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21A - 체결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결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21A
KR20170000321A KR1020160030700A KR20160030700A KR20170000321A KR 20170000321 A KR20170000321 A KR 20170000321A KR 1020160030700 A KR1020160030700 A KR 1020160030700A KR 20160030700 A KR20160030700 A KR 20160030700A KR 20170000321 A KR20170000321 A KR 2017000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fastener
cor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260B1 (ko
Inventor
앤드류 코탄트
매튜 이. 파두아노
크리스토퍼 케이. 타구미
그렉 데일리
Original Assignee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0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out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2557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with strap length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5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for holding portable computers or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28Penetrating tongue
    • Y10T24/4037Pivoted
    • Y10T24/4042Stu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10T24/4093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10T24/4402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for cooperating with aperture in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길이 조정가능 인장 부재, 예를 들어 착용식 팩용 끈은 제1 및 제2 개구 및 그 사이에 위치된 크로스 부재를 형성하는 체결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끈은 제1 방향에서 제1 개구를 통해,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제1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2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커버판은 시야로부터 끈의 세그먼트를 가리도록 체결구 부재와 정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착용식 팩은 이러한 길이 조정가능 인장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정가능 인장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체결구 시스템 {FASTENER SYSTEM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5년 6월 23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83,647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미국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으로 그대로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혁신 및 관련 주제("개시내용"이라 총칭함)는 일반적으로 체결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착식 팩(mountable pack)[예를 들어, 백팩(backpack), 데이팩(daypack), 룩색(rucksack), 냅색(knapsack), 짐바구니(pannier), 쿠리어백(courier bag), 서류 가방(brief case), 및 모터사이클 탱크백(motorcycle tank bag) 등]의 끈(strap)을 위한 일체형 버클을 갖는, 끈용 조정가능한 텐셔너(tensioner)에 관한 것이다.
장착식(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착용식) 팩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이러한 팩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아이템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격실 및 사용 중에 장착식 팩을 지지하거나 지탱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보관을 위한 적합한 구조체에 고정되고, 둘러싸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착 테더(tether)(예를 들어, 어깨끈)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격실은 지퍼, 조임끈 시스템(drawing string system), 스냅 체결구(snap fastener), 후크 앤 루프 체결구(hook-and-loop fastener) 등과 같은 폐쇄 시스템에 의해 고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폐쇄된다. 다수의 통상의 장착 테더는 임의의 다양한 원하는 용례에 소정의 장착식 팩을 맞춤화하기 위한 조정가능한 길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통상의 장착 테더는 조정 구성요소를 보기 흉한 조정 구성요소를 노출하고 끈이 길이를 초과한다.
현대의 미관적 선호도 및 소비자 기대사항은 간단하고, 난잡하지 않으며 "깨끗하게" 보이는 디바이스에 선호가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그리고/또는 구경꾼의 시야로부터 그 하나 이상의 부분을 가리도록 배열된 체결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통상의 기능을 보유하면서, 체결구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내장형 또는 일체형 외관을 갖도록 하는 추가의 요구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혁신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전술된 또는 다른 요구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다.
혁신적인 체결구가 개시된다. 제1 판이 크로스 부재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판은 크로스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판이 제1 판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텐셔너가 제1 판의 제1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제2 측면으로 제1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텐셔너는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 제2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판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제2 판은 제1 및 제2 개구 위로 연장하고, 크로스 부재는 텐셔너가 제1 판에 대해 슬라이드하게 허용하고 시야로부터 텐셔너의 세그먼트를 가리도록 제2 판으로부터 이격된다.
제3 판이 제2 판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제1 판과 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판은 제3 판이 제1 판에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제1 판 내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치수설정된 대응 개구를 형성한다.
개시된 체결구를 구비하는 길이 조정가능 끈이 개시된다. 코어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고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체결구 부재가 제1 및 제2 개구 및 그 사이에 위치된 크로스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체결구 부재는 제1 및 제2 개구의 외향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코어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와 체결구 부재의 제1 및 제2 개구를 정렬하도록 코어의 제1 측면에 대해 압박할 수 있는 플랜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끈이 코어의 제1 측면으로부터 코어의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체결구 부재 내의 제1 개구를 통해,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코어의 제2 측면으로부터 코어의 제1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체결구 부재 내의 제2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커버판은 코어의 제2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코어 내의 개구를 통해 체결구 부재와 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개시된 체결구 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끈을 조정하기 위한 은폐된 조정 기구가 이러한 체결구 시스템의 단지 일 예이다. 끈은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체결구 부재의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제2 개구는 크로스 부재에 대해 제1 개구에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커버판이 시야로부터 끈을 가리도록 체결구 부재와 커버판을 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구 부재는 코어에 의해 형성된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구 부재와 커버판을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단계는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와 커버판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코어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판은 슬리브에 부착될 수 있고 코어를 슬리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슬리브의 부분이 코어와 커버판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슬리브의 다른 부분이 후방판의 플랜지와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도록 후방판이 체결구 판에 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끈을 구비하는 착용식 팩이 개시된다. 본체는 물품의 수납을 위한 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일반적으로 높이, 폭, 및 깊이, 및 본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끈을 가질 수 있다. 길이 조정가능 끈이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 및 커버판을 갖는 조정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커버판은 시야로부터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의 세그먼트를 가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끈은 개구를 형성하는 코어, 체결구 부재, 및 시야로부터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의 적어도 세그먼트(또는 부분)를 가리도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 커버판을 또한 갖는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다른 혁신적인 태양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즉시 명백해질 것이고, 여기서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및 상이한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수의 상세가 모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관점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문헌에 원래 출원된 바와 같은 또는 이후에 보정된 바와 같은 첨부된 청구범위는 직접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이 발명의 내용 섹션에 합체되어 있다.
