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43U -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43U
KR20170000143U KR2020150004445U KR20150004445U KR20170000143U KR 20170000143 U KR20170000143 U KR 20170000143U KR 2020150004445 U KR2020150004445 U KR 2020150004445U KR 20150004445 U KR20150004445 U KR 20150004445U KR 20170000143 U KR20170000143 U KR 201700001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joint
user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714Y1 (ko
Inventor
채유영
김종수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50004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1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영상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고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부, 소정 거리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바디부,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이음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바디부와 프로젝터부를 연결하는 제2 이음부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Description

영상장치{IMAGE DEVICE}
본 고안은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와 프로젝터를 함께 구비한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는 영상표시기기,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투사기기 등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장치가 함께 구비된 장치를 개시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영상장치의 대두가 요청된다.
공개특허공보 KR 10-2012-0062596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영상촬영장치와 영상투사장치가 함께 구비된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 입력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합한 지점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장치는 고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부, 소정 거리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이음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프로젝터부를 연결하는 제2 이음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바디부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디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외곽 중 일부를 감싸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이음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는 360도로 영상 투사가능하도록 회전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지점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기초하여,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되는 지점을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는 연장 및 축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3대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상기 카메라 각각으로 가상의 연결선이 설정된 경우, 상기 연결선 간 각도가 모두 120도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위는 천정, 지면, 벽면 및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부, 고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부, 소정 거리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이음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프로젝터부를 연결하는 제2 이음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기 설정된 지점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바디부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디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외곽 중 일부를 감싸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이음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는 360도로 영상 투사가능하도록 회전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지점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기초하여,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되는 지점을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는 연장 및 축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3대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상기 카메라 각각으로 가상의 연결선이 설정된 경우, 상기 연결선 간 각도가 모두 120도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위는 천장, 지면, 벽면, 및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음성 명령 또는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촬영 방향 또는 촬영 설정값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촬영장치와 영상투사장치가 함께 구비된 영상장치를 제공됨으로써, 장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 입력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합한 지점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친화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영상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간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이음부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된 영상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한 외부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된 영상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영상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영상장치(100)는 바디부(110), 제1 이음부(120), 제2 이음부(130), 프로젝터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전자적 연결이 가능한 선별적인 구성요소로써, 본 영상장치(100)는 추가적으로 상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고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기술되는 영상장치(10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카메라(110a), 음성입력부(110b), 음성출력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제1 이음부(120)를 통해 후술할 고정부(160)와 연결된다. 바디부(110)는 또한, 제2 이음부(130)를 통해 프로젝터부(140)와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디부(110)와 프로젝터부(140)를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바디부(110)는 프로젝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a)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고, 바디부(110)의 외관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10a)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10a)는 PTZ(Pan, Tilt, Zoom)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TZ 카메라는 원격으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줌 컨트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a)는 물리적으로 카메라를 움직이지 않더라도, 줌, 패닝 가능한 VPTZ(Virtual Pan, Tilt, Zoom) 기능 또한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음성입력부(110b)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마이크가 음성입력부(110b)로 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음성출력부(110c)는 음성으로 영상장치(100) 외부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가 음성출력부(110c)로 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음성출력부(110c) 음성입력부(110b)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고, 방송 신호에서 제어부(150)가 추출한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이음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할 고정부(160)와 바디부(110)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제1 이음부(120)는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바디부(110)가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음부(120)의 길이가 연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2 이음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10)와 프로젝터부(140)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제2 이음부(120)는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바디부(110) 또는 프로젝터부(140)가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이음부(120)의 길이가 연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2 이음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젝터부(140)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140)는 영상 신호를 받아서 렌즈를 통해 영상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장치(100)의 전자적인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영상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저장부(미도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영상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160)는 고정부위에 고정되어 제1 이음부(120)를 통해 바디부(110)와 연결된다. 고정부(160)는 천정, 벽면, 기둥 등의 고정부위에 고정된다.
제1 카메라(110a-1) 및 제2 카메라(110a-2)는 바디부(110)의 외관에 배치되고, 카메라(110a-1, 110a-2)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2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도 3에 표시된 제3 카메라(110a-3) 가 제1 카메라(110a-1) 및 제2 카메라(110a-2)와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따르면, 제1 카메라(110a-1), 제2 카메라(110a-2) 및 제3 카메라(110a-3)가 바디부(110)의 중심부(310)와 각각 120 도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의 개수와 카메라의 배치 간격은 상술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프로젝터부(140)는 렌즈(140a)와 트레일(140b)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40a)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트레일(140b) 또한, 상하로 움직여서 렌즈(140a)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영상장치(100)는 음성출력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110c)는 바디부의 외관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장치(100)는 음성입력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는 도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제2 이음부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제2 이음부(130)를 제어하여,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이음부(130)의 제1 영역(4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 이음부(130)의 제2 영역(420)이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이음부(130)의 길이, 방향을 조절하여 프로젝터부(140)의 높이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제2 이음부(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제2 이음부(130)의 길이를 연장하는 "길이 연장" 이라는 명령을 음성입력부(110b)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2 이음부(13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50)는 제2 이음부(130)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음성 명령 목록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이음부(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카메라(110a)를 통해 프로젝터부(140)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시청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시청자를 특정하고, 시청자를 식별하여 시청자가 시청하기 편리한 각으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카메라(110a)를 이용하여 영상이 조사되는 영역도 식별하여, 영상이 투사되기에 적합한 곳을 서칭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50)는 영상이 흐리게 나올 수 있는 영역은 배제하고 영상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부(140)의 렌즈(140a)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된 영상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된 영상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장치(510)는 상술한 영상장치(100)와 동일 모델로 상정하고 설명하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라면 외부장치(510)로 이용될 수 있다.
외부장치(510)는 어린아이(520)를 촬영하고 있다. 외부 장치(510)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장치(530)로 전송한다.
영상장치(53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5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한다(S710). 가령, 영상장치(530)은 유/무선으로 외부장치(5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장치(530)는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장치(530)는 수신된 영상을 벽면(5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장치(530)는 시청자(560)를 인식하고, 시청자(560)가 시청하기 편리한 곳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530)는 시청자(560)의 음성 명령에 따라 특정 지점에 상기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영상장치(530)는 시청자(560)의 음성 제어 명령에 따라, 영상 투사 방향이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는 시청자(560)가 가리키는 방향을 모션인식을 통해 인식하여, 영상을 해당 지점에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530)는 시청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바디부(110)와 프로젝터부(140)의 방향, 길이 등을 조정할 수 있다(S720).
영상장치(530)는 시청자(560)의 요청에 따라 제1 및 제2 이음부(120, 130)의 길이,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530)는 프로젝터부(140)의 렌즈(140a) 방향을 렌즈(140a) 및 트레일(140b)를 제어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장치(530)는 영상을 특정 지점에 투사할 수 있다(S730).
영상장치(530)는 외부장치(510)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가령, 영상장치(530)는 외부장치(510)의 촬영 방향, 촬영 설정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530)는 촬영한 영상을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한 외부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영상장치(100)는 외부 단말(600)로 촬영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영상장치(1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영상을 외부 단말(6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600)은 수신된 영상(620)을 디스플레이(6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영상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영상장치 110 : 바디부
150 : 제어부

