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863A -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9863A KR20160149863A KR1020150087622A KR20150087622A KR20160149863A KR 20160149863 A KR20160149863 A KR 20160149863A KR 1020150087622 A KR1020150087622 A KR 1020150087622A KR 20150087622 A KR20150087622 A KR 20150087622A KR 20160149863 A KR20160149863 A KR 201601498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fixing
- side support
- bottom support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바닥을 지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닥 지지부재와,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거푸집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 지지부재와, 제1측면 지지부재와 간격을 두고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거푸집의 타 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 지지부재와, 제2측면 지지부재와 바닥 지지부재를 순차로 관통하여 연결되되, 바닥 지지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에 제2측면 지지부재의 위치를 구속시켜, 제1측면 지지부재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바닥을 지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닥 지지부재와,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거푸집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 지지부재와, 제1측면 지지부재와 간격을 두고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거푸집의 타 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 지지부재와, 제2측면 지지부재와 바닥 지지부재를 순차로 관통하여 연결되되, 바닥 지지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에 제2측면 지지부재의 위치를 구속시켜, 제1측면 지지부재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Girder)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가로부재를 말한다. 이러한 보는 하중을 지지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둥을 통해 지면까지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건축물의 안전 확보를 위해 구조적으로 중요한 부위라 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보의 시공을 위해서는 기둥과 기둥 사이로 콘크리트 타설을 목적으로 하는 거푸집의 설치가 선행된다.
일반적으로 보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은 바닥을 지탱해주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 부의 상단에서 간격을 두고 위로 세워 설치되어 거푸집의 양측을 지지해주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로 구성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보의 설치 폭과 높이나 거푸집의 형태에 따라 지지구조물을 현장 작업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보의 크기(또는 거푸집의 크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보의 시공에 이용될 수 있는 지지구조물에 대한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바닥을 지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닥 지지부재;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거푸집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 지지부재;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거푸집의 타 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 지지부재; 및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와 상기 바닥 지지부재를 순차로 관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바닥 지지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에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의 위치를 구속시켜,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 지지부재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 양단을 통해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을 사이에서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상기 중공 몸체의 상부에서 상부 면이 아래로 오목하게 긴 홈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설정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가 삽입 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 상기 바닥 지지부재와 상기 제1고정몸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경사몸체; 상기 제1고정몸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고정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몸체; 상기 제1이동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거푸집의 일측 상단을 지지하는 제1고정편; 및 상기 제1고정몸체와 상기 제1이동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나사와, 상기 체결나사의 후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체결나사를 회전 조작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제1높이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 및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안착되어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제1고정몸체와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선단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제2고정몸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고정몸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경사몸체; 상기 제2고정몸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몸체; 상기 제2이동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거푸집의 타측 상단을 지지하는 제2고정편; 및 상기 제2고정몸체와 상기 제2이동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체결나사와, 상기 제2체결나사의 후단에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핸들레버를 포함하는 제2높이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제2경사몸체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자유단부;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고정몸체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아래로 만곡 형성되는 만곡연결부; 상기 만곡연결부의 선단을 통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삽입 공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고리부; 및 상기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경사몸체를 향해 진퇴 조절되는 너트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고리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 공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몸체의 하단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편이 구비되며, 상기 너트조절부는 상기 돌출편에 접촉되어 상기 제2경사몸체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에 의하면, 보(또는 거푸집)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일일이 보를 시공할 때마다 지지구조물을 제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지지구조물을 보의 크기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해지며, 보다 빠른 시간 이내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100)은 바닥 지지부재(110), 제1측면 지지부재(130), 제2측면 지지부재(150), 그리고 간격조절부재(154)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는, 보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바닥을 지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제1, 2측면 지지부재(130, 1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거푸집(미 도시)의 일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는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거푸집(미 도시)의 타 측면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는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와 달리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재(154)는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와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를 순차로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부재(154)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115)에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의 위치를 구속시켜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간격조절부재(154)에 의해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와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 사이의 간격 조절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는 그 세부 구성으로서, 중공 몸체(111), 연결블록(112), 연결핀(113),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중공 몸체(111)를 갖는다.
