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760A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Google Patents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8760A KR20160148760A KR1020150084979A KR20150084979A KR20160148760A KR 20160148760 A KR20160148760 A KR 20160148760A KR 1020150084979 A KR1020150084979 A KR 1020150084979A KR 20150084979 A KR20150084979 A KR 20150084979A KR 20160148760 A KR20160148760 A KR 201601487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sediment
- water
- silver
- composi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9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10944 silver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808 molecular sie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URGAHOPLAPQHLN-UHFFFAOYSA-N sodium aluminosilicate Chemical compound [Na+].[Al+3].[O-][Si]([O-])=O.[O-][Si]([O-])=O URGAHOPLAPQHL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809 inorganic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588 hydroxylapa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YJRXVWERLGGKC-UHFFFAOYSA-D pentacalcium;hydroxide;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OH-].[Ca+2].[Ca+2].[Ca+2].[Ca+2].[Ca+2].[O-]P([O-])([O-])=O.[O-]P([O-])([O-])=O.[O-]P([O-])([O-])=O XYJRXVWERLGGKC-UHFFFAOYSA-D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728 nano-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2770 biofilm form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384 drinking water standar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FOIXSVOLVBLSDH-UHFFFAOYSA-N Silver ion Chemical compound [Ag+] FOIXSVOLVBLS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586 apa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40100890 silver compound Drug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379 silve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94 Masterbatch (M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VSIIXMUUUJUKCM-UHFFFAOYSA-D pentacalcium;fluoride;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F-].[Ca+2].[Ca+2].[Ca+2].[Ca+2].[Ca+2].[O-]P([O-])([O-])=O.[O-]P([O-])([O-])=O.[O-]P([O-])([O-])=O VSIIXMUUUJUKCM-UHFFFAOYSA-D 0.000 description 5
- UKHWJBVVWVYFEY-UHFFFAOYSA-M silver;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Ag+] UKHWJBVVWVYFE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14 nanocompos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322 Co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99 bactericid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335 meso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SQGYOTSLMSWVJD-UHFFFAOYSA-N silver(1+) nitrate Chemical compound [Ag+].[O-]N(=O)=O SQGYOTSLMSWV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1710134784 Agno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SDPWZHWYPCBBB-UHFFFAOYSA-N Methanethiol Chemical class SC LSDPWZHWYPCB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68 complex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2 dissolution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22 growth in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XCSERBJSXMMFS-UHFFFAOYSA-N hcl hcl Chemical compound Cl.Cl IXCSERBJSXMM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7 ki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59 nickel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OCJYBPHESYFOK-UHFFFAOYSA-K nickel(3+);phosphate Chemical compound [Ni+3].[O-]P([O-])([O-])=O JOCJYBPHESYFOK-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61 silver nit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QMTUIZTZJXUFM-UHFFFAOYSA-N tetraethoxy 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O[Si](OOCC)(OOCC)OOCC XQMTUIZTZJXUF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 B01D39/168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 B01D61/022—
-
- B01D61/142—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입수구 및 배수구를 가지고 내부에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장착하고 있는 필터 카트리지 및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적층면의 수직방향으로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출되도록 필터 카트리지 내에 장착되어 있는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가 제공되는데, 전술한 혼성필터 부재는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 부재 또는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 부재로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카본필터 부재 또는 멤브레인필터 부재가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고, 전술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는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의 은계 항균입자를 함유하는 고분자수지로부터 제조된 직조직물 또는 부직포로서, 1~100 미크론의 기공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필터는 초소형, 고성능 및 항균성특성을 가지고 있어, 복합필터 및 후속 필터와 유닛을 포함하는 전체 정수시스템에 걸쳐 세균 증식 및 생물막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은함량에도 은용출성을 ppb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어 음용수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어 실제로 가정용 정수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와 카본필터 또는 멤브레인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항균성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 및 카본필터 또는 멤브레인필터 부재를 적층하여 다층구조로 만든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 또는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 및 이러한 혼성필터를 필터카트리지 내에 장착한 복합필터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공업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환경 악화에 따른 수질관리 문제가 공기질과 함께 기초적인 환경관리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측의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정이나 직장에서 실제 수돗물을 직접 먹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원수 자체의 질의 문제도 있지만 중간의 배송과정의 관리 문제로 수질이 악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때문에 대부분은 정수기 혹은 생수 혹은 원수를 끊여먹고 있는 실정이다.
정수기는 원수에 포함될 수도 있는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여러 가지 필터로 여과하여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지만, 정수기의 필터 또는 유닛 자체의 오염가능성이 있다. 이런 이유로, 정수기 자체의 오염관리, 예를들면 주기적인 유닛 청소 및 필터 교체에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정수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세디먼트필터, 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그리고 후처리필터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필터들을 2단, 3단 또는 4단으로 직렬 연결한 다단계 필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다단계 필터 시스템에서는 개별 기능성 필터들을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정수기의 오염관리에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다단계 필터 시스템은 다수의 개별 필터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고 필터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필터 관리가 번잡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이유로, 상술한 개별 기능성 필터들을 하나의 하우징 내에 순차적, 병렬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의 컴팩트화"를 추구하는 복합필터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91513호, 정수기용 복합필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5096호, 활성탄소섬유와 이온교환섬유가 포함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4919호, 복합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47604호, 이온수기용 복합필터;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2009-0011436호, 복합정수필터).
