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433A -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433A
KR20160150433A KR1020150088416A KR20150088416A KR20160150433A KR 20160150433 A KR20160150433 A KR 20160150433A KR 1020150088416 A KR1020150088416 A KR 1020150088416A KR 20150088416 A KR20150088416 A KR 20150088416A KR 20160150433 A KR20160150433 A KR 20160150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heel
suction
vacuum cleaner
upper co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135B1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이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371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504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희 filed Critical 이창희
Priority to KR102015008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1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는 집진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집진모듈과 연통된 진공관이 하향하게 뻗어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진공청소부와, 상기 진공청소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관의 하단과 연통되며 저면에 흡입공이 형성되어 흡입된 오염물을 상기 진공관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재와, 상기 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과, 상기 상부커버의 저면을 폐쇄하되 상기 흡입공과 연결되는 흡입가이드와 상기 회전모듈과 연결되는 회전판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회전판삽입부를 통해 상기 회전모듈과 결속되며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판회전과, 상기 회전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with rotating mop}
본 발명은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물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진공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진공모듈과 연통된 흡입구가 저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움직이면서 바닥의 오염물질을 편리하게 흡입하는 것이다. 상기 흡입구 주변에는 솔이나 물걸레등을 부착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1381호 '진공청소기의 보조걸레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진공청소기 본체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 조립체와, 진공청소기 본체와 흡입구 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관 및 연장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걸레세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흡입구 조립체 및 보조흡입노즐 등으로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는 액상오물이나 피청소면에 고착된 오물을 보조걸레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 기술된 보조걸레부재는 상기 흡입구조립체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하려면 상기 흡입구 조립체에 압력을 가하여 여러번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진공청소기 본체와 연통된 흡입구조립체를 가압한 상태로 여러번 이동하지 않더라도 걸레를 회전시켜 걸레와 오염물의 마찰계수를 높임에 따라 오염물이 용이하게 제거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집진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집진모듈과 연통된 진공관이 하향하게 뻗어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진공청소부와, 상기 진공청소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관의 하단과 연통되며 저면에 흡입공이 형성되어 흡입된 오염물을 상기 진공관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재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과, 상기 상부커버의 저면을 폐쇄하되 상기 흡입공과 연결되는 흡입가이드와 상기 회전모듈과 연결되는 회전판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회전판삽입부를 통해 상기 회전모듈과 결속되며,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재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에 밀착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저면에 하향하게 돌출형성된 측벽으로 둘러싸인 흡입공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수직한 환형으로 형성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진공관에 직접 연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되,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공과 상기 연결관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고, 상기 흡입공과 연결관 사이에는 깊이가 얕게 형성된 흡입유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듈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양측에 다른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웜기어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웜휠과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웜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웜휠과 제2웜휠에는 하측에 동력전달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 상기 회전판의 상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웜휠과 제2웜휠의 상측에는 상기 제1웜휠 또는 제2웜휠의 상부와 측부에 씌워지고 상기 제1웜휠 또는 제2웜휠의 지지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웜휠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에 상기 웜휠하우징이 움직임없이 안착되도록 고정부가 상기 웜휠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상기 판회전의 상측전면에 씌워져 청소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은 디스크형으로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상향하게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 외측으로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살이 형성되며, 하단면에는 상기 걸레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는 걸레가 회전함에 따라 오염물과 걸레의 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진공청소기를 가압하여 여러번 움직이지 않더라도 오염물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진공청소기의 먼지 흡입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청소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부분 사시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부분 사시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부재의 사시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에서 회전모듈의 부분 사시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밞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는 집진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집진모듈과 연통된 진공관이 하향하게 뻗어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11)가 마련된 진공청소부(10)와, 상기 진공청소부(1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관의 하단과 연통되며 저면에 흡입공(31a)이 형성되어 흡입된 오염물을 상기 진공관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재(3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40)과, 상기 상부커버(20)의 저면을 폐쇄하되 상기 흡입공(31a)과 연결되는 흡입가이드(51)와 상기 회전모듈(40)과 연결되는 회전판삽입부(53)가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회전판삽입부(53)를 통해 상기 회전모듈(40)과 결속되며 상기 회전모듈(4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판(60)과, 상기 회전판(6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레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청소부(10)는 집진모듈이 내장되고 하측에는 상기 집진모듈과 연결된 진공관이 형성된 직립기둥형태로, 상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1)가 형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1)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진공청소부(10)의 진공관 하단에는 상부커버(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상부커버(20)는 내부에는 후술될 흡입부재(30)와 회전모듈(40)이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부재(30)와 회전모듈(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에 씌워진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흡입부재(30)와 회전모듈의 형태와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버(20)은 전방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방으로부터 상기 진공관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만곡져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20)는 후술될 회전판(60)이 회전함에 따라 손이나 이물질이 상기 회전판(60) 상부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회전판(60) 상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20)의 하측면에는 흡입부재(30)가 결합되는데, 이 흡입부재(30)는 상기 진공관과 연결되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오염물질을 상기 집진장치로 보내기 위해 형성되는 관로로, 저면에 흡입공(31a)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재(30)는 저면에 흡입공(31a)이 형성된 관로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재(3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측면에 밀착결합되는 관로로, 전방 저면에는 하향하게 돌출형성된 측벽(31b)으로 둘러싸인 흡입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31b)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흡입관(33)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33)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진공청소부의 진공관에 연통되는 연결관(35)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재(30)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됨에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20)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20)에는 상기 흡입부재(30)를 밀착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부재(30)의 상단 외측면과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밀착벽(21)이 하향하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흡입관(33)은 상기 측벽(31b)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의 환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관(33) 내측 동공에 후술될 모터(41)와 웜기어(43)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환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20)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침대와 같은 높이가 낮은 가구 아래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관(33)은 상기 흡입공(31a)을 향할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제1테이퍼부(33a)와, 상기 연결관(35)을 향할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제2테이퍼부(33c)와 상기 제1테이퍼부(33a)와 제2테이퍼부(33c)를 연결하고 깊이가 얕게 형성되는 흡입유도부(33b)가 형성된다. 