달리 설명되지 않으면,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혁신적인 주제의 태양을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도면 부호는 다수의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지시하고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의 다수의 태양은 도면에 한정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개시된 길이 조정가능 인장 부재의 단지 일 특정 예를 표현하고 있는 어깨-결합끈을 구비하는 착용식 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끈의 조정부의 등각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정부의 측면 입면도.
도 4는 섹션 IV-IV를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조정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정부 내에 합체된 체결구 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구 부재의 측면 입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체결구 부재의 등각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조정부에 합체된 커버판의 평면도.
도 8a는 개구를 형성하는 도 8에서와 같은 커버판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판의 측면 입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커버판의 등각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조정부 내에 합체된 후방판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후방판의 측면 입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후방판의 등각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조정부의 코어의 등각도. 또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체결구 부재가 도시되어 있음.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코어 및 체결구 부재의 등각도.
도 16은 끈이 체결구 부재와 슬라이드식 결합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어 및 체결구 부재의 등각도.
도 17은 슬리브 상에 재봉된 커버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코어, 체결구 부재 및 끈과 조립할 준비가 된 도 17의 슬리브 및 커버판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코어, 체결구 부재 및 끈과 조립된 도 17의 슬리브 및 커버판 조립체의 단면도. 단면도의 평면은 도 2의 섹션 라인 IV-IV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유사함.
도 20은 후방판과 함께, 도 19에 도시된 조립된 부분 아래로부터의 등각도.
도 21은 후방판이 그와 정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도 20에 도시된 조립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특정 예의 참조로서, 이하에는 체결구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백 또는 팩과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길이 조정가능 끈을 위한 미관적으로 만족스러운 체결구 시스템에 관련된 다양한 혁신적인 원리를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주제의 성질을 설명하기 위해 설명되고 도시된 부분 및 동작의 상세, 재료, 및 배열에 있어서 다수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교시 및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원리의 하나 이상은 임의의 다양한 대응하는 시스템 특성을 성취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 합체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되는 실시예만 표현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의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상세를 포함한다. 그러나, 청구된 발명의 하나 이상은 도시된 상세의 하나 이상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리뷰 후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특정 구성, 용례, 또는 사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은 단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혁신적인 원리의 하나 이상을 합체하는 시스템의 예이고, 개시된 원리의 하나 이상의 혁신적인 태양을 예시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이들 특정 예와는 상이한 속성을 갖는 체결구 시스템은 혁신적인 원리의 하나 이상을 구체화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대안 실시예는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 있다.
용어 "착용식 팩"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백팩, 룩색, 데이팩, 메신저백(messenger bag), 토트백(tote) 및 하나 이상의 어깨끈을 갖는 다른 팩의 라인을 따라 어깨끈을 갖는 것들을 포함하는 착용식 팩을 광범위하게 칭한다. 용어 "백팩"은 문맥상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한 쌍의 어깨끈을 갖는 팩을 의미한다.
착용식 팩
도 1은 본 경우에 백팩인 착용식 팩(10)의 일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의 태양을 예시하는데 사용될 것이지만, 개시된 혁신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팩(10)의 본체(12)는 적어도 전방 표면(14), 후방 표면(16), 상부 표면(18), 하부 표면(20), 및 다른 표면들을 상호연결하는 측면 표면(24, 26)의 전체 구성을 갖는다. 표면의 배열은 물품의 수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적, 즉 격실을 형성한다. 표면(14, 16, 18, 20, 24, 26)과 관련하여, 용어 "표면"은 팩의 본체 내에 조립될 때 외향으로 지향하는 측면 및 내향으로 지향하는 측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시트형 또는 패널형 구조체를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표면은 별개의 조인트에서 함께 모일 필요는 없지만, 이들은 예를 들어 만곡 계면에서 병합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연속적인(또는 단일형) 구성을 다른 방식으로 구성한다. 통상적으로, 표면은 편직(knit) 또는 직조(woven) 또는 부직조(non-woven) 직물의 하나 이상의 층과 같은 유연성 재료로 제조되지만, 팩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폴리머 발포체, 금속 및/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형상 유지, 반강성 또는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어도 백팩의 경우에, 본체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등에 대해 편안하게 적합하도록 치수설정되고 성형된다. 몇몇 경우에, 부분[예를 들어, 후방 표면(16)]은 등의 해부학적 구조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는 등의 폭 또는 의도된 착용자의 허리와 어깨 사이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치수설정된다. 백팩은 높이의 편차를 수용하도록 상이하게, 예를 들어 소형, 중형 또는 대형으로 치수설정되고 성형될 수도 있다. 또는 백팩은 성별 또는 연령 카테고리에 적합하도록, 예를 들어 남성용, 여성용 또는 아동용으로 치수설정되고 성형될 수도 있다.