이러한 "공간의 컴팩트화"를 추구하는 방법으로 필터의 사이즈 축소화로 인해 개별 기능성 필터들의 기능이나 능력이 제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수 성능 (용량, 효율)의 저하 및 수질 악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필터교체주기 감소로 인해 복합화에 의한 비용절감효과를 상쇄시키킬 수도 있다.
따라서, 공간의 컴팩트화 뿐만 아니라 성능의 컴팩트화 (즉, 고성능화)를 동시에 충족시킴으로써, 정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관리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고성능 컴팩트 복합필터 기술이 여전히 절실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세디먼트 필터는 상수도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함유된 먼지, 모래, 부유물 등과 같은 이물질 뿐만 아니라 노후된 배관재로 인한 슬러지 또는 오염물을 기계적으로 여과/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후에 배치된 필터들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디먼트필터는 원수의 유형(예. 상수도, 지하수, 빗물 등)에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필터 시스템에서 1차 필터로서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디먼트필터의 교환주기는 물사용량과 원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대개 3~6개월마다 1회씩 교환하는 것이 요구된다. 세디먼트 필터가 제때 교환되지 않을 경우, 필터에 여과된 슬러지 형태의 유무기물로 인한 필터 막힘, 차압 증가, 흐름 정체 및/또는 출수량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속 필터에서 세균 증식 및/또는 생물막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는 등의 더 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세디먼트 필터는 후속 필터의 보호를 위해 부유물 및 이물질의 기계적인 여과에 그의 기능 및 효능이 집중 및 한정되어 있고 교체주기도 다른 후속 필터들에 비해 짧다. 따라서, 빈번한 교체가 요구되는 세디먼트 필터에 항균성과 같은 다른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나 세디먼트 필터를 다른 후속 필터와 일체형으로 복합화하려는 시도는 생산비용의 향상만을 초래하고 실질적인 효과는 얻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1-0056724 (공개일 2011.05.31)에는 권취된 부직포층으로 형성된 세디먼트 필터에 있어서, 부직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 절단선을 설치하여, 표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면 최외층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문헌의 방법으로는, 세디먼트 필터 표면의 이물질 및 생물막에 의한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지만, 후속 필터에서 바이오필름의 형성의 방지 또는 감소는 불가능하며, 최외층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 조립체를 주기적으로 해체 및 재조립하는 것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004611 (공개일 2009.01.12)에는 정수 및 세균의 2차 감염의 억제가 동시에 가능하고 부직포 형태로 제조된 항균 나노섬유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수돗물 또는 정수기 통과된 물을 항균나노섬유 필터에 통과시켜 정수 및 세균의 2차 감염의 억제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지만, 은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고분자수지를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는 은이온을 다량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과한 물이 음용수 기준을 만족하기 어렵다.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에 있어서, 개별 필터들을 복합화시킴으로써, 원수 또는 정수가 정수기내에 체류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물막형성 및/또는 미생물증식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지만, 복합화로 인한 공간의 컴팩트화로 정수성능 자체가 저하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가능성 및 비용을 낮추기 위한 복합화(컴팩트화)가 오염가능성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역설을 있어왔다.
이런 상황에서, 미생물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유무기 항균제의 사용 및/또는 살균시스템의 채용)은 항균제 자체의 유해성 및 비용상승으로 인한 문제점을 또다시 야기하였다. 특히 은계 항균제의 강력한 살균성은 미생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많은 분야에서 제안되고 있지만, 음용수에서의 함량제한 (100ppb 이하)은 이의 실용화는 실질적으로 막아왔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 세디먼트필터를 후속 흡착필터와 복합화하여 공간적, 성능적 컴팩트화를 실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복합필터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어왔다.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에서 세디먼트필터를 후속 흡착필터와 효율적으로 복합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면서, 필터 막힘, 차압 증가, 흐름 정체 및/또는 출수량 감소 등의 필터 성능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생물증식 및 생물막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음용수에서 은이온 함량 제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은계 항균제 및 이를 정수기용 필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별 필터의 복합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용해도가 낮은 은화합물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에 봉입시킨 메조다공성 분자체 또는 무기산화물을 고분자수지에 고함량으로 포함시킨 소재로서 세디먼트필터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은함량에도 은용출성을 ppb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어 음용수 기준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은이온을 장시간 용출할 수 있어 가사용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가 정수기 내에 24시간 이상 체류하여도 은이온은 음용수 권장기준 100ppb보다 훨씬 낮은 10ppb 이하로 용출되기 때문에 음용수로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용해도가 낮은 은화합물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에 봉입시킨 메조다공성 분자체 또는 무기산화물을 고분자수지에 고함량으로 포함시킨 소재로서 세디먼트필터를 제조하고, 이를 후속 흡착필터와 다층구조로 적층함으로써, 높은 은함량에도 은용출성을 ppb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어 음용수 기준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은이온을 장시간 용출할 수 있어 