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408A -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408A
KR20170000408A KR1020150062824A KR20150062824A KR20170000408A KR 20170000408 A KR20170000408 A KR 20170000408A KR 1020150062824 A KR1020150062824 A KR 1020150062824A KR 20150062824 A KR20150062824 A KR 20150062824A KR 20170000408 A KR20170000408 A KR 20170000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mmel
height
waste
waste material
system cap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찬알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찬알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찬알디에프
Priority to KR102015006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408A/ko
Publication of KR20170000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원료 투입지점으로부터 폐기물원료 배출지점까지 배출공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설정되고 회전력으로 폐기물을 분류하는 회전 가능한 트롬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분류를 위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롬멜의 폐기물원료 투입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수단과, 상기 트롬멜의 폐기물원료 배출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트롬멜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Tromme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본 발명은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롬멜의 타공망에 구간별로 타공의 크기를 달리하여 선별의 효과를 높이고, 기울기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투입되는 원료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건축폐기물을 재활용 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건축폐기물을 선별하는 장치를 보면, 원형 회전통인 트롬멜이 널리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2810호에 나타난 트롬멜로써, 트롬멜을 2단(1, 2)으로 구비하고, 각 트롬멜에 설정된 선별공의 크기(3, 4)를 달리하며, 상호 역회전하고, 선별공의 막힘방지를 위해 가열버너(5)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트롬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이 설치되고, 다수의 충격볼이 구비된 복잡하고 불필요한 구성을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열버너를 사용하고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의 트롬멜을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의 상승과 더불어 열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트롬멜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하나의 트롬멜에 설정된 선별공의 크기는 일정하기 때문에 다른 하나의 트롬멜에 다른 크기의 선별공을 설정한다. 즉, 선별공의 크기가 단지 두 가지 밖에 없므로 선별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상기 소개된 종래기술의 공통된 점은 폐기물의 엉김을 풀어주기 위해 각 트롬멜들은 상호 역회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폐기물의 엉김을 풀어주는 것을 트롬멜 내부에서 일체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상하진동만을 가해주는 것으로는 폐기물의 엉김을 사전에 충분하게 풀어줄 수 없다.
또한 기존 트롬멜은 트롬멜에 투입되는 재료에 대하여 경사각도 수정이 불가능하여 투입후 배출되는 배출량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트롬멜의 타공망에 구간별로 타공의 크기를 달리하여 선별의 효과를 높이고, 기울기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투입되는 원료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원료 투입지점으로부터 폐기물원료 배출지점까지 배출공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설정되고 회전력으로 폐기물을 분류하는 회전 가능한 트롬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분류를 위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롬멜의 폐기물원료 투입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수단과,
상기 트롬멜의 폐기물원료 배출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트롬멜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트롬멜의 중심선을 지나는 회전봉이 설치되고, 회전봉들은 서로 교차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트롬멜의 중심선을 지나는 회전봉이 설치되며, 회전봉들은 돌출식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의하면, 트롬멜의 타공망에 구간별로 타공의 크기를 달리하여 선별의 효과를 높이고, 기울기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투입되는 원료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트롬멜 시스템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은
투입지점으로부터 배출지점까지 배출공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설정되고 회전력으로 폐기물을 분류하는 회전 가능한 트롬멜(70);을 포함하는 폐기물 분류를 위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롬멜의 원료투입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수단(30-1,30-2)과,
상기 트롬멜의 원료배출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지지대(10)에 연결설치된 유압실린더(20-1) 및 피스톤 로드(22-1)를 구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트롬멜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롬멤은 원료 투입구측에서 부터 타공크기가 다르게 하여, 제1 트롬멜(70-1), 제2 트롬멜(70-2) 및 제3 트롬멜(70-3)이 구성되며, 각각 가이드부재(72-1,72-2,72-3)에 의해 둘러싸여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2-1,72-2,72-3)는 각각 상기 고정지지수단 및 높이조절수단 상단의 받침대(40)에 지지고정된다.
