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544A - 쥐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쥐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544A
KR20160150544A KR1020150088693A KR20150088693A KR20160150544A KR 20160150544 A KR20160150544 A KR 20160150544A KR 1020150088693 A KR1020150088693 A KR 1020150088693A KR 20150088693 A KR20150088693 A KR 20150088693A KR 20160150544 A KR20160150544 A KR 2016015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or
rat
upper cas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진
Original Assignee
박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진 filed Critical 박혜진
Priority to KR102015008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544A/ko
Publication of KR2016015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쥐가 한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는 쥐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쥐 포획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포획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한 도어가 고정될 수 있는 도어고정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여 잠그는 장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획장치 내부에 끈끈이를 설치할 경우 쥐가 통과하는 통로를 막는 개폐문을 포획장치 천장에 마련되는 문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통로를 개방한 상태로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쥐 포획장치{Capturing device for mouse}
본 발명은 쥐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끈끈이가 설치될경우 쥐가 통과하는 통로를 연채로 사용하고, 끈끈이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문을 설치하여 쥐가 한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는 쥐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쥐를 포획하기 위하여 접착성분을 이용하는 끈끈이를 사용한다. 하지만 끈끈이는 사용 중 신체에 붙을 수 있고, 쥐가 잡힌 모습을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0121565 호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는 문을 설치하여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덫의 구조에 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또한, 내부에 끈끈이를 설치할 경우 문으로 굳이 막을 필요가 없는데도 계속 막고 있기 때문에 쥐가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0121565 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포획장치 내부에 끈끈이를 설치할 경우 쥐가 통과하는 통로를 막는 개폐문을 포획장치 천장에 마련되는 문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통로를 개방한 상태로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쥐 포획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포획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한 도어가 고정될 수 있는 도어고정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여 잠그는 장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획장치 내부에 끈끈이를 설치할 경우 쥐가 통과하는 통로를 막는 개폐문을 포획장치 천장에 마련되는 문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통로를 개방한 상태로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쥐 포획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쥐 포획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쥐 포획장치의 유입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쥐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쥐 포획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쥐 포획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쥐 포획장치의 유입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쥐 포획장치는 케이스(10), 유입구(20), 도어(30), 도어고정부(40), 잠금장치(6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결합된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마련된다. 상기 유입구(20)는 포획물이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입구(20)로부터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으로 통로 벽(21)이 형성되고, 상기 통로 벽(21)의 내측단부에는 경사부(22)가 마련된다.
도어(30)는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경사부(22)에 거치되어 상기 유입구(20)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다. 상기 도어(30)의 내측면에는 뾰족하게 돌출되는 가시부(31)가 형성된다. 상기 가시부(31)는 포획물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고정부(40)는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천장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고정부(40)에 상기 회동한 도어(3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도어(30)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천장에 고정되면 상기 유입부(20)는 개방된다.
잠금장치(60)는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를 결합하고 잠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금장치(60)는 포획물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들어와 포획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1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잠금장치(60)는 상기 상부케이스(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홈이 마련되는 홈부(61)와 상기 하부케이스(12)에 돌출부가 마련되는 돌출부(62)로 이루어진다.
스프링부(50)는 관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부(50)는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천장과 상기 하부케이스(12)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양쪽에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부(50)는 닫혀있는 상기 케이스(10)를 열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쥐 포획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쥐를 포획하기 위하여 케이스(10)에 유입구(20), 도어(30), 도어고정부(40), 잠금장치(60)를 를 설치한다.
상기 쥐는 상기 유입구(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도어(30)가 상기 유입구(20)를 막고 있다가 상기 쥐가 상기 도어(30)를 밀면 상기 도어(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쥐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들어와 포획된다. 이때 상기 쥐가 상기 케이스(10)에서 다시 나가려고 할 수 있는데 상기 도어(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시부(31)가 상기 쥐가 상기 도어(3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일반적으로 쥐를 잡는데 사용하는 끈끈이를 설치할 경우, 상기 도어(30)를 상기 케이스(10)의 천장에 마련되는 도어고정부(40)에 고정시켜 상기 유입구(20)를 개방한 상태로 사용한다. 상기 쥐가 상기 개방된 유입구(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들어 왔다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끈끈이에 걸려 포획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쥐 포획장치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끈끈이를 설치할 경우 상기 도어(30)를 상기 도어고정부(40)에 고정시켜 상기 유입구(20)를 개방한 채로 사용하고, 끈끈이가 없을 경우 상기 도어(30)로 상기 유입구(20)를 막아 포획된 쥐가 탈출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획된 쥐가 탈출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60)가 마련된다.
쥐가 포획된 후 상기 케이스(10)를 열 때, 스프링부(50)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작용으로 쉽게 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11 : 상부케이스
12 : 하부케이스
20 : 유입구
21 : 통로 벽
22 : 경사부
30 : 도어
31 : 가시부
40 : 문고정부
50 : 스프링부
60 : 장금장치
61 : 홈부
62 : 돌출부