가사용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복합필터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모재와 카본필터 모재를 적층 및 권취함으로써 롤형 복합필터를 제조하고, 여기에 후속 필터들을 연결하여 3단 또는 4단 구조를 갖는 정수기를 제조하면, 필터 조립체 전체에 걸쳐 세균 증식 및 생물막 형성이 방지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고성능 항균성 복합필터는 필터 조립체 전체에 걸쳐 세균 증식 및 생물막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은함량에도 은용출성을 ppb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어 음용수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어 실제로 가정용 정수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필터I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필터II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세디먼트필트-카본필터-멤브레인필터-후처리필터로 된 기존의 4단 필터 시스템을 본 발명에 따라 복합필터I-복합필터II의 2단 필터 시스템으로 개량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복합필터I-복합필터II의 2단 필터 시스템을 하나의 하우징이나 카트리지 내에 설치하여 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는 통합형 정수기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기재된 통합형 정수기의 외부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필터II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세디먼트필트-카본필터-멤브레인필터-후처리필터로 된 기존의 4단 필터 시스템을 본 발명에 따라 복합필터I-복합필터II의 2단 필터 시스템으로 개량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복합필터I-복합필터II의 2단 필터 시스템을 하나의 하우징이나 카트리지 내에 설치하여 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는 통합형 정수기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기재된 통합형 정수기의 외부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필터 카트리지 및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술한 필터 카트리지는 입수구 및 배수구를 가지고 내부에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장착하고 있으며,
전술한 다층 혼성필터 부재는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적층면의 수직방향으로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출되도록 필터 카트리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술한 혼성필터 부재는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 부재 또는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 부재로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카본필터 부재 또는 멤브레인필터 부재가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는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의 은계 항균입자를 함유하는 고분자수지로부터 제조된 직조직물 또는 부직포로서, 1~100 미크론의 기공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다층 혼성필터 부재는 롤형 구조를 가지며, 롤형 구조의 중심부에는 혼성필터 부재를 통과한 물이 모여서 전술한 필터 카트리지의 배수구로 흘러갈 수 있는 원통형 공간부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롤형 다층 혼성필터는 필터 부재들을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를 사용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세디먼트필터 부재는 항균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 은계 항균입자는 AgCl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다공성 분자체 또는 무기산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gCl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또는 메조다공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카본필터는 활성탄 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블록 또는 부직포이며, 전술한 멤브레인필터는 정밀여과막 (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및 역삼투막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세디먼트필터 및 멤브레인필터의 부재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F), 셀룰로스아세테이트(CA), 테플론(PTFE)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복합필터"는 여러 필터들을 하나의 조립체 내에 혼성, 혼합, 조립 또는 연결한 형태의 필터를 의미한다. 복합필터에서 "복합"이란 여러개의 개별 필터들의 기능 및/또는 역할을 복합화한 것으로, 형태 보다는 기능에 의미를 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용어 "혼성필터" 또는 "혼성필터 부재"는 개별 필터부재들을 적층, 혼방, 혼성직조 등의 물리적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개별 필터 또는 개별 필터부재들의 기능 뿐만 아니라 형태를 복합 또는 혼성한 것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개별 필터부재들을 적층시켜 하나의 필터부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는 필터 또는 필터부재를 내부에 장착하여 필터 조립체를 만들 수 있는 필터 하우징 또는 케이스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중합체 수지를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에는 입수구 및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형태 및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원통형 공간부를 갖는 롤형 필터부재를 장착하여 원수를 외부 표면에서 내부 원통형 공간으로 통과시켜 정수하는 경우에는, 입수구는 보통 측면이나 상하단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배수구는 상하단면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로는 은계 항균입자를 함유하는 고분자수지를 방사하여 제조되고 1~100 미크론의 기공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술한 고분자수지로부터 방사된 극세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직조직물의 형태의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은계 항균입자는 입자크기가 한정되는 않지만, 고분자수지와의 혼합 및/또는 방사의 용이성을 위해 대략 0.1~100 미크론, 구체적으로는 0.2~5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0.5~10미크론의 평균입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 은계 항균입자로는 물(실온)에서의 용해도가 ppm 이하인 은화합물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여 물(실온)에서의 용출성을 ppb 이하로 낮춘 은-함유 다공성 분자체 또는 은-함유 다공성 무기산화물을 언급할 수 있다.