특히, 상부 측면 표면 또는 하부 측면 표면 또는 양자 모두는 전방 표면(14) 및 후방 표면(16)의 상부 에지 및/또는 전방 표면(14) 및 후방 표면(16)의 하부 에지를 함께 합병하여, 표면들이 연결되는 웨지(도시 생략 또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존재하지 않음)를 생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본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유사하게, 표면들은 예를 들어 표면들을 병합하도록 곡선을 사용하여 프로파일이 감소될 수 있다. 측면 표면(24, 26)은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표면들은 반드시 연속적인 표면은 아니고 - 지퍼, 그물형 섹션 및 코드가 예를 들어 이들 표면들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착용식 팩에 결합된 신체 끈 고정 시스템은 본체에 연결된 별개의 아이템 또는 예를 들어, 팩의 본체부와 단일형 형태로 직조되고, 편직되거나 성형된 본체를 갖는 일체형 구조체일 수도 있다. 끈 시스템은 통상의 백팩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어깨끈, 또는 예를 들어, 바이크 메신저백의 경우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한쪽 어깨 위에 착용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그리고 어깨에 대향하는 팔 아래에 적합되도록 구성된 기다란 단일의 끈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끈"은 유연성 웨빙(webbing) 및 띠형 구조체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목적을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개별 필라먼트 또는 필라먼트의 번들, 체인, 코드, 케이블 등을 칭하도록 의도된다. 끈은 탄성 또는 비탄성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끈은 또한 탄성 및 비탄성 섹션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백팩은 도시된 예에서, 끈(36, 38)과 같은 하나 이상의 어깨끈을 포함한다. 어깨끈 시스템은 더 무거운 부하를 지탱하기 위한 더 하이엔드 백팩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홑겹의 재료에 기초할 수 있고 또는 재료의 복합물일 수 있다. 종종,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지지되는 어깨끈의 부분은 패드 부착된 또는 완충 재료 또는 구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이는 나일론과 같은 직물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연결된 폴리우레탄, 성형된 또는 절단된 EVA 발포체(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패드 부착된 메시 - 종종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스페이서 메시로서 알려져 있음 - 와 같은 셀룰러 발포체 재료의 복합물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팩의 본체는 팩 내의 격실로의 접근을 위한 폐쇄 가능한 개구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는 팩의 상부에서 주 격실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개구는 원하는 정도로 팩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으로 아래로 연장할 수도 있다. 개구는 예를 들어, 스냅, 지퍼, 후크 앤드 루프 체결구, 버튼 등, 또는 다른 커플러(coupler)와 같은 상호체결식 수형/암형부에 기초하는 기구와 같은 폐쇄 시스템에 의해 폐쇄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개구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팩의 부분의 분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팩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팩은 팩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분리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와, 주 격실의 구조 및 체적을 유지하는 프레임 요소와 같은, 원하는 구성으로 팩을 지지하는 것을 돕는 정적 프레임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정적 프레임 요소는 등에 소정의 탄성 가요성을 허용하지만 원하는 형상으로 격실을 여전히 일반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반강성일 수도 있다.
주 격실에 추가하여, 본체는 물품의 수납을 위한 임의의 수의 다른 격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격실이 주 격실에 대해 또는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나란히 또는 상하로 배열될 수도 있다. 임의의 그 격실을 포함하여 본체는 격실 내부 또는 외부에 배열된 포켓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켓(도시 생략)은 또한 본체(12)의 전방에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격실"은 슬리핑백(sleeping bag), 랩탑, 의류, 서적 등의 물품과 같은 물건을 보유하기 위한 비교적 대형 영역을 칭한다. 일반적으로, "포켓"은 지갑, 휴대폰, 미디어 플레이어, 물병 등과 같은 물건을 보유하기 위한 비교적 더 소형 영역을 칭한다. 그러나, 팩의 주 격실 이외에는 격실이 어디인지와 포켓이 어디인지 사이의 명확한 분할선이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랩탑(2)과 같은 물체를 보관하기 위한, 주 격실(30)로부터 분리된 선택적인 후면 접근 가능 격실(35)이 있다. 격실은 예를 들어, 지퍼 시스템(37a, 37b)에 의해 접근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팩은 후방 패널 상에서 접근될 수 있는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이하, "디바이스"라 총칭함) 격실과 같은 일반적으로 평면형 아이템을 보관하기 위한 전용 격실이다. 격실로의 접근은 상부 주위에서 일 측면을 위로 분할하여 다른 측면을 아래로 분할하도록 연장하는 지퍼를 거쳐 제공될 수도 있다. 랩탑 격실 지퍼는 끈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따라서 접근이 또한 용이하게 보장된다. 몇몇 경우에,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용 격실의 크기는 20 cm(높이)×12 cm(폭)×10 cm(깊이)의 최소 치수를 갖는 디바이스를 보관하여 봉입하는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랩탑 및 태블릿 보관 격실은 주 격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격실일 수 있고, 배출 시스템의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이 이러한 격실에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배출 시스템은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보관된 아이템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착용자의 신체에 팩의 본체를 휴대하기 위한 어깨끈(36, 38)에 추가하여, 팩은 또한 선택적으로 핸들 또는 파지부(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정가능한 끈의 예는 이하에 더 완전히 설명된다.