참조부호 52 및 54는 상기 받침대(0)의 좌우측을 감싸면서 이물질이 이탈을 방지하는 좌우측 커버판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62는 받침대 중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재(72-1,72-2,72-3)에 설치되는 받침롤러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3 및 65는 받침대 중간 양측에 마주하여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재(72-1,72-2,72-3)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용 받침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트롬멜(70)의 타공크기가 다른 제1 트롬멜(70-1), 제2 트롬멜(70-2) 및 제3 트롬멜(70-3)이 구성되기 때문에, 구간별로 타공의 크기를 달리하여 선별의 효과가 향상되며, 기울기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투입되는 원료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경사각이 커지면 원재료는 더 빨리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원료가 투입된다(도 1의 좌측에서 투입됨). 이후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모터(82)가 회전되고, 모터(82)의 회전에 의해 모터와 기어로 맞물려 있는 트롬멜기어(74)가 회전되면서 트롬멜(70)이 회전되게 된다.
이후 동시에 트롬멜(크기가 다른 타공망을 가진)(70)이 회전하게 된다. 초기에는 높이조절수단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재료가 물려들어가면서 선별이 된다.
이후 높이조절수단의 상하경사각도를 조정하면, 그 각도에 따라 선별속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원재료로부터 이물질 처리량이 증가한다. 처리된 이물질은 아래로 떨어져서 이송벨트 콘베이어(미도시)에 떨어져서 이송되어 별도로 처리된다. 원재료는 좌측으로 이송되면서 이송벨트 콘베이어(미도시)를 타고 이동된다.
상기 트롬멜(70)은 회전하면서 폐기물원료를 선별하고, 낙차를 이용하여 선별하게 된다.
상기 트롬멜(70)은 모터(82)로 회전되는데, 트롬멜기어(74)와 모터기어가 맞물려서 회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된 받침롤러(62) 및 이탈방지용 롤러(63,65)는, 일종의 레일역할을 하며, 특히 이탈방지용 롤러는 경사져서 트롬멜(7)이이 밀리지 않게 하는 가이드롤러역할을 한다.
한편 폐기물 원료는 상기 트롬멜(70)내에서 처음에는 저면에 있다가 딸려 트롬멜(7)이 회전하면 딸려올라가면서 아래로 떨어지게되면서 이물질 선별되게 된다.
폐기물 원료는 비닐이 주로 많고, 비닐에 붙어 있는 모래나 유리조각을 선별해 내는 것을 주로 하게 된다.
상기 투입원재료에 대해 트롬멜의 최초 수평에 대한 경사각도 최소각도는 0도이다. 경사각도 7도 정도를 가장 많이 쓰며, 12-13도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보통선별이 되기 시작하는 각도 3-5도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트롬멜(70-1), 제2 트롬멜(70-2) 및 제3 트롬멜(70-3)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72-1,72-2,72-3)에 의해 둘러싸여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트롬멜(70)은 세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2-1,72-2,72-3)의 면을 따라 원재료에 접촉되어 원재료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한 쌍의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날개부는 필요시에만 트롬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한적으로 최초에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사용할 때만 돌출시키는 구조도 가능함) 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각각 원호형 접촉부(95-1a,96-1a) 및 돌출접촉부(95-1b,96-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 원재료는 최초로 투입되는 시작지점, 중간지점, 끝지점에서 다시한번 분리되게 되고 이를 통해 원재료와 이물질의 분리가 촉진되게 된다.
상기 날개부를 통해 최초에 상하높이조절각도가 없어도 선별이되고 트롬멜의 내측 원통부를 타고 올라가는 폐기물원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트롬멜(70)의 상기 가이드부재(72-1,72-2,72-3)에 각각 트롬멜의 중심선을 지나는 회전봉(90-1,90-2(90-3))을 설치한 상태이다. 회전봉들은 서로 교차상태이다. 이는 투입되는 폐기물 원재료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의 한 예이다.
이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 원재료는 회전봉에 부딪히면서 회전되고 동시에 트롬멜의 내측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므로 원재료와 이물질의 분리가 촉진되게 된다. 상기 회전봉은 열십자형으로 형태가 다르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재료와 이물질의 분리가 촉진된다.