상술한 은-함유 다공성 분자체 또는 은-함유 다공성 무기산화물은, 다공성 분자체 또는 다공성 무기산화물에 수용성 은화합물 (예. AgNO3)을 함유하는 용액을 침지법, 분무법, 함침법 등으로 침투시킴으로써 수용성 은화합물을 공극 내에 봉입시키고, 환원조건하에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공극은화합물은 은(Ag) 금속으로 환원되는데, 나노입자 크기를 가지게 된다. 나노입자화된 은(Ag)은 덩어리 형태의 은(Ag)과는 달리 어느 정도 은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다공성 분자체는 바람직하게는 메조다공성 분자체로서, 예를들면 메조다공성 제올라이트(예. MCM-41), 알루미노포스페이트 (예. AlPO-4), 니켈포스페이트 분자체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전술한 다공성 무기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메조다공성 무기산화물로서, 예를들면, 메조다공성 실리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티타니아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메조다공성 물질은 상기 언급한 물질로 한정되지 않으며, 시판되거나 공지된 메조다공성 물질을 특별한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시판되거나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된 은계 항균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AgCl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또는 메조다공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언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1020090127590호에 기재된 은-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체,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8-0005991호에 기재된 은화합물-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는 전술한 은계 항균입자를 고분자수지와 혼합하고 이를 부직포형태로 방사하거나 원사를 방사하여 직조직물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지만, 이들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메조다공성 분자체 또는 무기산화물 및 이를 은계 항균입자로 포함하는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는, 예를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5042호에 기재된 다단계 입자증식법에 따른 나노복합합소재 기술로 제조된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메조동공입자의 동공에 은이온을 침투시키고, 이를 고온에서 소성하연 은이온을 은(금속) 나노입자로 환원시킴으로써 서브미크론에서 수 미크론 크기의 은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은계 항균입자로 사용하고, 둘째, 상기 은계 항균입자(나노입자-메조입자)를 고분자수지(매크로입자)와 다단계 입자증식법에 따라 혼합 및 압출하고 결과된 고분자수지를 방사하여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항균성능을 갖는 다른 금속들, 예를들면 Cu, Zn, Pt, Au, Fe 등을 은계 항균입자의 은(Ag)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물에서 은이온에 의한 살균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은 또는 은이온 농도가 수 ppm 수준이 될 것이 요구되지만, 음용수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은이온농도가 100 ppb 이하가 될 것이 요구된다 [참고: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보호청)가 제안하고 있는 음용수 가이드 라인]. 따라서, 은이온 용출시험에서 ppm 수준 이상의 은이온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정수기용 항균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용출시험은 일반적으로 물을 단순히 통과시키는 통수 시험에서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 이상 침지시킨 상태에서 용출농도를 검출하는 시험을 둘다 포함할 수 있으며, 침지시간은 일반적으로 1시간 이상, 구체적으로는 5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 은계 항균입자, 구체적으로는 AgCl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또는 메조다공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입자에 함유된 은 또는 은화합물의 용해도가 ppm 이하로 낮을 뿐만 아니라, 용출성도 수 ppb 정도로 낮다. 은 또는 은화합물의 용해도가 ppm 수준 이상이지만, 전체적인 용출성이 ppb 이하로 낮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필터 내에 함유된 은의 총함량이 낮아져야 하므로 필터의 가용수명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 은계 항균입자를 사용하여 스펀본드 혹은 멜트브로운 방식으로 제작된 부직포를 제조하고, 이를 그대로 사용하여 수행한 살균 및 방곰팡이 테스트에서, 상기 부직포는 99.9% 이상의 살균력 및 '0' 등급의 방곰팡이 성능을 보여주었다.
한편, 상기 부직포를 롤형태로 권취하여 제조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를 사용한 통수 테스트에서, 일반적인 세디먼트 필터와 동일하게 대부분의 미생물이 필터를 통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필터를 통과한 물을 1~3일 경과한 후에 검사하였을 때, 일반 세디먼트필터를 통과한 물에서는 미생물이 대략 1000 배이상 증식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한 물에서는, 필터층의 두께 및/또는 통과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미생물이 증식하지 않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99.9%의 사멸을 보여주었으며, 이로부터 생물막 형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통수 시험에서 필터를 통과한 물에서의 은이온의 농도, 즉 통수 용출 농도는 수 ppb 수준이거나 검출한계 (수 ppb) 이하인데, 이는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를 물에 침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한 결과, 일일 평균 20 ppb 이하로 은이온이 검출된 것을 고려하면 충분히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 은계 항균입자는 99.9% 이상의 살균력을 줄 수 있는 은이온을 용출하지는 않지만, 상술한 통수 시험에서 확인된 낮은 은이온 함량 및 미생물 증식억제효과로부터, 상술한 음용수기준 뿐만 아니라 생물막 방지 성능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은계 항균입자에서 함유된 은 또는 은화합물의 용해도는 10ppm 이하, 구체적으로는 5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ppm 이하이고, 항균입자에서 방출되는 은이온의 용출도는 10 ppb 이하, 구체적으로는 5ppb 이하, 바람직하게는 2ppb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ppb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은이온의 검출한계가 1~2ppb 이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침지 시험에서는 수ppb 수준의 은이온이 검출될 수 있지만, 통수된 물에서는 은이온이 검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성필터의 다층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혼성필트는 각각의 개별 필터부재를 적절한 매수, 예를들면 각각 1장씩 교대로 적층하여 다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거나, 각각 1장씩 적층하고, 이를 적절한 회수로 권취하여 롤형 다층구조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개별 필터부재의 적층비율 및/또는 권취회수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본필터와 멤브레인필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카본필터와 멤브레인필터 또는 이들의 부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본필터는 활성탄 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블록 또는 부직포이고, 멤브레인필터는 정밀여과막 (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및 역삼투막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세디먼트필터 및 멤브레인필터의 부재원료, 즉 원료수지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F), 셀룰로스아세테이트(CA), 테플론(PTFE)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여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밀도의 수지가 바람직할 수 있다.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이 세디먼트필터 부재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고분자수지로 대체되거나 혼합, 혼성 또는 혼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혼성필터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성 세디먼트필터"+"ACF 필터"로 된 복합필터 (이후 복합필터 I로 칭함)를 항균성 세디먼트필터부재와 ACF필터부재(Active Carbon Fiber; 활성탄소섬유)를 대략 1:1 (부재의 적층수)로 적층하여 권취하여 롤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터 I의 구조 및 제작기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ACF필터 부재를 교대로 적층 및 권취된 롤형 혼성필터가 도시되어 있다.