상기 제1테이퍼부(33a)와 흡입유도부(33b)의 체적차이에 따라 공기의 압력이 가변되고, 상기 흡입유도부(33b)에 압력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흡입공(31a)을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을 상기 제1테이퍼부(33a)로부터 빠르게 흡입유도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유도부(33b)와 제2테이퍼부(33c)의 체적차이에 따라 상기 제2테이퍼부(33c)의 압력이 낮게 형성되므로 상기 흡입유도부(33b)를 통과한 오염물질은 상기 제2테이퍼부(33c)에서 이동속도가 느려져 상기 진공관으로 흡입된다. 즉,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오염물질은 상기 제1테이퍼부(33a)와 흡입유도부(33b)를 빠른속도로 통과하고 상기 제2테이퍼부(33c)에서 느리게 통과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었다가 다시 흡입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33)에 깊이가 얕게 형성된 흡입유도부(33b)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20)에 후술될 웜기어(43)와 제,2웜휠(45a,45b)이 장착되더라도 상기 상부커버(20)는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33)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33)과 진공관을 연통시키는 연결관(35)은, 상기 진공관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3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35)은 상기 진공관에 연결되는 부분이 직립관(35a)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33)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직립관(35a)으로부터 소정각도 상기 상부커버(20)를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33)에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구형관(35b)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20)의 하측면과 상기 흡입부재(30)의 하측면에는 회전모듈(40)이 형성되는데, 이 회전모듈(40)은 후술될 회전판(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41)와, 상기 모터(41)에 의해 회전하고 양측에 다른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웜기어(43)와, 상기 웜기어(43)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웜기어(43)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웜휠(45a)과, 상기 웜기어(43)의 타측이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웜휠(45b)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웜기어(43)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터(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웜휠(45a)과 제2웜휠(45b)이 서로 외측을 향해 회전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는 전진이 용이하며,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웜휠(45a)과 제2웜휠(45b)이 서로 내측을 향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는 후진이 용이하다. 물론, 상기 모터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모터(41)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43)는 수평하게 배치된 축형태로 일측과 타측에 서로 다른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웜기어(43)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1웜휠(43a)과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치합되는 제2웜휠(43b)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웜휠(43a)과 제2웜휠(43b)의 하측에는 동력전달부(47)가 형성되는데, 이 동력전달부(47)는 후술된 회전판(60)이 상기 제1웜휠(43a) 또는 제2웜휠(43b)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판(60)과 상기 제1웜휠(43a) 또는 제2웜휠(43b)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제1윔휠(43a)과 제2웜휠(43b)의 상측에는 웜휠하우징(49)이 씌워지는데, 이 웜휠하우징(49)은 상기 제1웜휠(43a)과 제2웜휠(43b)이 회전할 때 상기 상부커버(20)와 맞닿아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웜휠(43a) 또는 제2웜휠(43b)의 상부와 측부가 씌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웜휠하우징(49)은 상기 웜기어(43)의 상측부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웜휠하우징(49)이 상기 상부커버(20)에 움직임없이 안착되도록 상기 웜휠하우징(49)에는 고정부(49a)가 형성되는데, 이 고정부(49a)는 상기 웜휠하우징(49)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향하게 경사져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20)와 상기 제1,2웜휠(43a,b)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킨다.
상기 상부커버(20)의 하측면에 내장되는 흡입부재(30)와 회전모듈(40)은 상기 상부커버(20)의 저면을 폐쇄하는 하부커버(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 하부커버(50)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저면을 폐쇄하되 상기 흡입부재(30)의 흡입공(31a)과 연통되는 흡입가이드(51)와, 상기 회전모듈의 동력전달부(47)와 연결되는 회전판삽입부(5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50)의 전방부에는 흡입가이드(51)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흡입가이드(51) 후방에는 회전판(60)이 회전하는 공간으로 상기 흡입가이드(51)보다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판(51)이 결합되더라도 상기 흡입가이드(51)가 청소할 바닥과 거의 맞닿도록 돌출형성되어 흡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입가이드(51)는 상기 흡입공(31a)을 통해 흡입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에 따르면 이 흡입가이드(51)는 상기 흡입공(31a)보다 전방에 위치한 오염물을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가이드(51)의 전방 후단과 측단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전방에는 상기 흡입공(31a)과 일치되어 연통되는 보조흡입공이 형성되며,상기 흡입공(31a)의 전방에는 저면을 향해 경사져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조흡입공을 향해 오염물질을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50)의 후방에는 상기 회전판(60)의 체결부가 결합되도록 한쌍의 회전판삽입부(53)가 함몰형성되는데, 이 회전판삽입부(53)는 상기 제1,2웜기어(43a,b)의 동력전달부(47)가 상기 회전판(60)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5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제,2웜휠(45a, 45b)의 동력전달부(47)와 회전판(60)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커버(50) 하측에 회전판(60)이 위치하는데, 이 회전판(60)은 상기 제1,2웜휠(45a,b)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디스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는 상기 동력전달부(47)에 체결되는 체결부(6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걸레(70)를 부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이 체결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60)에는 걸레(70)가 결합되는데, 이 걸레(70)는 상기 회전판(60)의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6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레(70)가 회전하여 청소할 바닥의 오염물을 닦는것이다. 이 걸레(70)는 패브릭 소재면 무방하나, 부드러우면서도 표면마찰이 뛰어난 극세사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걸레(70)는 상기 회전판(60)의 모서리를 감쌀 수 있도록 가장자리가 살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회전판(60)이 회전하면서 모서리로 가구나 벽면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60)의 모서리를 감싸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는 집진창치가 설치되어 흡입공(31a)을 통해 오염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진공청소기의 기능과, 걸레(70)가 부착된 회전판(60)이 회전함에 따라 청소면을 닦아 오염물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재(3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20) 내에 회전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20)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는 침대 밑과 같은 좁은 공간이 형성된 바닥면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부재(30)에는 흡입유도부(33b)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흡입공(31a)으로 흡입된 오염물질이 다시 흡입공(31a)을 통해 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1 :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10 : 진공청소부 11 : 손잡이
13 : 제어부
20 : 상부커버 21 : 밀착벽
30 : 흡입부재 31a : 흡입공
31b : 측벽 33 : 흡입관
33a : 제1테이퍼부 33b : 흡입유도부
33c : 제2테이퍼부 35 : 연결관
35a : 직립관 35b : 구형관
40 : 회전모듈 41 : 모터
43 : 웜기어 45a : 제1웜휠
45b : 제2웜휠 47 : 동력전달부
49 : 웜휠하우징
50 : 하부커버 51 : 흡입가이드
53 : 회전판삽입부
60 : 회전판 61 : 체결부
63 : 지지살 65 : 체결수단
70 : 걸레

