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759A -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759A
KR20160149759A KR1020150087356A KR20150087356A KR20160149759A KR 20160149759 A KR20160149759 A KR 20160149759A KR 1020150087356 A KR1020150087356 A KR 1020150087356A KR 20150087356 A KR20150087356 A KR 20150087356A KR 20160149759 A KR20160149759 A KR 2016014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embership card
wireless communication
shor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175B1 (ko
Inventor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75B1/ko
Priority to PCT/KR2015/013704 priority patent/WO2016204361A1/ko
Priority to EP15895748.0A priority patent/EP3312791A4/en
Priority to CN201580039322.XA priority patent/CN106537440A/zh
Publication of KR2016014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59A/ko
Priority to US15/394,320 priority patent/US106920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대여할 수 있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에 따라서, 멤버십 카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대여 서비스 모듈, 상기 멤버십 카드의 정보 및 상기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여부를 관리하는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MEMBERSHIP CARD LENDING SERVICE}
본 발명은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서 관리되는 멤버십 카드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권한을 인증함으로써 멤버십 카드를 대여할 수 있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들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NFC는 통신 거리가 짧고 그 통신을 위해 별도의 무선 칩이 필요한 반면, 블루투스는 상대적으로 통신 거리가 길고 대부분의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블루투스 통신은 진화를 거듭하여 최근에는 블루투스 저 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블루투스 4.0)이 스마트폰, 소매 지오펜싱(geofencing), 모바일 결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이뤄지고 있다. 일례로,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다양한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 적립 카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은 가맹점에 대한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 적립 카드 등을 통합 관리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맹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재까지의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되는 멤버십 카드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 고유의 멤버십 카드를 각각의 고유 계정을 통해서 관리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러한 멤버십 카드를 친구에게 빌려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멤버십 카드를 친구에게 빌려주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개인 고유 계정 정보를 반드시 공유해야 하며, 개인 정보 노출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1962호, 2013년 07월 18일 공개 (명칭: 등록 지인의 할인 멤버십의 활용을 지원하는 할인 멤버십 시스템, 할인 멤버십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할인 멤버십 단말기 시스템 및 할인 멤버십 단말기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를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대여해주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를 사용자 단말의 대여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가 다른 사용자에게 대여될 때,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 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 되도록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에 따라서, 멤버십 카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대여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멤버십 카드의 정보 및 상기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여부를 관리하는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사용 조건 설정 모듈;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하여 권한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저장된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송출 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 및 상기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여부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서명 또는 암호 입력을 통하여 권한을 인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저장된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송출 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있는 멤버십 카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대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대한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의 대여 시, 대여자의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고 피 대여자의 멤버십 카드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대여자의 멤버십 카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고, 피 대여자인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하나의 멤버십 카드 이용 권한에 대한 둘 이상의 사용자의 이용으로 인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여할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조건을 설정하여 멤버십 카드를 대여하므로, 피 대여자가 멤버십 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 조건에 어긋나는 경우, 멤버십 카드를 회수할 수 있어 멤버십 카드에 대한 부정적인 추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을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멤버십 카드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는 블루투스 방식의 데이터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를 실시 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UWB(Ultra-WideBand), ANT, Wi-Fi, PAN(Personal Area Network)방식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들이 적용 가능하며, 여기에서 NFC가 한정된 수십 cm 이내에서만 이용 가능한 반면, 상기 블루투스 방식은 수십m의 범위로 동작할 수 있어, 그 활용 분야가 훨씬 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방식은 NFC처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서 태그할 필요가 없이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시스템(1000)은, 멤버십 카드를 대여해주는 제1 사용자 단말(100),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멤버십 카드를 빌리는 제2 사용자 단말(2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를 통합 관리하는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 상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 각 가맹점에 대한 멤버십 카드를 제공하는 멤버십 카드 제공 서버(400) 및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 및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에서 관리되는 멤버십 카드의 사용자 계정의 소유의 단말 장치로서, 제2 사용자 단말(20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의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게 상기 멤버십 카드를 대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멤버십 카드를 빌리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송출 신호 범위 내에 위치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에 멤버십 카드를 대여할 제2 사용자 단말(200)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할 멤버십 카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제공하기 이전에,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대여할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사용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선택된 멤버십 카드 정보가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고,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요청하면, 즉, 멤버십 카드를 이용하기 위한 요청 후,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멤버십 카드의 이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하여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하여 권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활성화 모드 상태인 멤버십 카드를 회수 시,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카드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거나, 상기 멤버십 카드에 관련한 정보가 모두 삭제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는 다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과 같은 사용자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500)을 통해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 가맹점에 대응하는 멤버십 카드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멤버십 카드를 저장 및 멤버십 카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의 대여 및 회수에 따른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 