복합필터 I에서, 상기 두 필터부재를 1:1로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가 ACF필터 표면의 미생물 오염을 현저히 줄여줌과 동시에 필터 형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ACF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때 활성탄소섬유(ACF)는 섬유표면에 흡착에 관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공(micropore)으로 기존 입상활성탄이 가지는 흡착용량과 흡착속도를 월등히 향상시킨 것으로 유리 잔류염소, 트리할로메탄류, 클로로포름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납 등의 중금속은 물론, 그 외 아민, 메틸메르캅탄 등 악취를 유발하는 유기물의 제거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수질에 따라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필터는 추가적으로 ACF에 비해 두텁게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일반 실린더형의 입자 활성탄의 경우 정수하는 과정에서 제한적인 부위에만 물길이 형성되어 활용도가 매우 낮은데다 미세 동공에 유기물은 물론 미생물까지 흡착되고 이 유기물이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결과적으로 미생물 증식을 촉진하고 두터운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기물 필터링 성능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일반 ACF의 경우에는 친수성이 뛰어나고 유해물질과의 흡착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유입된 정수대상수가 유입구에 적체되지 않고 물막힘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어서 전체 활성탄의 활용도는 높일 수 있으나 물 속에서 그 자체로 벌키하게 쓰일 경우 낮은 인장강도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저하게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바이오필름이 형성됨에 따라서 필터링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복합필터 I에 있어서, 세디먼트필터와 ACF필터의 사용량은 필터부재들의 두께 및/또는 밀도(무게/부피)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세디먼트필터와 ACF필터의 사용비율은 대략 1:1, 구체적으로는 0.3:0.7~0.7:0.3 (중량비 또는 부피비)를 나타낼 수 있지만, 적절한 정수효과 및 통수량을 달성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된 필터부재의 권취회수는, 적어도 2회 이상, 구체적으로는 3~40회, 바람직하게는 5~30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회이며, 필터부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범위 이외로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시판될 수 있는 가정용 정수기에서 사용가능한 복합필터I은 일반적으로 외경 60~80mm 및 내경 10~20mm의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혼성필터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성 세디먼트필터"+"멤브레인 필터"로 된 복합필터 (이후 복합필터 II로 칭함)를 항균성 세디먼트필터부재와 멤브레인필터 부재를 1:1로 적층하여 권취하여 롤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터 II의 구조 및 제작기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멤브레인필터 부재를 교대로 적층 및 권취된 롤형 혼성필터가 제조될 수 있다.
복합필터 II에서, 상기 두 필터부재를 1:1로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상기 두 필터부재를 1:1로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가 멤브레인 필터 표면의 미생물 오염을 현저히 줄어주고 동시에 NF의 스페이서 역할을 하면서 멤브레인의 필터링 성능을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면, 기존의 MF(Micro Filteration), UF(Ultra Filteration), NF(Nano Filteration), RO(Riverse Osmosis) 등의 멤브레인 필터들의 미세기공이 표면의 바이오필름에 의해 자주 막히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고압의 장치나 살균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중공사로 형태의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복합필터 II를 제조하는 경우, 항균성 세디먼트필터층 사이에 중공사를 병렬로 나란히 배치시키고 이를 권취하는 구조로 변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수질에 따라 상기 세디먼트필터의 두께 또는 사용비율을 NF 등의 멤브레인필터에 비해 변경할 수 있다.