상기 연결블록(112)은 상기 중공 몸체(111)의 하부 양단을 통해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 몸체(111)를 지면 상부에 떠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113)은 상기 연결블록(112)과 동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중공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아래로 돌출될 수 있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이 안착되는 영역(더 구체적으로는 이동 플레이트(152)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상기 중공 몸체(111)의 상부에서 상부 면이 아래로 오목하게 긴 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15)는 중공 몸체(111)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중공 몸체(111)에 교체 장착 가능한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의 내측에는 다수 개의 삽입 공(1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다수 개가 삽입 공(116)은 설정간격(g, 도 5 참조)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원형 형상이거나 타원형이거나 이와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거푸집(미 도시)의 일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는 제1고정몸체(131), 제1경사몸체(133), 제1이동몸체(135), 제1고정편(137), 그리고 제1높이 고정구(139)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131)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형태로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는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중공 몸체로 제공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의 높이는 후술될 제2측면 지지부재(150)의 제2고정몸체(15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몸체(133)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와 상기 제1고정몸체(131)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고정몸체(131)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거푸집의 일 측면이 지지될 때, 상기 제1경사몸체(133)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에 가해진 하중으로부터 구조를 보강해준다.
상기 제1이동몸체(135)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의 내부 중공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고정몸체(131)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있다.
한편, 상기 제1이동몸체(135)의 타단부에는 제1고정편(137)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편(137)은 상기 제1이동몸체(135)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거푸집의 일측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고정편(137)은 내측을 향하여 수평을 이루는 안착판(137a, 도 2 참조)과 상기 안착판(137a, 도 2 참조)의 외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측면지지판(137b, 도 2 참조)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높이 고정구(139)는 체결나사(139a, 도 2 참조)와 핸들레버(139b,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나사(139a, 도 2 참조)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와 상기 제1이동몸체(135)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레버(139b, 도 2 참조)는 상기 체결나사(139a, 도 2 참조)의 후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상기 체결나사(139a, 도 2 참조)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는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거푸집(미 도시)의 타 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는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와 달리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는 이동 플레이트(152), 제2고정몸체(151), 제2경사몸체(153), 제2이동몸체(155), 제2고정편(157), 그리고 제2높이 고정구(159)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5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상부 및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안착되어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52)는 사각단면의 중공 몸체(111)의 상부에서 상기 중공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중공 몸체(111)의 상부와 접촉 배치되는 상판(152a, 도 3 참조)과, 이의 양단으로부터 중공 몸체(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판(152b, 도 3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151)는 상기 제1고정몸체(131)와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52)의 선단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형태로는 상기 제2고정몸체(151)는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중공 몸체로 제공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제1고정몸체(13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몸체(153)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52)와 상기 제2고정몸체(151)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상기 제2고정몸체(151)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거푸집의 타 측면이 지지될 때, 상기 제2경사몸체(153)는 상기 제2고정몸체(151)에 인가된 하중으로부터 구조를 보강한다.
상기 제2이동몸체(155)는 상기 제2고정몸체(151)의 내부 중공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고정몸체(15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고정몸체(151)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있다.