팩의 본체(12)는 하나 이상의 겹의 얇은 유연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에 사용을 위한 통상적인 유연성 재료는 천연 및 합성 재료, 나일론 직물, 폴리에스터 직물,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고무형 재료의 겹, 동물의 생가죽(예를 들어, 가죽), 면, 범포(canvas), 삼, 모직물, 및 직물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체는 나일론 평직물(plain weave) 또는 능직물(twill fabric)과 같은 연속적인 표면 또는 그물 또는 웨브 구조체와 같은 천공된 표면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 요소는 층들 사이에 이들을 합체함으로써 또는 재료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상에 이들을 부착함으로써 유연성 재료 또는 다른 본체 형성 재료와 연계될 수도 있다. 또한, 팩의 패널 또는 부분은 강성 또는 반강성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강성 재료로 모노리식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구 시스템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착용식 팩의 끈(36, 38)은 길이가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조정가능성은 상이한 크기의 착용자가 소정의 팩을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소정의 사용자가 상이한 크기 및 중량의 부하를 수용하도록 팩의 맞춤성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2 내지 도 21을 일반적으로 참조하면, 길이 조정가능 끈(36)은 어깨-결합부(36a), 조정 기구(100), 및 어깨-결합부에 고정된 개별 끈(36b), 또는 띠(band)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36)의 조정가능부(36b)는 조정 기구 및/또는 어깨 결합부(36')에 의해서와 같이, 시야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몇몇 개시된 실시예에서, 조정 기구(100)는 예를 들어 커버판(120)(도 4)에 의해서와 같이, 적어도 끈의 조정가능부(36b)의 세그먼트를 시야로부터 가린다. 다른 예에서, 끈의 부분은 도 8a에 도시된 커버판(120')에 의해서와 같이, 커버판에 의해 형성된 개구(121')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다. 끈(36b)은 슬라이드식 결합으로 조정 기구(100)를 통해 직조될 수 있어, 끈(36b)을 어깨-결합부(36')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여 끈(36)의 길이의 조정을 허용한다.
끈(36)의 길이는 예를 들어, 조정 기구(100)를 통해 조정가능한 세그먼트를 끌어당기도록 끈(도 3)의 조정가능부(36b)의 느슨한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단축될 수 있다. 끈(36)의 길이는, 예를 들어 조정 기구를 통해 조정가능 세그먼트(36b)를 끌어당기도록 도 3의 도면 부호 "36a"에 인접하여 위치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조정가능부로부터 이격하여 어깨 결합부(36b)의 말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조정 기구(100)는, 구경꾼의 시야로부터 적어도 끈(36b)의 세그먼트를 가림으로써, 사용자의 상이한 크기 및/또는 상이한 부하를 팩 내에 수용하기 위해 끈(36)의 길이를 조정하는 능력을 보유하면서, 만족스러운 현대식 미관을 갖는 "깨끗한 라인"을 끈에 제공한다.
때때로 체결구 기구 또는 "인장 잠금부(tension lock)"라 또한 칭하는 조정 기구(100)는 도면에 도시된 어깨끈 예에서 어깨 결합부(36')에 대해 끈(36b)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한다. 물론, 더 일반적인 개념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정 기구(100)는 다른 부재에 대해 임의의 다양한 형태의 가요성 인장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용어 "끈" 및 "어깨 결합부"의 사용은 명백히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가요성 인장 부재 및 다른 부재의 더 일반적인 개념으로 각각 해석되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가요성 인장 부재의 예는 로프, 꼰실(twine), 직조끈, 금속 케이블, 플라스틱띠, 호스 및 탄성띠를 포함한다.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기구(100)는 끈(36b)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 판(110)을 가질 수 있다. 제2 판(120)이 제1 판(110)과 정합식으로 결합하여 끈(36b)의 세그먼트를 시야로부터 가린다. 예를 들어, 도 2의 도시로부터 가려져 있는 끈(36)의 세그먼트는 제1 판(110)을 통해 직조되어 이에 결합하는 끈(36b)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체결구 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끈(36b)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배열된 체결구 판(110)이 크로스 부재(1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제1 및 제2 개구(112a, 112b)를 형성할 수 있다. 때때로 길이 조정가능끈과 관련하여 텐셔너라 또한 칭하는 가요성 인장 부재(36b)는 판(110)의 제1 측면(111a)으로부터 제2 측면(111b)으로 제1 개구(112a)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셔너는 텐셔너가 제1 개구로부터 제2 개구(112b)로 통과함에 따라 크로스 부재(114)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끈(36b)은 제2 측면(111b)으로부터 제1 측면(111a)으로 제2 개구(112b)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끈(36)이 인장 부하 하에 배치될 때 확실하고 고정된 길이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끈(36b)의 자유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조정가능한 끈(36)의 유효 길이를 용이하게 단축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결합부의 말단부(36a)는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된 구경꾼에 의한 시야로부터 끈(36b)의 자유 단부를 가리거나 은폐할 수 있다.