Claims (6)

  1. 집진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집진모듈과 연통된 진공관이 하향하게 뻗어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진공청소부;
    상기 진공청소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관의 하단과 회동가능하게 연통되며 저면에 흡입공이 형성되어 흡입된 오염물을 상기 진공관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재;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상부커버의 저면을 폐쇄하되 상기 흡입공과 연결되는 흡입가이드와 상기 회전모듈과 연결되는 회전판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커버;
    상기 회전판삽입부를 통해 상기 회전모듈과 결속되며,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에 밀착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저면에 하향하게 돌출형성된 측벽으로 둘러싸인 흡입공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수직한 환형으로 형성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진공관에 직접 연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되,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공과 상기 연결관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고, 상기 흡입공과 연결관 사이에는 깊이가 얕게 형성된 흡입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양측에 다른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웜기어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웜휠과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웜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웜휠과 제2웜휠에는 하측에 동력전달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 상기 회전판의 상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휠과 제2웜휠의 상측에는
    상기 제1웜휠 또는 제2웜휠의 상부와 측부에 씌워지고 상기 제1웜휠 또는 제2웜휠의 지지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웜휠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에 상기 웜휠하우징이 움직임없이 안착되도록 고정부가 상기 웜휠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회전판의 상측전면에 씌워져 청소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디스크형으로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상향하게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 외측으로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살이 형성되며, 하단면에는 상기 걸레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KR1020150088416A 2015-06-22 2015-06-22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KR10180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16A KR101805135B1 (ko) 2015-06-22 2015-06-22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16A KR101805135B1 (ko) 2015-06-22 2015-06-22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33A true KR20160150433A (ko) 2016-12-30
KR101805135B1 KR101805135B1 (ko) 2017-12-05