한편, 상기 제2이동몸체(155)의 타단부에는 제2고정편(157)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편(157)은 상기 제2이동몸체(155)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거푸집의 일측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2고정편(157)은 내측을 향하여 수평을 이루는 안착판(157a, 도 2 참조)과 상기 안착판(157a, 도 2 참조)의 외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측면지지판(157b, 도 2 참조)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높이 고정구(159)는 체결나사(159a, 도 2 참조)와 핸들레버(159b,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나사(159a, 도 2 참조)는 상기 제2고정몸체(151)와 상기 제2이동몸체(155)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레버(159b, 도 2 참조)는 상기 체결나사(159a, 도 2 참조)의 후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상기 체결나사(159a, 도 2 참조)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간격조절부재(154)는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와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를 순차로 관통하여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에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의 위치를 구속시켜 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간격조절부재(154)에 의해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130)와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 사이의 간격 조절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재(154)는, 자유단부(154a, 도 2 참조), 만곡연결부(154c, 도 2 참조), 걸림고리부(154d, 도 2 참조), 그리고 너트조절부(154b,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자유단부(154a, 도 2 참조)는 상기 제2경사몸체(153)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너트조절부(154b, 도 2 참조)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만곡연결부(154c, 도 2 참조)는 상기 자유단부(154a, 도 2 참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고정몸체(151)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아래로 만곡하여(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리부(154d, 도 2 참조)는 상기 만곡연결부(154c, 도 2 참조)의 선단을 통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에 형성된 상기 삽입 공(116)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조절부(154b, 도 2 참조)는 상기 자유단부(154a, 도 2 참조)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경사몸체(153)를 향해 전진하거나 또는 후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조절부(154b, 도 2 참조)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삽입 공(116)에 삽입된 상기 걸림고리부(154d, 도 2 참조)를 뒤로 당겨져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150)와 상기 바닥 지지부재(110) 간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고리부(154d, 도 2 참조)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52)을 관통한 후 상기 삽입 공(116)을 통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경사몸체(153)의 하단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편(15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53a)은 경사진 제2경사몸체(153)의 하단 경사면으로부터 직각 형태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너트조절부(154b)는 상기 돌출편(153a)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경사몸체(153)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은 보(또는 거푸집)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제1, 2측면 지지부재(130, 15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제2측면지지부재(150)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 보의 거푸집 시공을 실시할 수 있는데, 간단히 간격조절부재(154)를 이용하여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해 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보(또는 거푸집)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일일이 보를 시공할 때마다 지지구조물을 제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지지구조물을 보의 크기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해지며, 보다 빠른 시간 이내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보의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110: 바닥 지지부재
111: 중공 몸체
112: 연결 블록
113: 연결 핀
115: 가이드 플레이트
116: 삽입 공
130: 제1측면 지지부재
131: 제1고정몸체
133: 제1경사몸체
135: 제1이동몸체
137: 제1고정편
137a: 안착판
137b: 측면지지판
139: 높이 고정구
139a: 체결나사
139b: 핸들
150: 제2측면 지지부재
151: 제2고정몸체
152: 이동플레이트
153: 제2경사몸체
153a: 돌출편
154: 간격조절부재
154a: 자유단부
154b: 너트조절부
154c: 만곡연결부
154d: 걸림고리부
155: 제2이동몸체
157: 제2고정편
157a: 안착판
157b: 측면지지판
159: 높이 고정구
159a: 체결나사
159b: 핸들레버
110: 바닥 지지부재
111: 중공 몸체
112: 연결 블록
113: 연결 핀
115: 가이드 플레이트
116: 삽입 공
130: 제1측면 지지부재
131: 제1고정몸체
133: 제1경사몸체
135: 제1이동몸체
137: 제1고정편
137a: 안착판
137b: 측면지지판
139: 높이 고정구
139a: 체결나사
139b: 핸들
150: 제2측면 지지부재
151: 제2고정몸체
152: 이동플레이트
153: 제2경사몸체
153a: 돌출편
154: 간격조절부재
154a: 자유단부
154b: 너트조절부
154c: 만곡연결부
154d: 걸림고리부
155: 제2이동몸체
157: 제2고정편
157a: 안착판
157b: 측면지지판
159: 높이 고정구
159a: 체결나사
159b: 핸들레버
Claims (7)
- 보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바닥을 지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닥 지지부재;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거푸집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 지지부재;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거푸집의 타 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 지지부재; 및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와 상기 바닥 지지부재를 순차로 관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바닥 지지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에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의 위치를 구속시켜,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 양단을 통해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을 사이에서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상기 중공 몸체의 상부에서 상부 면이 아래로 오목하게 긴 홈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설정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가 삽입 공이 구비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