Claims (16)

  1. 영상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부;
    소정 거리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이음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프로젝터부를 연결하는 제2 이음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바디부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디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영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곽 중 일부를 감싸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영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이음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영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360도로 영상 투사가능하도록 회전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지점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영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영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는 연장 및 축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제어하는 영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음부의 길이를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영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3대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상기 카메라 각각으로 가상의 연결선이 설정된 경우, 상기 연결선 간 각도가 모두 120도인 영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위는 천정, 지면, 벽면 및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구비하는 영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기 설정된 지점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부를 제어하는 영상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음성 명령 또는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촬영 방향 또는 촬영 설정값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장치.
KR2020150004445U 2015-07-02 2015-07-02 영상장치 KR200490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45U KR200490714Y1 (ko) 2015-07-02 2015-07-02 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45U KR200490714Y1 (ko) 2015-07-02 2015-07-02 영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43U true KR20170000143U (ko) 2017-01-11
KR200490714Y1 KR200490714Y1 (ko) 2019-12-20

Family

ID=5779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45U KR200490714Y1 (ko) 2015-07-02 2015-07-02 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99A (ko) * 2018-07-27 2020-02-05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12406A (ko) * 2018-07-27 2020-02-05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8437A1 (en) * 2003-12-12 2005-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projectors in space to steer projections and afford interaction
EP1961614A2 (en) * 2001-12-03 2008-08-27 Joseph J. Mazzilli 360 degree automobile video camera system
KR20100121086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싸이시스 음원인식을 이용한 촬영영상 추적 ptz 카메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62596A (ko) 2010-12-06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1614A2 (en) * 2001-12-03 2008-08-27 Joseph J. Mazzilli 360 degree automobile video camera system
US20050128437A1 (en) * 2003-12-12 2005-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projectors in space to steer projections and afford interaction
KR20100121086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싸이시스 음원인식을 이용한 촬영영상 추적 ptz 카메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62596A (ko) 2010-12-06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99A (ko) * 2018-07-27 2020-02-05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12406A (ko) * 2018-07-27 2020-02-05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14Y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2940B2 (ja) 撮影機器及び連携撮影方法
US201900821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JP694294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721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US20150022674A1 (en) Wireless video camera
US20210099669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15186021A (ja) 撮影機器、撮像観察機器、画像比較表示方法、画像比較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比較表示システム
CN102207674A (zh) 全景图像拍摄装置及方法
JP201501934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202002673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received through plurality of cameras
JP645547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278602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camera operation
US2017012702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W201113629A (en) Control device, opera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129667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TW202239184A (zh) 成像裝置和系統、捕獲圖像的方法以及電腦可讀儲存媒體
WO2018076883A1 (zh) 视频拍摄盒及视频拍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1501891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maging system
WO2020052444A1 (zh) 用于摄影的设备控制系统及方法
KR102314943B1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KR20170000143U (ko) 영상장치
US11245830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ame, and storage medium
TWI644233B (zh) 具有全景攝影功能的指令輸入裝置
JP202020487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697570B (zh) 用于显示图像的方法、电子设备及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