30 입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98B1 (ko) * 2019-07-26 2020-04-29 한설봉 케이블 입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674A (ko) 2012-07-11 2014-01-22 한국전력공사 초전도 전력기기용 전류인입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674A (ko) 2012-07-11 2014-01-22 한국전력공사 초전도 전력기기용 전류인입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98B1 (ko) * 2019-07-26 2020-04-29 한설봉 케이블 입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8818A (ko) 로봇
KR100366533B1 (ko) 절연피복제거장치
US9895038B2 (en) Automatic cleaner
KR101215498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JP2004314183A (ja) チューブ切断装置
CN109792135A (zh) 旋转剥离装置
JP5893175B2 (ja) ロボット用の回転伝達装置
JP2014018882A5 (ko)
JP2007237316A (ja) ロボット
JP2017224994A5 (ko)
KR20110019068A (ko) 케이블 포설장치
KR20170000525U (ko) 입선 장치
US8256482B2 (en) Apparatus for covering and grouping wires and method thereof
KR101964138B1 (ko) 원웨이 클러치 광케이블 송급장치
US20190124805A1 (en)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KR100777115B1 (ko) 로봇용 팔 관절장치
EP1873422A3 (de)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Kraftschlussrichtung eines Fahrzeug-Getriebes nahe Fahrzeugstillstand
EP2954832A1 (en) Insertion device
JP6076566B1 (ja) 挿入装置
CN108603544A (zh) 离合器、电动机以及电动窗装置
KR102170955B1 (ko) 휴대용 전선 주입기
JP2006220696A (ja) 光ファイバーの保護チューブへの挿入装置
EP1953883A1 (en) Tape machine
CN209106232U (zh) 莲子换向机构以及莲子机
JPH0854301A (ja) 紙送りローラの摩擦特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69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6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10

Effective date: 201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