체결구 판(110)은 제2 측면(111b)을 지향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플랜지(11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단면도 및 도 7의 등각도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114)는 벽(118a 내지 118d)이 플랜지로부터 연장함에 따라, 플랜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평면형 경계 영역(116)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벽(118a, 118c)은 제1 개구(112a), 제2 개구(112b) 및 크로스 부재(114) 중 하나 이상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벽(118a, 118c)은 상기 3개의 부재 모두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1 판(110)은 커버판(120)에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커플러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판(110)은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플러(114a)를 형성하고, 커버판(120)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커플러(124a)를 형성한다. 수형 커플러 및 암형 커플러는, 제1 판(110) 및 제2 판(120)이 도 1에 그리고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수형 커플러(114a) 및 암형 커플러(114b)가 서로 결합하도록 상보적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수형 커플러(114a)는 벽(118a, 118c)의 각각으로부터 연장하는 보스(boss)이다. 제1 벽(118a)은 제1 개구(112a)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2 벽(118c)은 제2 개구(112b)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1 벽(118a)과 연계된 보스는 제1 개구(112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제2 보스가 제2 개구(112b)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제2 벽(118c)으로부터 연장한다.
도 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판(110)은 다수의 개구(119a, 119b, 119c, 119d)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개구는 후방판(130)(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더 완전히 설명됨)으로부터 대응 연장부(134a, 134b, 134c, 134d)를 수용할 수 있다. 체결구 판(110)은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응 연장부(134a 내지 134d)의 미늘부(barb)가 판(130)에 대해 압박되어 이에 의해 체결구 판과의 정합식 결합으로 이를 보유하게 하도록 각각의 개구(119a 내지 119d)에 인접하여 위치된 랜딩부(landing)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판
커버판(120)은 제1 및 제2 판(110, 120)이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체결구 판(110)의 제2 측면(111b) 상위에 놓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판(110, 120)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제2 판(120)은 제1 및 제2 개구(112a, 112b) 위로 연장하고, 크로스 부재(114)는 제2 판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은 끈이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체결구 판(110)에 대해 슬라이드함에 따라, 끈(36b)이 크로스 부재(114)와 커버판(120) 사이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커버판(120)은 도 2에 지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끈(36b)의 세그먼트를 가린다.
커버판(120)은 평면형 부재(126) 및 평면형 부재(126)로부터 직교하여 연장하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벽(126a, 126c)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구 판에 의해 형성된 대응하는 수형 커플러를 수용하는 암형 커플러(124a)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벽 중 각각의 하나에 의해 형성된 만입된(recessed) 영역일 수 있다. 벽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벽은 유사한 암형 커플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지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판(120)과 커버판 사이의 정합식 결합을 허용한다. 평면형 부재(126)는 외부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 벽(126a 내지 126d)의 외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부재(126)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121')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끈(36b)의 부분은 개구(121')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다.
외부 플랜지는 만입된 채널(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더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플랜지는 예를 들어, 슬리브, 커버, 외장 또는 다른 재료의 층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플랜지는 다른 부재에 재봉되고, 스티칭(stitching)은 채널(121)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르고, 스티칭의 최상부 표면이 평면형 부재(126)의 상부 표면 아래에 만입되어 유지되게 하여, 스티칭에 "깨끗한" 미관을 추가하고 마모의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료는 예를 들어, 외부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커버판(120)에 공성형(comolded)되거나 오버몰딩될(overmolded) 수 있다. 재료는 커버판의 주 본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재료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성형 또는 오버몰딩된 재료는 주 본체가 형성되는 재료에 비교하여 상이한 촉각 감촉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시각적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공성형 또는 오버몰딩된 재료는 낮은 듀로미터(durometer)를 가질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끈 재료의 슬리브, 커버, 외장 또는 다른 층에 스티칭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공성형 또는 오버몰딩된 재료는 주 본체가 형성되는 재료에 비교하여 끈 재료의 슬리브, 커버, 외장 또는 다른 층에 스티칭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비교적 더 적합하다.
후방판
후방판(130)은 커버판(120)에 대향하는 측면(111a)으로부터 체결구 판(110)과 정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후방판(130)은 체결구 판(110) 내에서 제1 개구(112a)에 접근함에 따라 그리고 재차 체결구 판 내에 제2 개구(112b)로부터 연장함에 따라 끈(36b)이 커버판을 통해 연장하게 허용하도록 치수설정된 대응 개구(1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판(130)의 도시된 실시예는 그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3 판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수형 커플러(134a, 134b, 134c, 134d)를 형성한다. 각각의 수형 커플러(134a, 134b, 134c, 134d)는 그로부터 각각의 수형 커플러가 연장하는 제3 판(130)의 표면(131)을 지향하는 랜딩 영역(landing region)을 갖는 테이퍼진 미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체결구 판(110)은 제3 판(130)의 대응 수형 커플러(134a, 134b, 134c, 134d)가 그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각각의 개구(119a, 119b, 119c, 119d)에 인접하여 위치된 대응 랜딩 영역을 갖는다. 테이퍼진 미늘부의 랜딩 영역은 제3 판 및 제1 판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제1 판의 랜딩 영역에 대해 압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커버판(120)과 같이, 후방판(130)은 개구(132)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31)를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131)는 이하에 더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끈 조립체(36)의 부분에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조립체
특히 도 2, 도 4, 도 14,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하면, 길이 조정가능 끈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코어(36c)를 가질 수 있다. 코어(36c)는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개구(101)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유형의 체결구 부재(110)는 코어(36c)의 제1 측면에 대해 압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고정되도록 그 플랜지(116)와 위치될 수 있다. 개구(101) 내에 벽(118a 내지 118d)을 위치시키고 코어(36c)의 표면과 플랜지(116)를 정합함으로써, 체결구 판(110)의 제1 및 제2 개구(112a, 112b)는 코어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101)와 정렬될 수 있다.