복합필터 II에 있어서, 세디먼트필터와 멤버레인필터의 사용량은 필터부재들의 두께, 적층비율 및/또는 밀도(무게/부피)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세디먼트필터와 멤버레인필터의 사용비율은 대략 1:1, 구체적으로는 0.3:0.7~0.7:0.3 (중량비 또는 부피비)를 나타낼 수 있지만, 적절한 정수효과 및 통수량을 달성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된 필터부재의 권취회수는, 적어도 2회 이상, 구체적으로는 3~20회, 바람직하게는 5~1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회이며, 필터부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범위 이외로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시판될 수 있는 가정용 정수기에서 사용가능한 복합필터II는 일반적으로 외경 40~60mm 및 내경 5~10mm의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복합필터 I 및 II에서 필터부재의 적층비율은 1:1로 한정된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예를들면 부재의 두께 및 밀도, 원수상태, 운전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합필터 I 및 II에서 필터부재의 적층회수 또는 권취회수도 필터부재의 두께 및 필터카트리지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복합필터 I 및 II에 있어서, 카본필터부재 및 멤브레인필터부재는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되거나 시판되는 것들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세디먼트 필터와 적층할 수 있는 형태라면 부직포 또는 직조직물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실린더형 카본필터 둘레를 세디먼트필터 부직포로 한겹 이상 둘러싸서 복합필터를 형성할 수 있거나, 실린더형 카본필터와 실린더형 세디먼트 필러를 직경을 상이하게 제조하여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층구조의 복합필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변법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생물막의 형성을 더욱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개별 필터 부재 이외에도, 필터 카트리지, 연결 부위 및 연결튜브, 물탱크, 센서 등과 같이 물과 접촉하는 부위 또는 이러한 부위를 포함하는 유닛들에도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항균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계 항균입자를 함유하는 고분자수지 (예. 폴리에틸렌)를 압출 또는 사출하여 물탱크 또는 연결튜브를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들 부위에서의 생물막 형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복합필터I 및 복합필터II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성능적으로 컴팩트한 정수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정수기는 2단 필터시스템을 채용하므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초소형으로 할 수 있고, 생물막 형성 방지로 인해 수질악화를 장기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성능이고, 이에 따라 필터 교환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소형 고성능 정수기를 경제적으로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세디먼트필트-카본필터-멤브레인필터-후처리필터로 된 기존의 4단 필터 시스템을 본 발명에 따라 복합필터I-복합필터II의 2단 필터 시스템으로 개량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복합필터I-복합필터II의 2단 필터 시스템을 하나의 하우징이나 카트리지 내에 설치하여 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는 통합형 정수기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4) 및 정수기의 외부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도5)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터I 및 복합필터II를 사용하여 높이 20cm 및 폭 14cm의 컴팩트한 복합필터 시스템을 가지면서도 충분한 정수 성능을 보여주는 정수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복합필터I 및 복합필터II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개별 필터들을 복합화시킴으로써, 원수 또는 정수가 정수기내에 체류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물막형성 및/또는 미생물증식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복합화로 인한 공간의 컴팩트화로 정수성능의 저하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오염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복합화가 오염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역설을 있어왔다. 이런 상황에서, 미생물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유무기 항균제의 사용 및/또는 살균시스템의 채용)은 항균제 자체의 유해성 및 비용상승으로 인한 문제점을 또다시 야기하였다. 특히 은계 항균제의 강력한 살균성은 미생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많은 분야에서 제안되고 있지만, 음용수에서의 함량제한 (100ppb 이하)은 이의 실용화는 실질적으로 막아왔다.
본 발명에서는 음용수에서 은이온 함량 제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은계 항균제 및 이를 정수기용 필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별 필터의 복합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용해도가 낮은 은화합물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에 봉입시킨 메조다공성 분자체 또는 무기산화물을 고분자수지에 고함량으로 포함시킨 소재로서 세디먼트필터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은함량에도 은용출성을 ppb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어 음용수 기준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은이온을 장시간 용출할 수 있어 가사용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가 정수기 내에 24시간 이상 체류하여도 은이온은 음용수 권장기준 100ppb보다 훨씬 낮은 10ppb 이하로 용출되기 때문에 음용수로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들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법, 변형 및 추가구성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제조예 1: 은-수산화아파타이트 항균입자의 제조
수산화칼슘 37g을 450ml에 증류수에 넣어 현탁액을 제조하고, 0.29M 질산은용액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100ml 투입한 후 24시간 교반한다. 상기용액에 인산용액 36.5g을 450ml 증류수에 녹인 용액을 천천히 교반하며 투입하여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전구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결과된 전구체 혼합물을 약 80℃에서 85% 정도의 수분이 제거될 때까지 건조숙성시킨 다음, 다시 약 120℃에서 수분함량 1%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결과된 백색 케이크형 혼합물을 850℃에서 소성하여 은-수산화 아파타이트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은-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체 2kg을 증류수 8L에 넣고 30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이를 400mesh 체(sieve)로 습식분급한 후 다시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은-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의 합성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은 기존에 잘 알려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123) 30g 을 2M 염산 (HCl) 904 ㎖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기포가 생기지 않게 천천히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수득된 용액에 실리카 전구체로서 TEOS (tetraethoxy orthosilicate, 98%) 64.65 g을 천천히 첨가하고, 40℃에서 교반하면서 20시간 동안 가수분해반응을 진행시킨다. 다음으로, 100℃에서 24시간 동안 계속 가수분해 반응을 진행시키고, 침전된 실리카를 여과하여 80℃ 에서 건조시킨다. 건조 후 표면에 과량으로 있는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해 염산이 약간 첨가된 에탄올로 수세하고, 80℃ 에서 12시간 건조하고, 이어서 550℃에서 3시간 열처리하여 흰색의 메조다공성 실리카 SBA-15 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은-아파타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은-아파타이트 복합체를 사용하여 다단계입자증식법에 의해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폴리프로필렌(PP) (PPJ700, HYOSUNG Corp., 한국) 을 압출기에 도입하고, 40;bs 동안 고속회전(100 rpm) 시켰다. 이때 수지 온도는 55℃ ~ 65℃로 상승하였다. 여기에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은-아파타이트 복합체 분말을 슬러리로 만들어 조금씩 첨가하고 20~30분 동안 고속회전 (100 rpm)시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쌍축압출기 M/C에 투입하고, 압출기의 온도를 투입구 부분에서는 150℃(±5℃), 실린더 배럴 부분에서는 210℃(±5℃), 다이스 부분에서는 230℃(±5℃)으로 유지하면서 용융압출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마스터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부직포를 다양한 두께로 제조하였다. 수득된 부직포는 원사 기준으로 약 100 ppm 의 은(Ag)을 함유하였다.
