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11U -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 Google Patents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11U
KR20170000111U KR2020150004380U KR20150004380U KR20170000111U KR 20170000111 U KR20170000111 U KR 20170000111U KR 2020150004380 U KR2020150004380 U KR 2020150004380U KR 20150004380 U KR20150004380 U KR 20150004380U KR 20170000111 U KR20170000111 U KR 201700001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face plate
support member
bar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중
임창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111U/ko
Publication of KR20170000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63B9/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티바(T-Bar)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부재와, 상기 티바(T-Bar)의 위치 결정 시 상기 티바(T-Bar)를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Jig and Fixtures for Built-up of T-Bar}
본 고안은 선박에서 헐(Hull) 부재로 사용되는 티바(T-Bar)의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티바(T-Bar)란 웨브(WEB)와 면재(F/P, Face Plate)로 구성되는 "T"자형 빌트업(Built Up)재의 한 종류서, 웨브와 면재를 용접으로 일체화하여 선박의 종 통재(Longitudinal)에 주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진 부재이다.
종래의 티바(T-Bar)의 빌트업 공정은 웨브(WEB) 및 면재(F/P, Face Plate)를 각각 절단하고, 각각 곡 가공작업을 실시한다. 곡 가공한 웨브(WEB)와 면재(F/P, Face Plate)를 용접하게 되는데, 이때 정확한 곡 가공이 어려워 웨브(WEB)와 면재(F/P, Face Plate) 사이에는 다량의 갭(GAP)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다량의 갭(GAP)으로 인해 작업이 지연되고 생산 및 제작을 위한 시수가 과다로 투입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곡 가공이 완벽하지 않은 불규칙한 곡 빌트업(Built-Up)재의 면재(F/P, Face Plate)는 곡 가공을 위한 설계 정보가 불명확하여 곡 가공이 완벽하지 않아 정도 불량이 많이 발생하며, 어셈블리 제작 시 웨브(WEB)와 면재(F/P, Face Plate)의 밀착 취부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업무량 과다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3-0008742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 가공 오차가 발생해도 웨브(WEB)와 면재(F/P, Face Plate)의 밀착을 쉽게 하여 취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 효율을 증대하여 생산성 향상 및 시수를 절감할 수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는, 티바(T-Bar)에 설치되어 상기 티바(T-Bar)의 면재(F/P, Face Plate)와 웨브(WEB)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부재와, 상기 위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면재(F/P, Face Plate)와 웨브(WEB)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부재는 상기 면재(F/P, Face Plate)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위치부재와 상기 웨브(WEB)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부재의 일측에는 힌지부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1위치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위치부재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손잡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에 따라서, 불규칙한 곡 빌트업(Built-up)재의 면재(F/P, Face Plate)의 곡 가공 정도가 불량해도 웨브(WEB)와 면재(F/P, Face Plate)의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규격별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증대할 수 있고, 생산 시수를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라서, 하나의 치공구로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하게 되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을 감소시켜 시수를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라서, 취부 작업을 빠르고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라서, 치공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 및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공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티바(T-Bar)에 도 1의 치공구 설치 도면.
도 4는 도 3의 치공구 조임 시 작동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티바(T-Bar)에 도 1의 치공구 설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치공구 조임 시 작동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티바(T-Bar)(5)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는, 티바(T-Bar)(5)에 설치되어 상기 티바(T-Bar)(5)의 면재(F/P, Face Plate)(51)와 웨브(WEB)(5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부재(1,2)와, 상기 위치부재(1,2)에 설치되어 상기 면재(F/P, Face Plate)(51)와 웨브(WEB)(52)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부재(41,42,43,44)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부재(1,2)와 상기 지지부재(41,42,43,44)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티바(T-Bar)(5)는 선박에서 헐(Hull) 부재에 사용되는 것으로, 웨브(WEB)(52)와 면재(F/P, Face Plate)(51)로 구성되는 "T"자형 빌트업(Built Up)재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웨브(WEB)(52)와 면재(F/P, Face Plate)(51)는 각각 곡 가공을 한 후 용접하여 일체화한다.
이때, 웨브(WEB)(52)와 면재(F/P, Face Plate)(51)의 빌트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치공구가 설치된다.
티바(T-Bar)(5)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는 위치부재(1,2)와 지지부재(41,42,43,44)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부재(1,2)는 제1위치부재(1)와 제2위치부재(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위치부재(1)는 상기 면재(F/P, Face Plate)(5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1몸체(11)와 제1-2몸체(12)와 제1-3몸체(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1몸체(11)는 직육면체 형태를 하며, 상기 제1-1몸체(11)의 너비는 상기 제1-1몸체(11)의 높이보다 짧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1-1몸체(11)의 우측면(111)에는 면재(F/P, Face Plate)(51)의 좌측면(도 3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면)이 접촉되어 면재(F/P, Face Plate)(51)가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면재(F/P, Face Plate)(51)의 위치를 결정하여 면재(F/P, Face Plate)(51)가 치공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1몸체(11)의 좌측면에는 후술할 힌지부(17)가 일체로 형성된다.