끈(36b)은 코어(36c)의 제1 측면으로부터 코어의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체결구 부재(110) 내의 제1 개구(112a)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36b)은 코어의 제2 측면으로부터 코어의 제1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크로스 부재(114) 위로 그리고 체결구 부재(110) 내의 제2 개구(112b)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커버판(120)은 체결구 판(110)과 정합 결합식으로 코어(36c)의 제2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코어(36c)는 체결구 부재의 플랜지(116)와 커버판의 평면형 부재(126)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다.
후방판(130)은 후방판이 체결구 판(110)과 정합식으로 결합할 때, 코어(36c) 내의 개구(101)와 정렬된 그 개구(132)를 가질 수 있다. 후방판은 커버판(126)에 대향하여 체결구 판(110)의 측면(111a)과 정합할 수 있다. 띠(36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판(130) 내의 개구(13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주표면을 갖는 슬리브(36a)가 코어(36c) 상위에 놓일 수 있어 슬리브의 내부 주표면이 대향 관계로 코어(36c)을 지향하게 된다. 도시된 슬리브(36a)는 커버판이 체결구 부재(110)에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커버 판(120)의 벽이 그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를 형성한다. 커버판(120)의 플랜지(126)는 슬리브(36a)의 외부 주표면의 부분 상위에 놓일 수 있고, 따라서 슬리브는 플랜지(126)와 코어(36c) 사이에 위치되어, 슬리브(36a)와 코어(36c)를 커버판(120)의 플랜지(126)와 체결구 부재(110)의 플랜지(116) 사이에 배치한다.
후방판(130)의 플랜지(131)는 또한 슬리브의 부분이 후방판(130)의 플랜지(131)와 체결구 부재(1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슬리브(36a)의 부분 상위에 놓일 수 있다.
끈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은폐된 조정 기구(100)를 조립하는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끈(36b)은 체결구 부재(110)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112a)를 통해, 크로스 부재(114) 위에, 그리고 제2 개구(112b)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체결구 부재(110)는 코어(36c)에 의해 형성된 개구(10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판(120)은 슬리브(36a)에 부착될 수 있다. 코어(36c)는 슬리브(36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코어(36c)는 체결구 판(110)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116)와 커버판(120)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12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슬리브(36a)의 부분은 커버판(120)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126)와 코어(36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판(126)은 시야로부터 끈(36b)을 가리기 위해 체결구 부재(110)와 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끈(36b)은 후방판(130)에 의해 형성된 개구(132)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후방판(130)은 슬리브(36a)의 다른 부분이 후방판(130)의 플랜지(131)와 체결구 부재(110)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116) 사이에 위치되도록 체결구 판(110)과 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방판은 슬리브(36a)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
전술된 예는 일반적으로 가요성 인장 부재의 길이 조정을 허용하는 체결구 시스템, 및 더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착용식 팩을 위한 길이 조정가능 끈에 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시된 개념을 위한 다른 용례가 개시된 장치의 구성의 임의의 부수적인 변경과 함께, 고려된다. 예를 들어, 벨트 또는 다른 끈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부재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커버판은 마찰에 의해, 산업용 사용 중에, 암벽 등반 중에, 통상적으로 가속화된 마모 및 인열을 끈에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사용 중에, 벨트 또는 다른 끈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를 합체하여, 가요성 인장 부재를 위한 조정가능한 길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범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 및 참조(예를 들어, 상, 하, 상부, 하부, 좌, 우, 후방, 전방 등)가 도면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한정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 "하", "상부", "하부", "수평", "수직", "좌", "우" 등과 같은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어는 적용 가능한 경우에, 특히 예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대 관계를 다룰 때 소정의 설명의 명확도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절대 관계, 위치 및/또는 배향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체와 관련하여, "상부" 표면은 물체를 간단히 전복시킴으로써 "하부" 표면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여전히 동일한 표면이고, 물체는 동일하게 잔류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뿐만 아니라 "및" 및 "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특히 및 비특허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그대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임의의 특정 예와 관련하여 전술된 원리는 다른 예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된 원리와 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상세한 설명은 한정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본 개시내용의 리뷰 후에,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개념을 사용하여 안출될 수 있는 광범위한 유체 열교환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된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구성에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전의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개시된 혁신을 구성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즉시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라, 이 개시내용의 언어에 일치하는 최대 범주에 따르고, 여기서 단수 표현의 사용에 의한 것과 같은 단수 형태의 요소는 구체적으로 이와 같이 언급되지 않으면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또는 이후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내용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의 요소의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은 청구범위의 요소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느 것도 이러한 개시내용이 명시적으로 청구항에 언급되어 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공용으로 제공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요소가 구문 "~을 위한 수단" 또는 "~을 위한 단계"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어떠한 청구항 요소도 35 USC 112 제6항의 조항 하에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개시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의 견지에서, 전술된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고,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 및 사상 내에 오는 모두를 비한정적으로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청구하는 권리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에 대한 모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32)

  1. 크로스 부재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제1 및 제2 개구를 형성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판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2 판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 위로 연장하고, 상기 크로스 부재는 상기 제2 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판을 포함하는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판은 상기 제1 및 제2 판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2 측면 상위에 놓이는 체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으로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으로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는 체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판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3 판을 더 포함하는 체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은 상기 제3 판이 상기 제1 판에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판 내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치수설정된 대응 개구를 형성하는 체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텐셔너가 연장하는 체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판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수형 커플러 및 상기 암형 커플러는 상기 제1 판 및 제2 판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수형 커플러 및 상기 암형 커플러가 서로 결합하게 되도록 상보적으로 구성되는 체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제2 측면을 지향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경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부재는 그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평면형 경계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판은 상기 평면형 경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개구, 제2 개구 및 크로스 부재 중 하나 이상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플러는 벽으로부터 연장하는 보스를 포함하는 체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제1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게 위치된 제2 벽을 형성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플러는 상기 제2 개구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보스를 포함하는 체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은 평면형 부재 및 상기 평면형 부재로부터 직교하여 연장하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형 커플러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벽 중 각각의 하나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제1 만입된 영역 및 제2 만입된 영역을 포함하는 체결구.