상기 회전봉을 통해 최초에 상하높이조절각도가 없어도 선별이되고 트롬멜의 내측 원통부를 타고 올라가는 폐기물원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롬멜(70)의 상기 가이드부재(72-1,72-2,72-3)에 각각 트롬멜의 중심선을 지나는 회전봉(91,92,93,94))을 설치한 상태이다. 회전봉들은 돌출식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된 형태이다. 또한 가이드부재(72-1,72-2,72-3)마다 회전봉이 4개까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투입되는 폐기물 원재료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의 한 예이다. 상기 회전봉은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밀어 넣으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 원재료는 회전봉에 부딪히면서 회전되고 또한 회전봉에 의해 강제적으로도 이물질이 분리가 되며 동시에 트롬멜의 내측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므로 원재료와 이물질의 분리가 촉진되게 된다. 상기 회전봉은 열십자형으로 형태가 다르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재료와 이물질의 분리가 촉진된다.
상기 회전봉을 통해 최초에 상하높이조절각도가 없어도 선별이되고 트롬멜의 내측 원통부를 타고 올라가는 폐기물원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20-1,20-2: 유압실린더
22-1,22-2: 피스톤
70: 트롬멜
70-1,70-2,70-3: 제1 내지 제3 트롬멜
74:트롬멜 기어
82: 모터

Claims (3)

  1. 폐기물원료 투입지점으로부터 폐기물원료 배출지점까지 배출공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설정되고 회전력으로 폐기물을 분류하는 회전 가능한 트롬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분류를 위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롬멜의 폐기물원료 투입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수단과,
    상기 트롬멜의 폐기물원료 배출구측에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트롬멜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트롬멜의 중심선을 지나는 회전봉이 설치되고, 회전봉들은 서로 교차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각각 트롬멜의 중심선을 지나는 회전봉이 설치되며, 회전봉들은 돌출식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KR1020150062824A 2015-05-05 2015-05-05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KR20170000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24A KR20170000408A (ko) 2015-05-05 2015-05-05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24A KR20170000408A (ko) 2015-05-05 2015-05-05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08A true KR20170000408A (ko) 2017-01-03

Family

ID=5779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24A KR20170000408A (ko) 2015-05-05 2015-05-05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4538A (zh) * 2017-06-06 2017-07-28 巢湖学院 一种振动筛的精密水平度调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4538A (zh) * 2017-06-06 2017-07-28 巢湖学院 一种振动筛的精密水平度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836B1 (ko) 날개가 구비된 트롬멜 시스템
US9764359B2 (en) Screen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KR101563125B1 (ko)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N107497667A (zh) 一种建筑涂料粉末筛选装置
CN103318634B (zh) 球阀阀芯的提升式自动理料输送机构
KR101830648B1 (ko)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CN203875014U (zh) 一种分选装置
KR20170000408A (ko) 상하높이조절이가능한 트롬멜 시스템
CN106379720A (zh) 一种圆锥滚子分选机的理向机构
CN211109665U (zh) 一种可提升的带式输送机导料槽
CN209424049U (zh) 一种倾斜筛爪式筛砂机
US2776037A (en) Feeder and/or conveyor mechanisms
CN105562344B (zh) 气动分离装置
CN204339978U (zh) 混凝土布料导料槽
CN105692152A (zh) 一种可筛选的自动螺栓摆正机
CN203890847U (zh) 一种水泥稳定土拌和站防抛料离析装置
CN104043582B (zh) 碎米分离机
CN203972299U (zh) 混料筛分装置
CN204523565U (zh) 一种用于建筑垃圾处理中针片状骨料挑选装置
CN109365292B (zh) 党参中药饮片排列分选流水线及中药饮片排列分选工艺
CN106185378B (zh) 一种铺青机
KR101871846B1 (ko)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CN205575115U (zh) 一种陶瓷用粘土原料自动加料机构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CN206560915U (zh) 一种混凝土骨料尾料回收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