Claims (4)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포획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한 도어가 고정될 수 있는 도어고정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여 잠그는 장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통로 벽이 형성되고, 상기 통로 벽의 내측단부에는 경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거치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가시부가 형성되어, 포획물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관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천장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닫혀있는 상기 케이스를 열 때,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쉽게 열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장치.
KR1020150088693A 2015-06-22 2015-06-22 쥐 포획장치 KR20160150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93A KR20160150544A (ko) 2015-06-22 2015-06-22 쥐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93A KR20160150544A (ko) 2015-06-22 2015-06-22 쥐 포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97U Division KR200484591Y1 (ko) 2017-06-29 2017-06-29 쥐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44A true KR20160150544A (ko) 2016-12-30

Family

ID=5773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693A KR20160150544A (ko) 2015-06-22 2015-06-22 쥐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5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37293A1 (en) * 2019-04-23 2020-10-29 Ecolab Usa Inc. Bait box with locking bait bar
KR20210023371A (ko) 2019-08-23 2021-03-04 (주)월드그린 쥐 포획 장치
US11317619B2 (en) 2018-05-15 2022-05-03 Ecolab Usa Inc. Pest control device moun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65B1 (en) 1994-08-02 1997-11-19 S K Telecom Co Ltd Data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65B1 (en) 1994-08-02 1997-11-19 S K Telecom Co Ltd Data communicat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7619B2 (en) 2018-05-15 2022-05-03 Ecolab Usa Inc. Pest control device mounting system
US20200337293A1 (en) * 2019-04-23 2020-10-29 Ecolab Usa Inc. Bait box with locking bait bar
KR20210023371A (ko) 2019-08-23 2021-03-04 (주)월드그린 쥐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50544A (ko) 쥐 포획장치
EP3245358B1 (en) Sliding bolt latch and use thereof
RU2016146979A (ru) Шарнир
KR200484591Y1 (ko) 쥐 포획장치
WO2011101633A3 (en) Sensor housing
KR200450976Y1 (ko)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EP2851494A3 (en) Motor vehicle lock
CN104169513A (zh) 过道的阻挡闭合件
ATE457753T1 (de) Absaugkanüle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854865B1 (ko) 활어운송수조용 도어장치
JP5454941B2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US20160168878A1 (en) Foot pedal assembly for appliances
KR20170074362A (ko)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CN106785630B (zh) 连接器防护外壳
JP7094309B2 (ja) 閉鎖装置、好適には開口のシールハッチを閉鎖するための閉鎖装置
JP2016186198A (ja) 網戸付きサッシ
JP6607658B2 (ja) プッシュラッチ付引戸クローザー
US9982463B2 (en) Blocking structure of anti-fire door lock
KR101152539B1 (ko)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KR20100042195A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EP2058710A3 (en) Developing unit
JP5732413B2 (ja) ストッパ装置及び建具
KR200190953Y1 (ko) 방화용 자동 스토퍼 장치
KR101673714B1 (ko)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