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은 그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3 판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수형 커플러를 형성하는 체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제3 판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수형 커플러에 대해 상보형 구성을 갖는 암형 커플러를 형성하는 체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플러는 상기 제3 판의 수형 커플러가 그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 체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플러는 상기 수형 커플러가 그로부터 연장하는 제3 판의 표면을 지향하는 랜딩 영역을 갖는 테이퍼진 미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판은 상기 제3 판의 수형 커플러가 그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개구에 인접하여 위치된 대응 랜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진 미늘부의 랜딩 영역은 상기 제3 판 및 제1 판이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판의 랜딩 영역에 대해 압박되는 체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암형 커플러는 제1 암형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은 적어도 제2 암형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커플러는 제1 판의 제1 및 제2 개구의 외측에 위치되는 체결구.
  16.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코어와,
    상기 제1 및 제2 개구 및 그 사이에 위치된 크로스 부재를 형성하는 체결구 부재로서, 상기 체결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의 외향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상기 코어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와 상기 체결구 부재의 제1 및 제2 개구를 정렬하도록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에 대해 압박하는 플랜지를 더 형성하는, 체결구 부재와,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의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 부재 내의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상기 코어의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 부재 내의 제2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끈과,
    상기 코어의 제2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코어 내의 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구 부재와 정합식으로 결합되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길이 조정가능 끈.
  17. 제16항에 있어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판에 대향하는 그 측면에서 상기 체결구 부재와 정합식으로 결합된 후방판을 더 포함하고, 띠가 상기 후방판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길이 조정가능 끈.
  18. 제16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 표면이 대향 관계로 코어를 지향하도록 상기 코어 상위에 놓이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슬리브의 외부면 상위에 놓이는 플랜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 부재는 상기 개구의 외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코어에 대해 압박하는 플랜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는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통해 상기 커버판이 연장하여 상기 커버판이 상기 체결구 부재를 정합식으로 결합하게 허용함으로써 상기 코어 및 상기 슬리브가 상기 체결구 부재의 플랜지 영역과 상기 커버판 사이에 위치되게 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길이 조정가능 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상위에 놓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슬리브 상위에 놓여 상기 코어 및 상기 슬리브가 상기 커버판과 상기 체결구 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끈은 개구를 형성하는 후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판 내의 개구를 통해 띠가 연장하고, 상기 후방판은 상기 체결구 부재에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길이 조정가능 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은 상기 슬리브의 부분이 상기 후방판의 플랜지와 상기 체결구 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부분 상위에 놓이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길이 조정가능 끈.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을 지향하는 위치로부터 볼 때 체결구 부재 및 띠를 가리는 길이 조정가능 끈.
  22. 끈을 조정하기 위한 은폐된 조정 기구를 조립하는 방법이며,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구 부재의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상기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여 위치된 제2 개구를 통해 끈을 공급하는 단계와,
    시야로부터 상기 끈을 가리도록 상기 체결구 부재와 커버판을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코어에 의해 형성된 개구 내로 상기 체결구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 부재와 커버판을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커버판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코어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을 슬리브에 부착하고 상기 코어를 상기 슬리브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 부재와 커버판을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와 상기 커버판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슬리브의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판에 후방판을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정합식 결합은 상기 슬리브의 다른 부분이 상기 후방판의 플랜지와 상기 체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후방판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끈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을 상기 슬리브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후방판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끈을 공급하고 상기 후방판을 상기 체결구 부재에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물품의 수납을 위한 체적을 형성하는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일반적으로 높이, 폭, 및 깊이를 가지며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끈을 구비하는, 본체와,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 및 커버판을 갖는 조정 기구를 갖는 길이 조정가능 끈으로서, 상기 커버판은 시야로부터 상기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의 세그먼트를 가리는, 길이 조정가능 끈을 포함하는 착용식 팩.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개구를 형성하는 코어,
    체결구 부재, 및
    커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 부재는 제1 및 제2 개구 및 그 사이에 위치된 크로스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 부재는 제1 및 제2 개구의 외향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상기 코어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와 상기 체결구 부재의 제1 및 제2 개구를 정렬하도록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에 대해 압박하는 플랜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는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의 제2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 부재 내의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크로스 부재 위로 그리고 상기 코어의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의 제1 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체결구 부재의 제2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조정가능한 인장 부재의 세그먼트를 가리도록 상기 체결구 부재와 정합 결합 관계로 상기 코어의 제2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착용식 팩.