상태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서버로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특정 멤버십 카드를 대여한 경우에,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고,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 계정의 멤버십 카드가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때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정보 및 권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는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멤버십 카드 이용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따라 권한 인증 요청을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의 권한 인증 절차는,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멤버십 카드 이용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따른 멤버십 카드의 사용 권한을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 멤버십 카드 권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하여 권한 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200)의 멤버십 카드 이용을 승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제공 서버(400)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 각각의 멤버십 카드를 생성하는 서버로서, 생성한 멤버십 카드를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및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50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은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5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 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주요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은, 대여 서비스 모듈(110),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120) 및 사용 조건 설정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이 있으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감지된 다른 사용자 단말 중에서, 멤버십 카드에 대한 피 대여자, 즉 멤버십 카드를 빌리게 되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대여할 멤버십 카드를 선택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요청신호에 따른 것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으로 등록된 멤버십 카드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른 것이지만, 이러한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은 제2 사용자 단말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데,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제1 사용자 단말(100)을 감지하고 멤버십 카드를 빌리기 위하여 멤버십 카드 대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멤버십 카드 이용을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멤버십 카드 이용 도중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상기 멤버십 카드 이용을 방지하여 멤버십 카드의 이용에 대한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때,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활성화 모드 상태의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상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부터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요청에 따른 권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상기 멤버십 카드 이용에 대한 권한을 인증하는 것으로, 앞으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에 대한 권한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것이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했던 멤버십 카드를 회수할 수 있으며, 상기 멤버십 카드 회수 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멤버십 카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이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삭제하거나,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했던 멤버십 카드 회수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송출 신호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신호 도달 범위를 설정 및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송출하는 신호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신호 세기가 감소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까지 송출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게 못하게 되고, 이때 연결되었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되며 대여된 상기 멤버십 카드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로 회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송출 신호 세기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져 송출 신호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멤버십 카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로 회수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대여된 멤버십 카드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이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서비스 모듈(110)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전송했던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모듈(200)이 신호 세기가 감지 되지 않거나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모듈(200)이 신호 세기가 감지 되지 않거나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여부를 승인 또는 취소할 것인지를 알리는 회수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모듈(200)이 신호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신호 세기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특정 패턴 또는 일정 규칙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멤버십 카드 권한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대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모듈(200)이 신호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신호 세기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특정 패턴 또는 일정 규칙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여부를 묻는 회수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1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12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하나 이상의 멤버십 카드를 관리하는 것으로, 상기 멤버십 카드의 정보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12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계정의 멤버십 카드를 저장하고 각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자 정보, 단말정보, 할인 정보 및 적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12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멤버십 카드가 활성화 모드 또는 비활성화 모드 내역을 저장할 수 있으며, 관련 시간, 제2 사용자 단말 정보, 누적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리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조건 설정 모듈(13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조건 설정 모듈(13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게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또는 전송한 후에,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 추가 사용이나 부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서 (가)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범위를 나타내며, a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신호 세기 범위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아울러, B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서 (나)는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범위를 나타내며, b는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송출되는 신호 세기 범위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a, b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a, b에 따라 (가) 및 (나)의 범위도 달라진다.
도 3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범위를 살펴보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신호의 범위는 서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서로가 서로를 감지한 것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게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전송하며, 권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멤버십 카드를 대여할 수 있다.
이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4의 예시도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의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의 A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을, (가)는 A가 송출하는 신호의 범위를 나타낸 것이며, B는 제2 사용자 단말(200), (나)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신호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A'은 A에 위치했던 제1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한 후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신호 송출 세기를 조절하지 않는다면, 송출되는 신호의 범위 (가)는 유지된다.