Family

ID=5773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16A KR101805135B1 (ko) 2015-06-22 2015-06-22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1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019A (zh) * 2018-04-30 2020-11-24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吸嘴
US11058278B2 (en) 2018-04-30 2021-07-13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096536B2 (en) 2018-04-30 2021-08-24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154172B2 (en) 2018-04-30 2021-10-2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191415B2 (en) 2018-04-30 2021-12-0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426041B2 (en) 2018-07-30 2022-08-30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EP4108149A1 (fr) * 2021-06-25 2022-12-28 Seb S.A. Tête de nettoyage équipé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hum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20Y1 (ko) 2018-01-04 2019-10-14 홍기남 물걸레 청소기용 물티슈 부착 패드
KR102164214B1 (ko) * 2019-02-28 2020-10-19 주식회사 스윙 청소기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9973B2 (en) 2018-04-30 2023-05-30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2042116B2 (en) 2018-04-30 2024-07-23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096536B2 (en) 2018-04-30 2021-08-24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154172B2 (en) 2018-04-30 2021-10-2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191415B2 (en) 2018-04-30 2021-12-0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2082756B2 (en) 2018-04-30 2024-09-10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CN115363477A (zh) * 2018-04-30 2022-11-22 Lg电子株式会社 用于清洁器的吸嘴
US11517174B2 (en) 2018-04-30 2022-12-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517173B2 (en) 2018-04-30 2022-12-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CN111989019B (zh) * 2018-04-30 2023-03-10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吸嘴
US12029364B2 (en) 2018-04-30 2024-07-09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058278B2 (en) 2018-04-30 2021-07-13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896188B2 (en) 2018-04-30 2024-02-13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786093B2 (en) 2018-04-30 2023-10-1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CN111989019A (zh) * 2018-04-30 2020-11-24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吸嘴
US11937752B2 (en) 2018-04-30 2024-03-2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2029361B2 (en) 2018-04-30 2024-07-09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944249B2 (en) 2018-04-30 2024-04-02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957296B2 (en) 2018-04-30 2024-04-1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944257B2 (en) 2018-07-30 2024-04-02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2185898B2 (en) 2018-07-30 2025-01-0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US11426041B2 (en) 2018-07-30 2022-08-30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EP4108149A1 (fr) * 2021-06-25 2022-12-28 Seb S.A. Tête de nettoyage équipé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humide
WO2022269209A1 (fr) * 2021-06-25 2022-12-29 Seb S.A. Tête de nettoyage équipée d'un dispositif de nettoyage hum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135B1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135B1 (ko) 회전걸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KR101253639B1 (ko) 로봇 청소기
KR100478650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FR2838323A1 (fr) Aspirateur robot avec agitation d'air pour detacher les substances a nettoyer
KR20180010725A (ko) 청소기
KR102251953B1 (ko) 물걸레 청소 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1522925B1 (ko) 롤 브러시 청소기
KR102368256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20200084213A (ko) 브러쉬가 구비된 물걸레 겸용 청소기
KR20010081426A (ko) 진공청소기의 걸레 부착용 흡입구체
JP3832650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01055076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150055Y1 (ko) 진공청소기
KR101414660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200148058Y1 (ko) 진공청소기
JP2011041748A (ja) 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090109835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H1071112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209685Y1 (ko) 진공 청소기
JP200701456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01268129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930004118Y1 (ko) 진공청소기의 세척장치
KR200169070Y1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구석 청소장치
KR101063996B1 (ko) 진공 청소기
KR930007016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711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90920

Request date: 20181228

Appeal identifier: 201810000435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711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90920

Request date: 20190110

Appeal identifier: 2019100000095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435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1228

Effective date: 201909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909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81228

Decision date: 20190920

Appeal identifier: 2018100004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