결과된 부직포 1g을 실온의 물 100g에 24시간 침지하여 용출된 은이온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약 11ppb의 결과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4: 염화은-메조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함유하는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의 제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염화은(AgCl)-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사용하여 다단계입자증식법에 의해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폴리에스터 분말을 압출기에 도입하고, 예열하면서 회전시키고, 여기에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염화은(AgCl)-고다공성 실리카 나노복합체를 슬러리로 만들어 조금씩 첨가하고, 첨가가 완료되면 용융압출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수득된 마스터배치를 부직포 형태로 방사하였다. 부직포는 원사 기준으로 약 80 ppm 의 은(Ag)을 함유하며, JIS L 1902 기준에서 100회 세탁 후에도 99.9 % 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며, 백색도(WHITENESS)는 CIE 85 이상이었다.
결과된 부직포 1g을 실온의 물 100g에 24시간 침지하여 용출된 은이온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18ppb의 결과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포함하는 복합필터I
세디먼트 필터 부재로서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두께 약 0.2~0.4mm)를 사용하고, 카본필터 부재로서 선행기술 (한국특허출원 10-2011-0138374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카본섬유 부직포(두께 약 1mm)를 사용하였다.
전술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 및 카본필터 부재를 교대로 10개층씩 적층하여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제조하고, 이를 상부에 입수구 및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복합필터 I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복합필터I을 세디먼트필터 및 카본필터를 대신하여 사용하여 가정용 정수기를 구성하였다.
실시예 2: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포함하는 복합필터I
세디먼트 필터 부재로서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두께 약 0.1~0.3mm)를 사용하고, 카본필터 부재로서 시판되는 카본섬유 부직포(약 0.5mm) 를 사용하였다.
전술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 및 카본필터 부재를 교대로 10개층씩 적층하여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제조하고, 이를 상부에 입수구 및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복합필터 I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복합필터I을 세디먼트필터 및 카본필터를 대신하여 사용하여 가정용 정수기를 구성하였다.
실시예 3: 롤형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포함하는 복합필터I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두께 약 0.2~0.4mm) 및 카본필터 부재(두께 약 1mm)를 각 1매씩 적층하고, 직경 2cm의 투수성 실린더 둘레로 10회 이상 권취하여 롤형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롤형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를 높이 5cm로 절단하고, 이를 상부에 입수구 및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된 높이 5cm 및 내경 7cm의 필터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복합필터I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우레탄폼 카본필터를 사용하는 복합필터 I
시판되는 우레탄폼 카본필터 부재(길이1m x 폭30cm, 두께 0.5~0.7cm, 활성탄함량 15%) 및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길이1m x 폭30cm, 두께 0.1~0.2mm)를 각각 한겹 및 두겹씩 적층하고, 전체를 5회 권취하여 롤형 혼성필터를 실린더 형태(외경 8cm, 내경 1.5cm)로 제조하였다. 길이 30cm의 실린더 형태의 혼성필터를 길이 5cm의 크기로 절단하여 필터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복합필터 I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7: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를 포함하는 복합필터II
세디먼트 필터 부재로서 제조예 3에서 수득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두께 약 0.1~0.3mm)를 사용하고, 멤브레인필터 부재로서 시판되는 정밀여과막 (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및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을 각각 사용하였다.
전술한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 부재 및 각각의 멤브레인 필터 부재를 각각 1매씩 적층하고, 중공 실린더 둘레로 4회 권취하여 롤형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를 실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린더 형태의 혼성필터를 필터 카트리지의 높이에 맞추어 절단하고, 상부에 입수구 및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복합필터 II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복합필터II을 세디먼트필터 및 카본필터를 대신하여 사용하여 가정용 정수기를 구성하였다.
Claims (9)
- 필터 카트리지 및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로서,
전술한 필터 카트리지는 입수구 및 배수구를 가지고 내부에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장착하고 있으며,
전술한 다층 혼성필터 부재는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적층면의 수직방향으로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출되도록 필터 카트리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술한 혼성필터 부재는 세디먼트-카본 혼성필터 부재 또는 세디먼트-멤브레인 혼성필터 부재로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카본필터 부재 또는 멤브레인필터 부재가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한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는 저용해도 및 저용출성의 은계 항균입자를 함유하는 고분자수지로부터 제조된 직조직물 또는 부직포로서, 1~100 미크론의 기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다층 혼성필터 부재는 롤형 구조를 가지며, 롤형 구조의 중심부에는 다층 혼성필터 부재를 통과한 물이 모여서 전술한 필터 카트리지의 배수구로 흘러갈 수 있는 원통형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세디먼트필터 및 멤브레인필터의 부재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F), 셀룰로스아세테이트(CA), 테플론(PTF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세디먼트필터 필터는 은계 항균입자를 함유하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또는 3 항에 있어서, 전술한 은계 항균입자는 AgCl 또는 은(금속)을 나노동공 또는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다공성 분자체 또는 무기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5 항에 있어서, 전술한 은계 항균입자는 AgCl 또는 은(금속)을 메조동공 내부에 함유하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또는 메조다공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카본필터 부재는 활성탄 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제조된 블록 또는 부직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멤브레인필터는 정밀여과막 (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및 역삼투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복합필터.