즉, 도 4a는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이동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모두 이동한 경우 등과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사이의 거리가 신호의 범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아울러,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된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했던 멤버십 카드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로 회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멤버십 카드 정보는 삭제되어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부정적인 멤버십 카드 사용 및 추가적인 사용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은 도 4b를 참조하여 송출 신호 세기 조절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의 A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타나낸 것이며 B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다)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범위이며 a'은 (다)의 반지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도 4a의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송출하는 신호의 범위 (가)와 그의 반지름 a와 비교하여 볼 때, 더욱 작아진 것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세기가 작게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4b에서의 신호 범위(다)가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B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송출하는 신호의 범위가 (가)에서 (다)로 변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신호의 범위가 감소함에 따라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했던 멤버십 카드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로 회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멤버십 카드 정보는 삭제되어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부정적인 멤버십 카드 사용 및 추가적인 사용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신호 세기의 변화로 인한 신호 범위의 감소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신호 세기의 변화로 인한 신호 범위의 변화에 의해서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01),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블루투스 통신을 활성화 시켜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설정한다(S103).
여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라면 그 어떠한 통신 방식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S103단계에서, 블루투스 신호 세기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세기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거나 거리의 산출 후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후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거리에 따른 표준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멤버십 대여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S103단계에서 설정한 신호 세기에 따른 신호의 범위 이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한다(S105). 여기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S105단계에서 감지한 다른 사용자 단말 중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멤버십 카드를 대여할 피 대여자인 제2 사용자 단말을 선택한다(S107). 또한, 대여할 멤버십 카드를 선택한다(S109).
상술한 서비스 방법은, 대여자인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피 대여자인 제2 사용자 단말(200)을 선택하고, 멤버십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대여자인 제1 사용자 단말(100)을 선택하여 특정 멤버십 카드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은, S109 단계 이후, 상기 대여할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11). 사용 조건은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 추가 사용이나 부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S113),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를 위하여, 대여자인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S115).
아울러,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됨에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대여한 멤버십 카드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한 상기 멤버십 카드 이용에 대한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S117), 권한을 인증한다(S119).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권한 인증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상기 멤버십 카드 이용 요청에 따른 것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대여한 멤버십 카드의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멤버십 카드의 권한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게 위임되며, 멤버십 카드의 대여가 승인된다(S121).
이때,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S111단계에서 설정한 사용 조건에 따라 상기 멤버십 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 조건을 벗어난 경우,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 권한이 중단되고,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상기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거나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었던 멤버십 카드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멤버십 카드 대여가 승인(S121)된 후에, 제2 사용자 단말로 전달했던 상기 멤버십 카드를 회수한다(S123).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비활성화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고, 활성화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 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거리가 커지면서 송출 신호를 감지하지 못함에 의하여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 즉, 블루투스 신호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신호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서 신호 도달 범위가 좁아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 즉 블루투스 신호의 연결이 해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할 내용은 상기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해 권한을 인증하는 방법에 관련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S117~S119 단계에 관련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이 멤버십 카드에 대한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권한 인증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에 상기 멤버십 카드 이용을 요청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상기 멤버십 카드 이용 권한을 수행하기 위한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S201),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함(S203)으로써 대여한 멤버십 카드의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S20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의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에게 멤버십 카드를 대여하고, 이를 회수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이 멤버십 카드의 회수 여부를 판단하여(S301),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회수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S303), 제2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삭제한다(S305). 이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원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중단되고,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이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의 전체적인 서비스 절차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절차는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동작할 수 있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401, S403),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S405, S407).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송출하는 신호 범위 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다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S409).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감지한 다른 사용자 단말들 중에서, 멤버십 카드를 대여해주려는 피 대여자인 제2 사용자 단말(200)을 선택한다(S411).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멤버십 카드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00)에게 대여해 주려는 멤버십 카드를 선택하고(S415),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 조건을 설정하여(S417),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 하에서만 이용 가능하도록 하여 멤버십 카드 추가 사용이나 부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한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조건을 포함한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419). 아울러,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고(S421),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S423).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멤버십 카드를 저장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 멤버십 카드 이용 요청을 전송하고(S425),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의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이용 요청한 멤버십 카드에 대한 권한 인증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멤버십 카드의 계정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멤버십 카드의 권한을 인증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S427).