후술할 힌지부(17)에는 후술할 지지부재(41,42,43,44)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1몸체(11)의 우측에는 제1-2몸체(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2몸체(12)는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제1-1몸체(11)의 우측 상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2몸체(12)의 너비는 상기 제1-2몸체(12)의 높이보다 긴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1-2몸체(12)의 하면(121)에는 면재(F/P, Face Plate)(51)의 상면(510)이 접촉하여 상기 제1위치부재(1)에 면재(F/P, Face Plate)(5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1-2몸체(12)의 상면은 제1-1몸체(11)의 상면 및 후술할 제1-3몸체(13)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제2-1몸체(21)의 상면 및 후술할 제2-2몸체(22)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몸체(12)의 우측에는 제1-3몸체(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3몸체(13)는 상기 제1-2몸체(12)의 우측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3몸체(13)는 상부 일부가 라운드 진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제1-3몸체(13)의 너비는 상기 제1-3(13)의 높이보다 짧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1-3몸체(13)의 라운드 진 부분은 상기 제1-3몸체(13)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다.
이러한 제1-3몸체(13)의 상면은 제1-1몸체(11)의 상면 및 제1-2몸체(12)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3몸체(13)의 하면은 제1-1몸체(11)의 하면보다는 높게 위치하고, 제1-2몸체(12)의 하면(121)보다는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제1-1몸체(11)와 제1-2몸체(12)와 제1-3몸체(13)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내부에 면재(F/P, Face Plate)(51)가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제1-3몸체(13)의 우측에는 제2위치부재(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위치부재(2)는 상기 웨브(WEB)(5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2-1몸체(21)와 제2-2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1몸체(21)는 직육면체 형태를 하며, 상기 제1-3몸체(13)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1몸체(21)의 너비는 상기 제2-2몸체(21)의 높이보다 긴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1몸체(21)의 하부에는 웨브(WEB)(52)가 위치한다.
이러한 제2-1몸체(21)의 하면은 웨브(WEB)(52)의 상면과 평행하는 것이 적당하며, 웨브(WEB)(52)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인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제2-1몸체(21)의 하면은 제1-3몸체(13)의 하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1몸체(11)의 하면보다는 높고 제1-2몸체(12)의 하면보다는 낮으며, 후술할 제2-2몸체(22)의 하면보다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1몸체(21)의 상면은 제1-1몸체(11)의 상면 또는 제1-2몸체(12)의 상면 또는 제1-3몸체(13)의 상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제2-2몸체(22)의 상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1몸체(21)의 우측에는 제2-2몸체(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2몸체(22)는 직육면체를 하며, 상기 제2-2몸체(22)의 너비는 상기 제2-2몸체(22)의 높이보다 짧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2몸체(22)는 상기 제2-1몸체(21)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웨브(WEB)(52)가 상기 제2-2몸체(22)의 좌측면(221)에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2-2몸체(22)의 상면은 제2-1몸체(21)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제2-2몸체(22)의 하면은 제2-2몸체(22)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2-2몸체(22)의 상면은 제1-1몸체(11)의 상면 또는 제1-2몸체(12)의 상면 또는 제1-3몸체(13)의 상면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17)]
위치부재(1,2)에는 힌지부(17)가 더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17)는 상기 제1위치부재(1)의 제1-1몸체(11)의 좌측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며, 중공(170)이 형성된 원통 형태를 한다.
상기 힌지부(17)에는 후술할 지지부재(41,42,43,44)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중공(170)의 반경은 후술할 지지부재(41,42,43,44)의 제2지지부재(42)의 반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1,42,43,44)]
지지부재(41,42,43,44)는 상기 힌지부(17)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41,42,43,44)는 제1지지부재(41)와 제2지지부재(42)와 제3지지부재(43)와 제4지지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41)는 원통 형상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좌측 하부에는 제2지지부재(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힌지부(17)의 중공(17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42)의 반경은 힌지부(17)의 반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부재(42)의 우측에는 제3지지부재(43)가 형성된다.
상기 제3지지부재(43)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지지부재(42)의 우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3지지부재(43)의 반경은 제2지지부재(42)의 반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3지지부재(43)의 우측에는 제4지지부재(44)가 형성된다.