  31. 제30항에 있어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판에 대향하는 그 측면에서 상기 체결구 부재와 정합식으로 결합된 후방판을 더 포함하고, 가요성 인장 부재는 상기 후방판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착용식 팩.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코어 상위에 놓이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슬리브의 외부면 상위에 놓이는 플랜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 부재는 상기 개구의 외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코어에 대해 압박하는 플랜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는 개구를 형성하며, 이 개구를 통해 상기 커버판이 그를 통해 연장하여 상기 커버판이 상기 체결구 부재를 정합식으로 결합하게 허용함으로써 상기 코어 및 상기 슬리브가 상기 체결구 부재의 플랜지 영역과 상기 커버판 사이에 위치되게 하는 착용식 팩.
KR1020160030700A 2015-06-23 2016-03-15 체결구 시스템 KR101822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83647P 2015-06-23 2015-06-23
US62/183,647 2015-06-23
US14/881,789 US9750328B2 (en) 2015-06-23 2015-10-13 Fastener systems
US14/881,789 201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21A true KR20170000321A (ko) 2017-01-02
KR101822260B1 KR101822260B1 (ko) 2018-01-25

Family

ID=5623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700A KR101822260B1 (ko) 2015-06-23 2016-03-15 체결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50328B2 (ko)
EP (3) EP3178345B1 (ko)
JP (1) JP6262195B2 (ko)
KR (1) KR101822260B1 (ko)
CN (1) CN106263303B (ko)
HK (1) HK1253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5932B2 (ja) * 2018-08-10 2021-06-30 株式会社ニフコ 帯状体又は紐状体の留め付け構造、及び衣服
US11723438B2 (en) * 2020-08-25 2023-08-15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ment buckle assembly
US20220279913A1 (en) * 2021-03-08 2022-09-08 Under Armour, Inc. Backpack with leveling structure
USD1015934S1 (en) * 2021-12-24 2024-02-27 Under Armour, Inc. Clip for a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2546A (en) * 1915-08-07 1917-07-10 Walter A Holden Buckle for webbing.
US3928895A (en) * 1974-08-19 1975-12-30 Repa Feinstanzwerk Gmbh Adjustable strap fastener
JPS5611761Y2 (ko) 1977-08-19 1981-03-17
GB8622196D0 (en) 1986-09-15 1986-10-22 Domino Printing Sciences Plc Ink jet marking apparatus
JPH0641450Y2 (ja) 1986-09-19 1994-11-02 吉田工業株式会社 ベルト固定具
US4848794A (en) * 1988-05-25 1989-07-18 Allied-Signal Inc. Free running cinching connector
JPH0384982U (ko) 1989-12-20 1991-08-28
JP3084982B2 (ja) * 1992-11-25 2000-09-04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084982U (ja) 2001-10-01 2002-04-05 昌弘 雛元 2枚板のベルトバックル
US9375055B2 (en) 2010-09-30 2016-06-28 Amy L. Tedder Convertible garment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JP3165338U (ja) 2010-10-29 2011-01-13 株式会社エムアンドケイ・ヨコヤ 帯留め
US8539646B2 (en) * 2011-02-03 2013-09-24 Workshop Xi, Inc. Coupl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1004B1 (en) 2020-09-02
EP3178345B1 (en) 2018-05-09
JP6262195B2 (ja) 2018-01-17
EP3178345A1 (en) 2017-06-14
US9750328B2 (en) 2017-09-05
HK1253338A1 (zh) 2019-06-14
US10285490B2 (en) 2019-05-14
CN106263303A (zh) 2017-01-04
US20160374459A1 (en) 2016-12-29
KR101822260B1 (ko) 2018-01-25
EP3300621B1 (en) 2020-03-25
EP3181004A3 (en) 2017-08-30
CN106263303B (zh) 2020-05-29
EP3300621A1 (en) 2018-04-04
EP3181004A2 (en) 2017-06-21
JP2017006627A (ja) 2017-01-12
US20170311702A1 (en)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5844B (zh) 可转换的携带包
JP6342541B2 (ja) バックパック及びウエストバッグ支持システム
US8950643B2 (en) Combination backpack and over-the-shoulder bag
US9775428B2 (en) Portable container holder
US10098440B2 (en) Load-bearing systems
EP3047754B1 (en) Adjustable carrying pack
KR101822260B1 (ko) 체결구 시스템
US20180014614A1 (en) Modular bag
EP2399468A2 (en) Garment backpack
US20210137281A1 (en) Baby carrier
US9593915B2 (en) Conforming bands, belts, and holsters with integrated pouches
KR101870018B1 (ko) 팩 내의 격실용 자동 개구
CN106235570B (zh) 包和制作包的方法
US20110017793A1 (en) Adaptable wearable flexible tubular carrier and travel pillow
WO2017024246A1 (en) Adjustable backpack
JP2015150292A (ja) マルチウェイバッグ
KR102230291B1 (ko) 백팩
CA2708383C (en) Backpack fram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