즉,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로부터 대여한 멤버십 카드에 대한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S429).
제1 사용자 단말(100)이 권한을 인증하면, 상기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는 S425단계에서 수신한 멤버십 카드 이용 요청에 대하여 멤버십 카드 이용을 승인하며(S431),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멤버십 카드를 자신의 멤버십 카드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이용한 내역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멤버십 카드 이용은, S417 단계에서 설정한 사용 조건 하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사용 조건을 벗어난 경우, 사용 조건을 어기려는 동작이 발생하였음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게 알릴 수 있으며, 상기 멤버십 카드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회수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멤버십 카드를 이용한 후, 제1 사용자 단말(100)이 멤버십 카드를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멤버십 카드 회수 요청 신호는 제2 사용자 단말(S433)로 전송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멤버십 카드 회수 요청에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멤버십 카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거나,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가 삭제처리 되고(S435),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멤버십 카드가 다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35).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가 종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은, 도 2에서 설명한 대여 서비스 모듈(110),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120) 및 사용 조건 설정 모듈(1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는 근거리 통신 기술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다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블루 투스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는 블루투스 통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을 의미할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고, 제2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하여 멤버십 카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을 의미할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해서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9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300) 및 멤버십 카드 제공 서버(4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멤버십 카드를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하고 회수함으로써, 개인 정보 노출의 위험 없이 보다 안전하게 멤버십 카드를 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제1 사용자 단말 110: 대여 서비스 모듈
120: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 130: 사용 조건 설정 모듈
200: 제2 사용자 단말 300: 멤버십 카드 관리 서버
400: 멤버십 카드 제공 서버 500: 통신망

Claims (14)

  1.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에 따라서, 멤버십 카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대여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 및 상기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여부를 관리하는 멤버십 카드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사용 조건 설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서명 또는 암호를 입력하여 권한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저장된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송출 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서비스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멤버십 카드 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중인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멤버십 카드 정보 및 상기 멤버십 카드의 활성화 여부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기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 횟수, 사용 금액, 사용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멤버십 카드의 이용을 위하여 권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서명 또는 암호 입력을 통하여 권한을 인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멤버십 카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저장된 멤버십 카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송출 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상기 멤버십 카드의 회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KR1020150087356A 2015-06-19 2015-06-19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56A KR102402175B1 (ko) 2015-06-19 2015-06-19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15/013704 WO2016204361A1 (ko) 2015-06-19 2015-12-15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5895748.0A EP3312791A4 (en) 2015-06-19 2015-12-15 Membership card len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e
CN201580039322.XA CN106537440A (zh) 2015-06-19 2015-12-15 会员卡租借服务方法及其装置
US15/394,320 US10692084B2 (en) 2015-06-19 2016-12-29 Membership card len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56A KR102402175B1 (ko) 2015-06-19 2015-06-19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59A true KR20160149759A (ko) 2016-12-28
KR102402175B1 KR102402175B1 (ko) 2022-05-26

Family

ID=5754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356A KR102402175B1 (ko) 2015-06-19 2015-06-19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92084B2 (ko)
EP (1) EP3312791A4 (ko)
KR (1) KR102402175B1 (ko)
CN (1) CN106537440A (ko)
WO (1) WO2016204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3062A (zh) * 2017-07-11 2017-10-24 韦兴格 会员卡共享方法及装置
CN110675215A (zh) * 2019-09-02 2020-01-10 深圳市链上深度科技有限公司 一种会员卡通证的管理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CN110992151A (zh) * 2019-12-13 2020-04-10 孙世杰 一种健身卡出租方法
EP4254873A3 (en) * 2022-03-31 2023-11-29 AXS Grou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mporary access credentials to access physical loc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049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sim 카드 공유 방법
KR20090114518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신한은행 외국인 관광객용 카드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30081962A (ko) 2012-01-10 2013-07-18 싱크북 주식회사 등록 지인의 할인 멤버십의 활용을 지원하는 할인 멤버십 시스템, 할인 멤버십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할인 멤버십 단말기 시스템 및 할인 멤버십 단말기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40012315A (ko) * 2012-07-19 2014-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fc 단말 간의 쿠폰 양도 및 양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1167B1 (en) * 1997-12-22 2001-10-30 Motorola, Inc. Portable 2-way wireless financial messaging unit
US6227447B1 (en) * 1999-05-10 2001-05-08 First Usa Bank, Na Cardless payment system
JP4502291B2 (ja) * 2000-04-17 2010-07-14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基地局
US7756086B2 (en) * 2004-03-03 2010-07-13 Sipco, Llc Method for communicating in dual-modes
WO2006081206A1 (en) * 2005-01-25 2006-08-03 Sipco, Llc Wireless network protocol systems and methods
US20070226051A1 (en) * 2005-12-14 2007-09-27 Addepalli Sateesh K Method and system for pay-per-transaction promotions and measurement of resulting ROI
US10019708B2 (en) * 2006-08-25 2018-07-10 Amazon Technologies, Inc. Utilizing phrase tokens in transactions
US20080177635A1 (en) * 2007-01-23 2008-07-24 David Brian Hande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uggesting or requesting a proxy transaction
FR2911981A1 (fr) * 2007-01-31 2008-08-01 Bouygues Telecom Sa Procede et systeme de gestion de coupons.