상기 제4지지부재(44)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3지지부재(43)의 우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4지지부재(44)는 상기 제2지지부재(42)를 회전하여, 상기 제4지지부재(44)를 면재(F/P, Face Plate)(51)의 좌측면에 닿게 하여 면재(F/P, Face Plate)(51)와 웨브(WEB)(52)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4지지부재(44)의 반경은 제3지지부재(43)의 반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42) 및 제3지지부재(43) 및 제4지지부재(44)는 'U'자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제2지지부재(42)가 힌지부(17) 내에서 회전할 때 제4지지부재(44)가 면재(F/P, Face Plate)(51)를 압박하므로, 면재(F/P, Face Plate)와 웨브(WEB)(52) 사이의 갭(G)을 줄여 면재(F/P, Face Plate)와 웨브(WEB)(52)를 고정하는 것이다.
[손잡이(3)]
제1지지부재(41)에는 손잡이(3)가 더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는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3)의 반경은 제1지지부재(41)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곡 가공된 면재(F/P, Face Plate)(51)와 곡 가공된 웨브(52)의 위치를 설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부재(1)의 하부에 면재(F/P, Face Plate)(51)를 위치하도록 하고, 제2위치부재(2)의 하부에 웨브(WEB)를 위치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를 잡고 회전하여 면재(F/P, Face Plate)(51)와 웨브(WEB)(52)를 고정하도록 한다.
용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는, 특히, 선박의 헐(Hull) 부재에 사용되는 티바(T-Bar)의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에 적합하다.
1: 제1위치부재 11: 제1-1몸체
111: 제1-1몸체의 우측면 12: 제1-2몸체
121: 제1-2몸체의 하면 13: 제1-3몸체
131: 제1-3몸체의 좌측면 2: 제2위치부재
21: 제2-1몸체 22: 제2-2몸체
221: 제2-2몸체의 좌측면 17: 힌지부
170: 중공 41: 제1지지부재
42: 제2지지부재 43: 제3지지부재
44: 제4지지부재 3: 손잡이
5: 티바(T-Bar) 51: 면재(F/P, Face Plate)
510: 면재의 상면 52: 웨브(WEB)
G: 갭(GAP)

Claims (4)

  1. 티바(T-Bar)에 설치되어 상기 티바(T-Bar)의 면재(F/P, Face Plate)와 웨브(WEB)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부재와, 상기 위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면재(F/P, Face Plate)와 웨브(WEB)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부재는 상기 면재(F/P, Face Plate)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위치부재와 상기 웨브(WEB)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부재의 일측에는 힌지부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1위치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위치부재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손잡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KR2020150004380U 2015-06-30 2015-06-30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KR201700001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80U KR20170000111U (ko) 2015-06-30 2015-06-30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80U KR20170000111U (ko) 2015-06-30 2015-06-30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11U true KR20170000111U (ko) 2017-01-09

Family

ID=5779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80U KR20170000111U (ko) 2015-06-30 2015-06-30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1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9616A (zh) * 2021-08-12 2021-11-02 福立旺精密机电(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展示架焊接定位夹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742A (ko) 2011-07-13 2013-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헐 부재 티바 면재 길이 검증 및 설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742A (ko) 2011-07-13 2013-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헐 부재 티바 면재 길이 검증 및 설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9616A (zh) * 2021-08-12 2021-11-02 福立旺精密机电(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展示架焊接定位夹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3425C (en) Light reflector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0511337U (zh) 一种适应多种安装方式的天花灯
KR20170000111U (ko) 티바(T-Bar) 빌트업을 위한 치공구
CN204262801U (zh) 笼型机座
CN204470681U (zh) 一种可转位三面刃铣刀
CN204413404U (zh) 激光切割快速定位装置
CN216482871U (zh) 一种夹具定位销检测机构
CN210879323U (zh) 一种电气自动化机械夹具
CN214684632U (zh) 一种工件校正夹具
KR101025669B1 (ko) Led tv 프레임의 led판 연결부 제조금형 및 그 제조방법
CN213289098U (zh) 一种激光切割工作台
CN211760050U (zh) 应用于显示器固定框架的定位夹具
CN217019090U (zh) 用于激光切割机的支撑组件及激光切割机
CN203579262U (zh) 一种薄壁状零件加工夹具
CN213054454U (zh) 一种反射板夹具
CN202507260U (zh) 一种汽车门槛的装配架
CN115744281A (zh) 一种用于固定单元幕墙挂件的搬运夹具
CN210477112U (zh) 一种滤材裁切夹具
CN219190010U (zh) 一种双齿轮压装前高效定位工装
CN110340599B (zh) 一种线圈焊接件的专用治具
CN215440733U (zh) 一种磁瓦电泳挂具
CN216327567U (zh) 一种精密零件的内孔抛光夹具
CN212688222U (zh) 一种电镀挂具
CN210731539U (zh) 一种汽车消声器焊接用辅助固定装置
CN219818063U (zh) 一种镶边瓦止推片定位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