상기 바닥 지지부재와 상기 제1고정몸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경사몸체;
상기 제1고정몸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고정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몸체;
상기 제1이동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거푸집의 일측 상단을 지지하는 제1고정편; 및
상기 제1고정몸체와 상기 제1이동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나사와, 상기 체결나사의 후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체결나사를 회전 조작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제1높이 고정구;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상부 및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안착되어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제1고정몸체와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선단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제2고정몸체;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고정몸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경사몸체;
상기 제2고정몸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몸체;
상기 제2이동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거푸집의 타측 상단을 지지하는 제2고정편; 및
상기 제2고정몸체와 상기 제2이동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체결나사와, 상기 제2체결나사의 후단에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핸들레버를 포함하는 제2높이 고정구;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제2경사몸체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자유단부;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고정몸체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아래로 만곡 형성되는 만곡연결부;
상기 만곡연결부의 선단을 통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삽입 공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고리부; 및
상기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경사몸체를 향해 진퇴 조절되는 너트조절부;를 포함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 공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몸체의 하단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편이 구비되며, 상기 너트조절부는 상기 돌출편에 접촉되어 상기 제2경사몸체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7622A KR20160149863A (ko) | 2015-06-19 | 2015-06-19 |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7622A KR20160149863A (ko) | 2015-06-19 | 2015-06-19 |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863A true KR20160149863A (ko) | 2016-12-28 |
Family
ID=577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7622A KR20160149863A (ko) | 2015-06-19 | 2015-06-19 |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986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4543A (ko) * | 2019-12-12 | 2021-06-22 | 김형욱 | 수도관 엘보 고정장치 |
KR102269140B1 (ko) * | 2020-12-04 | 2021-06-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c 보 영구 거푸집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시공 방법 |
KR102269128B1 (ko) * | 2020-12-04 | 2021-06-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c 보 영구 거푸집 운송 및 시공용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영구 거푸집의 운송 및 시공 방법 |
CN116537599A (zh) * | 2023-07-06 | 2023-08-04 | 南通大学 | 一种便于调节高度的施工梁架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546B1 (ko) | 2009-04-06 | 2009-10-27 | (주)화인테크 | 보 거푸집 지지장치 |
-
2015
- 2015-06-19 KR KR1020150087622A patent/KR201601498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546B1 (ko) | 2009-04-06 | 2009-10-27 | (주)화인테크 | 보 거푸집 지지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4543A (ko) * | 2019-12-12 | 2021-06-22 | 김형욱 | 수도관 엘보 고정장치 |
KR102269140B1 (ko) * | 2020-12-04 | 2021-06-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c 보 영구 거푸집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시공 방법 |
KR102269128B1 (ko) * | 2020-12-04 | 2021-06-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c 보 영구 거푸집 운송 및 시공용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영구 거푸집의 운송 및 시공 방법 |
CN116537599A (zh) * | 2023-07-06 | 2023-08-04 | 南通大学 | 一种便于调节高度的施工梁架 |
CN116537599B (zh) * | 2023-07-06 | 2023-09-12 | 南通大学 | 一种便于调节高度的施工梁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49863A (ko) | 보 시공을 위한 지지구조물 | |
US9366052B1 (en) | Structura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 |
KR20120077203A (ko) | 용접용 고정지그 | |
CN210459226U (zh) | 一种岩土工程可调矩形支护装置 | |
CN111456330B (zh) | 一种用于预埋钢筋的定位模具 | |
CN210032663U (zh) | 斜柱的钢埋件用的定位装置 | |
US10180011B2 (en) | Post support apparatus | |
KR20080015849A (ko) | 가설 방호 울타리 시스템 | |
US20140259989A1 (en) | Pivoting bracket for foundation support system | |
KR101489872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 |
KR101617441B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JP6713599B1 (ja) | 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および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システム | |
KR101151963B1 (ko) | 사장교 주탑용 가이드 튜브 지지대 | |
KR101460622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장치 | |
JP3188609U (ja) | トラック用支柱保持具及びトラック用落下防止装置 | |
JPH0532593Y2 (ko) | ||
KR200482972Y1 (ko) | 빔 브라켓 | |
JP2007330126A (ja) | 鳥類の誘導営巣具 | |
JP3483522B2 (ja) | 鉄骨柱の位置調整装置 | |
KR20060037137A (ko) |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 |
CN214379974U (zh) | 一种移动电缆支架 | |
RU2554364C2 (ru) |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нкера для подъема 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 |
KR101568411B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JP2002114478A (ja) | 自動車用エンジン吊り装置 | |
JP3564411B2 (ja) | Pc階段からなる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