SG164294A1 (en) * 2009-02-17 2010-09-29 Taggo Pte Ltd An automated membership system
US8762216B1 (en) * 2010-03-31 2014-06-24 Amazon Technologies, Inc. Digital lending of payment instruments
KR20120087249A (ko) * 2010-12-15 2012-08-07 주식회사 케이티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단말
JP2012221014A (ja) * 2011-04-05 2012-11-12 Micard Co Ltd 優待割引管理システム
CN102521759A (zh) * 2011-11-24 2012-06-27 张帆 基于智能终端的电子卡借用方法
US9900172B2 (en) * 2013-04-25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resource sharing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based group management and floor control mechanism
KR20150011418A (ko) * 2013-07-22 2015-02-02 박성웅 스탬프 공유시스템 및 스탬프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049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sim 카드 공유 방법
KR20090114518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신한은행 외국인 관광객용 카드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30081962A (ko) 2012-01-10 2013-07-18 싱크북 주식회사 등록 지인의 할인 멤버십의 활용을 지원하는 할인 멤버십 시스템, 할인 멤버십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할인 멤버십 단말기 시스템 및 할인 멤버십 단말기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40012315A (ko) * 2012-07-19 2014-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fc 단말 간의 쿠폰 양도 및 양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175B1 (ko) 2022-05-26
EP3312791A4 (en) 2018-12-12
EP3312791A1 (en) 2018-04-25
US10692084B2 (en) 2020-06-23
WO2016204361A1 (ko) 2016-12-22
CN106537440A (zh) 2017-03-22
US20170109753A1 (en)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81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enabl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KR102424834B1 (ko)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684573B2 (ja) 複数の結合モードの間の切り替え
EP3366021B1 (en) Automatic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oggling
EP27002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CN108781405A (zh) 管理在多模式通信设备中扫描不同无线接入技术的信号
CN103209007A (zh) 一种蓝牙设备快速配对的方法及蓝牙设备
WO201317567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402175B1 (ko) 멤버십 카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0066B1 (ko) 비콘 신호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425392B2 (ja) モバイルアクセスポイントを通した外部のデータネットワークの使用を制御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WO2011103734A1 (zh) 终端设备的近场通信实现方法及实现近场通信的终端设备
JP20080114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7690814A (zh) 在多个证书管理机构下管理电子用户身份模块
JP6315789B2 (ja) 端末装置、電子決済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38503B1 (ko) 신호세기를 이용한 무선랜 접속 방법
KR20230014693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가 레인징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66247B1 (ko) 무선 랜을 위한 서비스 셋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01667A (ko) 복수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26266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745947A (zh) 用于报告用户接口状况的系统和方法
JP2017212686A (ja) アクセスポイン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71802A (ko) 비콘 장치의 운용 모드 변경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9104989A1 (zh) 终端和通信方法
KR20150132547A (ko) Uicc에 의한 비동기식 커맨드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액세스 단말 내의 uicc와 프로세서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