- 제 1 항에 따른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979A KR20160148760A (ko) | 2015-06-16 | 2015-06-16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979A KR20160148760A (ko) | 2015-06-16 | 2015-06-16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6187A Division KR20170036666A (ko) | 2017-03-22 | 2017-03-22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760A true KR20160148760A (ko) | 2016-12-27 |
Family
ID=5773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4979A KR20160148760A (ko) | 2015-06-16 | 2015-06-16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8760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76259A (zh) * | 2018-01-17 | 2018-06-19 | 浙江工业大学 | 一种改性聚酰胺反渗透膜及其制造方法 |
CN108640309A (zh) * | 2018-05-20 | 2018-10-12 | 广州正森辰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新型复合纯净水滤芯 |
CN109019936A (zh) * | 2018-10-15 | 2018-12-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净水机的过滤装置 |
CN110482666A (zh) * | 2019-09-03 | 2019-11-22 | 青岛德佰利餐饮管理有限公司 | 一种仿生净水滤芯 |
CN110548401A (zh) * | 2019-08-27 | 2019-12-10 | 武汉艾科滤膜技术有限公司 | 一种抑菌超滤膜组件 |
KR102445921B1 (ko) * | 2022-02-25 | 2022-09-22 | 주식회사 현대정밀 | 바이러스 및 세균 사멸 기능을 갖는 도어하드웨어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7085524A (zh) * | 2023-10-07 | 2023-11-21 | 安庆市长三角未来产业研究院 | 一种以无纺布为支撑层的高通量纳滤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2015
- 2015-06-16 KR KR1020150084979A patent/KR2016014876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76259A (zh) * | 2018-01-17 | 2018-06-19 | 浙江工业大学 | 一种改性聚酰胺反渗透膜及其制造方法 |
CN108640309A (zh) * | 2018-05-20 | 2018-10-12 | 广州正森辰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新型复合纯净水滤芯 |
CN108640309B (zh) * | 2018-05-20 | 2021-06-11 | 广州正森一辰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新型复合纯净水滤芯 |
CN109019936A (zh) * | 2018-10-15 | 2018-12-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净水机的过滤装置 |
CN110548401A (zh) * | 2019-08-27 | 2019-12-10 | 武汉艾科滤膜技术有限公司 | 一种抑菌超滤膜组件 |
CN110482666A (zh) * | 2019-09-03 | 2019-11-22 | 青岛德佰利餐饮管理有限公司 | 一种仿生净水滤芯 |
KR102445921B1 (ko) * | 2022-02-25 | 2022-09-22 | 주식회사 현대정밀 | 바이러스 및 세균 사멸 기능을 갖는 도어하드웨어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3163290A1 (ko) * | 2022-02-25 | 2023-08-31 | 주식회사 현대정밀 | 바이러스 및 세균 사멸 기능을 갖는 도어하드웨어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7085524A (zh) * | 2023-10-07 | 2023-11-21 | 安庆市长三角未来产业研究院 | 一种以无纺布为支撑层的高通量纳滤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
CN117085524B (zh) * | 2023-10-07 | 2024-04-19 | 安庆市长三角未来产业研究院 | 一种以无纺布为支撑层的高通量纳滤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36666A (ko)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
KR20160148760A (ko) |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 |
Singha et al. | Nano-membrane filtration a novel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for waste water treatment | |
EP2527023B1 (en) | Complex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 |
US20030038074A1 (en) | Antimicrobial semi-permeable membranes | |
US8701895B2 (en) | Fluid purification media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US9364797B2 (en) | High flux hollow fiber ultrafiltration membran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
KR101642608B1 (ko) |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필터용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Shaban et al. | Water desalination and dyes separation from industrial wastewater by PES/TiO2NTs mixed matrix membranes | |
JP2010227757A (ja) | 複合分離膜 | |
US20210078874A1 (en) | Fluid purification media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US20130056428A1 (en) | Fluid purification media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Tang et al. | Leaf vein-inspired microfiltration membrane based on ultrathin nanonetworks | |
Castro-Muñoz et al. | Membranes for toxic-and heavy-metal removal | |
KR102211659B1 (ko) | 항바이러스 및 제균이 우수한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Jaspal et al. | Emerging advances of composite membranes for seawater pre-treatment: a review | |
CN210915611U (zh) | 复合滤芯及净水系统 | |
CN212174708U (zh) | 一种低压纳滤净水膜 | |
Vo et al. | Recent developments of nano-enhanced composite membranes designed for water/wastewater purification—a review | |
KR20170112589A (ko) | 다층형 카트리지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직수형 정수기 | |
US11395992B2 (en) | Hollow fiber membrane for filtration of liquids | |
CN105753213A (zh) | 三级过滤复合滤芯及含有该三级过滤复合滤芯的净水器 | |
Rehan et al. | Prospects of nanocomposite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by pressure-driven membrane processes | |
CN210915612U (zh) | 复合滤芯及净水系统 | |
KR20210026658A (ko) |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